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060B1 - 식물재배용 부유체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용 부유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060B1
KR101239060B1 KR1020120138753A KR20120138753A KR101239060B1 KR 101239060 B1 KR101239060 B1 KR 101239060B1 KR 1020120138753 A KR1020120138753 A KR 1020120138753A KR 20120138753 A KR20120138753 A KR 20120138753A KR 101239060 B1 KR101239060 B1 KR 101239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ultivation
floating body
cover
plant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희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주)에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원 filed Critical (주)에코원
Priority to KR102012013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호소의 수면에 부유시켜 각종 오염수의 발생시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식재공을 구비한 부유체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수질을 정화시키고, 동시에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재배용 부유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수면에 부유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전(全)면을 감싸며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일단과 각각 연통되는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전(全)면을 감싸며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고정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망과, 상기 식재공을 통해 상기 관통홀에 식재되는 수생 식물과, 상기 식재공이 형성된 상기 커버부재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의 그물망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리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에 장착되는 중심 유지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의 중앙에 위치된 상기 그물망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재배용 부유체{FLOATING BODY FOR CULTIVAT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재배용 부유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또는 해안이나 호소의 수면에 부유시켜 각종 오염수의 발생 시 식물 뿌리에 의해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식재공을 구비한 부유체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수질을 정화시키고, 동시에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재배용 부유체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대기 중에 분진,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등의 오염 물질의 양이 증가하고, 이러한 물질들은 대기 중에서 부유하다가 강우에 의하여 하천 및 호소 등으로 유입되고 있다.
또한, 하천 등에서 준설, 축조, 간척 공사 등과 같은 매립 준설공사를 실하는 경우, 토사나 부유물이 오염물질과 함께 발생되어 공사장 주변의 하천이나 호소 등으로 확산됨에 따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수중의 오염물질이 증가함에 따라 수중 생태계의 자정 능력의 한계를 초과하는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하천이나 호소 등의 수중 생태계에 존재하는 영양염류의 양이 자체 정화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하천이나 호소 등의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등록특허 제10-0804268호는 수질정화용 인공부도에 관한 것으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수질정화용 인공부도를 수면에 설치하여 식재된 식물을 통해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식물을 식재하는 고정틀과 부력에 의해 이 고정틀을 부유시키는 부유체를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각각의 구성을 별도로 제작하여 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설치가 복잡해지고 또한, 고정틀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그에 따른 부유체의 규모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면에 부유시키는 부유체에 식물을 직접 식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을 간소화하여 설치가 쉽고 조립형으로 제작이 가능함과 동시에 수질정화를 통해 깨끗한 수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재배용 부유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수면에 부유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전(全)면을 감싸며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일단과 각각 연통되는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전(全)면을 감싸며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고정시키는 그물망과, 상기 식재공을 통해 상기 관통홀에 식재되는 수생 식물과, 상기 식재공이 형성된 상기 커버부재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의 그물망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리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에 장착되는 중심 유지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의 중앙에 위치된 상기 그물망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부유체는, 상기 몸체부재가 발포 폴리에스틸렌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부유체는, 상기 커버부재가 코이어섬유로 구성되는 코이어펠트, 합성섬유 부직포 및 직포매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부유체는, 상기 그물망이 합성수지망, 철망 및 지오그리드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부유체.
또한,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부유체는, 상기 중심 유지부재가 금속 재질의 체인이나 일정무게를 가지는 재질 중 한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부유체는,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수중 바닥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고정블록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와이어, 체인 및 합성섬유로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부유체는, 하나의 식물재배용 부유체에 설치된 제 1 연결부재가 다른 식물재배용 부유체에 설치된 제 2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식물재배용 부유체가 일렬 또는 다수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부유체에 따르면, 부유체에 식물을 직접 식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을 간소화하여 설치가 쉽고 조립형으로 제작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유체에 식재되는 식물이 녹조나 미생물을 영양분으로 자라게 함으로써, 오염수의 탁도 및 녹조의 생성량을 줄여 하천이나 호소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식물이 식재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가 다수개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가 하천 또는 호소 바닥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가 지상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부유체(100)는 몸체부재(110), 커버부재(120) 및 그물망(13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재(110)는 하천이나 호소 등에서 부력에 의해 수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발포 폴리에스틸렌 재질로 이루질 수 있다. 이 몸체부재(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11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커버부재(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재(110)의 전(全)면을 감싸며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코이어섬유로 이루어지는 코이어펠트 또는 합성섬유로 제작된 부직포, 직포매트 등 수중의 유기물 등을 함침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 커버부재(120)는 부유체(100)에 식재되는 식물을 고려하여 뿌리가 뚫고 들어갈 수 있는 재질이 좋으며 코이어펠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재(120)는 몸체부재(110)에 형성된 관통홀(111)의 일단, 예를 들어 관통홀(111)의 상측과 각각 연통되도록 다수의 식재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의 전(全)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그물망(130)은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합성수지망, 철 재질의 철망 또는 지오그리드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그물망(130)은 망눈(131)이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물망(130)은 몸체부재(110)와 커버부재(120)를 결합시키고, 유속에 견딜 수 있도록 일정량의 탄력을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되는 커버부재(120) 및 그물망(130)에 의해 발포 폴리에스틸렌 재질로 형성된 몸체부재(11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거나, 오랜 시간 자외선 노출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식재공(121)이 형성된 커버부재(120)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의 그물망(130), 즉 수면에 부유체(100)의 설치시 수면과 닿는 부분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의 고리부재(132)가 설치된다.
이 고리부재(132)에는 부유체(100)를 수면에 설치하는 경우, 물살이나 파랑에 밀려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 유지부재(1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중심 유지부재(140)는 일정 중량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속에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코팅처리된 금속 재질의 체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재(110)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의 중앙에 위치된 그물망(130) 상에는 제 1 연결부재(133)와 제 2 연결부재(134)가 장착될 수 있다.
고리부재(132), 제 1 연결부재(133) 및 제 2 연결부재(134)는, 예를 들어, 샤클(shackl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식물이 식재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식재공(121)을 통해 몸체부재(110)에 형성된 관통홀(111)에는 수생 식물(200)이 식재된다.
이때, 관통홀(111) 내에 코이어 섬유(121) 등을 채워 식재되는 수생 식물(200)을 관통홀(111)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중에 포함된 유기물 등이 커버부재(120)에 함침되고, 함침되는 유기물을 영양공급원으로 부유체(100)에 식재되는 수생 식물(200)을 생장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가 다수개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식물재배용 부유체(100)와 다른 식물재배용 부유체(100')를 연결하여 다수개의 부유체를 일렬로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재배용 부유체(100)에 장착된 제 1 연결부재(133)는 다른 식물재배용 부유체(100')에 설치된 제 2 연결부재(134')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동일한 방식으로 부유체를 일렬로 연결하여 부유체가 설치되는 장소 또는 환경에 따라 다수개 배치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부유체가 하천, 해안 또는 호소 바닥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식물재배용 부유체가 지상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재(133)와 제 2 연결부재(134)에는 각각 지지부재(310)가 연결되고, 지지부재(310)의 타단은 수중 바닥(2)에 설치되는 고정 블록(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310)는 와이어, 합성섬유로프, 체인 등 다양한 형태로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중 바닥(2)에 설치된 고정 블록(300)과 이 고정 블록(300)에 각각 연결된 지지부재(310)에 의해 부유체(100)는 수면(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상(3)에서 부유체(100)를 고정시키는 경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3)에 고정 블록(300)을 설치하고, 제 1 연결부재(133)와 제 2 연결부재(134)를 고정 블록(300)에 연결된 지지부재(310)와 연결시킴으로써, 부유체(100)를 수면(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재배용 부유체는 부유체에 식물을 직접 식재하도록 구성하여 그 구성을 간소화하고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유체에 식재되는 식물이 녹조나 미생물을 영양분으로 생장시킴으로써 하천이나 호소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부유체 110 : 몸체부재
111 : 관통홀 120 : 커버부재
121 : 식재공 130 : 그물망
132 : 고리부재 133 : 제 1 연결부재
134 : 제 2 연결부재 140 : 중심 유지부재
200 : 수생 식물 300 : 고정 블록
310 : 지지부재

Claims (7)

  1.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수면에 부유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전(全)면을 감싸며 설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일단과 각각 연통되는 다수의 식재공이 형성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전(全)면을 감싸며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고정시키는 그물망;
    상기 식재공을 통해 상기 관통홀에 식재되는 수생 식물;
    상기 식재공이 형성된 상기 커버부재의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 상의 그물망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리부재;
    상기 고리부재에 장착되는 중심 유지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의 중앙에 위치된 상기 그물망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부유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는 발포 폴리에스틸렌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부유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코이어섬유로 구성되는 코이어펠트, 합성섬유 부직포 및 직포매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부유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은 합성수지망, 철망 및 지오그리드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부유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유지부재는, 금속 재질의 체인이나 일정무게를 가지는 재질 중 한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부유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부재 및 제 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수중 바닥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고정블록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와이어, 체인 및 합성섬유로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부유체.
  7.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식물재배용 부유체에 설치된 제 1 연결부재가 다른 식물재배용 부유체에 설치된 제 2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식물재배용 부유체가 일렬 또는 다수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부유체.
KR1020120138753A 2012-12-03 2012-12-03 식물재배용 부유체 KR10123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753A KR101239060B1 (ko) 2012-12-03 2012-12-03 식물재배용 부유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753A KR101239060B1 (ko) 2012-12-03 2012-12-03 식물재배용 부유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060B1 true KR101239060B1 (ko) 2013-03-05

Family

ID=4818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753A KR101239060B1 (ko) 2012-12-03 2012-12-03 식물재배용 부유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0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570A (ko) * 2013-07-15 2015-01-23 (주)에코원 인공 식물섬의 식물식재방법
KR101561255B1 (ko) * 2014-02-10 2015-10-16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KR20170003882A (ko) 2016-12-13 2017-01-10 정영환 수생식물 식재용 부유식 인공섬
KR101971400B1 (ko) 2018-06-12 2019-04-22 손인락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429A (ja) 2004-03-30 2005-11-10 Net Business:Kk 浮水構造体
KR20110031859A (ko) * 2009-09-21 2011-03-29 주식회사 아썸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429A (ja) 2004-03-30 2005-11-10 Net Business:Kk 浮水構造体
KR20110031859A (ko) * 2009-09-21 2011-03-29 주식회사 아썸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8570A (ko) * 2013-07-15 2015-01-23 (주)에코원 인공 식물섬의 식물식재방법
KR101580142B1 (ko) 2013-07-15 2015-12-28 (주)에코원 인공 식물섬의 식물식재방법
KR101561255B1 (ko) * 2014-02-10 2015-10-16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KR20170003882A (ko) 2016-12-13 2017-01-10 정영환 수생식물 식재용 부유식 인공섬
KR101971400B1 (ko) 2018-06-12 2019-04-22 손인락 인공 식물섬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842B1 (ko) 오탁 및 녹조방지용 부유체
KR101309593B1 (ko) 녹조 발생억제와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KR101239060B1 (ko) 식물재배용 부유체
CN105084643A (zh) 一种水源地水质原位预处理方法
KR100990954B1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KR101009811B1 (ko) 석재고정매트 및 시공방법
KR101711351B1 (ko) 수생식물 식재용 부유식 인공섬
KR200441555Y1 (ko) 수질정화용 게비온
CN101190813A (zh) 用于护岸与水质净化的软体植物浮床
KR100289084B1 (ko) 수변 식물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KR100297876B1 (ko) 담수호의수질정화용인공부도
KR101067632B1 (ko) 경제적인 탁수확산 방지를 위한 차단설비
KR100704385B1 (ko)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KR200202650Y1 (ko) 하천의 수질 정화용 인공 부도
KR100899775B1 (ko)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
KR100521788B1 (ko) 수질정화 및 생태계 조성용 인공부도
KR100927241B1 (ko) 수초섬
CN210945028U (zh) 一种水生态浮式修复装置
KR101283364B1 (ko) 식재 식물을 이용한 수질 정화장치
KR101309589B1 (ko) 식물식재가 가능한 일체형 오탁 및 녹조방지 장치
KR100513704B1 (ko) 식재용 인공매트
KR101154472B1 (ko) 외부보강형 인공식물섬
KR101580142B1 (ko) 인공 식물섬의 식물식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