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453A - 해파리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해파리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453A
KR20220129453A KR1020210163519A KR20210163519A KR20220129453A KR 20220129453 A KR20220129453 A KR 20220129453A KR 1020210163519 A KR1020210163519 A KR 1020210163519A KR 20210163519 A KR20210163519 A KR 20210163519A KR 20220129453 A KR20220129453 A KR 20220129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fence
tube
water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093B1 (ko
Inventor
장운성
Original Assignee
장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운성 filed Critical 장운성
Priority to KR102021016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0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는, 해수 또는 하천에 부유하는 각종 부유물을 수거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거장치로서,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절곡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튜브몸체;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튜브몸체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한 쌍의 막대형 튜브펜스; 및 상기 튜브몸체의 내측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펜스 사이로 유입되며 상기 개구를 향해 수렴하는 수류에서 유출유를 걸러내어 저장하고 물을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유수분리필터가 구비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인선으로 견인되는 경우, 넓은 영역의 해상이나 하천에 부유하는 유출유, 이물질, 쓰레기 등과 같은 다양한 부유물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수거처리가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해상이나 하천에서 중량물인 물은 배출하고 부유물만을 분리한 후 저장하게 되므로 방제용량과 방제능력의 향상이 기대될 수 있으며, 여러 개를 연결하여 해상이나 하천에 고정설치하게 되면, 넓은 영역에 걸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이나 해파리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파리 차단장치{JELLYFISH 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인선에 연결하여 해상이나 하천에 부유하는 유출유 등의 다양한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고, 유출된 오일의 확산 또는 해파리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조선, 선박, 시추선 등이 암초나 폭풍에 의해 좌초되거나 선박 간 충돌로 인해 침몰되어 해상이나 하상에 기름이 다량으로 유출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때, 유출된 유출유는 고점도의 흑색 기름띠를 형성하며 오랫동안 표류하며 해수 또는 하천의 생태계를 심각하게 파괴함에 따라 어족 자원의 소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양어장 또는 양식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수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끼침은 물론, 사고의 수습을 위해 막대한 방제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유출유의 방제 작업은, 유출유 회수선과 오일펜스를 이용한 방법과 흡착재를 사용한 방법 및 뜰채를 이용한 방법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어 각각의 상황에 맞게 취사선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출유 회수선을 이용한 방법은, 별개의 오일 스키머 장치가 장착된 회수선을 통해 오일펜스 내에서 부유하는 유출유를 내부 탱크로 집유하여 방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유출유 회수선은 고가의 특수선이어서 공공기관이 아니면 보유할 수 없는 실정이고, 신속한 기동이 어려운 특수한 구조의 선체로 구성됨에 따라 사고 현장에 투입과 근해 및 연안에서의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오일펜스를 1노트 내지 2노트의 속력으로 예인하여 유출유를 제거하는 방식은, 오일펜스 내측에 모인 유출유가 오일펜스의 아래쪽을 통해 외부로 유실되기 쉽고, 오일펜스와 유체인 물간의 저항으로 인해 예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유출유를 흡착하는 섬유질로 이루어진 흡착재를 이용한 방식은, 유출사고 현장에 흡착재를 던져서 유출유를 흡수하도록 한 후 다시 건져 올려 유출유를 방제하게 된다.
이러한 방제방식 또한, 유출된 기름이 고점도일 경우 흡수율이 떨어지게 되고, 흡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투입과 수거에 많은 인력이 동원됨으로써 방제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뜰채를 이용한 방식은, 잠자리채 형상으로 생긴 뜰채를 사용하여 유출유를 일일이 떠올려서 방제하는 방식으로, 이 경우 또한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출유 방제방식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1242호에서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수집부, 펜스부 및 연결부로 이루어져 수면에 부유하는 몸체와, 그 외주면을 감싸는 외피와, 펜스형그물과, 연결대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의 구조는, 유수의 흐름이 빠르고 파고나 너울이 심한 수역은 물론, 연근해에도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인선의 예인에 따라 유출유의 방제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제시하는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여전히 개선이 요구되며, 꾸준한 개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먼저, 수집부와 펜스부가 연결되는 영역의 편평한 구조는, 예인선의 속도가 빠르거나 수면의 파고나 너울이 심해지면, 예인선의 예인에 의해 연결부 쪽으로 모인 유출유가 몸체 외측으로 넘쳐 유실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유출유 방제효율을 취약하게 만드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집부와 펜스부가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구조는, 수면의 파고나 너울이 심하게 되면, 수집부나 펜스부의 일부가 유출유가 부유하고 있는 수면과 밀착되지 못하고 들뜬 상태를 야기함에 따라 유출유가 이를 통해 유실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펜스부의 길이가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기름 유출지역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펜스부의 길이조절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저해함은 물론,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제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펜스부에 의해 연결부의 전면에 모인 유출유는, 물로부터 완벽히 분리된 후 유출유만이 연결부를 타고 넘어 수집부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물과 함께 수집부에 저장됨에 따라 예인작업 후 별도로 유출유만을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수집부가 쉽게 채워지게 되므로, 방제능력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방지 내지 저감할 수 있는 구조적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61242호(공고일: 2013년 05월 0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예인선에 연결하여 해상이나 하천에 부유하는 유출유 등의 다양한 부유물을 물로부터 분리하여 부유물만을 수거처리할 수 있고, 여러 개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넓은 영역에 걸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방지하는 한편, 해파리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해수 또는 하천에 부유하는 각종 부유물을 수거하는 데에 사용되는 제거장치로서,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절곡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튜브몸체;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튜브몸체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한 쌍의 막대형 튜브펜스; 및 상기 튜브몸체의 내측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펜스 사이로 유입되며 상기 개구를 향해 수렴하는 수류에서 유출유를 걸러내어 저장하고 물을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유수분리필터가 구비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거부는, 수류의 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며 상기 개구에 설치되는 경사판;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경사판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는 격자구조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향해 수렴하는 수류에서 유출유를 걸러내며 물을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상기 유수분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는,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단차를 이루며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어 걸러진 유출유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는, 상기 경사판 쪽으로 유출유의 이동을 억제하며 물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유수분리필터의 상부에 결합되고, 가이드돌기가 빗살형태로 교차배치되어 이루어진 안내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저장소 쪽으로 유출유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해, 하향경사를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는, 일단부가 상기 저장소와 연통되도록 탈착결합되어 상기 저장소에 저장된 유출유를 추가로 저장하는 자루형태의 보조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는, 유출유가 한 쌍의 상기 튜브펜스와 상기 튜브몸체의 아래쪽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상기 튜브펜스와 상기 튜브몸체의 하단에서 수심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중에 잠기는 물막이격벽; 및 상기 물막이격벽과 연결되고, 하단부에 무게추가 설치되는 펜스형그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펜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펜스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펜스분체의 일단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펜스분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펜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튜브펜스의 끝단에는, 예인선과 견인줄로 연결되는 연결대가 설치되고, 예인선의 예인시 상기 튜브펜스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물에 대한 저항을 형성하는 저항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은,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해수 또는 하천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차단하는 오일펜스로서, 복수 개로 나란히 배치된 상기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의 상기 튜브펜스를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오일펜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술한 목적은,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해수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해파리를 차단하는 해파리 차단장치로서, 복수 개로 나란히 배치된 상기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의 상기 튜브펜스를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해파리 차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술한 목적은,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해수 또는 하천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차단하는 오일펜스로서, 복수의 상기 펜스분체를 연이어 길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오일펜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술한 목적은,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해수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해파리를 차단하는 해파리 차단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펜스분체를 연이어 길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해파리 차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를 갖는 링형상으로 절곡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튜브몸체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된 한 쌍의 막대형 튜브펜스와, 튜브펜스 사이로 유입되며 개구로 수렴하는 수류에서 유출유를 걸러내어 저장하고 물을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유수분리필터가 구비된 수거부가 튜브몸체의 내측공간에 설치됨에 따라, 예인선으로 견인되는 경우, 넓은 영역의 해상이나 하천에 부유하는 유출유, 이물질, 쓰레기 등과 같은 다양한 부유물에 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수거처리가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해상이나 하천에서 중량물인 물은 배출하고 부유물만을 분리한 후 저장하게 되므로 방제용량과 방제능력의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를 연결하여 해상이나 하천에 고정설치하게 되면, 넓은 영역에 걸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이나 해파리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를 이용한 오일펜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복수의 펜스분체를 길게 연결하여 오일의 확산을 방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복수의 펜스분체를 길게 연결하여 해파리의 유입을 방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를 이용한 오일펜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복수의 펜스분체를 길게 연결하여 오일의 확산을 방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복수의 펜스분체를 길게 연결하여 해파리의 유입을 방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3개의 축은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여 바뀔 수 있으며,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이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100)는, 예인 방식으로 넓은 영역의 해상이나 하천에 부유하는 다양한 부유물(FM)(유출유, 이물질, 쓰레기 등)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거처리하는 한편, 여러 개를 연결한 후 해상이나 하천에 고정설치하는 방식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이나 해파리(JF)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몸체(110), 튜브펜스(120), 수거부(130), 보조저장소(134), 물막이격벽(150), 펜스형그물(160) 및 연결대(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튜브몸체(110)는, 해수나 하천에서 부유물(FM)을 걸러내어 저장하고 물(W)을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후술할 수거부(13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동시에 본 발명이 예인선(10)에 의해 예인(T)되거나 해수나 하천에 고정설치될 때 수면 위에 안정적으로 표류 내지 부유(浮游)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몸체(110)는, 수면 위에 부유하기 위해 물(W)보다 밀도가 작은 발포합성수지, 에어튜브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제작되고, 후술할 수거부(130)의 설치를 위해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내부에 내측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튜브몸체(110)는,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 공기의 주입으로 개구(112)된 링형상을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고, 공기의 배출로 콤팩트하게 부피를 줄여 수납이나 이동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이나 외력에 의해 변형되고 복원될 수 있는 공기 주입형 에어튜브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펜스(120)는, 상술한 튜브몸체(110)와 함께 수면에 부유하며, 해수나 하천에 부유중인 부유물(FM)을 개구(112) 쪽으로 수렴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구(112)를 형성하는 튜브몸체(110)의 양단부에 서로 벌어지는 V자 형상으로 한 쌍의 막대형 튜브가 대칭을 이루며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몸체(110)에 튜브펜스(120)가 V자 형상으로 배치됨으로 인해, 해수나 하천의 부유물(FM)은 보다 넓은 범위에서 튜브펜스(120) 사이로 유입되고, 튜브몸체(110)의 개구(112) 쪽에 인접할수록 두껍게 적층되므로, 후술할 수거부(130)를 통한 집중적인 수거처리가 가능해진다.
이때, 막대형의 튜브펜스(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합성수지나 공기 주입형 에어튜브 등을 이용하여 상술한 튜브몸체(110)와 함께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튜브펜스(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몸체(110)와 별개의 발포합성수지나 에어튜브로 제작되어 튜브몸체(110)에 끼움결합 또는 로프나 카라비너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위와 같이 튜브펜스(120)가 튜브몸체(110)와 별개로 제작되는 경우, 튜브펜스(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펜스분체(120a)가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펜스분체(120a) 간의 결합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분체(120a)의 일단부에 끼움돌기(122)를 형성하고, 펜스분체(120a)의 타단부에는 끼움돌기(122)가 삽입결합되는 끼움홈(124)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상호 연결되는 펜스분체(120a)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펜스분체(120a)에는 끈 형태의 스트랩이나 로프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고리가 각각 형성될 수 있고, 편리한 체결을 위해 스트랩 등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신속한 체결을 위해 그 양단에는 카라비너와 같은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튜브펜스(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펜스분체(120a)가 연이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튜브펜스(12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해수나 하천에 부유하는 부유물(FM)에 대한 방제가 부유물(FM)의 확산 상태 등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연결대(170)는, 예인선(10)에 의한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예인선(10)과 견인줄(12)로 연결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튜브펜스(120)의 끝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대(170)에는 하나의 예인선(10)에 의한 예인(T)시 한 쌍의 튜브펜스(120)가 견인줄(12)의 장력에 의해 오므려지지 않고,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물(W)에 대한 저항을 형성하는 저항판(17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항판(172)은, 예인(T)시 넓은 면적에서 물(W)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하기 위해 사각판 형태로 제작하고, 견인줄(12)에 복수의 고정와이어를 고정 방식으로 저항판(172)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저항판(172)의 각도조절을 통해 예인(T)시 튜브펜스(120)의 벌림각을 다양하게 변경하게 되면, 튜브펜스(120) 사이로 유입되는 부유물(FM)의 양이 조절되므로, 후술할 수거부(130)의 부유물(FM) 처리 수준에 대응한 부유물(FM)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수거부(130)는, 한 쌍의 튜브펜스(120) 사이로 유입되며 개구(112)를 향해 수렴하는 수류(水流)에서 물(W)을 제외한 부유물(FM)만을 온전히 수거하고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튜브몸체(110)의 내측공간(S)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류(水流)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예인선(10)에 의해 견인될 때, 부유물(FM)과 함께 예인속도에 비례하여 예인(T)의 반대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해수나 하천의 상대적 흐름을 말한다.
또한, 수류(水流)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서로 연결된 후 일정지역에 고정설치된 경우, 부유물(FM)과 함께 자연적으로 유동하게 되는 해수나 하천의 상대적 흐름을 말한다.
위와 같이 튜브몸체(110)의 개구(112)를 향해 수렴하는 수류에서 부유물(FM)만의 분리는, 부유물(FM)은 걸러내지만 물(W)은 아래쪽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소정의 상용화된 유수분리필터(133)를 활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부유물(FM)에 대한 상술한 유수분리필터(133)의 분리 효율을 구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거부(13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판(131), 지지판(132) 및 유수분리필터(13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판(131)은, 수류의 방향(WF)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며 개구(112)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단부는 수면 위로 노출되고 하단부는 수면과 접하거나 아래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류의 방향(WF)에 대하여 경사판(131)을 상향으로 경사배치한 이유는, 첫째 후술할 유수분리필터(133)를 수면 위에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유수분리필터(133)와 수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됨에 따라 유수분리필터(133)를 통한 물(W)의 하방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둘째, 경사판(131)을 상향으로 경사배치한 이유는, 개구(112)를 향해 수렴하는 수류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부유물(FM)을 포함한 상태로 경사판(131)을 지나 유수분리필터(133) 위를 유동하는 수류와 유수분리필터(133) 간의 접촉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유수분리필터(133)를 통한 물(W)의 하방 배출이 증대된 시간동안 다량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판(132)은, 후술할 유수분리필터(133)가 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유수분리필터(133)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경사판(131)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내측공간(S)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32)의 일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판(131)과 결합된 경우, 지지판(132)의 타단부는 후술할 저장소(134) 방향 즉, 수류의 방향(WF)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며 내측공간(S)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132)의 하향경사 구조는, 수류의 방향(WF)을 따라 유수분리필터(133) 위를 이동하는 동안 물(W)과 분리되며 걸러진 부유물(FM)이 후술할 저장소(134) 쪽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판(132)은, 유수분리필터(133)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배출된 물(W)이 수면으로 원활히 낙하되어 처리될 수 있도록 격자형태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프레임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유수분리필터(133)는, 지지판(132)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112)를 향해 수렴하는 수류에서 부유물(FM)을 걸러내며 물(W)을 아래쪽으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시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수분리필터(133)는, 나노기공구조를 갖도록 방직된 천 또는 부직포를 친수발유(물(W)은 흡수하여 반대쪽으로 통과시키고, 기름은 밀어내어 투과를 허용하지 않음)의 성질을 갖도록 코팅 처리한 상용화된 제품이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소재, 물리적 특성, 제조방법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수분리필터(133)는, 이물질, 쓰레기 등과 같은 각종 부유물(FM)의 수거 용도로도 사용가능하고, 실리콘 오일부터 원유까지 다양한 점도의 기름 즉, 유출유를 여과하는데에 특화된 상용품으로, 청수인더스트리(주)에서 제작 판매중인 오일필터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나 제조방법 등은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유수분리필터(133)의 가장자리와 유수분리필터(133)가 설치되는 지지판(132) 또는 튜브몸체(110)에는 사용된 유수분리필터(133)의 용이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스트랩 형태의 벨크로 또는 지퍼 등과 같은 탈부착수단(133a)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저장소(1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류의 방향(WF)을 따라 개구(112)와 유수분리필터(133) 위를 이동하며 물(W)과 분리된 부유물(FM)이 튜브몸체(110)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오목한 그릇형상으로 유수분리필터(133)와 접하는 내측공간(S)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소(134)는, 지지판(132)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단차를 이루며 내측공간(S)에 설치되는 바닥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판(132)보다 아래쪽에 바닥면을 형성한 이유는, 물(W)과 분리된 후 수류의 방향(WF)을 따라 이동하며 저장소(134)에 저장된 부유물(FM)이 유수분리필터(133) 쪽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소(134)를 형성하는 바닥면은, 튜브몸체(110)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저장소(134)에 보다 많은 대량의 부유물(FM)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형성하게 된다.
안내프레임(135)은, 유수분리필터(133) 상의 부유물(FM)이 경사판(131)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상술한 경사판(131)과 함께 유수분리필터(133) 위를 유동하는 수류와 유수분리필터(133) 간의 접촉시간을 증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상술한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프레임(135)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태의 프레임과 복수의 가이드돌기(135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격자형태의 프레임은, 후술할 가이드돌기(135a)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가이드돌기(135a)는 수류의 방향(WF)으로 뾰족한 빗살형태로 교차배치되는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격자형태의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의 가이드돌기(135a)로 인해, 유수분리필터(133) 위를 유동하는 수류는 직선이 아닌 지그재그로 유동함에 따라 유수분리필터(133) 전면을 통한 물(W)의 하방 배출이 더욱 촉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수분리필터(133)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FM)이 해수나 하천으로 유실되는 현상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돌기(135a)의 개수, 간격 및 빗살의 각도 등은, 개구(112)로 유입되는 수류의 양이나 부유물(FM)의 양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거부(130)로 인해 수류를 따라 전달된 중량물인 물(W)은 유수분리필터(133) 전면을 통해 아래쪽 수면으로 배출되고, 유출유, 이물질, 쓰레기 등과 같은 다양한 부유물(FM)은 물(W)을 최소로 함유한 상태로 온전히 걸러져 저장소(134)에 저장됨에 따라 다량의 부유물(FM)이 효과적, 효율적으로 수거처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류의 방향(WF)으로 수거부(13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수거부(130)의 전체 크기를 조절하여 부유물(FM)을 포함한 수류와의 접촉시간 또는 접촉면적을 증감시키게 되면, 해수나 하천 특성에 대응한 최적의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보조저장소(134)는, 저장소(134)에 일정수준 이상으로 저장된 부유물(FM)을 전달받아 추가로 저장하는 자루형태의 구성요소로서,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저장소(134)는, 일단부에 저장소(134)(바닥면)와의 탈착결합을 위한 커플러(142)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기름회수선 또는 육지의 회수탱크 등과 연결되는 인출관(14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조저장소(134)의 상단부에는 보조저장소(134)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지퍼형태의 뚜껑부가 구비될 수 있다.
물막이격벽(150)과 펜스형그물(160)은, 수류와 함께 이동하는 부유물(FM)이 수면에 부유중인 한 쌍의 튜브펜스(120)와 튜브몸체(110)의 아래쪽으로 통과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물막이격벽(15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튜브펜스(120)와 튜브몸체(110)의 하단에서 수심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중에 대략 1m 내외의 깊이로 잠기는 막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펜스형그물(160)은, 수면 밑으로 유동하는 다양한 부유물(FM) 중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 쓰레기 또는 해파리(JF) 등을 걸러내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펜스형그물(16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무게추가 설치되는 상용화된 그물로 이루어져 상술한 물막이격벽(150)의 하단부와 카라비너 또는 후크형 고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게추는, 예인(T)시 튜브몸체(110)나 튜브펜스(120) 등이 수면 위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술한 물막이격벽(150)이나 펜스형그물(160)이 수심을 향해 평평하게 펴지도록 강제하는 중량물로서, 펜스형그물(160)의 하단부를 따라 길게 설치된 와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펜스형그물(160)의 수심방향 길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데, 일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파리(JF)를 차단하는 용도의 경우, 본 발명이 고정설치되는 지역의 수심에 도달하는 길이의 그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수면에 주로 부유하는 유출유, 쓰리기 등과 같은 부유물(FM)을 수거하는 경우, 펜스형그물(160)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비교적 짧은 길이의 그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를 나란히 연결하여 해수 또는 하천에 유출된 오일의 확산을 차단하는 오일펜스(200)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를 연결하여 해수 또는 하천에 형성된 모래사장(해수욕장) 등으로 유입되는 해파리(JF)를 차단하는 해파리 차단장치(300)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로 나란하게 배치된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100)의 연결은, 서로 인접한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100)의 튜브펜스(120) 또는 연결대(170)를 로프나 카라비너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연이어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펜스분체(120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길이로 길게 연결하여 2개의 예인선(10)으로 견인하는 방식으로 유출유를 수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펜스분체(120a)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길이로 길게 연결하여 해수 또는 하천에 형성된 모래사장(해수욕장) 등으로 유입되는 해파리(JF)를 차단하는 해파리 차단장치(300)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물론,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특정한 해수나 하천에 고정설치하게 되면, 오일의 확산 또는 이물질, 쓰레기 등과 같은 각종 부유물(FM)의 확산을 방지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펜스분체(120a)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해파리 차단장치(300)의 펜스형그물(160)은 본 발명이 고정설치되는 지역의 수심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하고, 펜스분체(120a)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앵커(152)가 물막이격벽(150)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100)를 서로 연결하여 특정한 해수나 하천에 고정설치함으로써, 넓은 영역에 걸쳐 유출된 오일이나 침투된 해파리(JF)는 수거부(130)를 통해 물(W)이 제거된 상태로 수거될 수 있고, 길게 연이어 차단막을 형성하는 물막이격벽(150) 및 펜스형그물(160)을 통해 효과적으로 확산이 저지되고 침입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FM: 부유물(유출유, 이물질, 쓰레기) JF: 해파리
W: 물 10: 예인선
12: 견인줄 T: 예인 방향
WF: 수류의 방향
100: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110: 튜브몸체 S: 내측공간
112: 개구 120: 튜브펜스
120a: 펜스분체 122: 끼움돌기
124: 끼움홈 130: 수거부
131: 경사판 132: 지지판
133: 유수분리필터 133a: 탈부착수단
134: 저장소 135: 안내프레임
135a: 가이드돌기 140: 보조저장소
142: 커플러 144: 인출관
150: 물막이격벽 152: 앵커
160: 펜스형그물 170: 연결대
172: 저항판 200: 오일펜스
300: 해파리 차단장치

Claims (2)

  1. 일측이 개구된 링형상으로 절곡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튜브몸체;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튜브몸체의 양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한 쌍의 막대형 튜브펜스; 및 상기 튜브몸체의 내측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펜스 사이로 유입되며 상기 개구를 향해 수렴하는 수류에서 유출유를 걸러내어 저장하고 물을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유수분리필터가 구비되는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수류의 방향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며 상기 개구에 설치되는 경사판;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경사판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는 격자구조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향해 수렴하는 수류에서 유출유를 걸러내며 물을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상기 유수분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경사판 쪽으로 유출유의 이동을 억제하며 물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유수분리필터의 상부에 결합되고, 가이드돌기가 빗살형태로 교차배치되어 이루어진 안내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해수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해파리를 차단하는 해파리 차단장치로서,
    복수 개로 나란히 배치된 상기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의 상기 튜브펜스를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펜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펜스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펜스분체의 일단부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펜스분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펜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고,
    복수의 상기 펜스분체를 연이어 길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차단장치.
KR1020210163519A 2021-03-16 2021-11-24 해파리 차단장치 KR102457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519A KR102457093B1 (ko) 2021-03-16 2021-11-24 해파리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730A KR102332673B1 (ko) 2021-03-16 2021-03-16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
KR1020210163519A KR102457093B1 (ko) 2021-03-16 2021-11-24 해파리 차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730A Division KR102332673B1 (ko) 2021-03-16 2021-03-16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53A true KR20220129453A (ko) 2022-09-23
KR102457093B1 KR102457093B1 (ko) 2022-10-19

Family

ID=7890011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730A KR102332673B1 (ko) 2021-03-16 2021-03-16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
KR1020210163513A KR102457092B1 (ko) 2021-03-16 2021-11-24 오일펜스
KR1020210163519A KR102457093B1 (ko) 2021-03-16 2021-11-24 해파리 차단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730A KR102332673B1 (ko) 2021-03-16 2021-03-16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
KR1020210163513A KR102457092B1 (ko) 2021-03-16 2021-11-24 오일펜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2332673B1 (ko)
CN (1) CN116964274A (ko)
WO (1) WO2022197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673B1 (ko) * 2021-03-16 2021-12-01 장운성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5213A (ja) * 1991-03-08 1994-06-16 ペテルセン,オッド 水面上の油膜を収集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261242B1 (ko) 2011-07-30 2013-05-07 장운성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
KR101690180B1 (ko) * 2016-05-03 2016-12-27 장운성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KR20180076881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회수 장치 및 유회수 장치를 포함한 유회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72B1 (ko) * 2012-09-11 2014-08-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기름 제거선
KR20150057821A (ko) * 2013-11-20 2015-05-28 장운성 이중 튜브 구조의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
KR102332673B1 (ko) * 2021-03-16 2021-12-01 장운성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5213A (ja) * 1991-03-08 1994-06-16 ペテルセン,オッド 水面上の油膜を収集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261242B1 (ko) 2011-07-30 2013-05-07 장운성 해상 유출 기름 제거장치
KR101690180B1 (ko) * 2016-05-03 2016-12-27 장운성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KR20180076881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회수 장치 및 유회수 장치를 포함한 유회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52A (ko) 2022-09-23
KR102332673B1 (ko) 2021-12-01
WO2022197008A1 (ko) 2022-09-22
KR102457093B1 (ko) 2022-10-19
KR102457092B1 (ko) 2022-10-19
CN116964274A (zh)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180B1 (ko)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US5688075A (en) Boom system
KR101690680B1 (ko)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US4388188A (en) Oil spill recovery means
US83485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ptive boom
JP6807059B2 (ja) 水面清掃船
US3688506A (en) Apparatus for removing oil slick from water surfaces
US5071286A (en) Floating boom for confining waterborne contaminates
RU22663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держания разливов нефти
KR102457093B1 (ko) 해파리 차단장치
WO20070126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regionally confining blue-green algae
KR102227222B1 (ko) 유출유 포집 장치
KR102220708B1 (ko) 회수유 저장 장치
US9011680B2 (en) Oil boom
KR200377428Y1 (ko) 유출유 회수 네트
US9120034B1 (en) Self-adjusting gravity separator and a method of using
US20120087730A1 (en) Sorbent boom
KR101807481B1 (ko) 낭망 전개용 차수포를 구비하는 어망
GB2246981A (en) Oil spill barrier of air bubbles; Tubes
GB21404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or minimizing pollution of a shore by oil
WO2011087368A1 (en) Sweeper for collecting impurities at sea
GB2274405A (en) Apparatus for removing oil from water
JP2694358B2 (ja) 水中敷設用導水装置
JPS58150610A (ja) 浚渫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