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213B1 -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213B1
KR101718213B1 KR1020150080721A KR20150080721A KR101718213B1 KR 101718213 B1 KR101718213 B1 KR 101718213B1 KR 1020150080721 A KR1020150080721 A KR 1020150080721A KR 20150080721 A KR20150080721 A KR 20150080721A KR 101718213 B1 KR101718213 B1 KR 10171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anchor
hole
natural rock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212A (ko
Inventor
강방원
Original Assignee
강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방원 filed Critical 강방원
Priority to KR102015008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21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9Anchors securing to bed by weight, e.g. flukeless weight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오탁방지막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오탁방지막장치는 해상위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 상기 부유체 또는 상기 오탁방지막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로프; 상기 와이어로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천연암석앵커;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는 천연암석으로 제작되며, 상기 천연암석앵커는 천공작업으로 인해 생성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SILT PROTECTOR APPARATUS AND ANCHOR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IS SAME}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앵커로서 천연암석을 이용하여 천연암석을 천공하여 관통공을 형성한 다음, 부유체 또는 오탁방지막과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천연암석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형태의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해안 또는 항만공사에서 준설 및 매립, 해상구조물축조, 간척공사 등과 같은 공사를 실시 할 때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가 발생되어 공사장 주변의 수중으로 확산됨에 따라 공사장 주변 지역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뿐 아니라 주변의 생태계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공사장에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탁방지막장치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오탁방지막장치는 공사장과 주변지역을 격리시키게 된다.
오탁방지막장치는 토사와 같은 해상 부유물질을 격리하는 섬유질막체 등으로 제작된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부유체를 부착하고, 오탁방지막의 하단을 수중 바닥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오탁방지막장치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의 수중확산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과,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결합되어 오탁방지막이 수중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도록 하는 부유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유체는 바람이나 파도 등에 의해 떠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오탁방지막과 함께 로프를 이용해 수중바닥에 설치된 콘크리트블록 또는 닻 등의 앵커를 이용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오탁방지막장치는 앵커로서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해로운 성분이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8308호에는 톤백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등록특허 10-0918308호에 개시된 오탁방지막장치는 오탁방지막이나 부유체가 떠내려 가는 것을 지지하도록 와이어의 끝단에 톤백형태의 앵커가 설치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톤백앵커는 박스형태의 몸체와, 이 몸체내에 속채움재가 채워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톤백앵커는 제작이 복잡하여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매우 높았다.
특히,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 앵커나, 톤백 앵커는 친환경적이지 못한 인공재료를 사용하는 관계로 환경오염이 발생되고, 철거시 건설 폐기물이 발생되어 폐기물 처리비용이 부수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비경제적이며 재활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830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천연암석을 앵커로 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하며, 이미 수많은 석산에서 채취되고 있는 천연암석을 이용하므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제작이 매우 간단하여 시공성이 향상된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탁방지막장치는 해상 위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 상기 부유체 또는 상기 오탁방지막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로프; 상기 와이어로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천연암석앵커;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암석앵커는 천연암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암석앵커는 천공작업을 통해 생성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와이어로프용 클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그 끝단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고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클립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와이어로프가 상기 앵커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관통공의 상단개방구를 통해 하단개방구로 빼낸다음, 상기 앵커의 외주를 감싼 다음, 상기 관통공의 하단개방구를 통해 상단개방구로 빼낸 후, 인접하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클립으로 고정하되,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앵커의 외주를 감싼 부분이 상기 관통공의 상단개방구로 돌출된 두 부분 사이에 끼인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빠짐방지부재는 상기 관통공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관통공의 상단개방구를 통해 하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상기 와이어로프에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끼워지고, 상기 와이어로프를 다시 상기 관통공의 하단개방구를 통해 상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인접하는 와이어로프를 클립으로 고정된 형태로 상기 와이어로프에 상기 앵커가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천연암석앵커에는 천공작업으로 어족생육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은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하단에 연결된 오탁방지막과, 상기 부유체 또는 상기 오탁방지막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하단에 고정되는 천연암석으로된 앵커를 포함하는 오탁방지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천연암석을 천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b)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관통공으로 통과시켜 고정시켜 줌으로써 상기 와이어로프에 상기 천연암석앵커를 고정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관통공의 상단개방구를 통해 하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상기 앵커의 외주를 한번 감싸고, 상기 관통공의 하단개방구를 통해 상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인접하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클립으로 고정시켜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관통공의 상단개방구를 통해 하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상기 와이어로프에 빠짐방지부재를 끼우고, 상기 와이어로프를 다시 하단개방구를 통해 상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인접하는 와이어로프를 클립으로 고정시켜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천연암석을 앵커로 적용함으로써, 장치사용시에도 해양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앵커로 사용 완료한 후 회수하여 항만공사용 석재(피복석), 조경용석재, 인공어초, 인근현장의 오탁방지용 앵커로 재사용할 수 있어 자원절약과 동시에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폐기물처리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큰 효과가 있다.
특히, 천연암석은 동일한 크기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가격이 절반 이하 정도로서 매우 저렴하여, 앵커의 순수 재료비에 있어서도 기존의 여타재료들에 비해 경제성이 탁월하다.
본 발명은 천연암석을 앵커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석산에서 생산된 천연암석을 이용하여 간단한게 천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암석을 천공기계로 뚫어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을 통해 와이어로프를 관통시켜 클립으로 간단하게 체결해주는 구조로서, 앵커의 장착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게 시공성이 좋고 제작이 간편하여, 시공비 및 제작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천연암석앵커가 부유체와 오탁방지막이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중량물로서의 기능을 할 뿐 아니라, 해초가 번식하고 어류들이 살아가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어 인공어초블록의 기능을 함께하여 해양생태계를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주변의 어족포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함께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탁막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와이어로프를 앵커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형태를 설명하기위한 도면으로서, (a)는 관통공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는 다른 형태의 와이어로프를 천연암석앵커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관통공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천연암석앵커에 챔버를 천공 설치하여 어초블럭을 겸한 형태의 천연암석앵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탁방지막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오탁방지막장치는 부유체(10), 오탁방지막(20), 와이어로프(30), 천연암석앵커(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부유체(10)는 해상에 부상되게 설치되는 구성이며, 오탁방지막(20)은 부유체(10)의 하부로 내려져 해상의 부유물질을 걸러주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부유체(10) 및 오탁방지막(20)은 공지된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천연암석앵커(40)의 구성과, 이 천연암석앵커(40)에 와이어로프(30)가 고정설치되는 구조에 특징이 있으므로, 특징에 대해서는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공지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와이어로프(30)는 부유체(10)에 두개가 연결되고, 오탁방지막(20)의 하단에 한개가 연결되며, 각각의 와이어로프(30) 하단에는 각각 앵커(40)가 고정설치된다. 와이어로프(30)는 제1로프(31) 및 제2로프(35)로 이루어지며,
제1로프(31)는 2개로 구성되어, 부유체(1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고, 제2로프(35)는 1개로 구성되어, 오탁방지막(20)의 하단에 고정설치된다. 제1로프(31) 및 제2로프(35)가 부유체(10)와 오탁방지막(20)에 고정되는 구조는 일반적인 오탁방지막 장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로프(31) 하단에는 보조로프(33)가 구비되고, 이 보조로프(33)는 제1로프(31)의 하단에 1개 또는 다수의 보조로프(3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각각의 보조로프(33)에는 천연암석앵커(40)가 고정설치된다. 아울러, 제2로프(35)의 하단에도 필요 중량에 따라 제1로프(31)와 같은 방법으로 1개 또는 다수개의 앵커(40)가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의 앵커(40)는 다양한 종류의 천연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천공기계를 이용해 천연암석의 중심부를 천공하여 관통공(4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천연암석앵커(40)는 부유체(10)와, 오탁방지막(20)을 고정시키기 위한 필요 중량에 따라 크기나 수량이 변화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제1로프(31)의 하단에 구비된 보조로프(33)와 제2로프((35)의 하단에 고정설치된다.
제1로프(31)의 하단은 고리형태가 되도록 "U"형태가 된 상태에서 클립(c1)으로 고정되어 고리부(34)가 형성되며, 이 고리부(34)에는 보조로프(33)가 통과하여, 상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클립(c2)으로 고정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로프(31)의 하단에 샤클(미도시)을 설치하고, 이 샤클(미도시)에 보조로프(33)를 통과시켜 상부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클립(c2)으로 고정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천연암석앵커(40)들이 보조로프(33)와 제2로프(35)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구조는 동일하므로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조로프(33)의 끝단을 관통공(41)의 상단개방구를 통해 하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천연암석앵커(40)의 외주를 감싼 다음, 관통공(41)의 하단개방구를 통해 상단개방구로 빼낸 후, 인접하는 두 보조로프(33)를 클립(c3)으로 고정함으로써, 보조로프(33)에 천연암석앵커(40)를 고정설치할 수 있다. 이때, 보조로프(33)는 관통공(41)의 상단개방구로 돌출되어 인접한 두 부분(33a) 사이에 천연암석앵커(40)를 감싼 부분(33b)이 끼여진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서, 와이어로프(30)는 제1로프(31)의 끝단에 보조로프(33)를 설치하고, 그 보조로프(33)의 양단에 각각 한개의 천연암석앵커(40)가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는 제1로프(31)의 하단에 직접 1개 또는 다수개의 천연암석앵커(40)를 설치하기 위하여 보조로프(33)를 설치해준 것이며, 앵커(40)의 무게에 따라 제1로프(31)의 하단에 직접 1개의 천연암석앵커(40)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제1로프(31)의 하단에 보조로프(33) 한개를 설치하고 2개의 천연암석앵커(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 제1로프(31)의 하단에 추가로 로프를 설치하여, 필요 중량에 따라 1개 이상의 천연암석앵커(4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부유체(10) 및 오탁방지막(20)이 부유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부유체(10)의 하단에 두 개의 와이어로프(30) 및 오탁방지막(20)의 하단에 한개의 와이어로프(30)를 설치하고, 각각의 와이어로프(30)의 하단에 천연암석앵커(40)를 고정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유체(10)에는 와이어로프(30) 및 천연암석앵커(40)를 설치하지 않고, 오탁방지막(20)의 하단에 하나의 와이어로프(30)를 설치하고, 그 와이어로프(30) 하단에 천연암석앵커(40)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오탁방지막장치를 사용할 경우, 해양오염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탁방지막장치의 사용이 끝난 후에 처리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해준다. 기존에는 콘크리트 등을 앵커로서 사용하였으므로, 해양의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사용 후에는 앵커를 바다에서 건져내는 처리를 해야 했으므로 폐기물을 처리하는데에 비용이 엄청나게 소모되었으나, 본 발명은 천연암석을 앵커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탁방지막장치를 사용하는 기간에도 해양환경오염이 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오탁방지막장치의 사용이 끝난 후에도 앵커를 회수하여 항만공사용 석재(피복석), 조경석, 어초블록 또는 인근현장의 오탁방지막 설치용 천연암석앵커(40)로 재사용할 수 있어 전체적인 처리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천연암석은 동일한 크기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가격이 절반 이하로 매우 저렴하며, 천연암석앵커(40)의 순수 재료비에 있어서도 기존의 여타재료들에 비해 경제성이 매우 탁월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천연암석을 천공기계로 뚫어 관통공(41)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41)을 통해 와이어로프(30)를 관통시켜 클립(c3)으로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천연암석앵커(40)의 제작과 장착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보조로프(33)의 끝단을 관통공(41)의 상단개방구를 통해 하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천연암석앵커(40)의 외주를 감싼 다음, 관통공(41)의 하단개방구를 통해 상단개방구로 빼낸 후, 인접하는 두 보조로프(33)를 클립(c3)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천연암석앵커(40)를 로프(30)에 고정하는 구조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조로드(33)의 끝단을 관통공(41)의 상단개방구를 통해 하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빠짐방지부재(38)를 끼우고, 다시 보조로프(33)의 끝단을 관통공(41)의 하단개방구를 통해 상단개방구로 빼낸 후, 서로 인접하는 보조로프(33)를 클립(c3)으로 고정함으로써, 천연암석앵커(40)를 와이어로프(30)의 하단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빠짐방지부재(38)는 관통공(41)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형태로 형성되고, 관통공(41)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관통공(41)을 통과하지 못하여, 보조로프(33)가 관통공(41) 내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빠짐방지부재(38)는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로프(33)에 고정될 수 있고, 관통공(4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큰 크기로 형성되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앵커(40)에는 어족생육용 챔버(p)가 형성된다. 이러한 챔버(p)는 1개나 또는 그 이상의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챔버(p)는 천연암석의 외표면에 일정깊이로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거나, 천연암석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오탁방지막장치는 해양에 설치될 경우, 부유물을 격리시키는 기능뿐 아니라, 천연앵커암석(40)에 형성된 어족생육용 챔버(p)에 해초가 번식하여 어류들이 숨어 살거나 산란장이 될 수 있어, 해양생태계를 활성화 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부유체
20...오탁방지막
30...와이어로프
31...제1로프
33...보조로프
35...제2로프
38...빠짐방지부재
40...천연암석앵커
41...관통공

Claims (10)

  1. 해상위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오탁방지막;
    상기 부유체 또는 상기 오탁방지막에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로프;
    상기 와이어로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천연암석앵커;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암석앵커는 천연암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암석앵커는 천공작업을 통해 생성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와이어로프용 클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그 끝단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고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클립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와이어로프가 상기 앵커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관통공의 상단개방구를 통해 하단개방구로 빼낸다음, 상기 앵커의 외주를 감싼 다음, 상기 관통공의 하단개방구를 통해 상단개방구로 빼낸 후, 인접하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클립으로 고정하되,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기 앵커의 외주를 감싼 부분이 상기 관통공의 상단개방구로 돌출된 두 부분 사이에 끼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암석앵커에는 천공작업으로 어족생육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챔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막장치.
  8.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하단에 연결된 오탁방지막과, 상기 부유체 또는 상기 오탁방지막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의 하단에 고정되는 천연암석으로된 앵커를 포함하는 오탁방지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천연암석을 천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관통공으로 통과시켜 고정시켜 줌으로써 상기 와이어로프에 상기 천연암석앵커를 고정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상기 관통공의 상단개방구를 통해 하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상기 앵커의 외주를 한번 감싸고, 상기 관통공의 하단개방구를 통해 상단개방구로 빼낸 다음, 인접하는 상기 와이어로프를 클립으로 고정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80721A 2015-06-08 2015-06-08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KR10171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21A KR101718213B1 (ko) 2015-06-08 2015-06-08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21A KR101718213B1 (ko) 2015-06-08 2015-06-08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12A KR20160144212A (ko) 2016-12-16
KR101718213B1 true KR101718213B1 (ko) 2017-03-20

Family

ID=5773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721A KR101718213B1 (ko) 2015-06-08 2015-06-08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2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071B1 (ko) 2022-04-25 2022-09-16 주식회사 에이치디이앤씨 항만 오염방지를 위한 오탁방지망
KR102576073B1 (ko) 2023-01-11 2023-09-06 양병선 설치와 철수가 용이한 오탁방지막 및 이의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725A (ja) * 2001-11-20 2003-05-30 River Front Seibi Center 護床工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998A (ja) * 1995-06-09 1996-12-17 Bio Sci:Kk 自然水系の浄水構造
KR100918308B1 (ko) 2008-08-13 2009-09-18 변재남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시공용 톤백앵커 시공방법
KR101262364B1 (ko) * 2011-08-31 2013-05-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5725A (ja) * 2001-11-20 2003-05-30 River Front Seibi Center 護床工ブロ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071B1 (ko) 2022-04-25 2022-09-16 주식회사 에이치디이앤씨 항만 오염방지를 위한 오탁방지망
KR102576073B1 (ko) 2023-01-11 2023-09-06 양병선 설치와 철수가 용이한 오탁방지막 및 이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12A (ko)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wson Geotextile containment for hydraulic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R102022341B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CN103174117A (zh) 一种深度自动调节式抗风浪柔性围隔
KR101718213B1 (ko)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KR100924495B1 (ko) 해양심층수 취수유닛 설치방법
US8557121B1 (en) Modular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containing oil spills
CN202969343U (zh) 一种浓海水排海的扩散装置
KR20170113018A (ko) 해안침식 방지용 파압 및 해빈류 완화 시스템
CN104141284A (zh) 一种水上疏浚工程施工抛泥防污方法
CN204356751U (zh) 一种水体防污围隔软帘
KR100677898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설치방법
KR101251602B1 (ko) 돌망태를 이용한 오탁방지망 고정장치
KR100485194B1 (ko)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
KR20190081533A (ko)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CN100366825C (zh) 悬浮式拦沙滤泥水质保护装置
CN104790368B (zh) 一种可自浮拖航的海上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393313Y1 (ko)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KR101279839B1 (ko) 오탁방지장치
US20140369755A1 (en) Buoyancy compensated erosion control module
KR200391971Y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KR0130745B1 (ko) 연약지반이 있는 곳에서의 방파제, 호안, 접안시설 등의 해상구조물의 축조방법
KR20130024657A (ko) 오탁방지장치
KR102580666B1 (ko) 호롱말뚝형 앵커를 이용한 친환경 오탁방지시설
JP3543280B2 (ja) 海底軟弱地盤の改良方法
KR20150089796A (ko) 친환경적 차수구조물을 이용한 항만 기초 시공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