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92Y1 - 오탁 방지막용 앵커 - Google Patents

오탁 방지막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292Y1
KR200448292Y1 KR2020080003358U KR20080003358U KR200448292Y1 KR 200448292 Y1 KR200448292 Y1 KR 200448292Y1 KR 2020080003358 U KR2020080003358 U KR 2020080003358U KR 20080003358 U KR20080003358 U KR 20080003358U KR 200448292 Y1 KR200448292 Y1 KR 200448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weight
branch plate
fixe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375U (ko
Inventor
이종팔
Original Assignee
(주)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강원 filed Critical (주)강원
Priority to KR2020080003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9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닻고리를 형성하는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그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한 쌍의 닻채와; 상기 닻채의 절곡된 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닻가지판으로 구성된 앵커에 있어서, 상기 닻채는 닻고리 측에 앵커의 무게균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닻채에 균일한 무게균형을 갖도록 하는 중량체를 구비되어 앵커의 투척시 어느 한쪽으로의 쏠림없이 해저면에 도달하여 닻가지판이 해저면에 삽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착지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닻고리, 닻채, 닻가지판, 앵커, 중량체

Description

오탁 방지막용 앵커{Anchors for slit protector}
본 고안은 오탁 방지막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탁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오탁 방지막을 해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오탁 방지막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탁 방지막은 하천, 해안, 해저에서 준설공사, 축조공사, 간척공사 및 항만공사 시에 발생되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가 공사장 인근의 수중으로 확산되어 공사지역의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주변 어장 및 수자원을 황폐화시키는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이나 해수로 확산되지 않고, 일정한 구역 내에 격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사장 주변에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오탁 방지막 설치구조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오탁 방지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토사와 같은 해상 부유물을 격리하기 위한 방지막(100)과, 상기 방지막(100)의 상단에 부착되는 부유체(200)와, 상기 부유체(200) 및 상기 방지막(100)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오탁 방지막은 파도가 심하고, 조류의 속도가 빠르며, 조류의 방향이 수시로 변하는 등의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한 외부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앵커(300) 등을 통해 방지막(10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도 방지막(10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앵커(300)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오탁 방지막 설치에 사용되는 앵커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닻고리가 부설된 닻채(310)와, 상기 닻채(310)의 선단에 만곡되어 연장설치되며 해저 바닥에 박히는 닻가지(320)로 구성되어 방지막(100)을 지지토록한 닻가지형 앵커(300a)가 있다. 이러한 닻가지형 앵커(300a)는 거치 및 철거 인양 작업이 용이하고, 공사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조수간만의 차이 등 해상여건의 변화가 심한지역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닻가지형 앵커(300a)는 오탁 방지막 설치 후 유수의 압력, 특히 태풍이나 홍수시와 같이 기상여건이 악화되는 경우, 하나의 닻가지(320)로 해저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닻가지(320)가 뽑히게 되어 오탁 방지막이 설치 위치를 벗어나게 되고, 심지어는 오탁수가 확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앵커(300a)의 고정후, 닻가지(320)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해수면이 낮은 경우, 선체의 바닥이 걸리거나 긁힐 수 있고, 앵커(300a) 근처에 접근 한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고안자는 선출원한 출원 제20-2007-0009193호에서 한 쌍의 닻가지판이 구비되고, 삼각형 형태의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앵커(300b)를 소개하였다.
도 3은 종래 오탁 방지막 설치에 사용되는 앵커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자가 선출원한 앵커(300b)는 닻고리를 형성하는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그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한 쌍의 닻채(310)와; 상기 닻채(310)의 절곡된 단부에 고정되며, 그 단부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닻가지판(3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앵커(300b)는 전체적인 형태가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한 쌍의 닻가지판(330)을 사용하여 해저면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앵커(300b)의 고정 후 상단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앵커(300b)를 이용하여 오탁 방지막을 설치할 경우 잠수부에 의한 정밀한 작업이 아니라, 단순히 투척을 통해 앵커(300b)의 닻가지판(330)이 해저면에 삽입되도록 하므로, 이 과정에서 닻채(310)의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닻가지판(330)측이 먼저 해저면에 도달하게 되면서 닻가지판(330)이 해저면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착지되지 않고, 뒤집힌 상태로 착지되어 오탁방지막을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앵커의 투척시 앵커의 뒤집힘 없이 정확하게 해저면에 착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앵커가 고정된 후에는 유수의 흐름과 같은 외부환경으로 인해 앵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닻고리를 형성하는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그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한 쌍의 닻채와; 상기 닻채의 절곡된 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닻가지판으로 구성된 앵커에 있어서,
상기 닻채는 닻고리 측에 앵커의 무게균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중량체가 시멘트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닻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닻가지판의 상측 단부와 닻채의 상부에는 제2보강프레임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오탁 방지막용 앵커는 닻채에 균일한 무게균형을 갖도록 하는 중 량체를 구비하여 앵커의 투척시 어느 한쪽으로의 쏠림없이 해저면에 도달하여 닻가지판이 해저면에 삽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착지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삼각형 형태의 안정적인 구조를 통해 오탁 방지막의 설치 후, 유수의 흐름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앵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닻가지판으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앵커(1)는 닻고리(11)를 형성하는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양방향으로 벌어지고, 그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된 닻채(10)와; 상기 닻채(10)의 절곡된 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닻가지판(20)으로 이루어진 앵커에 있어서, 상기 닻채(10)에는 앵커 전체의 무게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중량체(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닻채(10)는 비철금속, 철근, 합금,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이들 중 중량감이 있고 비교적 경제적인 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 람직하며, 이러한 철근은 코팅막을 형성시키거나, 전해연마 등을 하여 부식방지처리를 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이러한 닻채(10)는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행부(10a)와, 상기 평행부(10a)와 연결되어 이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양방향으로 벌어지는 이격부(10b)와, 상기 이격부(10b)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10c)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닻채(10)의 평행부(10a)에는 그 끝단에 닻고리(11)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닻고리(11)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오탁 방지막과 앵커(1)를 줄로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여기서 오탁방지막과 앵커(1)의 연결에 사용되는 줄은 밧줄이나, 쇠줄 등을 포함하여 공지된 다양한 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닻채(10)의 이격부(10b)는 평행부(10a)와 연결되고, 상기 평행부(10a)를 기준으로 하여 양방향이 동일한 각도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앵커(1)의 전체적인 형태가 삼각형을 이루며 안정적인 구조를 갖을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닻채(10)의 절곡부(10c)는 상기 이격부(10b)의 단부가 하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절곡부(10c)의 단부에는 후술되는 닻가지판(20)이 고정되며, 상기 닻가지판(20)이 지면에 삽입된 후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90도 이하의 예각을 갖도록 절곡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닻가지판(20)은 해저면에 삽입되어 앵커(1)가 특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해저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이 하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닻가지판(20)은 상기 닻 채(10)의 절곡부(10c)의 단부에 고정되며, 닻가지판(20)이 보다 용이하게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닻채(10)에 형성되는 가상의 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닻가지판(20)과 닻채(10)의 고정은 공지된 용접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앵커(1)는 닻채(10)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삼각형의 형태로 안정적인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유수의 흐름에 의해 앵커(1)가 받게 되는 힘을 닻채(10)의 평행부(10a)와 이격부(10b)를 통해 분산시켜 주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앵커(1)가 해저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한 쌍의 닻가지판(20)을 통해 해저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오탁방지막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앵커(1)는 본 고안자에 의해 이미 선출원된 바 있는 실용신안 제20-2007-0009193호에서 그 효과를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앵커(1)는 닻가지판(20)의 무게로 인하여 앵커(1)의 무게중심이 닻가지판(20)측으로 치우치게 되면서 앵커(1)의 투척시 앵커(1)가 뒤집힌 채로 착지되어 닻가지판(20)이 해저면에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음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닻채(10)에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30)를 구비하였으며, 이러한 중량체(30)는 그 무게를 이용하여 앵커(1)가 무게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닻채(10)의 평행부(10a)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중량체(30)는 시멘트 블록, 철근, 비철금속, 합성수지 등 부식에 강하고, 중량감이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중 시멘트 블록이 중량감이 크고, 비교적 저렴하며, 콘크리트나 몰탈로 속채움을 함으로써 닻채(10)와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체(30)의 형태는 구형, 직육면체 등 그 형태의 제한이 없으며, 그 무게는 앵커(1)가 무게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닻가지판(20)의 무게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앵커는(1) 무게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비된 중량체(30)로 인해 앵커(1)의 뒤집힘 없이 해저면에 착지되어 닻가지판(20)의 돌출부위가 정확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중량체(30)의 무게에 의해 강한 유수압에도 앵커(1)가 뽑히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본 고안의 앵커(1)는 닻채(10)의 단부에 닻가지판(20)이 부착되는 것이므로 해저면에 고정시 닻채(10)의 이격부(10b)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격부(10b)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프레임(12)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각각의 닻가지판(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닻가지판(20)의 상측 단부와 닻채(10)의 상부에 제2보강프레임(13)을 연결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보강프레임(12) 및 제2보강프레임(13)은 용접 등의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앵커(1)는 해저면에 고정되어 토사와 같 은 해상 부유물을 격리시키기 위한 방지막(100)과, 상기 방지막(100)의 상단에 부착되는 부유체(200)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앵커는 닻채에 무게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중량체가 구비됨으로 인해 앵커의 뒤집힘없이 해저면에 착지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 앵커가 뒤집힌 채로 착지되어 해저면에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가 삼각형 형태의 안정적인 구조를 갖음에 따라 오탁 방지막의 설치 후 태풍 등으로 인한 강한 유수의 흐름에 의해 강한 힘을 받게 되더라도 그 구조에 의해 힘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앵커가 해저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닻가지판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종래 하나의 닻가지로 고정시킬 때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오탁 방지막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오탁 방지막 설치에 사용되는 앵커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오탁 방지막 설치에 사용되는 앵커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앵커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앵커
10: 닻채
10a: 평행부
10b: 이격부
10c: 절곡부
11: 닻고리
12: 보강프레임
13: 제2보강프레임
20: 닻가지판
30: 중량체

Claims (3)

  1. 닻고리를 형성하는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그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한 쌍의 닻채와; 상기 닻채의 절곡된 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닻가지판으로 구성된 앵커에 있어서,
    상기 닻채는 닻고리 측에 앵커의 무게균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중량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로는 시멘트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닻채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닻가지판의 상측 단부와 닻채의 상부에는 제2보강프레임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
KR2020080003358U 2008-03-14 2008-03-14 오탁 방지막용 앵커 KR200448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58U KR200448292Y1 (ko) 2008-03-14 2008-03-14 오탁 방지막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58U KR200448292Y1 (ko) 2008-03-14 2008-03-14 오탁 방지막용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375U KR20090009375U (ko) 2009-09-17
KR200448292Y1 true KR200448292Y1 (ko) 2010-03-29

Family

ID=4153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358U KR200448292Y1 (ko) 2008-03-14 2008-03-14 오탁 방지막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29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849A (ja) * 1993-03-31 1994-10-11 Bridgestone Corp 貝類の付着を防止した汚濁防止膜
JP2000303437A (ja) * 1999-04-22 2000-10-31 Bridgestone Corp 汚濁拡散防止膜
KR200398150Y1 (ko) 2005-07-25 2005-10-11 (주)오일스탑엔텍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KR200442717Y1 (ko) 2007-06-04 2008-12-05 (주)강원 오일 또는 오탁 방지막 지지용 앵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849A (ja) * 1993-03-31 1994-10-11 Bridgestone Corp 貝類の付着を防止した汚濁防止膜
JP2000303437A (ja) * 1999-04-22 2000-10-31 Bridgestone Corp 汚濁拡散防止膜
KR200398150Y1 (ko) 2005-07-25 2005-10-11 (주)오일스탑엔텍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KR200442717Y1 (ko) 2007-06-04 2008-12-05 (주)강원 오일 또는 오탁 방지막 지지용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375U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0956B2 (ja) 風力発電施設における基礎構造の施工方法
JP6312362B2 (ja) 津波及び洪水保護用、養魚用並びに海中の建築物の保護用の海中建造物
US20100092243A1 (en) Underwater suspended tunnel
JP6305940B2 (ja) 自己作動する洪水防水壁
KR101291326B1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KR101143149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설치방법
KR101137560B1 (ko) 깊은 수심에서의 수중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오탁방지막 및 그 오탁방지막과 닻가지형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 방법
KR200448292Y1 (ko) 오탁 방지막용 앵커
KR100615966B1 (ko) 혼성된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JP2009114722A (ja) 水上構造物の修復補強構造
JP4305872B2 (ja) 津波防波堤
KR100677898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설치방법
KR20190081533A (ko)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KR101700738B1 (ko)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CN108867758A (zh) 一种码头沉箱取水装置及施工方法
US9284704B2 (en) Device and method for keeping channels clear of silt
US5975796A (en) Vertical flow diversion mat system
JP3500321B2 (ja) 海上浮体式消波堤
CN100366825C (zh) 悬浮式拦沙滤泥水质保护装置
JP2006249914A5 (ko)
KR101247603B1 (ko) 오탁방지막 지지용 앵커
US10214870B2 (en) Buoyancy compensated erosion control module
KR101030259B1 (ko) 오탁방지막에 설치된 양닻가지형 앵커
KR200393313Y1 (ko)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KR200442717Y1 (ko) 오일 또는 오탁 방지막 지지용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