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150Y1 -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 Google Patents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150Y1
KR200398150Y1 KR20-2005-0021570U KR20050021570U KR200398150Y1 KR 200398150 Y1 KR200398150 Y1 KR 200398150Y1 KR 20050021570 U KR20050021570 U KR 20050021570U KR 200398150 Y1 KR200398150 Y1 KR 200398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nchor structure
shank
fouling fil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철범
Original Assignee
(주)오일스탑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일스탑엔텍 filed Critical (주)오일스탑엔텍
Priority to KR20-2005-0021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38Anchors pivoting when in use
    • B63B21/44Anchors pivoting when in use with two or more flu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구조물은 상단부에 홀이 형성되어 링이 삽입되는 생크와, 이 생크의 하단부에 중심부가 고정 장착되고 내측으로 반원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아암, 및 이 아암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전개되고 한 쌍의 날을 갖는 플루크(fluke)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아암의 중심 하단에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일정크기의 걸림봉이 상기 아암과 직교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아암의 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암의 하면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리브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하천이나 해안에서의 매립 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막에 사용되는 앵커의 형상을 해저에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게 변형시킴으로써 태풍과 같은 최악의 환경에서도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어 오탁 방지막의 내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anchor structure for floating silt protector}
본 고안은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해안에서의 매립 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막에 사용되는 앵커의 형상을 해저에 용이하게 파고들수있게 변형시킴으로써 태풍과 같은 최악의 환경에서도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어 오탁 방지막의 내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성이 향상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해안에서 준설공사, 축조공사, 간척공사 및 항만공사를 할 때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가 발생되어 공사장 인근의 수중으로 확산되므로 공사 지역의 생태계에 영향을 줌은 물론이고 주변 어장 및 수자원을 황폐화 시킴으로써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이나 해수로 확산되지 않고 일정한 구역내에 격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사장 주변에 오탁 방지막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오탁 방지막은 토사와 같은 해상 부유물을 격리하는 막과 이 막의 상단에 부유체를 부착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오탁방지막의 하단을 해저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탁 방지막은 공사 현장의 자연환경 조건에 따라 높이, 길이 등의 규격을 조절하는 것은 물론이고 방지막을 구성하는 재질을 선택 사용하여야 한다.
즉 조류의 흐름이 빠르지 않고 방향이 일정하며, 바람의 영향을 받지 ㅇ아안아니하는 공사 현장에는 오탁 방지막에 부유체(float)만을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파도가 심하고 조류의 속도가 빠르며 조류의 방향이 수시로 변하고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공사현장에는 외부의 압력을 견딜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오탁 방지막의 고정방법을 보면 상면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무거운 블록에 와이어로 고정되어 있어 외부 조건이 조금이라도 나쁘게 되면 가해지는 압력에 밀려 상기 고정블럭이 정위치에서 이탈되어 오탁 방지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천이나 해안에서의 매립 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막에 사용되는 앵커의 형상을 해저에 용이하게 파고들수있게 변형시킴으로써 태풍과 같은 최악의 환경에서도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어 오탁 방지막의 내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성이 향상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은, 상단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링이 삽입되는 생크와, 이 생크의 하단부에 중심부가 고정 장착되고 내측으로 반원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아암, 및 상기 아암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전개되고 한쌍의 날을 갖는 플루크(fluk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아암의 중심 하단에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일정크기의 걸림봉이 상기 아암과 직교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아암의 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암의 하면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리브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생크의 측면에는 상기 아암의 중심 상면에서 상기 생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지지 파이프가 하나 이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따른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을 설치한 사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 으로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은 상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링(12)이 삽입되는 생크(14)와, 이 생크(14)의 하단부에 중심부가 고정 장착되고 내측으로 반원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아암(24), 및 이 아암(24)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전개되고 한쌍의 날을 갖는 플루크(fluke)(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24)의 중심 하단에는 연결관(22)이 형성되고 이 연결관(22)에는 일정크기의 걸림봉(18)이 상기 아암(24)과 직교방향으로 장착되는데 이는 상기 플로크(26)의 날이 해저에 과도하게 박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게다가, 상기 아암(24)의 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암(24)의 하면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 리브(20)가 장착되는데 이는 상기 아암(24)을 지지하는 반면 상기 연결관(22)의 장착 부위로도 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생크(14)의 측면에는 상기 아암(24)의 중심 상면에서 상기 생크(14)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지지 파이프(16)가 두 개가 서로 대향하여 고정장착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앵커 구조물(10)은 도 2 에서 처럼 오탁방지막 장치에 사용되는데, 우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면상 위로 부유하는 부유체(30)의 하단에는 오탁 방지막(32)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해저를 향하여 놓이게 된다.
그후 일단부가 상기 오탁 방지막(32)의 상하단부에서 고정된 와이어(34)의 타단부가 상기 앵커 구조물(10)의 링(12)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고정방법은 한 쌍의 앵커 고정물(10)이 서로 대향방면에서 상기 와이어(34)를 인장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단단하게 유지되며, 특히 상기 앵커 구조물(10)의 플루크(26) 양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날에 의하여 해저에 깊이 박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걸림봉(18)에 의해 상기 플로크(26)의 깊이 고정되는 것을 방지 하므로 공사 후 용이하게 상기 앵커 구조물(10)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오탁 방지막(32)의 철거가 쉽게 이루어 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에 따라, 하천이나 해안에서의 매립 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막에 사용되는 앵커의 형상을 해저에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게 변형시킴으로써 태풍과 같은 최악의 환경에서도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어 오탁 방지막의 내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을 설치한 사용 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커 구조물, 12 : 링,
14 : 생크, 16 : 지지 파이프,
18 : 걸림봉, 20 : 보강 리브,
22 : 연결관, 24 : 아암,
26 : 플루크(fluke), 30 : 부유체,
32 : 오탁 방지막

Claims (4)

  1.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에 있어서,
    상단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링이 삽입되는 생크;
    상기 생크의 하단부에 중심부가 고정 장착되고 내측으로 반원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아암; 및
    상기 아암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전개되고 한쌍의 날을 갖는 플루크(fluk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중심 하단에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일정크기의 걸림봉이 상기 아암과 직교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암의 하면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리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의 측면에는 상기 아암의 중심 상면에서 상기 생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지지 파이프가 하나 이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KR20-2005-0021570U 2005-07-25 2005-07-25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KR200398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570U KR200398150Y1 (ko) 2005-07-25 2005-07-25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570U KR200398150Y1 (ko) 2005-07-25 2005-07-25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150Y1 true KR200398150Y1 (ko) 2005-10-11

Family

ID=4369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570U KR200398150Y1 (ko) 2005-07-25 2005-07-25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15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92Y1 (ko) 2008-03-14 2010-03-29 (주)강원 오탁 방지막용 앵커
KR101066118B1 (ko) 2011-03-31 2011-09-20 최민정 앵커 및 이를 갖는 오탁방지막
KR101135311B1 (ko) * 2011-01-22 2012-04-13 백성욱 안강망용 닻
KR200464705Y1 (ko) * 2010-09-30 2013-01-21 (주)강원 오탁방지막 지지용 앵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92Y1 (ko) 2008-03-14 2010-03-29 (주)강원 오탁 방지막용 앵커
KR200464705Y1 (ko) * 2010-09-30 2013-01-21 (주)강원 오탁방지막 지지용 앵커
KR101135311B1 (ko) * 2011-01-22 2012-04-13 백성욱 안강망용 닻
KR101066118B1 (ko) 2011-03-31 2011-09-20 최민정 앵커 및 이를 갖는 오탁방지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86326A (zh) 一种海上风电桩基础的防冲刷保护装置及安装方法
KR200398150Y1 (ko)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KR101958907B1 (ko) 해안침식 방지용 파압 및 해빈류 완화 시스템
KR101143149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설치방법
JP2011153492A (ja) 浮上式防波堤
CN104653871A (zh) 海管悬空损伤段加固修复装置
KR100499791B1 (ko) 수중 고압 케이블 보호용 결속 고정말뚝 설치공법
KR100677898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설치방법
KR100523238B1 (ko)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KR20200014531A (ko) 해상 구조물의 고정앵커 시공공법
KR100485194B1 (ko)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
KR100615966B1 (ko) 혼성된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KR20190081533A (ko)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KR200393313Y1 (ko)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CN211898581U (zh) 一种海上风电桩基础的防冲刷保护装置
KR200442717Y1 (ko) 오일 또는 오탁 방지막 지지용 앵커
KR200391971Y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KR20120002475U (ko) 오탁방지막 지지용 앵커
KR20100130690A (ko) 해양심층수 취수관용 보호 구조물
KR200422235Y1 (ko) 해양 심층수의 취수장치
KR100759116B1 (ko) 해상구조물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물설치방법
KR20160144212A (ko)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JP2007132072A (ja) 浮上がり防止用マンホール
KR20130024657A (ko) 오탁방지장치
CN215053001U (zh) 一种海上打桩用挡泥结构及设有挡泥结构的浮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