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610Y1 - 유출유 회수 네트 - Google Patents

유출유 회수 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610Y1
KR200374610Y1 KR20-2004-0029720U KR20040029720U KR200374610Y1 KR 200374610 Y1 KR200374610 Y1 KR 200374610Y1 KR 20040029720 U KR20040029720 U KR 20040029720U KR 200374610 Y1 KR200374610 Y1 KR 200374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oil
net
collec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김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호 filed Critical 김창호
Priority to KR20-2004-0029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6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해양에 부유하는 고점도의 유출유(200)를 회수하는 유출유 회수 네트(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입구(113)와 출구(114)가 형성되어 유출유(200)가 포집되는 배관형의 포집망(110)과,
상기 포집망(110)의 입구(113) 좌우측에 연결되어, 유출유(200)의 확산을 방지하고 상기 포집망(110)으로 유출유(200)를 유도하는 좌측망(120) 및 우측망(130)과,
포집망(110)의 출구(114)에 연결되어 유출유(200)를 최종적으로 수거하는 자루 모양의 수거망(140)으로 구성함으로써,
저가(低價)이고, 보관이 용이하여 개인이 용이하게 보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고 현장에 신속한 투입이 가능하고, 적은 방제 비용과 인력으로도 신속하게 방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유출유 회수 네트(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출유 회수 네트 {Net for oill-spill clean up on the sea}
본 고안은 유출유 회수 네트(流出油回收 NE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어선 및 함정 등의 선체(船體)로도 용이하게 유출유의 회수가 신속하게 가능하도록 구성한 유출유 회수 네트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는 제6위의 석유 수입국으로서 석유의 소비와 유류 물동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해양 사고도 증가 일로에 있다. 그 중에서도 유조선 또는 일반 선박 끼리의 충돌 사고나 선체의 자체 결함으로 인한 누유(漏油) 사고로 말미암은 해양 오염은 심각한 상황이다.
상기 누유로 인한 해양 오염은 해양의 생태계를 파괴함으로써 어족 자원의 소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양어장 또는 양식장의 괴멸을 초래하여 수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아름다운 관광 자원을 해침으로써 관광 산업에도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해양 오염을 초래하는 유출유는 B-C, MF-120, MF-180, 중질성 원유 등으로서 유출된 후 중력 및 중량에 의하여 일정한 두께까지 퍼진 후, 고점도(高粘度, 100,000 cSt 이상) 상태가 되어 더 이상 확산, 증발되지 않고, 덩어리 상태로 해면에 부상하며 흑색 유괴(油塊) 상태가 되어 해양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이러한 유출유의 방제 작업으로는 유출유 회수선을 이용한 방법과 흡착재를 사용한 방법 및 뜰채를 동원한 방법 등이 있다.
유출유 회수선을 이용한 방법은 유출유 회수기가 구비된 유출유 회수선을 이용하여 해면에 부유하는 고점도의 유출유를 수거하여 내부에 내장된 탱크에 집유(集油)하여 방제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유출유 회수선은 고가이어서, 공공 기관이 아니면 보유할 수 없는 실정이어서, 신속하게 사고 현장에 투입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양어장이나 양식장이 유출유에 오염된 후에, 유출유 회수선이 투입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주로 대형의 선체로 구성함으로써 근해 및 연안에서의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펌핑(pumping)에 의해 유출유를 회수하는 방식이어서, 고점도일 경우, 회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흡착재는 섬유질로 구성되어 유출유를 흡수하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사고 현장에 흡착재를 던져서 유출유를 흡수하도록 한 후, 다시 건져 올려 유출유를 방제하게 된다.
그런데, 유출유의 고점도가 진행됨에 따라 흡착재의 흡수율은 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흡수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투입과 수거에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며, 방제 비용이 많이 소유된다.
뜰채는 잠자리채 형상으로 생긴 것으로서, 고점도의 유출유를 일일이 떠 올려서 방제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도 역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고, 많은 소요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저가일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여 개인이 용이하게 보유할 수 있어, 사고 현장에 신속하게 투입 가능하고, 적은 방제 비용과 적은 인력으로도 신속하게 방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유출유 회수 네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네트의 포집망과 수거망의 결합 전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네트의 포집망과 수거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네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0: 포집망 111: 배관형 그물
112, 116, 122, 132: 부이 115: 바
117: 링 120: 좌측망
121, 131: 팬스형 그물 123, 133: 추
130: 우측망 140: 수거망
141: 자루형 그물 143: 결속끈
200: 유출유 300: 예인선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네트의 포집망과 수거망의 결합 전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네트의 포집망과 수거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네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해양 사고로 말미암아 유출유(200)가 누유될 경우, 심각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데, 이러한 누유 사고를 방제하기 위하여 유출유 회수선, 흡착재, 뜰채 등을 동원하여 방제 작업에 임하고 있지만, 신속한 현장 투입이 어렵고, 많은 방제 비용과 많은 인력의 동원이 필요함으로써 효과적인 방제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저가이고, 보관이 용이하여 누구나 보유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투입이 가능하고, 적은 비용과 인력으로도 방제가 가능하도록 고안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전반적으로 그물로서 고점도의 유출유(200)를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데, 구성을 살펴보면,
입구(113)와 출구(114)가 형성되어 유출유(200)가 포집되는 배관형의 포집망(110)과, 상기 포집망(110)의 입구(113) 좌우측에 연결되어 유출유(200)의 확산을 차단하며, 상기 포집망(110)으로 유도하는 좌측망(120) 및 우측망(130)과, 상기 포집망(110)의 출구(114)에 연결되어 유출유(200)를 최종적으로 수거하는 수거망(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포집망(110)은 배관형 그물(111)로 형성되고, 상면이 해면에 부유하여 접하도록 다수 개의 부이(112)를 고정하며, 입구(113) 부분이 찌그러지지 않고, 입구(113)의 상면이 해면에 부유하도록 하여 유출유(200)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 부이(116)가 양측에 장착된 바(115, bar)를 입구(113) 상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자루 모양인 수거망(140)의 결합을 위해서 포집망(110)의 출구(114) 부분에는 링(117)을 고정하며, 상기 링(117)은 스테인레스 재질 등 내식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유출유(200)의 확산을 방지하여 포집망(110)으로 유출유(200)를 유도하기 위해 포집망(110)의 입구(113) 좌측과 우측에 울타리 모양의 팬스형 그물(121, 131)로 구비된 좌측망(120) 및 우측망(13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망(120)과 우측망(130)의 상단이 해면에 부유하여 접하도록 상기 상단에 다수 개의 부이(122, 132)를 고정하는 데, 일례로 막대형의 부이와 원통형의 부이(품명: TF-1) 등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망(120)과 우측망(130)이 해양에서 수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하단에 다수 개의 추(123, 133)를 구비한다. 따라서 해면에서 하부로 차단하는 울타리 모양의 좌측망(120)과 우측망(130)이 가능하다.
상기 포집망(110)을 통과한 유출유(200)를 최종적으로 수거하기 위해 자루형 그물(141)로 구비된 수거망(140)을 포집망(110)의 출구(114) 부분에 고정한다.
상기 수거망(140)은 자루형 그물(141)로 구비되며,상기 수거망(140)의 입구(142) 부분에 결속끈(143)이 구비되어 죌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거망(140) 내부로 포집망(110)의 출구(114) 부분을 내입시킨 후, 상기 결속끈(143)을 묶게 되면, 상기 포집망(110)의 출구(114) 부분에 고정된 링(117)이 결속끈(143)에 의해 죄어진 수거망(140)의 입구(142) 보다 큼으로써 포집망(110)의 출구(114) 부분은 수거망(140)을 벗어날 수 없게 되어, 포집망(110)과 수거망(140)의 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유출유(200)가 충전된 수거망(140)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수거망(140)에 회수줄(145)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좌측망(120)과 우측망(130)을 예인하는 두 대의 예인선(300) 중 한 대는 일측망을 예인함과 동시에 상기 회수줄(145)을 이용해 수거망(140)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수거망(140) 근방에서 예인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좌측망(120)과 우측망(130) 중 일측망은 상대망보다 짧게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유출유 회수 네트(100)를 해양에 던지게 되면, 좌측망(120)과 우측망(130)은 울타리 형상이 되어 해양의 상면과 그 하방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배관형의 포집망(110)은 상면이 해면에 접하여 부유하게 된다.
이러한 유출유 회수 네트(100)에 있어서, 좌측망(120)과 우측망(130)을 각각 예인선(300)에 결속한 후, 좌측망(120)과 우측망(130)이 J형상이 되도록 예인하여 좌측망(120)과 우측망(130) 사이에 부유하는 고점도의 유출유(200)가 들어오도록 한다.
이 때, 좌측망(120)과 우측망(130) 중 일측망이 짧으므로 일측 예인선(300)은 수거망(140) 근방에서 상대 예인선(300)을 따라가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예인선(300)을 전진시키면, 유출유(200)는 더 이상 확산되지 않고, 포집망(110)을 거쳐 수거망(140)에 최종적으로 수거된다.
상기 수거망(140)이 가득 차게 되면, 수거망(140) 근방의 예인선(300)에서 회수줄(145)을 당겨 수거망(140)을 회수한 후, 수거망(140)을 포집망(110)으로부터 분리하여 유출유(200)를 예인선(300) 내부에 구비된 수거 탱크에 버린 후, 다시 포집망(110)에 연결하여 유출유(200) 회수 작업에 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네트(100)의 경우, 가격이 저렴한 요소로 구비됨으로써, 수산업에 종사하는 관계자라면 누구든지 보유할 수 있게 되고, 전반적으로 그물로 구성되어 압축하면 적은 부피가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어선, 경비정 등 크기에 관계없이 어떤 배라도 예인선(300)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출유(200)가 누유되는 사고가 발생할 시, 근방의 수산업 관계자가 신속하게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배로써 방제 작업에 임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그리고, 적은 인력과 비용으로도 방제 작업이 가능하고, 신속하게 유출유(200)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작은 배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근해 및 연안에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유출유(200)를 회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저가(低價)이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비되어 누구든지 보유 가능함으로써 신속하게 사고 현장에 투입이 가능하고, 소형선으로도 작업일 가능하여 근해 및 연안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고, 적은 인력과 비용으로 신속하게 고점도의 유출유를 회수할 수 있어, 해양 오염으로부터 수산 자원 및 관광 자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해양에 부유하는 고점도의 유출유(200)를 회수하는 유출유 회수 네트(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입구(113)와 출구(114)가 형성되어 유출유(200)가 포집되는 배관형의 포집망(110)과,
    상기 포집망(110)의 입구(113) 좌우측에 연결되어, 유출유(200)의 확산을 방지하고 상기 포집망(110)으로 유출유(200)를 유도하는 좌측망(120) 및 우측망(130)과,
    상기 포집망(110)의 출구(114)에 연결되어 유출유(200)를 최종적으로 수거하는 자루 모양의 수거망(140)으로 구성하고;
    상기 포집망(110)은 유출유(200)가 포집되도록 배관형으로 구비하는 배관형 그물(111)과,
    상기 배관형 그물(111)의 상면이 해면에 접하여 부유하도록 상기 상면에 고정하는 다수 개의 부이(112)와,
    상기 배관형 그물(111)의 입구(113) 상면이 해면에 부유하며 원활하게 유출유(200)가 유입되도록 상기 입구(113) 상면에 고정하는 바(115) 및 상기 바(115)에 고정하는 부이(116)와,
    상기 포집망(110)의 출구(114) 부분에 수거망(140)의 결합을 위해 출구(114) 부분에 고정하는 링(117)으로 구성하고;
    상기 좌측망(120) 및 우측망(130)은 유출유(200)의 확산 방지와 포집망(110)으로의 유입을 위해 울타리 모양으로 구비한 팬스형 그물(121, 131)과,
    상기 팬스형 그물(121, 131)이 해양에 부유하도록 팬스형 그물(121, 131)의 상부에 고정하는 다수 개의 부이(122, 132)와,
    상기 팬스형 그물(121, 131)이 울타리 모양으로 수직으로 형성하도록 팬스형 그물(121, 131) 하부에 구비하는 다수 개의 추(123, 133)로 구성하고;
    상기 수거망(140)은 유출유(200)의 최종 수거를 위해 자루형 그물(141)과,
    상기 자루형 그물(141)의 입구(142)를 죌 수 있도록 상기 입구(142)에 구비되는 결속끈(143)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 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망(120) 및 우측망(130) 중 일측망은 수거망(140)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짧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 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망(140)의 회수를 용이하도록 수거망(140)에 회수줄(1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 네트.
KR20-2004-0029720U 2004-10-21 2004-10-21 유출유 회수 네트 KR200374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20U KR200374610Y1 (ko) 2004-10-21 2004-10-21 유출유 회수 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20U KR200374610Y1 (ko) 2004-10-21 2004-10-21 유출유 회수 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610Y1 true KR200374610Y1 (ko) 2005-01-31

Family

ID=4935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720U KR200374610Y1 (ko) 2004-10-21 2004-10-21 유출유 회수 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610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36Y1 (ko) * 2010-04-28 2010-09-07 황민선 침몰선박 위치확인 및 구명 기능을 갖는 부표장치
CN109295945A (zh) * 2018-11-19 2019-02-01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河道保洁船用下沉式前采收装置
KR20200063393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유출유 포집 장치
KR20200063394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KR102255703B1 (ko) * 2019-12-20 2021-05-25 박세종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KR20210072585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유출유 회수용 견인 및 조인트 접속 장치
KR20210072556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이송 배관 장치
KR20210072593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내부 이송 장치
KR20220068360A (ko) 2020-11-19 2022-05-26 (주)코아이 밀도차와 본체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힘에 의해 유수분리하는 이동식 유회수기
KR20220069133A (ko) 2020-11-19 2022-05-27 (주)코아이 하이드로 포일 운항 장치에서 제공되는 동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유회수기
KR20220096289A (ko) 2020-12-30 2022-07-07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36Y1 (ko) * 2010-04-28 2010-09-07 황민선 침몰선박 위치확인 및 구명 기능을 갖는 부표장치
CN109295945A (zh) * 2018-11-19 2019-02-01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河道保洁船用下沉式前采收装置
KR20200063393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유출유 포집 장치
KR20200063394A (ko) 2018-11-27 2020-06-05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KR20210072585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유출유 회수용 견인 및 조인트 접속 장치
KR20210072556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이송 배관 장치
KR20210072593A (ko) 2019-12-09 2021-06-17 (주)코아이 회수유 내부 이송 장치
KR102255703B1 (ko) * 2019-12-20 2021-05-25 박세종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KR20220068360A (ko) 2020-11-19 2022-05-26 (주)코아이 밀도차와 본체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힘에 의해 유수분리하는 이동식 유회수기
KR20220069133A (ko) 2020-11-19 2022-05-27 (주)코아이 하이드로 포일 운항 장치에서 제공되는 동력으로 이동하는 이동식 유회수기
KR20220096289A (ko) 2020-12-30 2022-07-07 (주)코아이 회수유 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4519B1 (en) Systems for ameliorating aqueous hydrocarbon spills
KR100927474B1 (ko)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KR200374610Y1 (ko) 유출유 회수 네트
US8025460B2 (en) Ocean oil spill and contaminated sea ice containment, separation and removal system
US4133765A (en) Device for retrieving floating pollutants on surface water
Fingas Physical spill countermeasures
TWM400492U (en) Floating device for blocking woods and contaminants in dam, water outlet, weir or offshore fishery area
KR200377428Y1 (ko) 유출유 회수 네트
KR102457092B1 (ko) 오일펜스
KR102220708B1 (ko) 회수유 저장 장치
KR20150057821A (ko) 이중 튜브 구조의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
AU2011226899A1 (en) Removing oil from the surface of a body of water
US20120087730A1 (en) Sorbent boom
CN201103117Y (zh) 液面拖污网
GB2074887A (en) Oil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JPH04266588A (ja) 浮遊原油回収船
DE10323556B4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m Auffangen von unter Wasser austretenden Medien
US20130193040A1 (en) Systems for automated capture and recovery of oil from oil-contaminated water and solids
RU2797093C1 (ru) Метод ликвидации последствий аварийных разливов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в районах разработки нефтегазовых месторождений на морском мелководном шельфе
Guide US Coast Guard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CN103158840A (zh) 一种清理油污的方法
DE102012018810B4 (de) Siebcontainer und Verfahren zur Entmüllung von Gewässern und Ozeanen
PASCHEN et al. Biodegradable oil binding agents–a new approach for air based oil spill response at sea
JPH0390494A (ja) 海面の石油の緊急無限回収方法
GM US Coast Guard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