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159A -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 Google Patents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159A
KR20100133159A KR1020090051904A KR20090051904A KR20100133159A KR 20100133159 A KR20100133159 A KR 20100133159A KR 1020090051904 A KR1020090051904 A KR 1020090051904A KR 20090051904 A KR20090051904 A KR 20090051904A KR 20100133159 A KR20100133159 A KR 20100133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frame
buoyancy
floating material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996B1 (ko
Inventor
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51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9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07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댐, 저수지, 하천의 수위에 따라 프레임의 공기주입구에 공기주입을 통해 프레임에 부양력을 증가시켜 프레임의 높이를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댐, 저수지, 하천의 수위에 관계없이 부유된 부유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는 댐, 저수지, 하천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량에 따라 부양력이 달라지는 다수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하천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부유체로 이루어지는 부표와; 상기 프레임과 부유체간에 걸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방법은 댐, 저수지, 하천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량에 따라 부양력이 달라지는 다수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상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부유체로 이루어지는 부표와; 상 기 부유체간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차단망과; 상기 프레임과 부유체간에 걸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망으로 구성된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댐, 저수지, 하천에 설치하여 댐, 저수지, 하천의 수위변동에 따라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부유물을 수거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51904
부력, 수위차, 부유물, 수거장치, 수거방법

Description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Float remover and remove method}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댐, 하천, 저수지 등의 홍수시 부유하는 부유물이나 부유쓰레기 등을 수거하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 저수지, 하천 등에는 홍수시 상류로부터 폐목, 나뭇잎 및 쓰레기 등이 흘러 내려오게 되어, 수질을 저하시키고, 하상에 침적되어 유역면적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수도권 주민들의 상수원인 팔당호는 홍수가 발생될 때마다 유하하는 수천톤의 폐목, 나뭇잎 및 쓰레기에 의해서 수질이 날로 악화되는 실정이며, 이러한 부유물 쓰레기를 수거하는데 많은 인력이 동원되고, 막대한 수거비용이 지출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폐목, 나뭇잎 및 부유 쓰레기를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일시에 제거하기란 사실상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장마철에는 홍수의 위 험성 때문에 부유물 수거작업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 없다.
또한, 홍수시에 떠내려오는 부유물로 인하여 소규모 교량에 끼여 강물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하천을 범람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댐, 저수지, 하천의 수위에 따라 프레임의 공기주입구에 공기주입을 통해 프레임에 부양력을 증가시켜 프레임의 높이를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댐, 저수지, 하천의 수위에 관계없이 부유된 부유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는 댐, 저수지, 하천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량에 따라 부양력이 달라지는 다수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상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부유체로 이루어지는 부표와; 상기 프레임과 부유체간에 걸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방법은 댐, 저수지, 하천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량에 따라 부양력이 달라지는 다수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상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부유체로 이루어지는 부표와; 상기 부유체간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차단망과; 상기 프레임과 부유체간에 걸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망으로 구성된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댐, 저수지, 하천에 설치하여, 댐, 저수지, 하천의 수위변동에 따라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부유물을 수거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은 하천의 수위에 따라 프레임의 공기주입구에 공기주입을 통해 프레임에 부양력을 증가시켜 프레임의 높이를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하천의 수위에 관계없이 부유된 부유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는 댐, 저수지, 하천(R)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P)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11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공기량에 따라 부양력이 달라지는 다수개의 기둥(12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상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P)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부유체(210)로 이루어지는 부표(200)와; 상기 프레임(100)과 부유체(210)간에 걸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망(4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유체(210)간에는 그물 형상의 부유물 차단망(300)이 고정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는 프레임(100), 부표(200), 부유물 차단망(300) 및 부유물 수거망(40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0)은 댐, 저수지, 하천(R)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P)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11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공기량에 따라 부양력이 달라지는 다수개의 기둥(12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특히, 상기 기둥(120)은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에 공기주입구(110)를 형성하여, 공기주입에 따라 기둥(120)이 부양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100)은 평상시에는 댐, 저수지, 하천(R) 상에 부유하고, 홍수시에는 물에 잠겨있다가 홍수가 완료되면, 상기 기둥의 공기주입구(110)를 통해서 공기를 주입하면, 전체적으로 수면상에 일정높이로 부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표(200)는 댐, 저수지, 하천(R)에 다수개의 부유체(210)가 탄력성이 있는 로프(P)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어, 항상 수면상에 있도록 한 구조물이다.
그리고, 상기 부유물 차단망(300)은 상기 부유체(210) 사이에 걸쳐 격자형상으로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류로 유하하는 부목 등을 더 이상 하류로 유하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유물 수거망(400)은 그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유물 수거망(400)은 프레임(100)과 부표(200)간에 고정 설치되어, 평수위에는 수면아래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홍수시 완료시에 프레임(100)의 공기부양에 의한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되어 그물망 내에 모인 각종 부유목이나 쓰레기 등을 건져 올리는 기능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로 부유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방법은 댐, 저수지, 하천(R)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P)에 의 해서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11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공기량에 따라 부양력이 달라지는 다수개의 기둥(12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상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P)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부유체(210)로 이루어지는 부표(200)와; 상기 부유체(210)간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차단망(300)과; 상기 프레임(100)과 부유체(210)간에 걸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망(400)으로 구성된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를 댐, 저수지, 하천(R)에 설치하여, 댐, 저수지, 하천(R)의 수위변동에 따라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를 적절히 조절하여 하천(R)의 부유물(F)을 수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댐, 저수지, 하천(R)의 수위가 평상시에는 상기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의 프레임(100)과 부표(200)를 댐, 저수지, 하천(R)의 평수위에 맞춰 놓고, 상기 부표(200)의 부유물 차단망(300)을 이용하여 부유물(F)을 차단 및 수거한다.
또한, 상기 댐, 저수지, 하천(R)의 수위가 홍수시에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의 프레임(100)이 홍수위 아래로 위치시키고, 부표(200)를 홍수위에 따라 부유시키면서 상기 부표(200)의 부유물 차단망(300)을 이용하여 부유물(F)을 차단 및 수거한다.
그리고, 상기 댐, 저수지, 하천(R)의 수위가 홍수완료시에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의 프레임(100)에 설치된 공기주입구(110)에 공 기를 주입하여 프레임(100)의 수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표(200)를 홍수완료시 수위에 따라 부유시키면서 상기 부표(200)의 부유물 차단망(300)을 이용하여 부유물(F)을 차단하고, 상기 프레임(100)과 부표(200)간의 부유물 수거망(400)에 걸린 부유물(F)을 수거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상기 프레임(100)과 부표(200) 사이의 부유물 수거망(400)에 수거된 부유물(F)을 수거하되, 상기 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격된 부유체(210)를 프레임(100)에 걸면 부유물 수거망(400)내에 모인 부유물(F)이 한 곳으로 모이게 되고, 이와 같이 모인 부유물(F)을 한꺼번에 수거하거나 또는 바지선이나 중장비를 이용하여 수거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방법은 평상시에는 프레임(100)과 부표(200) 등을 댐, 저수지, 하천(R) 평수위선에 맞춰 놓으면 부유목이나 각종 쓰레기 등이 부유물 차단망(300)에 걸리게 되어, 이와 같이 부유물 수거망(400)에 걸린 부유물(F)을 수거 처리하면 되고, 홍수시에는 프레임(100)이 홍수위 아래로 가서 하저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부표(200)는 홍수위선에 따라 높이가 변동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부유목이나 각종 쓰레기 등이 부표(200)의 부유물 차단망(300)에 걸리게 되며, 이와 같이 부유물 수거망(400)에 걸린 부유물(F)은 평수위때의 부유물(F) 처리와 동일하게 처리하면 되며, 홍수 완료시에는 프레임(100)의 기둥에 공기를 주입하면 프레임(100)의 수면이 상승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홍수 완료시 수위와 동일한 위치가 되고, 부표(200)는 부표(200)는 홍수위선에 따라 높이가 변동된 상태가 유지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부표(200)를 걷어 서 프레임(100)에 고정시키면 프레임(100)과 부표(200)간에 고정 설치된 부유물 수거망(400)이 접힌 상태로 되면서 그 내부에 부유목 또는 각종 부유물(F)이 모이게 되고, 이와 같이 부유물 수거망(400)에 모인 각종 부유물(F)을 부유물 수거망(400) 통채로 수거하거나, 또는 바지선이나 중장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반출하면 일련의 부유물(F) 수거과정은 종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은 댐, 저수지, 하천(R)의 수위에 따라 프레임(100)의 공기주입구(110)에 공기주입을 통해 프레임(100)에 부양력을 증가시켜 프레임(100)의 높이를 간편하고,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댐, 저수지, 하천(R)의 수위에 관계없이 부유된 부유물(F)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a)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로 부유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110: 공기주입구
120: 기둥 200: 부표
210: 부유체 300: 부유물 차단망
400: 부유물 수거망
A: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F: 부유물 P: 탄력성이 있는 로프
R: 하천

Claims (6)

  1. 댐, 저수지, 하천(R)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P)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11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공기량에 따라 부양력이 달라지는 다수개의 기둥(12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상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P)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부유체(210)로 이루어지는 부표(200)와;
    상기 프레임(100)과 부유체(210)간에 걸쳐 느슨하게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망(4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210)간에는 그물 형상의 부유물 차단망(300)이 느슨하게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3. 댐, 저수지, 하천(R)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P)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11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주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공기량에 따라 부양력이 달라지는 다수개의 기둥(12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수상에 양단이 탄력성이 있는 로프(P)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며, 다수개의 부유체(210)로 이루어지는 부표(200)와; 상기 부유체(210)간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차단망(300)과; 상기 프레임(100)과 부유체(210)간에 걸쳐 고정 설치되는 부유물 수거망(400)으로 구성된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를 댐, 저수지, 하천(R)에 설치하여, 댐, 저수지, 하천(R)의 수위변동에 따라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를 적절히 조절하여 댐, 저수지, 하천(R)의 부유물(F)을 수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댐, 저수지, 하천(R)의 수위가 평상시에는 상기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의 프레임(100)과 부표(200)를 댐, 저수지, 하천(R)의 평수위에 맞춰 놓고, 상기 부표(200)의 부유물 차단망(300)을 이용하여 부유물(F)을 차단 및 수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댐, 저수지, 하천(R)의 수위가 홍수시에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의 프레임(100)이 홍수위 아래로 위치시키고, 부표(200)를 홍수위에 따라 부유시키면서 상기 부표(200)의 부유물 차단망(300)을 이용하여 부유물(F)을 차단 및 수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댐, 저수지, 하천(R)의 수위가 홍수완료시에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A)의 프레임(100)에 설치된 공기주입구(110)에 공기를 주입하여 프레임(100)의 수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표(200)를 홍수완료시 수위에 따라 부유시키면서 상기 부표(200)의 부유물 차단망(300)을 이용하여 부유물(F)을 차단하고, 상기 프레임(100)과 부표(200)간의 부유물 수거망(400)에 걸린 부유물(F)을 수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방법.
KR1020090051904A 2009-06-11 2009-06-11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KR10104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04A KR101047996B1 (ko) 2009-06-11 2009-06-11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04A KR101047996B1 (ko) 2009-06-11 2009-06-11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159A true KR20100133159A (ko) 2010-12-21
KR101047996B1 KR101047996B1 (ko) 2011-07-13

Family

ID=4350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904A KR101047996B1 (ko) 2009-06-11 2009-06-11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9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5121A (zh) * 2013-07-23 2013-12-11 于月光 一种用于河流污水应急处理的污水吸收装置
CN111705759A (zh) * 2020-07-08 2020-09-25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水库水位变幅较大、拦截污物、保证泄洪及发电安全的装置
CN112160298A (zh) * 2020-09-24 2021-01-01 翁典鸿 一种环保水处理用的防污阻隔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400B1 (ko) * 2018-06-12 2019-04-22 손인락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KR102085562B1 (ko) 2019-08-29 2020-04-24 서봉주 부력을 이용한 그물 설치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178B2 (ja) 1980-09-06 1984-01-28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プロテクタ−を利用して栽培する水生植物による栄養塩類の除去方法
US6161988A (en) * 1998-03-02 2000-12-19 Pawluk; Laura-Anne Jea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golf course water hazard free of debris
KR100574280B1 (ko) * 2006-02-08 2006-04-2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하천 담수지의 쓰레기 제거 장치
KR100927474B1 (ko) * 2007-07-27 2009-11-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5121A (zh) * 2013-07-23 2013-12-11 于月光 一种用于河流污水应急处理的污水吸收装置
CN103435121B (zh) * 2013-07-23 2014-11-05 于月光 一种用于河流污水应急处理的污水吸收装置
CN111705759A (zh) * 2020-07-08 2020-09-25 大连理工大学 一种用于水库水位变幅较大、拦截污物、保证泄洪及发电安全的装置
CN112160298A (zh) * 2020-09-24 2021-01-01 翁典鸿 一种环保水处理用的防污阻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996B1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KR101047996B1 (ko)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KR100694606B1 (ko) 인공부도와 차수막을 이용한 저수지 유입부 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27474B1 (ko)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KR101611209B1 (ko) 오탁방지장치
KR20200053077A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
KR100532247B1 (ko) 수면 및 수중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0441555Y1 (ko) 수질정화용 게비온
KR100541071B1 (ko) 부양걸름체에 의한 부유물 제거장치
KR20090099382A (ko) 하천부유물 제거 시스템과 그 시공방법
CN109748461B (zh) 一种清浊分离的水库污染防治溢流堰和方法
KR100913772B1 (ko) 자연형 하천의 생태 어도보
KR100973347B1 (ko)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KR101069425B1 (ko)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CN205495087U (zh) 水位差密度沉降渠道过滤装置
CN108558013B (zh) 一种适用于河道的沉沙系统
KR100819548B1 (ko) 하천 퇴적물 제거시설
KR100906260B1 (ko) 식생수로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10048242A (ko) 부유식 고속스크린 장치
KR100642335B1 (ko) 소수력 발전기용 급수부의 부유물 걸름장치
KR100879600B1 (ko) 빗물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구조물
KR101142291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하는 수문 시스템
KR20150136372A (ko) 부유 펜스
CN107059819B (zh) 一种快速截污除淤链网
CN115367887B (zh) 适宜城市群河涌水质保障提升的生态河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