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400B1 -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400B1
KR101971400B1 KR1020180067237A KR20180067237A KR101971400B1 KR 101971400 B1 KR101971400 B1 KR 101971400B1 KR 1020180067237 A KR1020180067237 A KR 1020180067237A KR 20180067237 A KR20180067237 A KR 20180067237A KR 101971400 B1 KR101971400 B1 KR 10197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center
body member
hol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락
Original Assignee
손인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인락 filed Critical 손인락
Priority to KR102018006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02W10/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반원통형 양단에 1/4의 구형이 접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반원통형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 곡면을 덮고,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 평면을 덮고,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방초부재; 그물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방초부재의 하부에 접하도록 상기 그물이 위치하며,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방초부재와 상기 그물이 줄로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방초부재를 고정하는 지지부재; 및 수중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줄로 연결되어 지지부재의 중심을 잡아주는 중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STRUCTURES FOR AN ARTIFICIAL PLANT ISLAND}
본 발명은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공장 등으로부터 발생한 오염물질이 하천 및 호수 등으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수질오염의 발생원인으로는 크게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적 원인으로는 강우량의 불균형으로 인한 하천용량의 저하와 하상의 형태에 따른 유속 및 유량의 불연속성, 그리고 하천유역에서 표사 퇴적으로 인한 각종 부유물질의 하천유입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러한 자연적인 오염은 인위적인 오염에 비하면 일시적인 것으로, 자연의 자정능력에 의해 비교적 많은 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반해, 인위적 오염물의 계속적인 배출은 자연적인 자정에 의한 한계를 초과하기 때문에 별도의 오염물질 처리시설을 갖추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인위적인 오염물질의 배출은 인구증가 및 각종 산업활동에 의해 필연적일 수 밖에 없는데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사폐수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인위적인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것이 현재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서는 수질을 정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수질정화용 인공 구조물을 수면에 설치하고, 구조물 내에 식물을 식재하는 방안이 친환경 및 조경 측면에서 각광 받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4268호 및 제10-1239060호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인공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호수 등의 수면 상에 상술한 인공 구조물을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의 편의성, 인공 구조물의 내구성 및 설치 비용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는 이러한 측면에서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 구조물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42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9060호
본 발명은 종래의 인공 식물섬에 비해 설치 용이성, 내구성, 안정성 등이 향상된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반원통형 양단에 1/4의 구형이 접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반원통형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 곡면을 덮고,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 평면을 덮고,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방초부재;
그물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방초부재의 하부에 접하도록 상기 그물이 위치하며,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방초부재와 상기 그물이 줄로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방초부재를 고정하는 지지부재; 및
수중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줄로 연결되어 지지부재의 중심을 잡아주는 중심부재를 포함하는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방초부재에 다수의 연결홀이 존재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홀, 상기 방초부재의 연결홀 및 상기 지지부재의 그물에 상기 줄을 통과시켜 상기 커버부재, 상기 방초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홀은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 평면과 평행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부재의 외부 방향 또는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초부재의 연결홀은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커버부재의 반원통형의 곡면이 함몰된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다수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형성된 고리에 줄을 통과시켜 각 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된 다각형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그물은 상기 클램프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통과하는 줄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상기 클램프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통과하는 줄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파이프 상에 상기 구조체의 외부 수면과 60 내지 80°의 각도로 설치된 거름망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돌망태를 포함하며, 상기 돌망태의 외부에는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돌망태의 외부에 형성된 갈고리에 의해 돌망태가 얽혀 복합체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중심부재를 연결하는 줄에 설치된 위치조절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줄을 아래로 당기는 역할을 하는 돌망태와 상기 줄을 팽팽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홀딩클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몸체부재가 기본적으로 반원통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전체적인 구조체가 수면 위에서 안정성을 가질 수 있고, 몸체부재를 커버부재로 덮음으로써, 구조체의 외부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지지부재에 식물이 식재된 몸체부재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인공 식물섬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각각의 중심부재를 한곳에 투입하는 것만으로도 복합체 구조의 중심부재를 형성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중심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지지부재에 거름망을 설치하여 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구성 중에서 몸체부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구성 중에서 커버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구성 중에서 방초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구성 중 커버부재 및 방초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구성 중에서 지지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구성 중 지지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상기 지지부재는 도 5의 지지부재와 달리 거름망을 더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구성 중에서 중심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구성 중에서 위치조절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구체예는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하천이나 호수 등의 수면 상에 설치하여, 주변의 수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주변 환경을 미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개략적으로 도 1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몸체부재(100), 커버부재(200), 방초부재(300), 지지부재(400) 및 중심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각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목표한 위치에 목표한 형태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각 부재의 특징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몸체부재(100)는 기본적으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 및 식물을 수면 위에 띄울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한다. 도 2는 상기 몸체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몸체부재는 부력을 갖기 위해 스티로폼(Styrofoam)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재는 반원통형 양단에 1/4의 구형이 접합된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반원통형은 원기둥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형상을 의미하며, 절단면을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했을 때, 양단의 평면은 반원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반원통형의 반원에 1/4의 구형이 접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반원통형의 양단에 1/4의 구형을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가 곡면인 경우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내에서 몸체부재는 상기 평면이 수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술한 구조 및 배치에 의해 몸체부재(또는 방초부재)는 수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이는 수면 위에서 몸체부재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구조체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재(100)은 반원통형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10)을 가지고, 이러한 관통홀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내에 몸체부재를 배치하면, 관통홀의 방향은 수면에 수직하게 된다. 상기 관통홀에 식물 식재용 화분을 끼움으로써, 몸체부재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에 식물을 식재할 때는 식물의 뿌리가 구조체의 설치 후 수면에 닿을 수 있도록 식물을 식재한다. 관통홀 내에 식재할 식물은 구조체가 설치되는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고, 수질정화 등의 기능을 갖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의 크기 및 개수는 식재할 식물의 종류 및 구조체의 사용 목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커버부재(200)는 상기 몸체부재에서 외부로 노출된 곡면을 보호한다. 도 3은 상기 커버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커버부재는 도 3과 같이 몸체부재와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곡면 구조를 가진다. 상기 커버부재는 몸체부재의 외부에 내구성을 부여하면서, 몸체부재의 부력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그 소재는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술한 효과를 가지면서 열에 의해 그 형태를 쉽게 성형할 수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실제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그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0)을 가진다.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홀은 몸체부재의 관통홀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방초부재 및 지지부재와 연결시키기 위한 줄이 통과할 수 있는 연결홀(21)을 가진다. 상기 연결홀은 줄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면 충분하다.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홀은 몸체부재의 하부 평면과 평행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부재의 외부 방향 또는 내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3은 상기 플레이트가 몸체부재의 외부 방향으로 형성된 예시적인 커버부재를 도시하며, 도 5는 상기 플레이트가 몸체부재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된 예시적인 커버부재를 도시한다. 도 5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커버부재의 반원통형의 곡면이 함몰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연결홀을 통과시키고 함몰된 부위를 따라 줄을 배치하는 경우 지지부재에 커버부재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방초부재(300)는 상기 몸체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를 지지하며, 몸체부재에 식재된 식물이 정해진 방향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도 4는 상기 방초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방초부재는 관통홀에 의해 열린 공간 외에는 식물의 성장을 억제한다. 상기 방초부재는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 평면을 덮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재가 아닌 상기 방초부재가 수면에 직접적으로 접하게 된다. 상기 방초부재는 커버부재를 지지하고,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물에 대해서 내수성을 갖는 소재 중에서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층의 폴리에틸렌 섬유로 구성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초부재(300)은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30)을 가진다. 상기 방초부재의 관통홀은 몸체부재의 관통홀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초부재는 커버부재 및 지지부재와 연결시키기 위한 줄이 통과할 수 있는 연결홀(31)을 가진다. 상기 연결홀은 줄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면 충분하고, 커버부재의 연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지지부재(400)는 상술한 몸체부재, 커버부재 및 방초부재 모두를 지지한다. 도 6은 상기 지지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가 다량의 식물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몸체부재, 커버부재 및 방초부재로 이루어진 세트가 다수 필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는 다수의 세트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트를 지지부재 상에 다량 적재하여 식물섬의 규모를 대형화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세트를 배치를 달리하여 다양한 형태의 인공 식물섬을 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400)은 그물(40)과 프레임(41)을 포함한다. 상기 그물은 몸체부재, 커버부재 및 방초부재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그물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물, 몸체부재, 커버부재 및 방초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줄을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홀, 상기 방초부재의 연결홀 및 상기 지지부재의 그물에 통과시킨 후 양끝을 묶는다. 상기 줄은 본 발명용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를 실제로 하천이나 호수에 설치하였을 때, 끊어지지 않을 강도를 갖는다면 그 종류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은 파이프(42)와 클램프(43)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클램프는 상기 파이프를 감싼다. 상기 클램프의 좌우에는 줄이 통과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리 사이로 줄을 통과시켜 파이프를 다각형의 프레임로 제조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의 좌우에 형성된 고리를 통과하는 줄에 그물을 연결하여 그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프레임(41)에 거름망(44)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거름망이 설치된 지지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거름망은 상기 프레임의 파이프(42)를 따라 설치되며, 하천이나 호수 등에 부유하고 있는 이물질이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내부로 유입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름망은 파이프 상에 상기 구조체의 외부 수면과 60 내지 80°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이하에서 설명할 위치조절부재에 의해 하천이나 호수에서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거름망에 따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각도로 거름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에서 메쉬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상기 거름망의 외부에 이물질이 모일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하천이나 호수 등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회수하기 용이하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중심부재(500)는 수중에 위치하여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의 중심을 잡아준다. 도 8은 상기 중심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중심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줄로 연결되는데, 상기 지지부재의 프레임에서 클램프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통과하는 줄과 중심부재와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줄을 연결하는 방법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재는 돌망태(50)를 포함하며, 상기 돌망태의 외부에는 갈고리(5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줄은 돌망태의 매듭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중심부재와 연결되는 줄은 지지부재의 프레임에서 다각형 모서리 또는 변의 중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재는 돌망태의 외부에 형성된 갈고리에 의해 돌망태가 얽혀 복합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합체 구조를 갖는 돌망태는 각각 개별적으로 흩어놓은 돌망태와 비교하여 하천 등의 유속에 따른 영향을 적게 받는다. 돌망태를 구성하는 돌과 망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소재 및 형태로 선택될 수 있다. 다만, 갈고리에 의해 복합체를 형성할 때, 망태가 찢어지지 않도록 망태는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되어야 한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를 하천이나 호수에 설치할 때, 돌망태 복합체 구조를 먼저 만든 후 하천이나 호수에 투입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중심부재 근처에 투입하면 돌망태의 갈고리에 의해 자연스럽게 돌망태 복합체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는 상기 지지부재(400)와 상기 중심부재(500)를 연결하는 줄에 설치된 위치조절부재(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중심부재에 의해 결정된 위치의 일정 범위 내에서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9는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에 따른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줄을 아래로 당기는 역할을 하는 돌망태(60)와 상기 줄을 팽팽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홀딩클립(61)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홀딩클립의 2개의 연결홀에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중심부재를 연결하는 줄을 통과시키고, 상기 연결홀 사이에 위치하는 줄의 일부분에 돌망태를 연결하여 설치된다.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돌망태는 줄의 장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을 정도만 줄을 아래로 당겨주면 되기 때문에, 중심부재의 돌망태에 비해 작고 가벼운 돌망태가 사용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돌망태는 중심부재의 돌망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의 무게를 가진다. 상기 홀딩클립은 줄을 팽팽하게 잡아줄 수 있다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단순하게는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줄을 통과시킬 수 있는 2개의 홀을 갖는 구조가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홀딩클럽은 상기 위치조절부재의 돌망태에 의해 형성된 장력을 버틸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소재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명세서에서 개시되지 않은 부분은 해당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상식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명세서에서 개시된 부분이라도, 그 부분을 기초로 한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몸체부재의 관통홀 100: 몸체부재
20: 커버부재의 관통홀 200: 커버부재
21: 커버부재의 연결홀 300: 방초부재
30: 방초부재의 관통홀 400: 지지부재
31: 방초부재의 연결홀 500: 중심부재
40: 지지부재의 그물 600: 위치조절부재
41: 지지부재의 프레임 1000: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42: 지지부재의 파이프
43: 지지부재의 클램프
44: 지지부재의 거름망
50: 중심부재의 돌망태
51: 중심부재의 갈고리
60: 위치조절부재의 돌망태
61: 위치조절부재의 홀딩클립

Claims (12)

  1. 반원통형 양단에 1/4의 구형이 접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반원통형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상부 곡면을 덮고,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 평면을 덮고, 상기 몸체부재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방초부재;
    그물과 다각형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방초부재의 하부에 접하도록 상기 그물이 위치하며,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방초부재와 상기 그물이 줄로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방초부재를 고정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무게중심 아래의 수중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에서 다각형의 프레임의 꼭지점 부분과 줄로 연결되어 지지부재의 중심을 잡아주는 중심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중심부재를 연결하는 줄에 설치된 위치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다각형의 각 변에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다수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형성된 고리에 줄을 통과시켜 전체 파이프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홀딩클립의 2개의 연결홀에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중심부재를 연결하는 줄을 통과시키고, 상기 연결홀 사이에 위치하는 줄의 일부분에 돌망태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것인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방초부재에 다수의 연결홀이 존재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홀, 상기 방초부재의 연결홀 및 상기 지지부재의 그물에 상기 줄을 통과시켜 상기 커버부재, 상기 방초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홀은 상기 몸체부재의 하부 평면과 평행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부재의 외부 방향 또는 내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초부재의 연결홀은 상기 커버부재의 연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커버부재의 반원통형의 곡면이 함몰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물은 상기 클램프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통과하는 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상기 클램프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통과하는 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파이프 상에 상기 구조체의 외부 수면과 60 내지 80°의 각도로 설치된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돌망태를 포함하며, 상기 돌망태의 외부에는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는 돌망태의 외부에 형성된 갈고리에 의해 돌망태가 얽혀 복합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67237A 2018-06-12 2018-06-12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KR10197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237A KR101971400B1 (ko) 2018-06-12 2018-06-12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237A KR101971400B1 (ko) 2018-06-12 2018-06-12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400B1 true KR101971400B1 (ko) 2019-04-22

Family

ID=6628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237A KR101971400B1 (ko) 2018-06-12 2018-06-12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4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650Y1 (ko) * 1999-03-10 2000-11-15 권오병 하천의 수질 정화용 인공 부도
KR20040015521A (ko) * 2002-08-13 2004-02-19 주식회사 서광산업 낙하물 방호 선반
KR100804268B1 (ko) 2007-08-14 2008-02-18 (주)새우리 수질정화용 인공부도
KR101047996B1 (ko) * 2009-06-11 2011-07-13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KR101239060B1 (ko) 2012-12-03 2013-03-05 (주)에코원 식물재배용 부유체
KR101309593B1 (ko) * 2013-05-06 2013-09-17 (주)에코원 녹조 발생억제와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650Y1 (ko) * 1999-03-10 2000-11-15 권오병 하천의 수질 정화용 인공 부도
KR20040015521A (ko) * 2002-08-13 2004-02-19 주식회사 서광산업 낙하물 방호 선반
KR100804268B1 (ko) 2007-08-14 2008-02-18 (주)새우리 수질정화용 인공부도
KR101047996B1 (ko) * 2009-06-11 2011-07-13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KR101239060B1 (ko) 2012-12-03 2013-03-05 (주)에코원 식물재배용 부유체
KR101309593B1 (ko) * 2013-05-06 2013-09-17 (주)에코원 녹조 발생억제와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606B1 (ko) 인공부도와 차수막을 이용한 저수지 유입부 오염물질 정화장치
EP3331351B1 (en) Floating ecosystem
KR101309593B1 (ko) 녹조 발생억제와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
KR101009811B1 (ko) 석재고정매트 및 시공방법
CN104803557A (zh) 复合型净化农田排水与生态修复的沟塘湿地系统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CN101190813A (zh) 用于护岸与水质净化的软体植物浮床
JP2002119160A (ja) 樹脂培地及び前記樹脂培地を利用した水質浄化装置並びに水質浄化方法
KR101971400B1 (ko)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KR101239060B1 (ko) 식물재배용 부유체
JP3342219B2 (ja) 育苗用マット
KR100289084B1 (ko) 수변 식물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KR200202650Y1 (ko) 하천의 수질 정화용 인공 부도
KR100616387B1 (ko) 하천 양안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어류와 수생식물의보호블럭
KR100525338B1 (ko) 수질정화 및 생물서식처를 제공하는 접촉재 모듈이 포함된시공석 고정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석 고정방법
KR100513704B1 (ko) 식재용 인공매트
JPH08331998A (ja) 自然水系の浄水構造
KR101580142B1 (ko) 인공 식물섬의 식물식재방법
CN216532762U (zh) 适用于污染水体的特种植物群落生态修复装置及种植钵
JP2008038337A (ja) 浮島式網場
KR100451981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CN213475703U (zh) 一种多用途污水拦隔浮台
JPH10276598A (ja) 浮きプランター及びその固定方法
KR102419030B1 (ko) 양방향 기반재를 포함하는 인공식물섬
JPH1028990A (ja) 水質浄化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