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872A -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16872A KR20090116872A KR1020080042665A KR20080042665A KR20090116872A KR 20090116872 A KR20090116872 A KR 20090116872A KR 1020080042665 A KR1020080042665 A KR 1020080042665A KR 20080042665 A KR20080042665 A KR 20080042665A KR 20090116872 A KR20090116872 A KR 200901168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
- marine
- marine life
- intake
- protective 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2보호그물을 통해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의 취수구 유입을 단계적으로 제어하고, 또한 취수구를 통과한 일부의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는 최종적으로 포획그물에 포획되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장치들의 일반적인 기능인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의 포획 보다는 해양생물이 스스로 취수구를 회피하도록 구성하였고, 해양쓰레기의 유입도 원천적으로 막는다는 것에 주안점을 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품은 취수구의 입구에 설치되며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의 유입을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제 1보호그물과 상기 취수구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보호그물을 통과하는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를 재차 제거하는 제 2보호그물 및 상기 취수구의 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제 2보호그물을 통과한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를 최종적으로 포획하는 포획그물로 구성하며, 상기 제 1보호그물의 양측에는 해양생물이 취수구와는 다른 방향으로 유영하도록 유도하게 되는 유도그물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 1보호그물의 양측 바닥에는 해양생물이 제 1보호그물로 근접하지 못하고 회피하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노즐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의 유입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어 취수구에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에 인한 부하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미리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 해양생물, 어망, 유도그물, 에어노즐, 모니터링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수구로 유입되는 해양생물을 단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어망의 관리 및 유지보수의 간편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해양생물을 포획하기 보다는 취수구로 근접하지 못하고 회피하도록 유도하여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해양생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취수구내의 과부하를 미리 알려주어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상태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원자력 발전소는 우라늄이 핵분열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끊여 증기로 만든 다음, 증기의 힘으로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를 발 생시키게 되는 특성상, 터빈의 회전시 발생하는 열과, 원자로의 핵분열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물을 보다 안정적이고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통상 해안가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원자력 발전소로 공급되는 해수는 취수구를 통해 초당 수백톤이 동시에 유입되어 지는 데, 이때 유입되는 해수 중에는 계절이나 일기 등에 따라 해조류나 어류 등의 다양한 해양생물이나 각종 해양 쓰레기들이 함께 유입됨에 따라 원자로의 가동이 중단되는 등의 심각한 상황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취수구에 해양생물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시된 바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24475 호(명칭: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수개의 어망을 서로 연결하여 유입구와 취수구를 구획하고, 어망의 입구는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진 후, 선단에 포집망을 설치하여 해양생물이나 이물질이 포집망에 포집되어 지도록 구성한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에 있어서, 상기 입구의 하측그물과 측면그물은 막히고, 상측그물의 상측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며, 상측그물과 하측그물 및 측면그물의 그물코 수가 상이하도록 형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유입방지용 어망은 해양생물이 취수구로 근접하지 못하고 회피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해양생물을 직접 포획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에 따라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은 하나의 포집망으로만 해양생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 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해양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없으며 취수구 앞 수로가 좁거나 짧은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포집망에 해양 쓰레기가 포집될 경우에는 포집망이 막혀 해수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포집된 해양 쓰레기를 재빨리 제거하여 포집망이 막히지 않도록 하여야 하나, 선행기술에는 이와 같이 포집망의 막힘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포집망에 사용되는 그물은 통상 여러개의 와이어를 꼬아가며 제작된 로프를 사용하게 되는 데, 이때 로프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파래나 해조류가 서식하며 포집망의 그물코를 막아버리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게 됨으로서 포집망의 사용수명을 단축하고, 아울러 포집망의 잦은 교체작업을 가져오는 폐단이 있었다.
선행기술의 포집망은 일정기간 마다 포획된 해양생물이나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포집망을 수면 위로 건져내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포집망을 건져내는 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짐으로서 수거작업에 많은 인력과 장비가 동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선행기술에는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의 유집 시 이를 경고하는 장치가 없거나 있는 경우에도 단순하여 다양하며 그 진행 과정을 적절히 모니터링 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2보호그물을 통해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의 취수구 유입을 단계적으로 제어하고, 또한 취수구를 통과한 일부 소형 그리고 소량의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는 최종적으로 포획그물에 포획되며, 취수구 쪽으로의 유입물의 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해양생물을 포획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유도그물 및 에어노즐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통해 해양생물이 취수구로 근접하지 못하도록 회피하도록 유도하는 것에 목적을 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2보호그물을 구성하는 로프의 외경을 코팅 처리하여 구성한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포획그물을 부분적으로 인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양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인원 및 장비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포획그물이나 제 2보호그물의 장력 변화 및 해수의 유속 변화를 감지하여 그물에 쌓여있는 해양생물이나 해양 쓰레기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취수구에 발생하는 과부하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취수구의 입구에 설치되며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의 유입을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제 1보호그물과, 상기 취수구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보호그물을 통과하는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를 재차 제거하는 제 2보호그물 및 상기 취수구의 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제 2보호그물을 통과한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를 최종적으로 포획하는 포획그물로 구성하며, 상기 제 1보호그물의 양측에는 해양생물이 취수구와는 다른 방향으로 유영하도록 유도하게 되는 유도그물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 1보호그물의 양측 바닥에는 해양생물이 제 1보호그물로 근접하지 못하고 회피하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노즐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보호그물을 구성하는 로프의 외경에는 코팅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보호그물의 바닥면에는 제 2보호그물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장력감지기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획그물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개의 지지링들이 설치되며, 상기 각 지지링들에는 플롯트들을 개별적으로 연결 구성함이 바람직하 다.
상기 포획그물의 바닥면에는 상기 포획그물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장력감지기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획그물의 후방에는 상기 포획그물을 통과하는 해수의 유속 변화를 감지하는 유속감지기들을 더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쓰레기 및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는 다음과 같은 많은 작용효과들을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은 제 1, 2보호그물을 통해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의 취수구 유입을 단계적으로 제어하고, 또한 취수구를 통과한 일부의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는 최종적으로 포획그물에 포획되도록 함으로서 취수구를 통해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해양생물을 포획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해양생물이 취수구로 근접하지 못하도록 회피하도록 유도함으로서 보다 친환경적인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은 제 2보호그물을 구성하는 로프의 외경을 코팅 처리하여 파래나 해조류가 로프에 서식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제 2보호그물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은 포획그물을 부분적으로 인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양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인원 및 장비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다 섯번째로 장력 변화 및 해수의 유속 변화를 감지하여 그물에 쌓여있는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취수구에 발생하는 과부하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유입물 모니터링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쓰레기 및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입물방지용 장치(100)는 해수를 제외한 어패류 등의 각종 해양생물이나 혹은 해양쓰레기가 취수구(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을 말한다.
본 발명의 유입방지용 장치(100)는 제 1, 2보호그물(10, 20)과 포집그물(30)로 나누어지도록 구성하여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들이 제 1, 2보호그물(10, 20)을 통해 취수구(200)로 유입되는 것을 단계적으로 차단하고, 또한 제 1, 2보호그물(10, 20)을 통과한 일부의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는 포집그물(30)에 최종적으로 포획되도록 구성하여 취수구(200)를 통한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 1보호그물(10)은 취수구(200)의 입구쪽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이 취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차단시키는 장치로서, 전체적으로 사면체의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구조로 제작한다.
상기 제 1보호그물(10)의 양측에는 다수개의 유도그물(12)들이 설치된다. 상기 유도그물(12)은 평판타입으로 제 1보호그물(10)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후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도그물(12)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보호그물(10) 근처로 유영하는 어류 등의 해양생물들이 취수구(200)와는 다른 방향으로 유영하도록 유도하여 해양생물의 취수구 유입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상기 제 1보호그물(10)의 양측 바닥에는 길이방향으로 에어노즐(14)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에어노즐(14)은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공(16)을 통해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켜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보호그물(10) 양측으로 기포(B)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해양생물은 기포(B)를 회피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며, 이러한 습성을 이용하여 제 1보호그물(10)의 양측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해양생물들이 제 1보호그물(10)로 근접하지 못하고 회피하도록 유도함으로서 해양생물을 직접 포획하지 않더라도 취수구(200)로 해양생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보호그물(10)상에 유도그물(12)과 에어노즐(14)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제 1보호그물(10)의 그물코(10a) 보다 작은 크기의 어류나 해양쓰레기의 일부는 제 1보호그물(10)을 통과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1보호그물(10)을 통과한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는 제 2보호그물(20)에 의해 취수구(200)로의 유입이 재차 차단되어 진다.
상기 제 2보호그물(20)은 취수구(200)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평판 타입으로 제작하여 취수구(200) 내에 설치토록 한다.
상기한 제 2보호그물(20)은 로프(22)를 격자형태로 교차시켜 가며 제작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2보호그물(20) 제작에 사용되는 로프(22)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여러가닥의 와이어(24)를 서로 꼬은 상태에서 그 외주면을 PVC등으로 코팅(26) 처리하여 로프(22)의 표면을 평활하게 마감 처리하여 제작토록 한다. 즉, 통상 로프(22)를 여러 가닥의 와이어(24)로 꼬아가며 제작하게 되면 로프(22)의 표면에는 와이어(24)들이 서로 꼬여지는 과정에서 홈이 형성되기 마련이며, 이러한 홈은 파래나 기타 해조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제 2보호그물(20)의 그물코(20a)들이 해양생물에 의해 막혀버리게 됨으로서 제 2보호그물(20)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 바, 본 발명은 제 2보호그물(20)의 제작에 사용되는 로프(22)의 외주면을 코팅층(26)으로 평활하게 마감처리 하여 해양생물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여 제 2보호그물(2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보호그물(20)의 앞쪽 바닥에는 장력감지기(28)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장력감지기(28)는 두개의 연결끈(29a, 29b)을 이용하여 하나의 연결끈(29a)은 제 2보호그물(20)의 상측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연결끈(29b)은 제 2보호그물(20)의 하측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장력감지기(28)는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2보호그물(20)에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가 쌓여 제 2보호그물(20)이 밀려나게 되면, 상기 제 2보호그물(20)의 상,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끈(29a, 29b)이 당겨지게 되는 데, 이때의 당김력에 따른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통상적인 출력수단인 RF모뎀(27)을 통해 관리자에게 신호를 보내도록 하여 제 2보호그물(20)에 쌓이는 해양쓰레기양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며 위험수위가 넘어가면 이를 조치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상기 포획그물(30)은 취수구(200)의 출구 쪽에 설치되어 전술한 제 1. 2보호그물(10, 20)을 통과한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들을 최종적으로 포획하는 장치이다. 상기 포획그물(30)은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원뿔형태를 가지도록 제작하되, 포획그물(30)의 입구는 취수구(2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각 형태를 가지도록 하며, 포획그물(30)의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는 원통형태를 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포획그물(30)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개의 지지링(32)들이 끼워지며, 각 지지링(32)에는 인양끈(34)을 통해 플롯트(36)가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지지링(32)들 및 플롯트(36)들은 포획그물(30)에 포획되어 있는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하여 포획그물(30)을 수면 위로 인양할 때, 포획그물(30)을 부분적으로 인양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한의 인원 및 장비만으로 포획그물(30)의 인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이다.
즉,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포획그물(30)을 인양할 때에는 종래와 같이 포획그물(30) 전체를 한번에 인양하는 것이 아니라, 포획그물(30)의 제일 앞쪽에 끼워져 있는 지지링(32)을 잡아 당겨주면 상기 지지링(32)이 끼워져 있는 포획그물(30)만 부분적으로 인양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여러 개의 지지링들을 순차적으로 당기는 방식으로 포획그물(30)을 부분적으로 인양시키도록 함으로서 인양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인원 및 장비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포획그물(30)의 바닥면에는 장력감지기(38)가 더 설치된다. 상기 장력감지기(38)는 전술한 제 2보호그물(20)에 설치되어 있는 장력감지기(28)와 동일한 기능, 즉 포획그물(30)과 연결끈(39)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포획그물(30)에 해양쓰레기가 쌓였을 때, 발생하는 포획그물(30)의 당김력에 따른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RF모듈(37)을 통해 외부의 관리자에게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포획그물(30) 및 제 2보호그물(20)에 설치되는 장력감지기(28, 38)는 그물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바닥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포획그물(30) 및 제 2보호그물(20)과 각각의 연결끈(29a, 29b, 39)으로 연결 구성토록 함으로서 어선 등이 장력감지기(28, 38)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포획그물(30) 및 제 2보호그물(20)을 설치 및 철거에 따른 작업의 간편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으로, 상기 포획그물(30)의 후방에는 별도의 유속감지기(40)들이 더 설치된다. 상기 유속감지기(40)들은 도 8에서와 같이 포획그물(30)의 후방과, 포획그물(30)의 후방 양쪽 바닥에 각각 설치하여 포획그물(30)에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가 쌓였을 때, 변화하는 해수의 유속량 변화를 감지하여 RF모듈(41)을 통해 외 부 관리자에게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포획그물(30)의 중앙에 해양쓰레기가 쌓여있다고 가정할 때, 해양쓰레기가 쌓여 있는 포획그물(30)의 중앙으로는 해수가 통과하지 못함으로서 유속이 느려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포획그물(30)의 양측으로는 포획그물(30)의 중앙을 통과하지 못한 해수가 밀려나가게 됨으로서 유속이 더 빨라지게 되는 데, 이러한 유속량 변화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서 관리자는 포획그물(30)을 직접 인양하지 않더라도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가 포획그물(30)에 쌓였는지의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유속감지기(40)는 포획그물(30)의 뒤쪽 외에 취수구(200)의 입구쪽 바닥에도 더 설치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유입물 방지용 장치의 작용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해양쓰레기 및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장치(100)는 제 1, 2보호그물(10, 20)을 통해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들의 취수구(200) 유입을 단계적으로 차단하도록 하고, 또한 제 1, 2보호그물(10, 20)을 통과한 일부의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는 포집그물(30)에 최종적으로 포획되도록 구성하여 취수구(200)를 통한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먼저, 취수구(200)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제 1보호그물(10)이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의 유입을 일차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1보호그물(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그물(12)들이 어류 등의 해양생물을 취수구와는 다른 방향으로 유영하도록 유도하게 되고, 또한 제 1보호그물(10)의 양측 바닥 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노즐(14)에서 발생하는 기포(B)에 의해 해양생물들이 제 1보호그물(10)로 근접하지 못하고 회피하도록 함으로서 해양생물의 취수구 유입을 효율적으로 차단시키게 된다.(도 3, 4참조)
한편, 몸집이 작은 치어 등의 해양생물이나 혹은 부피가 작은 해양쓰레기들 중 일부는 상기 제 1보호그물(10)의 그물코(10a)를 통과하게 되는 데, 이때 제 1보호그물(10)을 통과한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는 취수구(200)내에 설치되어 있는 제 2보호그물(20)에 의해 취수구로의 유입이 재차 차단되어 진다. 이때 사용과정에서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가 제 2보호그물(20)에 계속적으로 쌓이게 되면 이때의 하중에 의해 제 2보호그물(20)이 밀려나게 되는 데, 이때 제 2보호그물(20)과 장력감지기(28)를 연결하는 연결끈(29a, 29b)이 당겨지게 됨으로서 장력감지기(28)는 연결끈(29a, 29b)을 통해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신호를 보내도록 함으로서 제 2보호그물(20)에 쌓여있는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를 제때 제거할 수 있게 된다.(도 5, 6참조)
상기와 같이 취수구(200)로 유입되는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를 차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보호그물(20)의 그물코(20a) 보다 작은 몸집을 가진 해양생물이나 혹은 부피가 작은 해양쓰레기는 제 2보호그물(20)을 통과한 후, 취수구(200) 출구 쪽에 설치되어 있는 포획그물(30)에 최종적으로 포획되어 진다.
한편, 상기 포획그물(30)에 포획된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쌓이게 되며, 따라서 일정기간 마다 포획그물(30)을 수면 위로 인양하여 포획된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게 된다. 이때 포획그물(30) 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은 포획그물(3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지지링(32)들과, 상기 지지링(32)에 인양끈(34)으로 각기 연결되어 있는 플롯트(36)를 통해 포획그물(30)을 부분적으로 인양한 상태에서 수거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인양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인원 및 장비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도 7참조)
한편, 상기 포획그물(30)에 포획되어 있는 해양생물이나 해양쓰레기의 수거시기는 포획그물(30)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장력감지기(38)와 유속감지기(40)가 포획그물(30)의 장력 변화와 해수의 유속 변화를 감지하여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게 됨으로서 관리자는 포획그물(30)의 수거시기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도 7, 8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쓰레기 및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쓰레기 및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1보호그물을 구성하는 유도그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1보호그물을 구성하는 에어노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2보호그물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2보호그물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포획그물의 인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포획그물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보호그물 12: 유도그물
14: 에어노즐 20: 제 2보호그물
22: 로프 26: 코팅층
28: 장력감지기 30: 포획그물
32: 지지링 36: 플롯
38: 장력감지기 40: 유속감지기
Claims (6)
-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쓰레기 및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상기 취수구(200)의 입구에 설치되며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의 유입을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제 1보호그물(10)과;상기 취수구(20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보호그물(10)을 통과하는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를 재차 제거하는 제 2보호그물(20) 및 ;상기 취수구(200)의 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제 2보호그물(20)을 통과한 해양생물 및 해양쓰레기를 최종적으로 포획하는 포획그물(30)로 구성하며;상기 제 1보호그물(10)의 양측에는 해양생물이 취수구와는 다른 방향으로 유영하도록 유도하게 되는 유도그물(12)들이 설치되고;상기 제 1보호그물(10)의 양측 바닥에는 해양생물이 제 1보호그물(10)로 근접하지 못하고 회피하도록 기포(B)를 발생시키는 에어노즐(14)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보호그물(20)을 구성하는 로프(22)의 외경에는 코팅층(26)이 형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2보호그물(20)의 바닥면에는 제 2보호그물(20)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장력감지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포획그물(30)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개의 지지링(32)들이 설치되며, 상기 각 지지링(32)들에는 플롯트(36)들이 개별적으로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
-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상기 포획그물(30)의 바닥면에는 상기 포획그물(30)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장력감지기(3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포획그물(30)의 후방에는 상기 포획그물(30)을 통과하는 해수의 유속 변화를 감지하는 유속감지기(40)들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2665A KR20090116872A (ko) | 2008-05-08 | 2008-05-08 |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2665A KR20090116872A (ko) | 2008-05-08 | 2008-05-08 |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6872A true KR20090116872A (ko) | 2009-11-12 |
Family
ID=4160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2665A KR20090116872A (ko) | 2008-05-08 | 2008-05-08 |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16872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87591A (zh) * | 2019-11-14 | 2020-03-17 | 深圳市永兴隆工业发展有限公司 | 一种核电取水海域拦网拉力在线监测系统 |
KR102189826B1 (ko) | 2020-08-26 | 2020-12-11 | 박상경 | 발전소 취수구 설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
KR20220073272A (ko) * | 2020-11-26 | 2022-06-03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발전소의 해양생물 유입 예측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
KR20230120367A (ko) | 2022-02-09 | 2023-08-17 | 한국중부발전(주) | 부유 생물 제거 장치 |
WO2024051023A1 (zh) * | 2022-09-05 | 2024-03-14 | 中广核工程有限公司 | 核电厂冷源安全综合设防系统 |
-
2008
- 2008-05-08 KR KR1020080042665A patent/KR20090116872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87591A (zh) * | 2019-11-14 | 2020-03-17 | 深圳市永兴隆工业发展有限公司 | 一种核电取水海域拦网拉力在线监测系统 |
CN110887591B (zh) * | 2019-11-14 | 2023-11-07 | 深圳市永兴隆工业发展有限公司 | 一种核电取水海域拦网拉力在线监测系统 |
KR102189826B1 (ko) | 2020-08-26 | 2020-12-11 | 박상경 | 발전소 취수구 설치용 이물질 제거장치 |
KR20220073272A (ko) * | 2020-11-26 | 2022-06-03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발전소의 해양생물 유입 예측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 |
KR20230120367A (ko) | 2022-02-09 | 2023-08-17 | 한국중부발전(주) | 부유 생물 제거 장치 |
WO2024051023A1 (zh) * | 2022-09-05 | 2024-03-14 | 中广核工程有限公司 | 核电厂冷源安全综合设防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116872A (ko) |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장치 | |
RU142490U1 (ru) | Модуль боносетевого заграждения (варианты) и боносетевое заграждение (варианты) | |
JP4481251B2 (ja) | クラゲ捕捉防止方法及びクラゲ捕捉防止魚網 | |
CN109736255B (zh) | 利用水电站尾水进行集鱼的升鱼机装置及其集鱼方法 | |
KR200436112Y1 (ko) |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 | |
CN204994450U (zh) | 一种捕鱼装置 | |
JP2006197854A (ja) | 水位低下追い込み式定置網 | |
KR101061838B1 (ko) | 해양생물 제어장치 | |
KR100886012B1 (ko)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의 구조 | |
Sheridan et al. | Screening at intakes and outfalls: measures to protect eel (Anguilla anguilla) | |
US20110278235A1 (en) | EcoSafe Desal Intake System | |
CN105756017B (zh) | 一种拦污栅系统 | |
CN210031662U (zh) | 一种利用尾水集鱼的集鱼箱 | |
DE102008057515A1 (de) | System, Technologie, Funktion und Verfahren von mobilen und versenkbaren Fischkäfigen für das offene Meer | |
CN102792946B (zh) | 一种灾害水母应急处置方法 | |
JP5752230B2 (ja) | 異物洋上処理システム | |
CN105766821B (zh) | 中华鲟仔鱼分层收集网的使用方法 | |
CN208572925U (zh) | 河口潮间带生物监测网 | |
KR101349105B1 (ko) | 갯벌 유해생물 제거장치 | |
CN204499107U (zh) | 对虾偷死症取样装置 | |
Boys et al. | The practical guide to modern fish-protection screening in Australia | |
KR200324475Y1 (ko)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 |
CN108651397A (zh) | 河口潮间带生物监测网及其构建方法 | |
RU2622886C2 (ru) | Способы защиты от обрастания и защиты рыб и рыб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лекс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 |
KR200172814Y1 (ko) |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그물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