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392A -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392A
KR20120116392A KR1020127011398A KR20127011398A KR20120116392A KR 20120116392 A KR20120116392 A KR 20120116392A KR 1020127011398 A KR1020127011398 A KR 1020127011398A KR 20127011398 A KR20127011398 A KR 20127011398A KR 20120116392 A KR20120116392 A KR 20120116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window
window shade
horizonta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822B1 (ko
Inventor
신야 오지마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6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2Blinds with inclined or vertical orientation of the wind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5Pivoting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3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side windows, e.g. quarte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Abstract

차량의 윈도우를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리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이다.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는,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과, 이것을 권취하는 권취장치와,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를 안내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지지기구와,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에 제1 자세와 제2 자세 사이에 자세 변경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을 구비한다. 아암은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아암에 제1 기어가 설치되고, 안내지지기구에 의한 안내경로의 인출 방향 단부측에 제2 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가 인출 방향측에 향하는 도중에, 제1 기어와 제2 기어가 맞물려 아암이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로 자세 변경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WINDOW SHADE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윈도우를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리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window shade device)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권취(卷取) 샤프트에 권취된 윈도우 차양 시트(window shade sheet)를, 윤곽유지부재에 의해 인출하도록 하고 있다. 윤곽유지부재는 안내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드 요소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 경로의 단부(端部)에서, 윤곽유지부재가 압력 스프링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그 이동거리보다 많은 양으로, 윈도우 차양 시트가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특허공개 2005-14544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인출 경로의 단부에서, 압력 스프링은 윤곽유지부재를 일방향으로부터 누르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윈도우 차양 시트를 인출한 상태에서, 윤곽유지부재는 슬라이드 요소에 결합된 부분 둘레로 요동되어 버린다. 이에 의해, 윈도우 차양 시트가 다소 열려져 버리거나, 혹은 덜거덕거리는 소리가 발생하여 버리거나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양을 개방한 상태에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형태는, 차량의 윈도우를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리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윈도우 차양과, 상기 윈도우 차양을 인출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는 권취장치와,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른 안내경로를 갖고, 그 안내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부재를 갖는 안내지지기구와, 일단이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측 단부에 연결된 차양 연결부분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타단이 상기 가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차양 연결부분을 상기 윈도우 차양의 수납 방향측에 위치시킨 제1 자세와 상기 차양 연결부분을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측에 위치시킨 제2 자세 사이에 자세 변경 가능한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 중 상기 가동부재에의 지지부분을 끼워서 상기 차양 연결부분과는 반대측에 제1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 단부를 향하는 도중(途中)으부터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 단부에 이르는 경로에 있ㅇ어서,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아암을 상기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2 자세로 향하여 자세 변경시키는 제2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관한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아암 중 상기 가동부재에의 지지부분을 대략 중심으로 하는 호형상 기어이며,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안내경로 중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 단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 뻗는 래크치(rack teeth)인 것이다.
제3 형태는, 제1 또는 제2 형태에 관한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가동부재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선상(線狀) 래크치 부재와, 상기 선상 래크치 부재의 래크치에 맞물려서 상기 선상 래크치 부재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제4 형태는,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한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윈도우 차양을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인출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재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선상 래크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과,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인출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는 상하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와,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용 와이어의 양단측을 선택적으로 인장됨으로써,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인출 및 수납하는 상하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와, 상기 구동용 와이어의 양단측을 선택적으로 인장 구동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용 와이어가 권취된 풀리체와, 상기 선상 래크치 부재의 래크치에 맞물림 가능한 기어체와, 상기 풀리체와 상기 기어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재를 갖는 공통구동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제5 형태는, 차량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를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리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제1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과,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인출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는 상하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와,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용 와이어의 양단측을 선택적으로 인장함으로써,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시트를 인출 및 수납하는 상하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와, 상기 제2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과, 상기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인출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는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와, 상기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에 연결된 선상 래크치 부재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인출 및 수납하는 수평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와 상기 구동용 와이어의 양단측을 선택적으로 인장 구동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용 와이어가 권취된 풀리체와, 상기 선상 래크치 부재의 래크치에 맞물림 가능한 기어체와, 상기 풀리체와 상기 기어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재를 갖는 공통구동기구를 구비한다.
제1 형태에 의하면, 가동부재가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 상기 윈도우 시트의 인출 방향 단부를 향하는 도중으로부터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 단부에 이르는 경로에 있어서, 제2 기어가 제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아암을 상기 제1 자세로부터 상기 제2 자세로 향하여 자세 변경시키기 때문에, 가동부재의 이동 거리 이상으로 윈도우 차양을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재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제2 기어와 제1 기어가 맞물린 채의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아암의 요동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윈도우 차양을 개방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의하면, 가동부재가 인출 방향 단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어인 호형상 기어와 제2 기어인 래크치를 안정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제3 형태에 의하면, 안내경로를 따라 배치된 선상 래크치 부재에 의해, 가동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안내지지기구의 컴팩트화가 가능하게 된다.
제4 형태에 의하면, 인출 수납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인 윈도우 시트에 대하여는, 선상 래크치 부재를 이용하여 구동함으로써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출 수납 방향이 대략 상하 방향인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에 대하여는 구동용 와이어에 의해 비교적 강한 힘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상 래크치 부재 및 구동용 와이어를, 공통구동기구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전체 구성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5 형태에 의하면, 인출 수납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인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에 대하여는, 선상 래크치 부재를 이용하여 구동함으로써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출 수납 방향이 대략 상하 방향인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에 대하여는, 구동용 와이어에 의해 비교적 강한 힘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상 래크치 부재 및 구동용 와이어를, 공통구동기구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전체 구성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수납 상태에서의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공통구동기구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도 9는 공통구동기구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공통구동기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전체 구성>
이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인출 상태에서의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는 수납 상태에서의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차량 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는 인접하는 윈도우(10, 12)에 조립되어, 그 윈도우(10, 12)를 차 실내측으로부터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린다. 여기에서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는 대략 사각형상의 리어 사이드 윈도우(rear side window)(10)(제1 윈도우)와, 그 리어 사이드 윈도우(10)로부터 차량의 후방측에 더 인접하는, 대략 삼각형상의 리어 쿼터 윈도우(rear quarter window)(12, 제2 윈도우)에 조립된다. 그리고,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는 리어 사이드 윈도우(10)를 대략 상하 방향의 인출 수납 방향으로 가림과 함께, 리어 쿼터 윈도우(12)를 대략 수평 방향의 인출 수납 방향으로 가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는 리어 사이드 윈도우(10)를 가리기 위한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30)와, 리어 쿼터 윈도우(12)를 가리기 위한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50)와,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공통구동기구(80)를 구비하고 있다.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30)는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과, 상하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36)와, 상하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은 천(布) 혹은 수지 시트 등에 의해 리어 사이드 윈도우(10)를 차폐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의 선단부에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대략 봉형상의 스테이(34)가 장착되어 있다.
상하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36)는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을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인출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여 있다. 즉, 상하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36)는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을 권취 가능한 권취축을 갖고 있고, 그 권취축은 도시 생략한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부세(付勢)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34)를 인장하면,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이 상하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36)으로부터 인출되어, 리어 사이드 윈도우(10)를 가리도록 된다. 또한, 스테이(34)를 인장하는 힘을 해제하면, 권취축의 권취 방향으로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이 권취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하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36)는 후술하는 수평 프레임(41)에 장착된 상태에서, 리어 사이드 윈도우(10)의 하연부(下椽部)를 따라 차체에 조립됨으로써,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이 리어 사이드 윈도우(10)에 대하여,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인출 수납 가능하게 가리는 구성으로 된다.
도 3은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40)는 한 쌍의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은 각각 금속 등으로 구성되어, 수평 프레임(41)의 양단부에 그 수평 프레임(41)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자세로, 또한 대략 같은 방향(윗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이 리어 사이드 윈도우(10)의 전측연부(前側緣部) 및 후측연부(後側緣部)를 따라 차량의 필러 등에 조립된다. 여기서, 차량 전측의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의 길이 치수는 차량 후측의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의 길이 치수보다 크다. 이는, 리어 사이드 윈도우(10)의 전측연부의 길이 치수가 리어 사이드 윈도우(10)의 후측연부의 길이 치수보다 길기 때문이다.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은 대략 통형상(여기에서는, 대략 각통(角筒)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리어 사이드 윈도우(10)측의 면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의 선단부에는, 와이어 벤딩부(wire bending portion)(43)가 장착되어 있고,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의 기단부(基端部)는 개구되어 있다.
이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에는, 그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자 형상체에 형성되어 있다.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는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의 상기 슬릿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고, 이 노출 부분에 상기 스테이(3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가 상기 인출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스테이(34)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이 인출 및 수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에는,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를 인장하여 이동 구동하기 위한 구동용 와이어(46)를 갖고 있다. 구동용 와이어(46)는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에 2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있고, 구동용 와이어(46)의 양측을 선택적으로 인장함으로써,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를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을 따라 쌍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구동용 와이어(46)는 2개의 와이어(47, 48)를 갖고 있다. 한쪽의 와이어(47)의 단부에는, 대경부(大徑部)(47a)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와이어(48)의 단부(端部)에는, 와이어(47)를 삽입 통과가능한 구멍(48h)을 갖는 와이어 걸림부(4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47)를 구멍(48h)을 통하여 대경부(47a)를 와이어 걸림부(48a)에 걸리게 함으로써, 2개의 와이어(47, 48)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대경부(47a)와 와이어 걸림부(48a)의 연결부분을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 내에 끼워넣도록 하여 걸리게 함으로써, 그 와이어(47, 48)가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로부터 2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무엇보다, 1개의 와이어의 도중(途中)에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를 코킹 금구(金具), 나사 등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한쪽의 와이어(47)는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 내를 통하여 그 선단측으로 안내되고, 와이어 벤딩부(43)로 대략 ∪자 형상으로 벤딩되어, 재차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 내를 통하여 그 기단측으로 안내되어 있다. 다른 쪽의 와이어(48)는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 내를 통하여 그 기단측으로 안내된다. 양 와이어(47, 48)는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의 기단측 개구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공통구동기구(80)를 향하여 인출된다. 그리고, 공통구동기구(80)에 의해, 와이어(47, 48)를 선택적으로 인장함으로써,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가 인출 방향 및 수납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에서는, 와이어(48)를 인출하면서 와이어(47)측을 인장하면,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가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고, 와이어(47)를 인출하면서 와이어(48)을 인장하면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가 수납 방향으로 이동된다.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
도 4는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5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 도 7은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50)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4는 차 실내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도 7은 외측(리어 쿼터 윈도우(12)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4?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50)는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과,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56)와, 수평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은 천 혹은 수지 시트 등에 의해 리어 쿼터 윈도우(12)를 차폐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은 선단부를 둥글게 하여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선단부에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대략 봉형상의 쿼터용 스테이(54)가 장착되어 있다.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56)는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인출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고 있다. 즉,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56)는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권취 가능한 권취축을 갖고 있고, 그 권취축은 도시 생략한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쿼터용 스테이(54)를 인장하면,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이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56)로부터 인출되어, 리어 쿼터 윈도우(12)를 가리게 된다. 또한, 쿼터용 스테이(54)를 인장하는 힘을 해제하면, 권취축의 권취 방향으로의 부세력에 의해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이 권취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56)는 차량 후측의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에, 그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을 따라 장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56)는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과 함께 리어 쿼터 윈도우(12)의 차량 전방측의 필러에 조립되어, 리어 쿼터 윈도우(12)의 전방 측연부를 따라 배치된다. 이에 의해,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이 리어 쿼터 윈도우(12)에 대하여,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인출 수납 가능하게 가리는 구성으로 된다.
수평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60)는 안내지지기구(62)와 아암(7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안내지지기구(62)에 의해, 상기 아암(70)을 자세 변경시키면서 이동시킴으로써,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인출 및 수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지지기구(62)는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와 안내레일(66)(안내경로)을 갖고 있다.
안내레일(66)은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를,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안내레일(66)은 대략 통 형상(대략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여기에서는, 차 바깥을 향하는 측의 면)에 안내레일(6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는 슬릿(66S)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레일(66)의 일단부는 상기 후측의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의 기단부에 브래킷 등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내레일(66)은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의 기단부로부터 대략 수평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레일(66)은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 등과 함께 차량에 조립되고, 차체 중 리어 쿼터 윈도우(12)의 하부 부분에, 그 리어 쿼터 윈도우(12)의 하연부(下椽部)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가동부재로서의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는 상기 안내레일(66)을 따라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는 가동 본체부(64a)와 아암 지지부(64b)가 일체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동 본체부(64a)는 안내레일(66) 내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아암 지지부(64b)는 상기 슬릿(66S)을 통하여 안내레일(66)의 측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 아암 지지부(64b)는 아암(70)을 자세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이며,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수평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60)는 상기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에 연결됨과 함께 안내레일(6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선상 래크치 부재(68)를 갖고 있다. 선상 래크치 부재(68)는 수지 등, 가요성을 갖고 또한 압입된 경우에 용이하게 굴곡되지 않는 선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일면에 요철이 직선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선상 래크치 부재(68)의 일단부는 상기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에 끼워서, 나사 등의 고정 구조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선상 래크치 부재(68)는 안내레일(66) 내를 통하여 그 기단측 개구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상 래크치 부재(68)를 후술하는 구동기구에 의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구동함으로써,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이동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아암(70)에 의해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이 인출 및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즉, 다른 관점에서는, 수평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60)는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에 연결된 선상 래크치 부재(68)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아암(70)은 금속 혹은 수지 등에 의해 장척(長尺) 형상으로, 여기에서는, 세장판(細長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70)의 일단부는 상기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인출측 단부의 쿼터용 스테이(54)에 핀(P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차양 연결부분(71)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아암(70)의 길이 방향 하단 근방부는 상기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의 아암 지지부(64b)에 핀(P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에는, 아암(70)의 자세 변경을 규제하는 규제돌기부(64p)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돌기부(64p)는 상기 차양 연결부분(71)을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수납 방향측에 위치시킨 제1 자세와, 차양 연결부분(71)을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인출 방향측에 위치시킨 제2 자세 사이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규제한다. 여기에서는, 규제돌기부(64p)는 핀(P2)보다 수납 방향측에 형성된 돌출부이며, 아암(70) 중 핀(P2)보다 차양 연결부분(71)측의 일측면에 맞닿아서 제1 자세로 규제하는 제1 맞닿음면(64p1)과, 핀(P2)을 끼워서 제1 맞닿음면(64p1)의 반대측의 일측면에 맞닿아서 제2 자세로 규제하는 제2맞닿음면(64p2)을 갖고 있다.
상기 제1 자세는 아암(70)을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56)를 따르게 한 자세이다(도 5 및 도 6 참조). 따라서,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수납한 상태에서는, 아암(70)은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56)를 따라 배치되고, 외관상 눈에 띄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를 이동시킴으로써,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세는 상기 제1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차양 연결부분(71)을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인출 방향측으로 기울인 자세이다(도 7 참조).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에 대한 차양 연결부분(71)의 위치는 제1 자세의 경우보다 제2 자세의 경우에 있어서, 더 인출하는 방향측으로 위치한다. 이 때문에,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의 이동거리 이상으로 큰 거리로 차양 연결부분(71)을 이동시켜,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보다 크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권취장치(56)의 권취축에 작용하는 부세력에 의해, 아암(70)은 제1 자세측으로 규제된다(특히 아암(70)의 이동 중).
무엇보다, 아암(70)은 제1 자세측으로 규제되면 좋고, 제2 자세측으로의 규제는 필수는 아니다. 또한, 제1 규제측으로 규제하는 구성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암(70)의 다른 여러 가지 개소(個所)에 맞닿는 등으로 하여 자세 변경을 규제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아암(70) 중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에의 지지부분인 핀(P2)을 끼어서, 상기 차양 연결부분(71)과는 반대측에 제1 기어(72)가 설치됨 함께, 안내레일(66)의 인출 방향 단부측에 제2 기어(7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안내레일(66)을 따라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인출 방향 단부를 향하는 경로에 있어서,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가 맞물려 아암(70)을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로 향하여 자세 변경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어(72)는 아암(70) 중 상기 차양 연결부분(71)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핀(P2)을 대략 중심으로 하는 호형상 기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기어(76)는 안내레일(66) 중 윈도우 차양(52)의 인출 방향 단부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안내레일(66)을 따라 뻗는 래크치(76a)를 갖고 있다. 래크치(76a)는 안내레일(66)측을 향하고 있고, 안내레일(66)의 수납 방향측의 영역을 제외하여 인출 방향측의 영역에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인출 방향측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가 맞물리기 시작하고(도 6 참조),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인출 방향의 종단에 이를 때까지, 그 맞물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여기에서는, 제2 기어(76)는 안내레일(66)의 단부에 브래킷 등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지만, 제2 기어(76)의 설치 개소는 안내레일(66) 자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체 등, 다른 부분이어도 좋다.
무엇보다, 제1 기어(72)는 엄밀하게 핀(P2)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상 기어일 필요는 없고, 또한, 제2 기어(76)도 엄밀하게 안내레일(66)과 평행일 필요는 없다.예를 들면, 제2 기어가 안내레일(66)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제1 기어가 그 제2 기어의 경사에 따라 핀(P2)으로부터의 거리를 바꾼 호형상의 기어이어도 좋다.
상기 아암(7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이 수납된 초기 상태에서는, 아암(70)은 제1 자세이고, 또한,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는 맞물리지 않는다(도 5 참조).
상기 상태로부터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안내레일(66)을 따라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인출 방향측을 향하는 도중까지는 아암(70)은 제1 자세로 규제된 채로,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인출하는(도 5로부터 도 6에 이르는 상태). 그리고,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인출 방향측을 향하는 도중에,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가 맞물린다(도 6 참조).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상기 인출 방향측으로 더 향하면,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와의 맞물림에 의해, 제2 기어(76)가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하고, 아암(70)은 제1 자세로부터 제2 자세를 향하여 자세 변경한다. 이에 의해, 차양 연결부분(71)은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인출 방향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의 이동거리보다 크게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는 맞물린 상태인 채로 유지되고, 아암(70)의 요동은 억제되어 있다.
또한, 반대로,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안내레일(66)을 따라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수납 방향측을 향하는 도중까지는.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는 맞물려 있다. 이 때문에, 아암(70)은 제2 자세로부터 제1 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그리고,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수납 방향측으로 더 이동하면, 상기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공통구동기구>
도 8은 공통구동기구(80)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고, 도 9는 공통구동기구(80)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공통구동기구(8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도 2, 도 8?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통구동기구(80)는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30) 및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50)를, 인출 및 수납 구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공통구동기구(80)는 상기 구동용 와이어(46)을 인장함으로써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30)를 인출 및 수납 구동하고, 선상 래크치 부재(68)를 진퇴 왕복 이동시키는 것으로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50)를 인출 및 수납 구동한다.
즉, 공통구동기구(80)는 풀리체(82)와, 기어체(86)와, 회전구동부재(88)를 갖고 있고, 금속판 및 수지 부품 등을 이용한 장착부재(81a)를 통하여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30)와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인도우 차양기구(50)의 사이 부분,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평 프레임(41)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무엇보다, 본 공통구동기구(80)는 수평 프레임(41) 등에 고정될 필요는 없고, 안내레일(66) 혹은 차체 등에 장착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풀리체(82) 및 기어체(86)는 장착부재(81a)에 조립된 상태에서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커버(81b)에 의해 덮여져 있다. 도 9에서는, 이러한 커버(81b)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재(88)는 직류 모터 등,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 구동 제어 가능한 회전구동원이며, 장착부재(81a)에 대하여 나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풀리체(82)는 대경 풀리체(82a)와 소경 풀리체(82b)를 갖고 있고, 이들은 상기 회전구동부재(88)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상에서 인접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구동부재(88)의 구동에 의해 동기(同期)하여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은 회전구동부재(88) 자체의 구동축과 같아도 좋고, 혹은 다른 변속 기어, 도르래 등을 통하여 회전구동부재(88) 자체의 구동 축과 연결된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한 쌍의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 중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의 이동거리가 큰 것(즉, 차량 전방측의 것)으로부터 인출되는 구동용 와이어(46)가 대경 풀리체(82a)에 권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 중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의 이동거리가 작은 것(즉, 차량 후방측의 것)으로부터 인출되는 구동용 와이어(46)가 소경 풀리체(82b)에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풀리체(82)의 회전 구동에 의해, 각 구동용 와이어(46)의 양단측의 어느 일방측이 선택적으로 인장되고, 타방측이 인출됨으로써,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30)의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가 상하 이동되고,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이 인출 및 권취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때, 대경 풀리체(82a) 및 소경 풀리체(82b)의 직경비(直徑比)는 2개의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42)의 이동 거리비에 따른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대경 풀리체(82a) 및 소경 풀리체(82b)를 일체로 회전시킴으로써, 2개의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가 그 소정의 이동 경로의 단부 사이(상단부와 하단부 사이)를 이동할 수 있어,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을 대략 완전하게 차폐 및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어체(86)는 상기 선상 래크치 부재(68)에 맞물림 가능한 원형 치차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체(86)는 상기 풀리체(82)와 일체화됨과 함께, 상기 회전구동부재(88)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기어체(86), 대경 풀리체(82a), 소경 풀리체(82b)는 당초부터 수지 등으로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고, 그것들이 적당히 분할 형성된 후, 일체적으로 조합된 구성이어도 좋다. 그리고, 기어체(86)는 풀리체(82)와 일체가 되어 동기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선상 래크치 부재(68)는 안내레일(66)의 기단측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어, 본 공통구동기구(80)로 안내된다. 공통구동기구(80)는 선상 래크치 부재(68)를 안내하는 제1 래크치 안내부(90)와 제2 래크치 안내부(92)를 갖고 있다. 제1 래크치 안내부(90)는 선상 래크치 부재(68)를 안내 가능한 각통 형상으로 도중이 구부려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측이 안내레일(66)의 기단측 개구에 대향함과 함께, 타단측이 상기 기어체(86)를 향하고 있다. 또한, 제2 래크치 안내부(92)는 직선 형상의 각통 형상이고, 그 일단측이 기어체(86)를 끼워서 상기 제1 래크치 안내부(90)의 타단측 개구에 대향하여 있다. 그리고, 선상 래크치 부재(68)가 제1 래크치 안내부(90)를 통하여 기어체(86)의 둘레면에 압착되면서 제2 래크치 안내부(92)를 향하여 안내된다. 이에 의해, 제1 래크치 안내부(90)와 제2 래크치 안내부(92) 사이에서, 선상 래크치 부재(68)가 기어체(86)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구동부재(88)의 구동에 의해 기어체(86)를 회전시키면, 선상 래크치 부재(68)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방향으로 왕복 진퇴 구동된다. 선상 래크치 부재(68)를 안내레일(66)을 따라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인출 방향측으로 이동시키면,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이 인출되고, 반대로, 선상 래크치 부재(68)를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시키면,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이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래크치 안내부(92)에, 선상 래크치 부재(68)가 소정 길이 이상 이동하면, 눌러져 온(ON)이 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스위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리고,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이 완전하게 권취된 상태에서 그 스위치가 온이 되도록 설정하고, 그 스위치가 온으로 되는 것에 의한 상기 회전구동부재(88)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풀리체(82)와 기어체(86)가 일체화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다른 구동부(모터 등)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이어도 좋고, 또한, 같은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이어도 사이에 적당히 회전전달기구를 개재시키는 등으로 하여 다른 회전축 둘레로 회전 구동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30) 및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50)를, 단일의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하는 예로 설명하였지만, 그것들을 다른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전체 동작>
이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의 전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초기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 및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은 수납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상태에서, 회전구동부재(88)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풀리체(82)의 회전에 의해 구동용 와이어(46)의 한쪽 단측이 인정되어,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44)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스테이(34)가 위쪽으로 인장되어,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이 인출된다.
이것과 동기하여, 기어체(86)의 회전에 의해 선상 래크치 부재(68)가 안내지지기구(62)측으로 송출된다. 그러면,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안내레일(66)을 따라 인출 방향측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제1 자세의 아암(70)을 통하여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인출한다. 그 도중에,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가 맞물리면(도 6 참조), 아암(70)을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향하여 자세 변경시키면서,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인출 방향측으로 더 이동한다.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안내레일(66)를 따라 인출 방향측의 종단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아암(70)은 제2 자세로 자세 변경하고,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은 최대한 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는 맞물린 상태인 채로 유지되며, 아암(70)은 제2 자세인 채로 유지되어 있다.
이 후, 회전구동부재(88)의 회전이 정지하여,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 및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이 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회전구동부재(88)를 상기한 것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와 반대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 및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이 수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에 의하면,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를 안내레일(66)을 따라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인출 방향 단부를 향하는 도중으로부터 그 인출 방향측 단부에 도달하는 경로에서, 제2 기어(76)가 제1 기어(72)와 맞물려 아암(70)을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향하여 자세 변경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의 이동거리보다 커서,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가 맞물린 상태인 채로 유지되므로, 아암(70)의 자세가 일정 자세로 유지되어 그 요동이 유지된다. 이에 의해,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을 인출한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어,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의 미묘한 열림, 혹은 덜거덕거리는 소리의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가 상기 인출 방향측 단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 기어(72)가 호형상 기어이며, 제2 기어(76)가 안내레일(66)를 따라 뻗는 래크치이기 때문에,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의 이동중 및 인출 방향측 단부에 도달한 상태에서, 제1 기어(72)와 제2 기어(76)를 안정되게 맞물리게 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안내레일(66)을 따라 배치된 선상 래크치 부재(68)에 의해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를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안내지지기구(62) 및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64)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컴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인출 수납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인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52)에 대하여는, 선상 래크치 부재(68)를 이용하여 구동함으로써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리어 쿼터 윈도우(12)의 주연부는 차량의 후부(後部)이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이 크므로,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것에 의한 이점이 크다. 또한, 인출 수납 방향이 대략 상하 방향인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32)에 대하여는, 구동용 와이어(46)를 이용하여 비교적 강한 힘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양(32, 52)의 인출 수납 형상에 따라 적절한 구성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선상 래크치 부재(68) 및 구동용 와이어(46)를, 공통구동기구(80)에 의해 공통으로 구동하므로, 전체 구성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30)와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50)를 양쪽 구비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50) 및 그 구동 부분만큼을 조립한 구성이어도, 상기 아암(70)을 이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50)에는, 반드시 상기 아암(70)을 이용한 구성을 채용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이어도, 구동용 와이어를 이용한 상하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와 선상 래크치 부재를 이용한 수평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와 공통구동기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한,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형태에 있어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정(想定)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해석된다.
10 : 리어 사이드 윈도우
12 : 리어 쿼터 윈도우
20 :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30 :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
32 :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
36 : 상하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
40 : 상하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
42 : 상하 방향 차폐용 안내레일
44 :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
46 : 구동용 와이어
50 :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기구
52 :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
56 :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
60 : 수평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
62 : 안내지지기구
64 :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
64p : 규제 돌기부
66 : 안내레일
68 : 선상 래크치 부재
70 : 아암
71 : 차양 연결부분
72 : 제1 기어
76 : 제2 기어
80 : 공통구동기구
82 : 풀리체
82a : 대경 풀리체
82b : 소경 풀리체
86 : 기어체
88 : 회전구동부재

Claims (5)

  1. 차량의 윈도우를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리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윈도우 차양과,
    상기 윈도우 차양을 인출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는 권취장치와,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른 안내경로를 갖고, 그 안내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부재를 갖는 안내지지기구와,
    일단이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측 단부에 연결된 차양 연결부분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타단이 상기 가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차양 연결부분을 상기 윈도우 차양의 수납 방향측에 위치시킨 제1 자세와 상기 차양 연결부분을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측에 위치시킨 제2 자세 사이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 중 상기 가동부재에의 지지부분을 끼워서 상기 차양 연결부분과는 반대측에 제1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 단부(端部)를 향하는 도중으로부터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 단부에 도달하는 경로에서,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아암을 상기 제1 자세에서 상기 제2 자세로 향하여 자세 변경시키는 제2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아암 중 상기 가동부재에의 지지부분을 대략 중심으로 하는 호형상 기어이며,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안내경로 중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 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 뻗는 래크치(rack teeth)인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선상(線狀) 래크치 부재와,
    상기 선상 래크치 부재의 래크치에 맞물려 상기 선상 래크치 부재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윈도우 차양을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인출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가동부재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안내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선상 래크치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과,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인출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는 상하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와,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용 와이어의 양단측을 선택적으로 인장함으로써,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인출 및 수납하는 상하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와,
    상기 구동용 와이어의 양단측을 선택적으로 인장 구동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용 와이어가 권취된 풀리체와, 상기 선상 래크치 부재의 래크치에 맞물림 가능한 기어체와, 상기 풀리체와 상기 기어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재를 갖는 공통구동기구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5. 차량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1 윈도우 및 제2 윈도우를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리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제1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과,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인출하여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는 상하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와,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하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용 와이어의 양단측을 선택적으로 인장(引張)함으로써, 상기 상하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인출 및 수납하는 상하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와,
    상기 제2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과,
    상기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인출하여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는 수평 방향 차폐용 권취장치와,
    상기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수평 방향 차폐용 가동부재에 연결된 선상 래크치 부재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평 방향 차폐용 윈도우 차양을 인출 및 수납하는 수평 방향 차폐용 개폐기구와,
    상기 구동용 와이어의 양단측을 선택적으로 인장 구동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용 와이어가 권취된 풀리체와, 상기 선상 래크치 부재의 래크치에 맞물림 가능한 기어체와, 상기 풀리체와 상기 기어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재를 갖는 공통구동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KR1020127011398A 2009-12-28 2010-12-15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KR101690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6842A JP5528790B2 (ja) 2009-12-28 2009-12-28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JP-P-2009-296842 2009-12-28
PCT/JP2010/072536 WO2011081019A1 (ja) 2009-12-28 2010-12-15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392A true KR20120116392A (ko) 2012-10-22
KR101690822B1 KR101690822B1 (ko) 2016-12-28

Family

ID=4422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398A KR101690822B1 (ko) 2009-12-28 2010-12-15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93044A1 (ko)
EP (1) EP2520450B1 (ko)
JP (1) JP5528790B2 (ko)
KR (1) KR101690822B1 (ko)
CN (1) CN102712238B (ko)
WO (1) WO2011081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6473B2 (en) 2010-12-28 2015-09-08 Ashimori Industry Co., Ltd. Vehicle window shade apparatus
JP5631727B2 (ja) * 2010-12-28 2014-11-26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5763501B2 (ja) * 2011-10-28 2015-08-12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DE102011007004B8 (de) * 2011-04-07 2013-01-10 Bos Gmbh & Co. Kg Rollobau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101934A1 (de) * 2014-02-12 2015-08-13 Inteva Products, Llc Heckscheibensonnenblende für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KR20180019222A (ko) * 2015-06-22 2018-02-23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의 2 부분 측면 윈도우 구성을 위한 차양 장치
DE102016206301B4 (de) * 2016-04-14 2017-11-30 Bos Gmbh & Co. Kg Beschatt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11472269B1 (en) * 2017-08-29 2022-10-18 Larhonda Quinn Vehicle window screen
CN109109629A (zh) * 2018-08-31 2019-01-01 黄知文 汽车行驶防眩目遮光装置
KR20220006886A (ko) * 2020-07-09 2022-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커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7676A (en) * 1983-12-08 1986-08-26 Claus Markisen Roll-up awning construction
US5515898A (en) * 1994-12-23 1996-05-14 A & C Products Operating mechanism for aircraft window shades
JP2005145444A (ja) 2003-11-19 2005-06-09 Bos Gmbh & Co Kg 自動車用側部ウィンドウシェード
JP2006036190A (ja) * 2004-07-24 2006-02-09 Bos Gmbh & Co Kg 側部窓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2165A1 (de) * 1986-04-11 1987-10-22 Baumeister & Ostler Fuehrungsloses fensterrollo,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5896910A (en) * 1996-04-30 1999-04-27 Pi-Hsiu Wang Automobile rear windshield sunshade device
US5752560A (en) * 1997-03-21 1998-05-19 Cherng; Bing Jye Electric sunshield for automobiles
DE29921859U1 (de) * 1999-12-13 2000-07-27 Hs Products Ag Systemtechnik U Seitenfensterrollo
DE10005951A1 (de) * 2000-02-09 2001-08-16 Bos Gmbh Heckfensterrollo
DE10014760B4 (de) * 2000-03-24 2004-02-12 Bos Gmbh & Co. Kg Heckscheibenrollo mit gefederten Rollen
US6216762B1 (en) * 2000-06-05 2001-04-17 Paul Lin Sun-shade device
DE10041708A1 (de) * 2000-08-25 2002-03-14 Bos Gmbh Heckfensterrollo mit Bowdenzug
DE10055949C2 (de) * 2000-11-10 2003-09-18 Bos Gmbh Fensterrollo oder Trenngitter mit zwei Winkelgetrieben
DE10151872B4 (de) * 2001-10-24 2007-10-04 Bos Gmbh & Co. Kg Geteiltes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US6983786B2 (en) * 2003-09-24 2006-01-10 Ing-Wen Chen Height-adjustable car curtain
US7228884B2 (en) * 2004-09-28 2007-06-12 Ing-Wen Chen Rear window car curtain
DE102004052479C5 (de) * 2004-10-28 2011-07-21 BOS GmbH & Co. KG, 73760 Stufenfreie Rolloanordnung
JP4560442B2 (ja) * 2005-05-23 2010-10-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開閉装置
DE102005062973A1 (de) * 2005-12-28 2007-07-12 Bos Gmbh & Co. Kg Rollo mit vereinfachter Montage der Wickelwelle
KR100819407B1 (ko) * 2006-01-06 2008-04-04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도어 윈도우용 차양장치
DE102006024538A1 (de) * 2006-05-23 2007-11-29 Bos Gmbh & Co. Kg Rollo mit geräuschfreiem Spiralfederantrieb
JP4917356B2 (ja) * 2006-06-01 2012-04-18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サンシェード操作装置
JP4247753B2 (ja) *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4247751B2 (ja) *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DE102007032435A1 (de) * 2007-07-10 2009-01-15 Bos Gmbh & Co. Kg Hebelrollo mit Anschlagdämpfer
US7455345B1 (en) * 2007-12-12 2008-11-25 Korea Fuel-Tech Corporation Sunshade apparatus for automobiles
JP5125838B2 (ja) * 2008-07-15 2013-01-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装置
US8708028B2 (en) * 2010-08-26 2014-04-29 Korea Fuel-Tech Corporation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US8061757B1 (en) * 2010-09-01 2011-11-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orce assist for sunshade closing slide mechanism
US9126473B2 (en) * 2010-12-28 2015-09-08 Ashimori Industry Co., Ltd. Vehicle window shade apparatus
US20130153160A1 (en) * 2011-11-18 2013-06-20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e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7676A (en) * 1983-12-08 1986-08-26 Claus Markisen Roll-up awning construction
US5515898A (en) * 1994-12-23 1996-05-14 A & C Products Operating mechanism for aircraft window shades
JP2005145444A (ja) 2003-11-19 2005-06-09 Bos Gmbh & Co Kg 自動車用側部ウィンドウシェード
JP2006036190A (ja) * 2004-07-24 2006-02-09 Bos Gmbh & Co Kg 側部窓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93044A1 (en) 2012-08-02
WO2011081019A1 (ja) 2011-07-07
CN102712238A (zh) 2012-10-03
EP2520450A4 (en) 2015-09-09
CN102712238B (zh) 2016-01-20
EP2520450B1 (en) 2019-04-03
JP2011136615A (ja) 2011-07-14
EP2520450A1 (en) 2012-11-07
JP5528790B2 (ja) 2014-06-25
KR101690822B1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6392A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KR101776980B1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JP4981722B2 (ja) ケーブル駆動装置付きの側面窓巻上日よけ
JP2002206384A (ja) 窓ブラインド
JP5646934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4617289B2 (ja) 後部窓を完全に日除けするウィンドウシェード
JP2008260518A (ja) ヒンジ式引張り棒および矩形支持棒付の側面窓ローラブラインド
JP2008044606A (ja) 自動収納される手動のウィンドウシェード
JP2007131208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2011214246A (ja) シェード装置
US20120145339A1 (en) Vehicular shade assembly
JP5182173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9001267A (ja) 電動の側面窓巻上日よけ
JP5407339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12066656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1150960A (ja) スライドする棒により屋根と天井の間の布を引き出す、自動車の日除け。
JP5631727B2 (ja)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2006182171A (ja) シェード装置
JPH0616126Y2 (ja) ロ−ルブラインドの引出し装置
KR100512126B1 (ko) 자동차의 가변 차양장치
JP2012126289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3157612U (ja) 自動車用カーテン構造
JP2007008290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7269104A (ja) 遮光装置
JP2018058527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