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775B1 -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 - Google Patents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775B1
KR100899775B1 KR20080079197A KR20080079197A KR100899775B1 KR 100899775 B1 KR100899775 B1 KR 100899775B1 KR 20080079197 A KR20080079197 A KR 20080079197A KR 20080079197 A KR20080079197 A KR 20080079197A KR 100899775 B1 KR100899775 B1 KR 10089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tic plants
artificial wetland
buried
artificial
wate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수
Original Assignee
(주)휠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휠탑 filed Critical (주)휠탑
Priority to KR2008007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7Inorganic materials, e.g. sand,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개천이나 하천의 넓은 수로에 징검다리와 같이 인공습지부재(포트)를 설치하되 인공습지부재 내에는 수생식물을 식재하고 그 외부에는 화산석 접촉산화재를 부착하고 인공습지부재 하부에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하천수가 저장되도록 하여 수생식물은 수중의 영양염류를 섭취하고 화산석 접촉산화재는 유기물을 산화하고 하부 공간부에는 하천수를 저장하였다가 갈수기에 자연방류토록 하여 건천화를 최소화하며, 하천의 조도계수를 높여 유속을 저하시켜 갈수 기간에도 물이 흐르는 개천이나 하천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천이나 하천의 수로에 징검다리의 보폭보다 다소 넓은 직,병렬방식으로 매립되면서 그 상부에 바닥으로부터 노출되어 수생식물을 식재하도록 한 인공습지부재(P)를 구비하여 수로에 인공습지 또는 수생식물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공습지부재(P)는 수로 바닥에 매립되면서 저부가 개방된 형태로 공간부(11)를 형성하고 공간부(11) 내의 상부에 통공(12)을 형성한 매립부(10)와, 상기 매립부(10)의 상부에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상부로 노출되는 식재홈(21)을 형성하고 식재홈(21)의 하단부 둘레에 다수개의 통공(22)을 형성한 식재부(2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공수로습지, 수생식물, 수로,

Description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step-type artificial marsh}
본 발명은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징검다리로 건널 수 있는 규모의 하천이나 개천의 수로에 징검다리형태로 인공습지나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유수 중에 용해되어 있는 유기물이나 영양염류를 먹이로 하여 물을 정화하도록 한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개천에는 수생식물에 의하여 자연적인 정화기능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도시화로 전답의 저수기능이 저하, 직강화 공사로 하천수가 고갈되면서 지하수위가 저하, 자연하천의 정비로 하상 유속 조도계수가 작아져 유속이 빨라지고 하천수가 신속히 유하 등 이러한 현실 상황에서 개천이나 하천의 천변에만 일부에서 수생식물을 식재하고 있을 뿐 환경용량에 적합한 시설을 이루지 못하여 천변의 수생식물에 의하여 자연적인 정화기능을 갖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인공적인 수로로 인하여 수생식물이 존재할 수 없는 여건 등 자연적인 수질개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개천이나 하천의 넓은 수로에 징검다리와 같이 설치하면서 수생식물을 식재하는 포트를 홍수 등에도 유실되지 않도록 설치하여 수로에 수생식물을 분포시키어 유수 중에 용해되어 있는 유기물을 화산석 접촉산화재에 생서하는 미생물이 영양염류를 섭취하게 하여 수로의 물을 자연정화되도록 하며, 하상의 조도를 높이어 유속을 저하시키고 하천수를 저장되게 하여 갈수 기간에도 물이 흐르는 개천이나 하천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천이나 하천의 수로에 징검다리의 보폭보다 다소 넓은 직,병렬방식으로 매립되면서 그 상부에 바닥으로부터 노출되어 수생식물을 식재하도록 한 인공습지부재를 구비하여 수로에 인공습지 또는 수생식물대를 형성함으로 달성하게 된다.
또, 상기 인공습지부재는 수로 바닥에 매립되면서 저부가 개방된 형태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 내의 상부에 통공을 형성한 매립부; 상기 매립부의 상부에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상부로 노출되는 식재홈을 형성하고 식재홈의 하단부 둘레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식재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개천이나 하천의 널고 긴 면적에 수생식물로 전면 인공습지나 사행 수초대를 시설함으로서 하상의 고수계수를 크게 하여 유속을 줄이고 유기물 및 질소, 인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하천수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건천화의 방지와 저류수 확보로 수생태계를 복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인공습지부재에 수생식물을 식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a, 3b는 본 발명을 하천에 설치한 평면적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인공습지부재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1, 2 에서와 같이, 수로의 바닥에 매립되는 매립부(10)와, 그 상부에 바닥으로부터 노출되는 식재부(20)를 형성되는 포트형상의 인공 습지부재(P)를 구성한다.
상기 매립부(10)는 저부가 개방된 형태로 공간부(11)를 형성하고 공간부(11) 내의 상부에 통공(12)을 형성한다.
상기 식재부(20)는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게 상부로 노출되는 식재홈(21) 을 형성하고 식재홈(21)의 하단부 둘레에 다수개의 통공(22)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매립부(10) 상면 및 식재부(20)의 둘레 면에 미생물의 서식이 용이하도록 화산석 접촉산화재(30)를 부착하여 미생물에 의한 정화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며, 이는 화산석 접촉산화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다른 재료를 부착하여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재홈(21)에 수생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수생식물이 뿌리를 내려 지지할 수 있도록 자갈, 왕사, 모래, 흙을 차례로 투입한 상태에서 수생식물을 식재한 후 그 위에 필터크로스를 덮고 식재홀을 뚫어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홍수 등에 흙 등이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도 3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시 유량이 비교적 적어 징검다리로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천이나 하천의 수로에 전후 좌우로 징검다리의 보폭보다 다소 넓은 간격으로 바닥에 각 인공 습지부재(P)를 하천의 가로방향으로 연속하여 밀착시키도록 매립부(10)를 매립시킨 상태에서 식재홈(21)에 자갈, 왕사, 모래, 흙을 차례로 투입한 상태에서 수생식물을 식재한 후 그 위에 필터크로스를 덮고 식재홀을 뚫어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홍수 등에 자갈, 왕사, 모래,흙 등이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인공 습지부재(P)의 설치수량은 수로의 폭과 길이를 감안하여 환경용량에 맞게 이루어진다.
이렇게 설치되는 각 인공 습지부재(P)에 식재된 수생식물이 징검다리 형태로 인공 수로습지가 조성되어 수생식물이 수로의 유수 중에 용해되어 있는 유기물이나 영양염류를 섭취하여 자리게 되어 수로의 물을 자연 정화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서 하상의 조도를 높이어 유속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수로에 설치된 각 포트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위치가 낮아지게 되므로 인공습지부재(P)의 매립부(1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1)에 지면을 통해 유입되어 저장되는 물이 갈수기간에 하방으로 새어나와 수로에 물의 흐르는 것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홍수시에도 인공 수생습지를 구성하는 인공 습지부재(P)가 바닥에 매립되어 있어 인공 습지부재가 유실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공 수생습지부재가 수로 바닥으로부터 높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홍수의 흐름에 큰 장애가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특히 수로에 평면적으로 보아 넓은 지역에 수생식물군으로 인공습지나 수생식물대가 조성될 수 있으므로 당 해수계에 적합한 환경용량의 시설을 할 수가 있어 개천 또는 하천의 정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b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인공 습지부재(P)를 하천의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속하여 밀착시키도록 매립부(10)를 매립시키어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인공습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로,
인공 습지부재(P)를 원형형상으로 형성하여 하부에 하부에 매립부(11')를 형성하고 상부에 식재부(20)를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면에 제시된 사각,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인공습지부재에 수생식물을 식재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a, 3b는 본 발명을 하천에 설치한 평면적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인공습지부재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인공습지부재
10: 매립부 11: 공간부
12,22: 통공
20: 식재부 21: 식재홈
30: 화산석 접촉산화재

Claims (3)

  1. 개천이나 하천의 수로에 수생식물을 식재되도록 하는 인공습지부재(P)를 구비한 인공 수로습지에 있어서,
    상기 인공습지부재(P)는 수로의 하상에 매립되어지는 매립부(10)에는 지하수가 유입되어 저장할 수 있도록 저부를 개방한 지하수 저장공간부(11)를 형성하고 저장공간부(11)에 유입되는 물이 차오르도록 상부 둘레에 통공(12)을 형성하여 수로의 바닥에 적정간격을 두고 직,병렬방식으로 매립되도록 구성함과,
    상기 매립부(1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식재부(20)의 외면 및 매립부(10)의 상면에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도록 화산석 접촉산화재(3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
  2. 삭제
  3. 삭제
KR20080079197A 2008-08-13 2008-08-13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 KR10089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9197A KR100899775B1 (ko) 2008-08-13 2008-08-13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9197A KR100899775B1 (ko) 2008-08-13 2008-08-13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775B1 true KR100899775B1 (ko) 2009-05-28

Family

ID=4086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9197A KR100899775B1 (ko) 2008-08-13 2008-08-13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7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5051A (zh) * 2016-06-26 2016-10-26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河道流域治理方法
CN106045057A (zh) * 2016-06-26 2016-10-26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重污染河流的再生水补水方法
CN106045052A (zh) * 2016-06-26 2016-10-26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重污染河流的生境改善方法
CN108298675A (zh) * 2018-01-20 2018-07-20 湖南润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降氮减磷的湖水生态修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816A (ko) * 2002-08-20 2002-09-13 석성기업주식회사 고기집이 형성되어 있는 징검다리용 인조석
KR100443314B1 (ko) 2002-08-09 2004-08-09 학교법인 인제학원 인공습지용 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KR100704233B1 (ko) 2006-10-17 2007-04-09 (주)평화엔지니어링 가믐에도 어류 생존이 가능하도록 저수기능이 구비된 하천바닥블록
KR100727285B1 (ko) 2007-01-31 2007-06-15 (주)대흥엔지니어링 하천 하상 생태 보호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314B1 (ko) 2002-08-09 2004-08-09 학교법인 인제학원 인공습지용 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KR20020071816A (ko) * 2002-08-20 2002-09-13 석성기업주식회사 고기집이 형성되어 있는 징검다리용 인조석
KR100704233B1 (ko) 2006-10-17 2007-04-09 (주)평화엔지니어링 가믐에도 어류 생존이 가능하도록 저수기능이 구비된 하천바닥블록
KR100727285B1 (ko) 2007-01-31 2007-06-15 (주)대흥엔지니어링 하천 하상 생태 보호 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5051A (zh) * 2016-06-26 2016-10-26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河道流域治理方法
CN106045057A (zh) * 2016-06-26 2016-10-26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重污染河流的再生水补水方法
CN106045052A (zh) * 2016-06-26 2016-10-26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重污染河流的生境改善方法
CN108298675A (zh) * 2018-01-20 2018-07-20 湖南润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降氮减磷的湖水生态修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75221A1 (en) Fluctuation zone state slope protection system that responds to hydrological changes
US20140042064A1 (en) Ecological Biotope Water Purification System Utilizing a Multi-Cell and Multi-Lane Structure of a Constructed Wetland and Sedimentation Pond
KR101923926B1 (ko)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CN102531182A (zh) 微污染入库(入湖)河流的水质净化及生态湿地修复系统
CN109399800B (zh) 一种河流湖泊径流污染梯级控制系统
KR101360240B1 (ko) 친환경 저류형 농수로
CN110316829A (zh) 构造模块化生态岛进行河道生态修复的方法
KR100899775B1 (ko) 징검다리형 인공 수로습지
JP2016202109A (ja) ミズゴケ湿原再生方法及び再生基盤
CN215052665U (zh) 一种基于生态流速的复式河床环境系统
CN211057724U (zh) 一种应对水文变化的消落带生态护坡系统
CN108793418A (zh) 一种多流向渗滤型模块化组合湿地装置
KR200417720Y1 (ko) 습지를 이용한 완충 저류시설
CN110357267A (zh) 梯级多段潜流人工湿地处理池及其施工方法
KR101390357B1 (ko) 살수여상기능 및 정수처리기능을 갖는 자연형 하천 호안 공법
KR200412590Y1 (ko) 사면녹화용 식생블록
CN211644793U (zh) 农田面源污染控制和水资源利用系统
JP3550542B2 (ja) 循環型水路
CN201648100U (zh) 一种用于河道护坡的水流净化装置
CN211056802U (zh) 复合污染型支浜水体汇流前动态治理结构
CN211367147U (zh) 一种人工湿地水位梯度构造
CN211712874U (zh) 用于河道治理的截污集中处理系统
CN112830642A (zh) 用于防治农田面源污染的新型生态沟渠系统
KR101154472B1 (ko) 외부보강형 인공식물섬
JP5860317B2 (ja) 調整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