KR20220040739A -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739A
KR20220040739A KR1020200123786A KR20200123786A KR20220040739A KR 20220040739 A KR20220040739 A KR 20220040739A KR 1020200123786 A KR1020200123786 A KR 1020200123786A KR 20200123786 A KR20200123786 A KR 20200123786A KR 20220040739 A KR20220040739 A KR 20220040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sunroof
folded
unfolded
wrink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김세영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23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0739A/ko
Publication of KR2022004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31Roof or head liners specially adapted for roofs with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쉐이드를 여러 번 방향을 바꿔가면서 접거나 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처럼 접힌 선쉐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되므로 기존의 권취기와 롤러를 없앨 수 있어 한정된 자동차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선쉐이드의 양쪽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가이드 바를 끼워 사용함으로써, 선쉐이드가 정해진 방향을 따라 쉽게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게 한 다른 목적의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통 구멍을 접히는 방향의 폭을 따라서 길게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바에 끼워진 선쉐이드가 하나의 평면 형태로 펼쳐질 수 있게 하여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 또 다른 목적의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SUNROOF SUN SHAD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쉐이드가 주름처럼 여러 번 방향을 바꿔가면서 접힐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선쉐이드가 차지하는 실내 공간을 최소화하여 한정된 자동차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선쉐이드를 롤러에 감지 않아도 되어 롤러나 권취기 고장의 발생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쉐이드의 떨림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선루프는 실내 환기와 채광을 목적으로 헤드 라이너에서 앞좌석에 해당하는 부분을 뚫어서 개방할 수 있게 구성된 장치이다. 이러한 선루프는 자동차 실내 측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헤드 라이너(H)에 선쉐이드(S)를 장착하여 자동차 실내의 미감과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하면서도 선루프를 사용할 때는 이 선쉐이드(S)가 개방되게 하여 환기와 채광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선루프 선쉐이드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작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45621호
롤-업 선루프 선쉐이드는 쉐이드 시트의 측부들을 따라서 진행하는 2개의 가이드 레일들을 포함한다. 쉐이드 시트는 가이드 레일들 사이의 틈 간격에 대응하는 것보다 넓게 절단된다. 당겨지는 동안, 쉐이드 시트는 가이드 레일들의 입구 단부에서 적절한 구조에 의해서 이와 함께 이동하는 파이핑 부재 주위에서 튜브-형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파이핑 부재의 감김(wrapping)으로 인해, 쉐이드 시트는 가이드 레일의 종방향에 수직 하여 제자리에 유지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4770호
차량용 선루프의 방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루프패널에 형성된 개구부가 개폐되도록 루프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루프 글라스와, 루프 글라스의 하방에 배치되며 루프 글라스를 통과한 빛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루프 글라스와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선쉐이드를 구비하는 차량용 선루프에 있어서, 일 단부가 선쉐이드에 연결되는 방충망과, 방충망의 타 단부를 권취한 상태로 루프프레임에 배치되며, 방충망이 펼침될 때, 탄성력에 의해 방충망이 장력을 유지하도록 탄성부재가 마련된 권취부를 포함하여, 루프 글라스와 선쉐이드가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루프프레임에서 슬라이딩 시, 방충망이 선쉐이드에 의해 당겨짐과 동시에 권취부에서 펼쳐지면서 개구부를 막아준다. 이와 같은, 차량용 선루프의 방충장치는, 권취부에 권취된 방충망의 일 단부가 선쉐이드에 연결설치된다. 따라서, 차량의 개구부를 개방하기 위해 루프 글라스와 선쉐이드가 슬라이딩 이동시, 방충망이 선쉐이드에 의해 당김 상태로 펼쳐지면서 개구부를 막아, 개구부를 통해 차량 내부로 이물질이나 벌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9954호
루프 글라스의 하단에서 양측에 마련된 선쉐이드 천의 끝단을 고정하여, 선쉐이드 천의 권출 또는 권입에 따라 회전되어 그 선쉐이드 천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마련된 선쉐이드 롤러; 상기 양측 선쉐이드 천을 그 상방에서 제한하여, 선쉐이드 천의 권출 및 권입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부; 상기 선쉐이드 롤러를 가리기 위해 그 선쉐이드 롤러의 하방에서 글래스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 롤러 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루프의 선쉐이드 롤러 장치가 소개된다. 그 선루프의 선쉐이드 롤러 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레이아웃과 미관이 향상되고, 롤러를 하나만 이용함으로써 부품 수와 제조 원가가 절감된다.
하지만, 기존의 선쉐이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선루프 정도 크기의 선쉐이드(S)를 권취기(W)에 감거나 반대로 풀어서 사용해야 하므로, 헤드 라이너(H)와 루프패널(R) 사이에 이러한 권취기(W) 장착에 필요한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2) 이는, 한정된 크기의 자동차 실내 공간의 활용도, 특히 헤드 라이너(H)와 루프패널(R) 사이의 공간에 대한 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공간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게 하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3) 또한, 이처럼 귄취기(W)에 선쉐이드(S)가 감기려면 선쉐이드(S)가 천 재질이나 유연한 재질로 제작해야 하므로, 유연한 재질의 선쉐이드를 안내할 수 있도록 롤러와 같은 부수적인 구성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부수적인 구성은 잦은 작동으로 파손의 우려가 있다.
(4) 이처럼 롤러가 파손되면 선쉐이드(S)가 부드럽게 안내를 받지 못해 선쉐이드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동 도중에 소음이 생길 우려가 크다.
(5) 또한, 이처럼 원활하게 안내를 받지 못하는 선쉐이드(S)는 요동하게 되고, 이에 가이드나 헤드 라이너(H) 또는 루프패널(R)에 부딪히면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45621호 (공개일: 2008.05.23)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4770호 (공개일: 2010.10.26)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9954호 (공개일: 2009.10.2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선쉐이드를 여러 번 방향을 바꿔가면서 접거나 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처럼 접힌 선쉐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되므로 기존의 권취기와 롤러를 없앨 수 있어 한정된 자동차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선쉐이드의 양쪽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가이드 바를 끼워서 사용함으로써, 선쉐이드가 정해진 방향을 따라 쉽게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관통 구멍을 접히는 방향의 폭을 따라서 길게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바에 끼워진 선쉐이드가 하나의 평면 형태로 펼쳐질 수 있게 하여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에는, 선루프가 장착되는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에 설치된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에서, 헤드 라이너(H)의 개구부(O) 내면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하게 장착되되, 한쪽 끝이 넓은 수납부분(110)이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100); 및 상기 가이드(100) 사이에 양단이 끼워져서 펼쳐지거나 방향을 바꿔가면서 여러 번 접힐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분(110)에 수납되었다가 가이드(100)를 따라 펼쳐지는 주름 선쉐이드(20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에는, 양쪽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여러 개의 관통 구멍(210)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 구멍(210)에는 하나의 가이드 바(211)가 끼워져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210)은,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를 구성하는 날개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는, 수동으로 잡아당겨서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구성하거나, 액추에이터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이웃한 두 개의 주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접힐 수 있게 구성된 주름 선쉐이드를 접거나 펼쳐서 선쉐이드로 사용함으로써, 선쉐이드를 보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2) 이는, 한정된 자동차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3) 또한, 기존의 권취기나 선쉐이드를 안내하는 롤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성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을 없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4) 한편, 상기 주름 선쉐이드의 양쪽에 여러 개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에 끼워지도록 가이드 바를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주름 선쉐이드가 가이드 바를 따라 정해진 방향을 따라 쉽게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게 되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5) 이때, 상기 관통 구멍은 선쉐이드가 접히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선쉐이드가 마치 하나의 평면과 같이 펼쳐지게 하여 넓게 펴지는 선루프를 쉽게 마감하여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선루프 선쉐이드가 장착된 헤드 라이너를 갖춘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선루프 선쉐이드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려고 [도 1]에서의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쉐이드가 펼쳐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주름 선쉐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선쉐이드가 접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주름 선쉐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두 개의 가이드(100), 그리고 상기 가이드(1900)의 안내를 받아 펼쳐지거나 접히는 주름 선쉐이드(20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속해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완전하게 접힌 상태에서 주름 선쉐이드(2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한정된 자동차 실내 공간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의 양단을 안내하는 가이드(100)의 구성만으로도 주름 선쉐이드(200)가 작동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 슬라이딩 롤러와 같은 다른 구성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성에서 발생하는 고장을 없앨 수 있고, 선쉐이드의 떨림이나 소음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H"는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에 설치되는 헤드 라이너를, "O"는 상기 헤드 라이너에 관통 형성되어 선쉐이드를 장착하는 개구부를 각각 나타낸다.
가. 가이드
가이드(10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선루프를 갖춘 자동차에 설치되는 헤드 라이너(H)에 형성된 개구부(O) 내면에서 서로 마주하는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씩 장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00)는, [도 4]와 같이 이웃해서 여러 번 접는 방향이 달라지는 주름 선쉐이드(200)가 펼쳐졌을 때 그 펼쳐진 양쪽 가장자리를 안내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100)는 한쪽 끝, 바람직하게는 주름 선쉐이드(200)가 접혀 보관되는 곳에서는 접힌 상태의 주름 선쉐이드(200)를 보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수납부분(1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10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이처럼 주름 선쉐이드(200)가 펼쳐질 때 안내하는 안내 부분과 접혀서 보관하는 수납부분(110)을 연결하는 부분에서는 안내 부분에서 수납부분(110)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납부분(110)에서 주름 선쉐이드(200)를 잡아당길 때는 주름 선쉐이드(200)의 접힌 부분이 하나씩 펼쳐지면서 안내 부분의 안내를 받아 펼쳐지게 하고, 반대로 주름 선쉐이드(200)가 접힐 때는 접히는 부분이 이 연결 부분을 통해 차례로 접힐 수 있도록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가이드(100)에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주름 선쉐이드(200)가 장착된다.
나. 주름 선쉐이드
주름 선쉐이드(2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여러 번 접을 때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접히면서 접거나 펼쳐질 수 있게 제작한다. 이때,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는 띠 형태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쉐이드 조각이 양쪽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게 해서 이웃한 두 개의 쉐이드 조각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이웃한 쉐이드 조각끼리는 접히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제작한 연약 부분을 통해 접을 수 있게 하거나, 쉐이드 조각이 천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힐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접힐 때는 상술한 수납 부분(110)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주름 선쉐이드(20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수납부분(110)에서 돌출된 한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손잡이(220)를 잡아당겨서 원하는 만큼 펼쳐지게 해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220)는 상술한 가이드(100) 사이에 걸려 걸림 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주행 중 진동 등에도 주름 선쉐이드(200)가 다시 접히거나 더 펼쳐져서 원하는 만큼 개방되는 것을 방해받지 않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는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을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주름 선쉐이드(200)는 다단 안테나에를 접거나 펼칠 때 사용하는 랙 케이블을 이용하거나, 실린더와 같이 직선 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 2절 관절을 이용해서 관절이 회전함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는, [도 6]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주름 선쉐이드(200)가 안정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구성을 추가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추가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는, [도 6]과 같이, 주름 선쉐이드(200)에 관통 구멍(210)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210)에 가이드 바(211)를 끼워서 주름 선쉐이드(20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관통구멍
관통 구멍(210)은, [도 6]과 같이, 주름 선쉐이드(200)에 여러 개가 형성되어 후술한 가이드 바(211)가 끼워져서 주름 선쉐이드(200)가 이 가이드 바(211)의 슬라이딩 안내를 받아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관통 구멍(210)은, [도 6]과 같이, 주름 선쉐이드(200)의 접히는 각 날개 부분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하나씩 형성됨으로써, 각 날개의 양쪽이 가이드 바(211)에 끼워져서 이 가이드 바(211)를 중심으로 평면 형태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안내를 받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 구멍(210)은 주름 선쉐이드(200)를 구성하는 각 날개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으로써, 각 날개가 가이드 바(211)에 끼워진 상태에서 더욱더 평면 형태로 펼쳐질 수 있게 하여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가이드 바
가이드 바(211)는, [도 6]과 같이, 주름 선쉐이드(20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 상술한 관통 구멍(210)에 하나씩 나란하게 끼워서 슬라이딩 안내를 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바(211)는 선쉐이드(200)가 완전하게 펼쳐졌을 때까지 안내할 수 있는 길이를 고려하여 그 길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211)는 가능한 한 얇게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주름선쉐이드(200)가 펼쳐졌을 때 마치 하나의 평면 형태로 펼쳐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가이드 바의 안내를 받아 주름 선쉐이드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구성되므로, 정해진 형태와 모양대로 쉽게 펼치거나 접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가이드
110: 수납부분
200: 주름 선쉐이드
210: 관통 구멍
211: 가이드 바
220: 손잡이

Claims (4)

  1. 선루프가 장착되는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에 설치된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에서,
    헤드 라이너(H)의 개구부(O) 내면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하게 장착되되, 한쪽 끝이 바깥으로 갈수록 넓어졌다가 수납할 넓은 수납부분(110)이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100);
    상기 가이드(100) 사이에 양단이 끼워져서 펼쳐지거나 방향을 바꿔가면서 여러 번 접힐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분(110)에 수납되었다가 가이드(100)를 따라 펼쳐지는 주름 선쉐이드(20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2. 제1항에서,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에는,
    양쪽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여러 개의 관통 구멍(210)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 구멍(210)에는 하나의 가이드 바(211)가 끼워져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3. 제2항에서,
    상기 관통 구멍(210)은,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를 구성하는 날개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주름 선쉐이드(200)는,
    수동으로 잡아당겨서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구성하거나,
    액추에이터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KR1020200123786A 2020-09-24 2020-09-24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KR20220040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786A KR20220040739A (ko) 2020-09-24 2020-09-24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786A KR20220040739A (ko) 2020-09-24 2020-09-24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739A true KR20220040739A (ko) 2022-03-31

Family

ID=8093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786A KR20220040739A (ko) 2020-09-24 2020-09-24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073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621A (ko) 2006-11-20 2008-05-23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롤-업 선루프 쉐이드
KR20090109954A (ko) 2008-04-17 2009-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의 선쉐이드 롤러 장치
KR20100114770A (ko) 2009-04-16 2010-10-26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차량용 선루프의 방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621A (ko) 2006-11-20 2008-05-23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롤-업 선루프 쉐이드
KR20090109954A (ko) 2008-04-17 2009-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의 선쉐이드 롤러 장치
KR20100114770A (ko) 2009-04-16 2010-10-26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차량용 선루프의 방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6207B (zh) 遮阳组件以及设有遮阳组件的天窗结构
KR100983626B1 (ko) 측면패널이 확장되는 캠핑카
US20120098301A1 (en) Sunshade device
US6874845B2 (en) Shade tarp as sun shield
JP5356128B2 (ja) シェード装置
JP5410266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20120116392A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JP5058606B2 (ja) 複合シャッター
JP2013220754A (ja) ロールシェード装置
KR20220040739A (ko)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JP5193372B2 (ja) サンシェードアセンブリ
JP5840981B2 (ja) シェード装置
JP6303869B2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JP2001347838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7131208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CN110733317B (zh) 卷帘组件
JP2004099031A (ja) 自動車ウインドウのための日除け用ローラブラインド装置
US20050211390A1 (en) Shading device for automobile
JP7010123B2 (ja) シェード装置
WO2013125370A1 (ja) 自動車用シートガイド
JP4876961B2 (ja) サンバイザ
CN113492657A (zh) 遮光装置
JP2521790Y2 (ja) スクリーン開閉装置
JP5309888B2 (ja) 車両用ルーフシェード装置
JP6688143B2 (ja) 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