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180B1 -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180B1
KR101690180B1 KR1020160054614A KR20160054614A KR101690180B1 KR 101690180 B1 KR101690180 B1 KR 101690180B1 KR 1020160054614 A KR1020160054614 A KR 1020160054614A KR 20160054614 A KR20160054614 A KR 20160054614A KR 101690180 B1 KR101690180 B1 KR 101690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llecting
oil
powder
over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180B9 (ko
Inventor
장운성
Original Assignee
장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7367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9018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장운성 filed Critical 장운성
Priority to KR102016005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180B1/ko
Priority to PCT/KR2017/003161 priority patent/WO2017191898A1/ko
Publication of KR10169018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18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02B15/047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provided with an oil collecting boom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u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는, 수면에 부유하는 유출유를 걷어내도록, 예인선에 의해 운용되는 유출유 제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을 구비하고 소정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양단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펜스부와,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의 연결면 양측 사이에 수직한 격벽형태로 구비되는 구획부로 이루어져 수면에 부유하는 몸체; 및 한 쌍의 상기 펜스부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예인선과 줄로 연결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예인선의 예인 및 상기 펜스부의 안내에 따라 상기 구획부 쪽에 모인 유출유가 상기 몸체 외측으로 넘치지 않도록,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가 연결되는 각 영역에서 상향으로 돌출형성된 넘침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집부와 펜스부가 연결되는 영역에서 상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넘침방지부가 구비됨에 따라, 예인선의 예인에 의해 구획부 쪽에 모인 유출유가 몸체 외측으로 넘쳐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러한 넘침방지부의 높이에 비례하여 구획부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대되면, 예인에 의해 모여진 유출유 및 그 하단의 물 중에서 유출유만이 최대한 수집부 쪽에 모이도록 유도됨에 따라 유출유의 방제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DRIFT-TYPE APPARATUS FOR REMOVING OIL SPILL ON THE WATER}
본 발명은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인선에 의해 예인되면서 수면상에 부유하는 유출유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 내지 방제할 수 있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조선, 선박, 시추선 등이 암초나 폭풍에 의해 좌초되거나 선박 간 충돌로 인해 침몰되어 해상이나 하상에 기름을 다량으로 유출시키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때, 유출된 유출유는 고점도의 흑색 기름띠를 형성하며 오랫동안 표류하게 된다.
이러한 고점도의 흑색 기름띠는, 해양 또는 하천의 생태계를 심각하게 파괴함에 따라 어족 자원의 소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양어장 또는 양식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수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힘은 물론, 사고의 수습을 위해 막대한 방제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유출유의 방제 작업은, 유출유 회수선과 오일펜스를 이용한 방법과 흡착재를 사용한 방법 및 뜰채를 이용한 방법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어 각각의 상황에 맞게 취사선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출유 회수선을 이용한 방법은, 별개의 오일 스키머 장치가 장착된 회수선을 통해 오일펜스 내에서 부유하는 유출유를 내부 탱크로 집유하여 방제하는 방법인데, 이때 유출유 회수선은 고가이어서 공공기관이 아니면 보유할 수 없는 실정이고, 회수선이 대형의 선체로 구성됨에 따라 사고 현장에 신속한 투입과 근해 및 연안에서의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일펜스는 1노트 내지 2노트의 속력으로 예인되는 경우 오일펜스 내측에 모아진 유출유는 오일펜스 아래쪽을 통해 외부로 유실될 우려가 있는 구조이고, 오일펜스와 유체간의 저항으로 인해 예인방식의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흡착재를 사용하는 방식은, 섬유질로 이루어져 유출유를 흡착하도록 이루어진 흡착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유출사고 현장에 흡착재를 던져서 유출유를 흡수하도록 한 후 다시 건져 올려 유출유를 방제하게 된다. 이러한 방제방식은, 유출된 기름이 고점도일 경우 흡수율이 떨어지게 되고, 흡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투입과 수거에 많은 인력이 동원됨으로써 방제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뜰채를 이용한 방식은, 잠자리채 형상으로 생긴 뜰채를 사용하여 유출유를 일일이 떠올려서 방제하는 방식으로, 이 경우 또한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출유 방제방식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1242호에서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수집부, 펜스부 및 연결부로 이루어져 수면에 부유하는 몸체와, 그 외주면을 감싸는 외피와, 펜스형그물과, 연결대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의 구조는, 유수의 흐름이 빠르고 파고나 너울이 심한 수역은 물론, 연근해에도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인선의 예인에 따라 유출유의 방제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제시하는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여전히 개선이 요구되며, 꾸준한 개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먼저, 수집부와 펜스부가 연결되는 영역의 편평한 구조는, 예인선의 속도가 빠르거나 수면의 파고나 너울이 심해지면, 예인선의 예인에 의해 연결부 쪽으로 모인 유출유가 몸체 외측으로 넘쳐 유실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유출유 방제효율을 취약하게 만드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집부와 펜스부가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구조는, 수면의 파고나 너울이 심하게 되면, 수집부나 펜스부의 일부가 유출유가 부유하고 있는 수면과 밀착되지 못하고 들뜬 상태를 야기함에 따라 유출유가 이를 통해 유실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펜스부의 길이가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기름 유출지역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펜스부의 길이조절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저해함은 물론,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제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방지 내지 저감할 수 있는 구조적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1242호(공고일: 2013년 05월 0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예인선이 빠른 속도로 운항하거나 수면의 파고나 너울이 심하더라도 유출유 제거장치의 바깥쪽으로 유출유가 유실되는 것을 다양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저감하여 유출유 방제효율을 증대하는 한편, 기름의 유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제가 이루어지도록 유출유 제거장치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수면에 부유하는 유출유를 걷어내도록, 예인선에 의해 운용되는 유출유 제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을 구비하고 소정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양단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펜스부와,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의 연결면 양측 사이에 수직한 격벽형태로 구비되는 구획부로 이루어져 수면에 부유하는 몸체; 및 한 쌍의 상기 펜스부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예인선과 줄로 연결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예인선의 예인 및 상기 펜스부의 안내에 따라 상기 구획부 쪽에 모인 유출유가 상기 몸체 외측으로 넘치지 않도록,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가 연결되는 각 영역에서 상향으로 돌출형성된 넘침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넘침방지부는, 상기 구획부의 상하방향 길이(H2)가 상기 수집부의 상하방향 길이(H1)와 같거나 크다고 할 때, 상기 구획부의 상하방향 길이(H2)보다 크게 돌출형성되되,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의 단부로 갈수록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펜스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펜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펜스분체가 서로 연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펜스분체의 일단부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펜스분체의 타단부는 상기 끼움부와 끼움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펜스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펜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펜스분체가 서로 연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펜스분체의 일단부는 납작하게 접혀 판형상을 이루는 제1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펜스분체의 타단부는 납작하게 접혀 판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연결부와 밀착결합되는 제2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분체의 양단부에는, 인접한 상기 펜스분체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스트랩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고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는, 상기 수집부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넘침방지체와, 상기 펜스부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넘침방지체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넘침방지체는, 상기 수집부의 상면에서 상기 수집부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넘침방지체는, 상기 펜스부의 상면에서 한 쌍의 상기 펜스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선체로부터 유출유가 배출되는 지점을 둘러싸 유출유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상기 선체와 접촉하는 선체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체접촉부는, 내부에 영구자석이 내장되거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부유중인 유출유가 한 쌍의 상기 펜스부와 상기 구획부의 아래쪽을 통해 빠져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펜스부 및 상기 구획부의 하단에서 수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수면에 잠기는 물막이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막이격벽과 연결되는 무게추를 갖는 펜스형그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막이격벽과 상기 펜스형그물은, 상기 물막이격벽을 따라 이격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펜스형그물 간을 카라비너 또는 후크형 고리로 연결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중량물인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펜스형그물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따라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예인선의 예인에 의해 수면 위로 유출유가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상기 펜스부 사이에 걸쳐 형성되되, 상기 펜스부에 탈부착되거나 상기 펜스부와 일체로 제작되는 튐방지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는, 예인선의 예인시 저항에 의해 상기 펜스부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저항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유조차로부터 유출유가 배출되는 지점을 둘러싸 유출유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상기 유조차와 접촉하는 선체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체접촉부는, 내부에 영구자석이 내장되거나 일면에 부착되며, 한 쌍의 상기 펜스부 사이에는, 유출유가 지면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스크린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집부와 펜스부가 연결되는 영역에서 상향으로 돌출형성된 한 쌍의 넘침방지부가 구비됨에 따라, 예인선의 예인에 의해 구획부 쪽에 모인 유출유가 몸체 외측으로 넘쳐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러한 넘침방지부의 높이에 비례하여 구획부의 상하방향 길이가 증대되면, 예인에 의해 모여진 유출유 및 그 하단의 물 중에서 유출유만이 최대한 수집부 쪽에 모이도록 유도됨에 따라 유출유의 방제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펜스부를 통해 유출유의 확산 상태에 맞는 적절한 적용이 가능해짐은 물론, 수집부와 펜스부 및 다수의 펜스분체가 각각 서로 상하로 상대 회전토록 하는 힌지부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몸체 전체는 수면의 파고나 너울의 상태와 상관없이 수면과의 밀착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몸체 외측으로 유출유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유출유의 방제효율을 더욱 증대하게 된다.
또한, 몸체가 에어튜브 형태로 구현되면, 접어서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사고 현장에 투입되어 몸체를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고, 소형선으로도 작업이 가능해 근해 및 연안에서 용이한 방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상에 부유하고 있는 이물질, 쓰레기 등도 함께 손쉽게 수거할 수 있고, 아울러 적은 비용과 인력으로 신속하게 유출유가 회수됨에 따라 수산 자원 및 관광 자원의 보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본적인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펜스분체에 대한 연결구조와 다양한 변형예에 따른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제1 넘침방지체 및 제2 넘침방지체를 부가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제1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제2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제3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제4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펜스분체에 대한 연결구조와 다양한 변형예에 따른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제1 넘침방지체 및 제2 넘침방지체를 부가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제1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제2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제3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의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의 제4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앞쪽), 후(뒤쪽) 등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또는 구성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100)는, 예인선(10)에 의해 예인되는 동안 수면 위에 부유하는 유출유(OS)를 V자 형상의 펜스부(114)의 안내를 통해 구획부(116)의 전방 쪽에 누적적으로 모은 다음, 모여진 유출유(OS)가 구획부(116)의 상단부를 타고 넘어 수집부(112)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유출유(OS)를 수면으로부터 걷어내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 내지 작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100)는, 대략 몸체(110), 연결대(120) 및 넘침방지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몸체(110)는, 예인선(10)에 의해 예인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100)가 수면 위에 표류 내지 부유(浮游)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유출유(OS)가 예인방향의 반대쪽에 누적적으로 모이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요소이다.
즉, 몸체(110)는 수면에 표류 내지 부유할 수 있도록 물(W)보다 밀도가 작은 소재, 가령 발포합성수지나 에어튜브, 또는 이들의 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인에 의해 유출유(OS)가 일측에 누적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X, Y, U 또는 V자형 등의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110)는, 공기의 주입으로 V자 형상을 이루게 되는 에어튜브로 구현되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 부피를 작게 하여 수납이나 이동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동시에 제작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에어튜브로 구현되는 몸체(110)는, 구체적으로 수집부(112), 펜스부(114) 및 구획부(1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집부(112)는, 예인선(10)에 의해 예인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유출유(OS)를 회수 내지 수용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으로 링모양이 되도록 소정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되, 하단부에는 바닥면(111)이 형성되어 유출유(OS)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수집부(112)의 일측에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밸브(113)가 마련되며, 하단부에는 어느 일측이 들뜨지 않고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수면 위에 표류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형태의 무게추(1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집부(112)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예인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타원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닥면(111)의 형상은, 도 1, 도 2 및 도 4의 제1,2 실시예에서처럼, 수평방향으로 편평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1 및 도 12의 제3 실시예에서처럼, 다량의 유출유(OS)를 수용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볼록한 자루 형상으로 제작하면서 예인선(10) 쪽 방향에는 완만한 경사면(111a)을 형성하고, 그 반대쪽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111c)이 마련된 급경사면(111b)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제3 실시예와 같은 바닥면(111)의 비대칭구조는, 예인방향에 대하여 수면과의 마찰을 저감시키는 구조여서 수집부(112)에 다량의 유출유(OS)가 수용되더라도 예인선(10)에 의한 예인을 크게 저해하지 않게 되므로, 원활한 예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급경사면(111b)에 형성된 관통공(111c)에는, 수집부(112)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W)을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체형 거름필터(160)가 구비된다. 이때, 수집부(112) 내의 물(W)은, 예인속도가 빠르거나 수면의 파고나 너울이 심하게 되면 상부에 부유하는 유출유(OS)뿐만 아니라 하부의 물(W)까지도 구획부(116)를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집부(112) 내의 물(W)이 계속적으로 누적되면, 정작 유출유(OS)를 수용할 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를 낳게 되고, 예인속도를 저해하여 원활한 예인을 방해하게 되며, 예인작업 이후 수집부(112)에 수용된 유출유(OS)의 깔끔한 처리를 어렵게 하므로 이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필터(160)는 상부하우징(162), 하부하우징(164) 및 거름막(1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하우징(162)은 수집부(112)의 내측에서 관통공(111c)에 고정되되 중앙부에 지지살이 형성되고, 하부하우징(164)은 수집부(112)의 외측에서 상부하우징(162)과 결합되어 관통공(111c)에 고정되되 중앙부에 지지살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하우징(162)과 하부하우징(164)은 각각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관통공(111c)을 사이에 두고 상호 간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거름막(166)은, 상부하우징(162)과 하부하우징(164) 사이에 개재되어 수집부(112) 내의 유출유(OS)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억제하면서 수집부(112) 내의 물(W)은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원활하고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거름막(166)은, 소정크기의 미세 구멍이 균일하게 분포, 형성된 필름(멤브레인) 등과 같이 이미 공지되어 시판중인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소정크기란 일반적인 석유분자의 크기보다는 작고 물(W)분자의 크기보다는 큰 크기로서, 대략 10nm 내지 1㎛가 될 수 있다.
이는 일례일 뿐이므로 더욱 원활한 물(W)의 배출을 위해 1㎛ 이상의 미세 구멍이 균일하게 분포, 형성된 필름이 거름막(166)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공성 부직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중첩한 것을 거름막(166)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펜스부(114)는, 예인방향의 반대쪽 즉, 구획부(116) 전방 쪽에 유출유(OS)가 누적적으로 모이도록 하고, 유출유(OS)가 몸체(110)의 외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집부(112)의 양단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한 쌍의 펜스부(114)는, 수집부(112)에서 멀어질수록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V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로 인해 구획부(116) 쪽에 인접할수록 유출유(OS)가 더욱 누적되고 적층될 수 있으며, 폭이 좁아짐에 따라 유출유(OS)의 유속도 점차 증대(연속의 법칙, principle of continuty)하게 된다.
펜스부(114)는, 도 1의 제1 실시예와 같이 발포합성수지나 에어튜브 등을 이용하여 수집부(112)와 함께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또는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서와 같이 펜스부(114)와 수집부(112)를 각각 별개의 발포합성수지나 에어튜브로 각각 제작될 수 있다.
펜스부(114)와 수집부(112)가 각각 별개로 제작되는 경우, 펜스부(11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펜스분체(114a,114b)가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펜스부(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펜스분체(114a,114b)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펜스부(114)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펜스부(114)의 길이조절이 가능해지면, 유출유(OS)의 확산 상태에 맞는 적절한 적용이 가능해지므로 유출유(OS)의 방제효율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각의 펜스분체(114a,114b)의 일측에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에어밸브(113)가 마련된다.
펜스분체(114a,114b) 간의 연결구조는, 도 2의 제2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분체(114a,114b)의 일단부에 끼움부(145)를 형성하고, 펜스분체(114a,114b)의 타단부에 끼움부(145)와 끼움결합되는 끼움홈(146)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끼움부(145)는 펜스분체(114a,114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고, 끼움홈(146)은 이러한 끼움부(145)에 대응하는 깊이와 내경을 갖는 홈으로 형성하게 된다. 물론, 도 2와 달리 끼움부(145)를 펜스분체(114a,114b)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고, 끼움홈(146)은 펜스분체(114a,114b)의 직경보다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로 되되, 끼움부(145)에 대응하는 깊이와 내경을 갖는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펜스분체(114a,114b) 간의 연결구조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펜스분체(114a,114b)의 일단부에 납작하게 접혀 판형상을 이루는 제1 연결부(147)를 형성하고, 펜스분체(114a,114b)의 타단부에 납작하게 접혀 판형상을 이루며 제1 연결부(147)와 밀착결합되는 제2 연결부(148)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연결부(147)와 제2 연결부(148)가 서로 접촉하는 면에는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이 형성되어 제1 연결부(147)와 제2 연결부(148) 간의 결합력을 증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연결되는 인접한 펜스분체(114a,114b)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분체(114a,114b)의 양단부에는, 스트랩(149a)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고리(149)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체결고리(149)는 펜스분체(114a,114b)의 외주면을 따라 대칭을 이루며 2개 내지 4개가 이격형성되며, 인접한 체결고리(149)는 끈 형태의 스트랩(149a)에 의해 묶여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스트랩(149a)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되, 그 양단에는 카라비너와 같이 신속한 체결이 가능한 연결수단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펜스분체(114a,114b) 간의 연결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제3 실시예와 같이, 인접한 펜스분체(114a,114b)가 서로 소정범위 내에서 상하로 회전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부(1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140)는, 수면의 파고나 너울의 상태와 상관없이 각각의 펜스분체(114a,114b)가 상대회동(상하방향)토록 함으로써 펜스부(114) 전체가 수면과 밀착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펜스부(114) 내측에 모인 유출유(OS)가 외측으로 확산 내지 유실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기능의 구현을 위해 힌지부(140)는, 인접한 펜스분체(114a,114b)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관통형성된 힌지공(142)과, 인접한 펜스분체(114a,114b)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어 힌지공(142)에 끼워져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힌지축(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힌지축(144)과 힌지공(142) 간의 구체적인 결합은, 펜스분체(114a,114b) 각각의 내부에 공기가 투입되기 전 상태에서 힌지공(142)에 힌지축(144)을 손쉽게 끼워 넣은 후, 에어밸브(113)를 통해 각각의 내부에 충분한 공기가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도 11 참조)
이때, 힌지축(144) 및 힌지공(142)을 이루는 에어튜브 내측에는 각각의 형태에 대응하는 발포합성수지가 삽입되어 해당 형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힌지축(144) 및 힌지공(142)의 견고한 형태유지를 통해 펜스분체(114a,114b) 간의 상하방향 회전 작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수집부(112)와 펜스부(114)는, 이상에서 살펴본 제2 실시예(도 2)와 그 변형예(도 3(a) 및 도 3(b)) 및 제3 실시예(도 11)에 따른 연결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부(114)는 양단부에 선체(11)와 접촉하는 선체접촉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체접촉부(115)는 선박사고로 인해 선체(11)로부터 기름이 유출되는 경우, 기름이 주변 수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용도로도 본 발명을 활용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선체(11)의 표면과 원활한 접촉을 위해 납작한 판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선체접촉부(115)는 기름 유출 선박의 선체(11)와의 신속하고 용이한 접착을 위해 내부에 영구자석(115a)이 내장되거나 일면에 영구자석(115a)이 부착 내지 결합된다.
선체(11)로부터의 기름유출 방지는, 선체(11)로부터 유출유(OS)가 배출되는 지점을 가운데에 두고 몸체(110)가 둘러쌀 수 있도록 펜스부(114)를 위치시킨 후, 영구자석(115a)이 내장된 선체접촉부(115)가 자력에 의해 선체(11) 양측에 접착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구획부(116)는, 예인선(10)의 예인에 따라 펜스부(114)에 의해 안내되어 구획부(116)의 전면에 누적적으로 모인 유출유(OS) 및 밀도차로 인해 그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물(W) 중에서 상부의 유출유(OS)만이 수집부(112)에 회수 내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수집부(112)와 펜스부(114)의 연결면 양측 사이에서 수직한 격벽형태로 구비된다.
즉, 구획부(11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도차로 인해 수면 위에 부유하는 유출유(OS)가 예인선(10)의 예인 및 펜스부(114)의 안내로 구획부(116)의 전면에 누적적으로 적층되면, 그 상단부의 유출유(OS)만이 선택적으로 구획부(116)의 상단을 타고 넘어 수집부(112)에 회수되도록 하는 구성인 것이다.(적층된 유출유(OS)는 예인선(10)의 가속도운동으로 인한 반대방향의 관성력과 연속의 법칙에 의한 유속증로 인해 구획부(116)를 원활하게 타고 넘어게 됨)
이때, 구획부(116)는 펜스부(1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격벽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구획부(116)가 수집부(112) 쪽으로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면 아래쪽의 위치한 물(W)이 다량으로 구획부(116)를 타고 넘어갈 우려가 있고, 펜스부(114) 쪽으로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되면, 유출유(OS)가 구획부(116)를 타고 넘어 가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다.
한편, 구획부(1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부 쪽에 지퍼형 패스너(116a)를 더 형성하여 구획부(116)의 상하방향 길이(H2)를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100)가 기상 조건 또는 수면의 파고나 너울의 상태에 따라 구획부(116)의 상하방향 길이(H2)를 조절하여 유출유(OS)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수거 내지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수면의 파고나 너울이 심한 경우 구획부(116)의 상하방향 길이(H2)를 길게 조절하고, 수면의 파고나 너울이 약한 경우 구획부(116)의 상하방향 길이(H2)를 작게 함으로써, 유출유(OS)는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수거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획부(116)의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에 부가하여 거름필터(160)의 작동원리를 도 12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예인선(10)의 예인에 의해 유출유(OS)가 한 쌍의 펜스부(114) 사이로 유입되면, 펜스부(114) 내측의 안내에 따라 유출유(OS)는 펜스부(114)의 간격이 좁은 영역, 즉 구획부(116)의 전면에 누적적으로 적층된 다음, 상단부 쪽의 유출유(OS)는 선택적으로 구획부(116)의 상단을 타고 넘어 수집부(112)에 회수 내지 수용된다.
이때, 수면의 파고나 너울의 상태에 따라 유출유(OS)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물(W)도 일정량이 수집부(112)로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물(W)은 유출유(OS)와의 밀도 차에 의해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도 12 참조)
여기서 예인선(10)의 예인 가속도에 의해 수집부(112)에 유입된 유출유(OS) 및 물(W)은 예인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관성 가속도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는 거름필터(160)에 대한 투과압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수집부(112)에 유입된 물(W)은 거름필터(160)를 통과하여 수집부(112)의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예인선(10)이 가속도 운동을 하게 되면, 수집부(112)에 수용된 물(W)은 관성 가속도에 의한 투과압에 의해 거름필터(160)를 거쳐 외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연결대(120)는 한 쌍의 펜스부(114)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예인선(10)과 줄로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한 쌍의 펜스부(114) 단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한 쌍의 펜스부(114) 단부에 고정된 고리형태의 연결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대(120)는, 예인선(10)의 예인시 물로 인한 저항에 따라 펜스부(114)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저항판(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7에서처럼, 2대의 예인선(10)으로 각각 펜스부(114)를 예인하는 경우가 아닌 1대의 예인선(10)으로 한 쌍의 펜스부(114)를 각각 줄로 예인하는 경우, 펜스부(114)가 오므려지지 않도록 하여 많은 양의 유출유(OS)가 몸체(11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항판(122)은 예인시 물에 의한 저항을 넓은 면적에서 받을 수 있도록, 사각형의 판재형태로 이루어지되, 한 쌍의 펜스부(114)가 이루는 각도보다 외측으로 더 꺾인 각도로 펜스부(114) 단부에 각각 장착된다.
넘침방지부(130)는, 구획부(116)의 상하방향 길이(H2)의 증대를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예인선(10)의 예인 및 펜스부(114)의 안내에 따라 구획부(116) 쪽에 누적적으로 모인 유출유(OS)가 몸체(110) 외측으로 넘치지 않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수집부(112)와 펜스부(114)가 연결되는 양측 영역에서 각각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획부(116)의 상하방향 길이(H2)를 넘침방지부(130)의 높이에 비례하여 증대할 수 있게 되면, 누적적으로 적층된 유출유(OS) 및 그 하단의 물(W) 중에서 상단부 쪽의 유출유(OS)만이 구획부(116)를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유출유(OS) 하단의 물(W)이 수집부(112)에 최소한으로 유입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넘침방지부(130, 높이 H)는, 구획부(116)의 상하방향 길이(H2)가 수집부(112)의 상하방향 길이(H1)와 같거나 크다고 할 때, 구획부(116)의 상하방향 길이(H2)보다 크게 돌출형성되되, 수집부(112)와 펜스부(114)의 단부로 갈수록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 내지 형상의 넘침방지부(130)를 통해 구획부(116) 쪽에 누적적으로 적층된 유출유(OS)의 넘침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보다 적은 양의 물(W)이 수집부(112)에 유입됨에 따라 유출유(OS)의 방제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넘침방지부(130)는 주변의 수집부(112)와 펜스부(114)까지 확장될 수 있다. 즉, 수집부(112)에는 수집부(112)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넘침방지체(1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펜스부(114)에는 펜스부(114)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넘침방지체(134)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넘침방지체(132)는, 수집부(112)의 상면에서 수집부(112)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집부(112)의 단면 중 내측 상방에 위치한 사분원(四分圓) 상에서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제1 넘침방지체(132)는 수집부(112)를 이루는 에어튜브(또는 발포합성수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수집부(112)에 열융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또는 벨크로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넘침방지체(134)는, 펜스부(114)의 상면에서 한 쌍의 펜스부(114)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펜스부(114)의 단면 중 서로 마주보는 쪽 상방에 위치한 사분원(四分圓) 상에서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제2 넘침방지체(134)는 제1 넘침방지체(132)와 마찬가지로, 펜스부(114)를 이루는 에어튜브(또는 발포합성수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수집부(112)에 열융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또는 벨크로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확장 형성된 제1,2 넘침방지체(132,134)를 통해 몸체(110) 전체에서 유출유(OS)의 넘침이 방지됨에 따라 유출유(OS)의 방제효율은 더욱 중첩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펜스부(11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펜스부(114) 사이에 걸쳐 형성되되, 펜스부(114)에 탈부착되거나 펜스부(114)와 일체로 제작되는 튐방지덮개(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튐방지덮개(136)는 예인선(10)의 예인에 의해 구획부(116) 앞에서 수면 위로 튀는 유출유(OS)가 몸체(110) 외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한 쌍의 펜스부(114)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넘침방지체(134) 및 제1 넘침방지체(132)와 마찬가지로, 튐방지덮개(136)는 수집부(112)(또는 펜스부(114))를 이루는 에어튜브(또는 발포합성수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수집부(112)에 열융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또는 벨크로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튐방지덮개(136)는 상술한 넘침방지부(130), 제1 넘침방지체(132) 및 제2 넘침방지체(134)와 함께 몸체(110) 내측으로 유입된 유출유(OS)가 외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전방위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몸체(110)에는, 한 쌍의 펜스부(114) 및 구획부(116)의 하단에서 수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수면에 잠기는 물막이격벽(11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물막이격벽(118)은, 부유중인 유출유(OS)가 한 쌍의 펜스부(114)와 구획부(116)의 아래쪽을 통해 빠져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출유(OS)의 방제효율을 더욱 증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물막이격벽(118)의 아래쪽에는, 물막이격벽(118)의 하단과 연결되되 그 하단에 무게추(152)를 갖는 펜스형그물(1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펜스형그물(150)은 유출유(OS)와 함께 해상에 부유하고 있는 이물질, 쓰레기 등을 유출유(OS) 회수와 함께 손쉽게 수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무게추(152)는, 예인시 몸체(110)가 수면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펜스형그물(150)이 수심을 향해 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중량물인 와이어로 제작되되, 펜스형그물(150)의 상단부(152a) 및 하단부(152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이러한 와이어 형태의 무게추(152)는 펜스형그물(150)의 형태 유지성에 기여함은 물론, 어렵지 않게 휘어지기 때문에 펜스형그물(150)의 보관, 설치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와이어는 중량물이고 내부식성인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펜스형그물(150)의 상,하단부 모두에 설치되는 경우 하단 와이어(152b)가 상단 와이어(152a) 보다 무거운 중량물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물막이격벽(118)과 펜스형그물(150) 간의 연결은, 물막이격벽(118)을 따라 형성된 체결공과 펜스형그물(150) 간을 카라비너(154) 또는 후크형 고리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며, 이는 기름유출 현장에서 물막이격벽(118)과 펜스형그물(150) 간의 신속하고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112)의 테두리를 이루는 에어튜브의 내부공간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내부격벽(112a)이 더 형성되고, 펜스부(114)와 연결되는 쪽의 양단부에 각각 에어밸브(113)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집부(112)의 내부격벽(112a)구조와 에어밸브(113)의 배치는, 내부격벽(112a)을 기준으로 수집부(112)의 에어튜브 어느 한 측에 구멍이 나거나 찢어지더라도 나머지 한 측의 에어튜브를 통해 수집부(112)가 수면 위에 계속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펜스분체(114a,114b)에 의해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100)는, 펜스분체(114a,114b) 각각에 형성된 에어밸브(113)를 통해 여러 번 에어를 주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제4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100)는, 펜스분체(114a,114b) 각각에 형성된 에어밸브(113)에 동시에 연결되어 한 번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에어공급관(170)이 더 구비된다.
에어공급관(170)은, 에어호스(172)와, 양단에 형성되어 에어호스(172) 간을 연결하는 커플러(174) 및 에어호스(172)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밸브(113)에 탈착 결합하는 밸브연결구(1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에어공급관(170)이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연결되면, 펜스분체(114a,114b) 복수 개에 대하여 동시에 에어가 주입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초기 유출유방제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사용상태처럼,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100)는, 사고로 인해 전복되거나 넘어진 유조차(12)로부터 배출되는 유출유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수집부(112) 쪽으로 유출유가 수용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펜스부(114)는, 양단부에 선체(12)와 접촉하는 선체접촉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체접촉부(115)는 유조차 사고로 인해 유조차(12)로부터 기름이 유출되는 경우, 기름이 주변 지면으로 확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용도로도 본 발명을 활용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유조차(12)의 표면과 원활한 접촉을 위해 납작한 판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선체접촉부(115)는 기름 유출 유조차(11)와의 신속하고 용이한 접착을 위해 내부에 영구자석(115a)이 내장되거나 일면에 영구자석(115a)이 부착 내지 결합된다. 아울러 한 쌍의 펜스부(114) 사이에는, 유출유(OS)가 지면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스크린(119)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바닥스크린(119)은, 열융착 방식 또는 벨크로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한 쌍의 펜스부(114)의 하단면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사고 유조차(12)로부터의 기름유출 방지는, 유조차(12)로부터 유출유(OS)가 배출되는 지점을 가운데에 두고 몸체(110)가 둘러쌀 수 있도록 펜스부(114)를 위치시킨 후, 영구자석(115a)이 내장된 선체접촉부(115)가 자력에 의해 유조차(12) 양측에 접착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선체접촉부(115)는 수집부(112)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유조선(12)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바닥스크린(119)을 따라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수집부(12)에 모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집부(112)에 모이는 유출유(OS)의 흐름이 구획부(116)에 의해 저지되지 않도록, 지퍼형 패스너(116a)를 통해 구획부(116)의 상하방향 길이(H2)를 최대한 작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OS: 유출유 W: 물
10: 예인선 11: 선체
12: 유조차
100: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110: 몸체 111: 바닥면
112: 수집부 113: 에버밸브
114: 펜스부 114a,114b: 펜스분체
115: 선체접촉부 115a: 영구자석
116: 구획부 116a: 지퍼형 패스너
118: 물막이격벽 119: 바닥스크린
120: 연결대 122: 저항판
130: 넘침방지부 132: 제1 넘침방지체
134: 제2 넘침방지체 136: 튐방지덮개
140: 힌지부 142: 힌지공
144: 힌지축 145: 끼움부
146: 끼움홈 147: 제1 연결부
148: 제2 연결부 149: 체결고리
149a: 스트랩 150: 펜스형그물
152: 무게추 152a: 상단 와이어
152b: 하단 와이어 154: 카라비너 또는 후크형 고리
160: 거름필터 162: 상부하우징
64: 하부하우징 166: 거름막
170: 에어공급관 172: 에어호스
174: 커플러 176: 밸브연결구

Claims (12)

  1. 수면에 부유하는 유출유를 걷어내도록, 예인선에 의해 운용되는 유출유 제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을 구비하고 소정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양단부에서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펜스부와, 밀도차로 인해 수면 위에 부유하는 유출유가 예인선의 예인 및 상기 펜스부의 안내에 따라 누적적으로 적층되면서 부유중인 유출유만이 선택적으로 타고 넘어 상기 수집부에 회수되도록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의 연결면 양측 사이에 수직한 격벽형태로 구비되는 구획부로 이루어져 수면에 부유하는 몸체; 및
    한 쌍의 상기 펜스부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예인선과 줄로 연결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예인선의 예인 및 상기 펜스부의 안내에 따라 상기 구획부 쪽에 모인 유출유가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가 연결되는 양측 영역의 외측으로 넘치지 않고 상기 수집부로 유도되도록,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가 연결되는 각 영역에서 상향으로 상기 구획부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크게 돌출형성된 넘침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예인선의 예인에 의해 수면 위로 튀는 유출유가 상기 몸체 외측으로 유실되지 않고 상기 수집부로 유도되도록, 상기 넘침방지부와 인접한 한 쌍의 상기 펜스부 사이에 걸쳐 형성되되 상기 펜스부에 탈부착되거나 상기 펜스부와 일체로 제작되는 튐방지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넘침방지부는,
    상기 구획부의 상하방향 길이(H2)가 상기 수집부의 상하방향 길이(H1)와 같거나 크다고 할 때, 상기 구획부의 상하방향 길이(H2)보다 크게 돌출형성되되,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의 단부로 갈수록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펜스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펜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펜스분체가 서로 연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펜스분체의 일단부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펜스분체의 타단부는 상기 끼움부와 끼움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펜스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펜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펜스분체가 서로 연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펜스분체의 일단부는 납작하게 접혀 판형상을 이루는 제1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펜스분체의 타단부는 납작하게 접혀 판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연결부와 밀착결합되는 제2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분체의 양단부에는,
    인접한 상기 펜스분체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스트랩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고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와 상기 펜스부는,
    상기 수집부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넘침방지체와, 상기 펜스부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넘침방지체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넘침방지체는, 상기 수집부의 상면에서 상기 수집부의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 넘침방지체는, 상기 펜스부의 상면에서 한 쌍의 상기 펜스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선체로부터 유출유가 배출되는 지점을 둘러싸 유출유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상기 선체와 접촉하는 선체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체접촉부는,
    내부에 영구자석이 내장되거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부유중인 유출유가 한 쌍의 상기 펜스부와 상기 구획부의 아래쪽을 통해 빠져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펜스부 및 상기 구획부의 하단에서 수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수면에 잠기는 물막이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물막이격벽과 연결되는 무게추를 갖는 펜스형그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막이격벽과 상기 펜스형그물은,
    상기 물막이격벽을 따라 이격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펜스형그물 간을 카라비너 또는 후크형 고리로 연결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중량물인 와이어로 이루어져 상기 펜스형그물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예인선의 예인시 저항에 의해 상기 펜스부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저항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12. 삭제
KR1020160054614A 2016-05-03 2016-05-03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KR101690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14A KR101690180B1 (ko) 2016-05-03 2016-05-03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PCT/KR2017/003161 WO2017191898A1 (ko) 2016-05-03 2017-03-24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14A KR101690180B1 (ko) 2016-05-03 2016-05-03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897A Division KR101690680B1 (ko) 2016-11-16 2016-11-16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180B1 true KR101690180B1 (ko) 2016-12-27
KR101690180B9 KR101690180B9 (ko) 2022-06-07

Family

ID=5773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614A KR101690180B1 (ko) 2016-05-03 2016-05-03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0180B1 (ko)
WO (1) WO2017191898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0116A (zh) * 2018-10-25 2019-02-01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漂流视觉增强水帘
KR102019420B1 (ko) * 2018-09-28 2019-09-11 대한민국 선박용 기름 포집 장치
KR20200063394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KR20200063393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유출유 포집 장치
KR20210053501A (ko) * 2019-11-04 2021-05-12 (주)코아이 무인 이동체와 연동되어 유출유를 회수하는 유출유 회수 장치
KR20210053500A (ko) * 2019-11-04 2021-05-12 (주)코아이 유출유 탐색 및 회수 장치
KR20210072556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이송 배관 장치
KR20210072593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내부 이송 장치
KR20210072585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유출유 회수용 견인 및 조인트 접속 장치
KR102332673B1 (ko) * 2021-03-16 2021-12-01 장운성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
KR20220068360A (ko) 2020-11-19 2022-05-26 (주)코아이 밀도차와 본체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힘에 의해 유수분리하는 이동식 유회수기
KR20220069133A (ko) 2020-11-19 2022-05-27 (주)코아이 하이드로 포일 운항 장치에서 제공되는 동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유회수기
KR20220096289A (ko) 2020-12-30 2022-07-07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7786A (ja) * 1991-02-12 1992-09-11 Sadaichi Kato 流出油類の緊急回収方法
JP2000505763A (ja) * 1997-06-16 2000-05-16 ボク ジュン キム 油回収装置及び回収方法
KR20100127535A (ko) * 2009-05-26 2010-1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119492B1 (ko) * 2010-07-02 2012-02-28 한경득 부유식 기름 회수시스템
KR101261242B1 (ko) 2011-07-30 2013-05-07 장운성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821A (ko) * 2013-11-20 2015-05-28 장운성 이중 튜브 구조의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7786A (ja) * 1991-02-12 1992-09-11 Sadaichi Kato 流出油類の緊急回収方法
JP2000505763A (ja) * 1997-06-16 2000-05-16 ボク ジュン キム 油回収装置及び回収方法
KR20100127535A (ko) * 2009-05-26 2010-1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의 오염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119492B1 (ko) * 2010-07-02 2012-02-28 한경득 부유식 기름 회수시스템
KR101261242B1 (ko) 2011-07-30 2013-05-07 장운성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420B1 (ko) * 2018-09-28 2019-09-11 대한민국 선박용 기름 포집 장치
CN109290116A (zh) * 2018-10-25 2019-02-01 华强方特(芜湖)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漂流视觉增强水帘
KR20200063394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KR20200063393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유출유 포집 장치
KR102227222B1 (ko) * 2018-11-27 2021-03-15 (주)코아이 유출유 포집 장치
KR102294363B1 (ko) 2019-11-04 2021-08-26 (주)코아이 유출유 탐색 및 회수 장치
KR20210053501A (ko) * 2019-11-04 2021-05-12 (주)코아이 무인 이동체와 연동되어 유출유를 회수하는 유출유 회수 장치
KR102294365B1 (ko) 2019-11-04 2021-08-26 (주)코아이 무인 이동체와 연동되어 유출유를 회수하는 유출유 회수 장치
KR20210053500A (ko) * 2019-11-04 2021-05-12 (주)코아이 유출유 탐색 및 회수 장치
KR20210072556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이송 배관 장치
KR20210072593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내부 이송 장치
KR20210072585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유출유 회수용 견인 및 조인트 접속 장치
KR20220069133A (ko) 2020-11-19 2022-05-27 (주)코아이 하이드로 포일 운항 장치에서 제공되는 동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유회수기
KR20220068360A (ko) 2020-11-19 2022-05-26 (주)코아이 밀도차와 본체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힘에 의해 유수분리하는 이동식 유회수기
KR20220096289A (ko) 2020-12-30 2022-07-07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KR102332673B1 (ko) * 2021-03-16 2021-12-01 장운성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
WO2022197008A1 (ko) * 2021-03-16 2022-09-22 장운성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KR20220129453A (ko) * 2021-03-16 2022-09-23 장운성 해파리 차단장치
KR20220129452A (ko) * 2021-03-16 2022-09-23 장운성 오일펜스
KR102457093B1 (ko) * 2021-03-16 2022-10-19 장운성 해파리 차단장치
KR102457092B1 (ko) * 2021-03-16 2022-10-19 장운성 오일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1898A1 (ko) 2017-11-09
KR101690180B9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180B1 (ko)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KR101690680B1 (ko)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US4388188A (en) Oil spill recovery means
US5688075A (en) Boom system
US3537587A (en) Flexible filtration boom
AU20112802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ptive boom
RU22663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держания разливов нефти
WO20070126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regionally confining blue-green algae
KR102457092B1 (ko) 오일펜스
KR200374610Y1 (ko) 유출유 회수 네트
US8449768B2 (en) Automatic tilting oil skimmer frame
US4078513A (en) Tow plate for floating boom
US9011680B2 (en) Oil boom
KR101346006B1 (ko) 수면 부유시설 보호구조물
US9120034B1 (en) Self-adjusting gravity separator and a method of using
GB2246981A (en) Oil spill barrier of air bubbles; Tubes
KR200376715Y1 (ko)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JP2000328548A (ja) オイルフェンス
JP4192247B2 (ja) 水上浮遊物回収装置
KR102019420B1 (ko) 선박용 기름 포집 장치
WO2011087368A1 (en) Sweeper for collecting impurities at sea
US20040197149A1 (en) Boom system for water filtration in shallow water
JP2008174985A (ja) 氷海域における油回収方法
JP2008174949A (ja) 氷海域における油回収方法
JPH10259607A (ja) オイル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5000011;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20121

Effective date: 2022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