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237B1 -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Google Patents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0237B1 KR101130237B1 KR20090089281A KR20090089281A KR101130237B1 KR 101130237 B1 KR101130237 B1 KR 101130237B1 KR 20090089281 A KR20090089281 A KR 20090089281A KR 20090089281 A KR20090089281 A KR 20090089281A KR 101130237 B1 KR101130237 B1 KR 101130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ificial
- water
- shellfish
- aquatic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2965 rop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4215 spore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418 vegetabl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0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4081 Cilia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98 Polyethylene (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170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79 medium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01 medium-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86 polymer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54 agricultur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65 Abomas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745987 Phragmit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97 foam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JCXJVPUVTGWSNB-UHFFFAOYSA-N nitrogen dioxide Chemical compound O=[N]=O JCXJVPUVTGWS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AHZWNYVWXNFOC-UHFFFAOYSA-N sulphur dioxide Chemical compound O=S=O RAHZWNYVWXNF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LDFSDCBQJUWFG-UHFFFAOYSA-N 2-(methylamino)-1,2-diphenylethanol Chemical compound C=1C=CC=CC=1C(NC)C(O)C1=CC=CC=C1 BLDFSDCBQJUW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328 Amphib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1566 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491 Corchorus aestu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777 Corchorus aestu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862 Corchorus capsul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938605 Crocody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28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33663 Iris pseudaco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657 Thym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03 Thym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30 nitro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17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13 phosphor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85 thymus vulgari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29 turbidit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수생식물을 식재한 상태로 수면 위에 부유한 상태로 설치되는 인공식물섬과; 각종 어류나 패조류의 식생과 산란을 위해 수중 바닥에 설치되며, 인공식물섬과 연결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인공어초와; 인공어초에 설치되며, 패류 및 수생식물의 서식처로 제공되는 패류서식장치; 및 인공어초에 설치되는 인공수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가 개시된다.
인공식물섬, 인공어초, 패류서식장치, 인공수초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수지 또는 댐 등의 정체수역의 수생태를 복원하고, 수질 개선을 하여 패류, 어류 및 조류의 서식처를 제공함은 물론, 수변공간을 공원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대기 중에 분진,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등의 오염 물질의 양이 증가하고, 이러한 물질들은 대기 중에서 부유하다가 강우에 의하여 하천 및 호소 등으로 유입되고 있다. 또한, 하천 등으로의 생활하수, 공장폐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수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질소화합물 및 인산염 등을 포함하는 영양염류는 유기물 분해를 일으키는 미생물의 생육과 증식에 필요한 무기성 원소이며, 생물세포 형성과 생활에너지 획득을 위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원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질소 및 인 등의 영양염류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수중 생태계의 자정 능력의 한계를 초과하는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수중 식물성 플랑크톤의 과잉성장으로 인하여 하천수 등의 탁도가 저하되고 심한 경우에는 부패물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며, 수중의 어류를 폐사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하천이나 호소 등의 수중 생태계에 존재하는 영양염류의 양이 자체 정화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천이나 호소의 수질을 정화하고 다양한 생물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주어야 한다. 식물은 물 속의 질소와 인을 영양분으로 하여 성장하므로, 물속의 영양염류를 제거하고 물에 산소를 공급하며 미생물이 부착되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줄뿐만 아니라 미려한 수변공간을 조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장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물과 육지가 접하는 수변부에만 식물이 식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물 위에 인공 식물섬을 띄우는 방법이 다각도로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하천과는 달리 농업용 저수지 또는 다목적 댐과 같은 정체수역의 경우에는, 그 수위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호안 수조내의 소초대의 파괴가 심하여 생물서식처가 쉽게 상실되고, 그로 인하여 수생태계가 파괴괴고, 결국 자정작용을 상실하는 악순환을 거치게 된다. 그리 인하여 부영양화 등으로 인하여 수질악화가 심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식물 생육공간을 친환경적으로 충분히 확보해줄 필요가 있음은 물론, 어족자원의 보호를 위해 어류 산란처 및 서식처에 대한 제공은 물론, 수질개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패류의 서식을 위한 친환경적인 서식처의 제공이 다각도로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도심 주변에 산재 해 있는 다양한 정체 수역(농업용 저수지, 다목적 댐 등)을 관광 및 휴식처로 제공하여 레저 및 휴식공간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익한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함께 연구되어 제공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식물서식처와, 어류서식처 및 패류서식처를 함께 제공하여 정체 수역의 수생태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친환경적인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는, 수생식물을 식재한 상태로 수면 위에 부유한 상태로 설치되는 인공식물섬과; 각종 어류나 패조류의 식생과 산란을 위해 수중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인공식물섬과 연결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인공어초와; 상기 인공어초에 설치되며, 패류 및 수생식물의 서식처로 제공되는 패류서식장치; 및 상기 인공어초에 설치되는 인공수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공식물섬은, 수생식물의 뿌리가 수중으로 내리도록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올레핀계 발포성형 수지 재질의 판형 부유체와; 상기 수생식물을 활착시키도록 상기 판형 부유체 상에 설치되며, 천연 식물성 재질의 평판 매트형 식생기반재와; 상기 판형 부유체와 상기 식생기반재를 감싸서 고정시키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공어초는, 수중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연결관과; 상기 다수의 수직 연결관의 상부에 설치 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메인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테두리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보강지지대와; 상기 바닥프레임, 상부프레임, 수직연결관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연결관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패널; 및 상기 받침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측이 계단형으로 형성된 계단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계단형 패널은 수직면 및 수평면을 가지며, 수평면에는 수초류 및 포자의 착상이 용이하도록 부착돌기가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인공어초는, 수중바닥에 설치되어 착지되는 기초대와; 상기 기초대의 윗면에 복수개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양측 외측에 계단형으로 형성된 계단형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계단형 패널은 수직면과 수평면을 가지고, 상기 수평면에는 포자의 착상이 용이하도록 부착돌기가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패류서식장치는, 상기 계단형 패널의 수평면에 외측테두리가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틀 몸체와; 상기 틀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패류의 서식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생식물이 식재 가능한 식생기반재와; 상기 식생기반재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부; 및 상기 틀 몸체와 부력부재 및 식생기반재를 둘러싸 그 형태를 유지시키는 외부망체;를 포함하며, 상기 식생기반재는 상기 틀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소정두께로 진흙이 수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진흙으로 패류가 침투하여 서식할 수 있는 진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인공수초는 상기 인공어초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미디어부재와; 상기 미디어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미디어부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력재는 서로 다른 부력을 가지며, 상기 미디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에 따르면, 농업용 저수지나 다목적 댐과 같은 정체수역 내에 설치되어, 수상에서의 수상식생물, 수중에서의 다양한 식생물의 서식처 및 은신처를 제공하여 수생태계의 복원은 물론, 수질개선을 하는데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저수지 등에 보행, 관찰, 정주공간등에 데크를 설치하여 공원화 및 관광자원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수생태 환경을 보호 및 복원하고, 수질개선을 이룩하여 수자원의 건간성을 확보하고, 나아가서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 복원 및 수질 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는, 호소의 수면위에 부유한 상태로 설치되는 인공식물섬(100)과, 수중에 설치되는 인공어초(200)와, 상기 인공어초(200)에 설치되는 패류서식장치(300) 및 상기 인공어초(200)에 설치되는 인공수초(400)를 구비한다.
상기 인공식물섬(100)은 수면위에 조성되는 부유습지로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 식물성 재질을 사용한 식생기반재(110)와, 판형 부유체(120)와, 그물망(130)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비골격형 인공식물섬이다.
상기 식생기반재(110)는 갈대와 같은 수생식물을 활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코코넛 섬유 등의 섬유질 재질을 코이어 섬유, 면사, 황마사 등의 천연섬유사 재질의 그물망체에 채운 평판 매트형 또는 고무화된 코코넛 섬유 시트(rubberized coconut fiber sheet)로써 코코넛 섬유에 고무를 합침시켜 제조한 환경친화적 및 자연친화적 소재형태로 구성되며, 부유체(120)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물망 매트에 채워진 소재들은 쉽게 분해될 수 있는 물질이지만, 식재된 수생식물의 사멸과 분해에 의해 또 다른 식재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인공 식물섬은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그물망 매트의 두께는, 수생식물이 지탱될 수 있도록 5 내지 1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부유체(120)로서, 종래 공지된 기술들과 달리 금속재, 혹은 목재 등으로 일정한 형태의 프레임을 만들어 이용하지 않고, 부유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발포 성형 수지 판재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성 에틸렌 초산비닐 코폴리머(EVA : ethylene vinylacetate coploymer)를 부유체로 사용한다. EVA는 고압법 폴리에틸렌 중합장치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일종으로 다른 종류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에 비하여 상온 상태에서의 유연성이 탁월하고 탄력성이 우수하여 고무와 가장 유사한 성질을 나타낸다. EVA 소재는 미세 균일한 독립기포구조를 형성하므로 고무에 비하여 가볍고 성형이 용이하고, 내후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현재 신발중창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농업용 필름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EVA의 특성에 착안하여 EVA를 부유체로 사용함으로써, 비바람이나 폭풍시의 파랑 또는 인공 식물섬끼리의 충돌로 인 한 부유체(120) 혹은 식생기반재(110)의 파손?손실의 위험이 없는 비골격형 인공 식물섬을 제공한다. 그리고 부유체(120)에는 다수의 구멍(12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됨으로써, 식생기반재(110)에 식재된 식물(10)의 뿌리가 자리 잡아 부유체(120) 하부의 수중으로부터 수분을 쉽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생기반재(110)의 손실을 방지하고, 식재된 수변 식물이 부유체(12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의 식생기반재(110)와 부유체(120)를 합성수지 그물망(130)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 구조로서, 식생기반재(110)와 부유체(120)가 각각 프레임이 없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결속구를 형성하지 않고, 그물망(130)을 이용하여 결속시킨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구성 및 내후성이 뛰어난 소재인 중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MDPE)를 압출시켜 제조한 그물망을 사용한다. 중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경도가 높고 내충격성, 내열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므로, 파랑 및 충돌로 인한 그물망 자체의 손상이 적을 뿐만 아니라 빛에 의한 변형이 적으므로, 수체 내에 설치되어 오랜 시간 동안 일광을 받게 되는 경우에도 인공 식물섬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중?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이외도 나일론망, PE망, 낫셀망, PP망 등과 같이 내구성과 작업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계열의 그물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인공식물섬(100)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부유체(120) 위에 천연 식물성 섬유 재질의 평판매트형 식생기반재(110)를 얹은 후, 별도의 체결과정을 거치지 않고 합성수지 그물망(130)으로 식생기반재(110)와 부유체(120)를 감싼 후 그물망(130)과 동일한 재질의 합성수지사, 낚시줄, 로프 등의 결체수단으로 개방부를 봉제하여 마감함으로써 완성된다. 따라서, 식생기반재(110)의 보존을 위한 프레임 제조 또는 프레임이 형성된 부유체(120)의 제조 공정이 필요치 않으므로, 제조 공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 제작비 등의 경비가 절감되며, 제조시 소요되는 시간도 절약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공 식물섬의 파손시에도 교체가 간편하고 용이하다.
도 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제조된 비골격형 인공식물섬(100)의 그물망(130) 사이에는 수생 식물의 식재를 위한 다수 개의 포트가 끼워지게 되는데, 포트도 상기 식생기반재(110)와 같이 식물성 천연 섬유 재질로 제조되고, 그 내부에 흙을 채워 식물을 식재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인공식물섬(110)을 실제 수체에 적용할 경우에, 필요한 만큼의 수생 식물 식재 면적을 얻기 위하여 다수 개의 인공 식물섬을 상호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다수 개의 인공 식물섬을 연결하여 수생 식물의 식재 공간을 넓힐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1,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일정 단위 면적으로 제작된 각각의 인공 식물섬은 메인로프(140)를 인공 식물섬의 부유체(120)에 관통시키고, 그 끝단에 연결고리(141)를 형성케 한 후 연결고리(141)를 연결로프(143)로 서
로 연결시켜 다수 개의 인공 식물섬을 연결시키거나 또는 연결로프(145)로 연결시켜 고정앵커(20)에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앵커(20)를 대신하여 연결로프(145)에 의해 수중에 설치된 인공어초(200)에 연결되어 지지 될 수 있다. 이로써, 안정적으로 인공식물섬(100)을 수면 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유속, 파랑 등의 외부 충격이 로프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골격형 인공 식물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로프(140), 연결고리(141) 및 연결로프(143,145)는 수중에서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와이어나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제조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식물섬(100)에 연결로프(145)를 매개로 하여 수위 조절체(150)를 연결시키고, 다시 연결로프(145)를 매개로 하천 등의 저면에 설치된 고정 앵커(20)에 연결시키거나, 도 1의 인공수초(200)에 연결시킴으로써, 최초 설치 위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수위의 변동에도 일정 깊이 이상 수면 아래로 침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공 식물섬(100)은 평판 매트형 식생기반재(110)와, 부력성이 탁월한 판형의 발포성형 수지로 부유체(120)를 성형하고, 이를 중?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합성 수지 그물망(130)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식생기반재(110)의 보존을 위한 프레임 제조 또는 프레임이 형성된 부유체(120)의 제조 공정이 필요치 않으므로, 제조 공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 제작비 등의 경비가 절감되며, 제조시 소요되는 시간도 절약되며, 인공 식물섬의 파손시에도 교체가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공식물섬(100)은 고정 및 상호 연결에 있어서도 유속, 파랑 등의 외부 충격이 로프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골격형 인공 식물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손상의 위험이 적은 안정적인 인공 식물 섬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하천 및 호소 등의 수변정화산업, 수변환경 조성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즉, 인공식물섬(100)은 수생식물, 미생물, 저서생물, 동물플랑크톤의 복합작용으로 수질개선 효과가 있으며, 특히 녹조 제어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인공식물섬(100)에 식재된 수생식물(10)의 뿌리는 어류의 산란처, 은신처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공식물섬(100)이 호소 가운데 설치되어 부유습지로서 제공되면, 천적의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조류의 안전한 서식처로서도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공식물섬(110)은 다양한 형태로 조성이 가능하며, 수상꽃밭을 연출할 수도 있어서, 경관이 수려하여, 수상공원 및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매우 높은 이점이 있다.
상기 인공어초(200)는 수중에 설치되어 물고기들의 은신처, 서식처로 제공되며, 특히 저서성 어류의 산란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인공어초(200)는 부착조류 및 수초의 생장 기반이 됨으로써, 수중 생물에게 안정적인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공식물섬(100)의 하부에 인공어초(200)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인공식물섬(100)에 착란한 어란의 부화시, 치어들의 휴식처를 제공하여 생존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인공어초(200)는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210), 상부프레임(250) 및 수직연결관(230)을 구비한다. 상부프레임(250)과 바닥프레임(21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지지대(220)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프레임(250), 바닥프레임
(210) 및 수직연결관(230)으로 이루어진 공간에는 농업용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만든 받침패널(280 ; 도 10 참조)을 설치하여 계단형 패널(290 ; 도 11 참조)을 올려놓을 수 있는 층상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프레임(2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메인프레임(211)과 그 안에 포함하는 격자 구조로 형성된 보조프레임(212)으로 구성되며, 메인프레임(211)과 보조프레임(212) 사이에는 사석지지대(213)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다수 설치된다.
상기 사석지지대(213)는 메인프레임(211)과 보조프레임(212)을 견고히 연결시켜 주고 인공어초의 침하를 방지하며 그 사이에는 사석이 놓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준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석은 사석지지대(213) 사이에서 좌우 흔들림 없이 견고히 고정되어 진다.
또한 사석지지대(213)는 "ㄱ" 형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석의 크기나 연결되는 프레임의 구조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석을 사석지지대(213) 사이에 넣음으로써 인공어초를 수중의 저면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하고, 그곳에서 부착해조류 등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므로 이것을 먹이로 하는 어패류의 서식장 제공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보조프레임(212)과 상부프레임(250) 내부에는 복수 개의 수평지지대(215)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설치된다. 수평지지대(215)는 수직연결관(230)과 연결되어 상부프레임(230)을 지지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인공어초(200)가 수정 저면에 안착 되었을 때 견고히 안착 되도록 바닥프레임(21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수직연결관(2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연결관 연결부(217)에 설치된다. 즉, 보조프레임(212)과 수평지지대(215)에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프레임(250)과 연결된다. 수직연결관(230)의 외형은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 다른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받침패널(280)의 구멍(282)과 연결되는 구조로 제작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연결관(230)은 상부프레임(250)의 하중을 지지해주고, 받침패널(280)과 연결되어, 받침패널(280) 위에 부착패널(290)이 놓일 수 있도록 해준다.
받침패널(280)은 농업용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환경오염원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받침패널(28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다수의 홈(281)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초류, 소라 등과 같은 패조류가 부착이 용이하고, 따라서 어류의 먹이 공급처가 된다. 또한, 받침패널(280)의 모서리 부분에는 네 개의 구멍(282)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282)에 수직연결관(230)을 연결하여 받침패널(280)을 바닥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50) 사이에 형성시킨다.
또한, 받침패널(280)이 떨어지지 않도록, 수직연결관(230)과 받침패널의 배면에 고정수단을 형성하여 받침패널(280)을 받쳐주도록 한다. 그리고 받침패널(280)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관(230)은 구조의 안정성을 위하여 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관 외면에 농업용 폐비닐재질로 합성하여 처리한다. 또한, 받침패널(280)과 수직연결관(230)을 연결 고정 후 동일 재질로 융착 고정 처리하므로 부식방지는 물론 보다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패널(280)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층에는 4개의 받침패널(280)이 수직연결관에 연결되어 형성하고, 제2층에도 다시 4개의 받침패널(280)이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항상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어류의 생태나 그 환경에 맞추어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패널(280)의 상면에는 계단형 패널(290)이 설치된다. 상기 계단형패널(290)은 받침패널(280)과 마찬가지로 농업용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제작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영효과로 어류의 서식환경 조건을 충족시키며 또한 치어들의 서식공간을 마련하도록 "Λ"자 형상으로 된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단형 부착패널(290)의 내부는 어류의 은신처 및 해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비워져 있다. 또한, 외부에는 수평면(291)과 수직면(292)으로 이루어진 계단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계단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경사면보다 수초류 및 포자가 착지하기 용이하며, 따라서 수초류가 많이 서식하여 어류에게 먹이 및 은신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계단형 패널(290)의 수직면(292)에는 유속으로 발생 되는 인공어초의 흔들림을 줄이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홀(294)이 형성된다. 수직면(292)에서 형성된 홀(294)은 계단형 패널(29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작은 치어들의 이동 경로 및 은신처로 이용된다. 그리고 계단형 패널(290)의 상부면(293)에도 하나 이상의 홀(294)이 형성되며 수직면(292)에 형성된 홀(294)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때, 홀(294)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도 대상으로 하는 어류의 상태나 그 환경에 맞추어 사각형이나 육각형과 같은 다른 모양으로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계단형 패널(290)의 수평면(291)에는 수평으로 길게 홈을 가공하여 부착돌기(295)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부착돌기(295)는 평면의 경우보다 수초류 및 포자가 부착이 용이토록 해주며 경사진 장소보다 부착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공어초의 안전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바닥프레임(210)의 메인프레임(211)과 상부프레임(250)의 테두리에 하나 이상의 보강지지대(220)를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프레임(210) 및 상부프레임(250) 등의 테두리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강(271)을 사용하며, 양단에 용접부를 가공하여 결합된다. 또한, 수평지지대(215) 역시 "ㄷ"자 형강(271)을 사용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212) 및 상부프레임(250)의 "H" 형강(272) 과 결합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들(210,250)은 "ㄱ" "ㄷ" "H" 구조의 강재를 사용하였으나, 상호 연결하는 수단에 따라 여러 형상의 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방법 역시 용접, 볼트 및 너트 등 관련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수단이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계단형 패널(290)이 적어도 한 쌍이 서로 이격되게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각각은 상기 받침패널(280)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계단형 패널(290)에는 상기 패류서시장치(300)가 상하 다층 형식으 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200')는 호소 저면에 착지하여 고정되는 기초대(260)와, 그 기초대(260)의 윗면(261)에 고정설치되는 계단형 패널(290)을 구비한다.
상기 계단형 패널(290)은 앞서 도 11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계단형 패널(290)은 기초대(26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짝 수 열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기초대(260)는 콘크리트와 같은 고중량의 물질을 통상 사용하며, 기초대(260) 윗면(261)에 설치되는 계단형 패널(290)의 하중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속 등에 의해 인공어초 전체가 뒤집히거나 특정 장소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1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면(261)에서부터 바닥면(미도시)까지 관통되는 사각형 형상의 개구부(262)가 형성되며, 각 개구부(262)에는 계단형 패널(290)이 안착 되어 고정되도록 고정면(263)을 윗면(261)에서 일정 깊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개구부(262)는 조류의 흐름을 원만하게 해주며, 어류의 이동경로 및 해조류의 서식장소를 마련해준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어초(200')가 호소 저면에 설치될 때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초대(260)의 바닥면(265)에는 기둥(266)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기초대(260)에 여섯 개의 기둥(266)이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실제 적용시에는 설치 환경에 따라서 네 개 또는 여덟 개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기초대(260)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한정된 것이고, 다른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인공어초(200')의 경우에도 다수를 계단형 패널(290)을 서로 나란하게 동일 높이로 배치함으로써, 그 계단형 패널(290)의 수평면(291)에 지지되도록 상기 패류서식장치(30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다수의 패류서식장치(300)를 상하로 이격되게 복층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복층으로 설치된 패류서식장치(300) 사이의 공간을 어류의 서식처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인공어초(200,200')는 폴리머콘크리트(Polymer concret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머콘트리트는 폴리에틸렌(농업용 비닐 재활용)을 결합재로서 황토 등의 토양성분과 배합하여 성형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콘트리트는 압축강도가 우수하고, 방수성 및 수밀성이 좋으며, 각종 산, 알칼리, 염류에 강하면 내마모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시멘트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높은 기능성 및 우수한 물리 역학적 특성을 가지며, 이용기술은 꾸준히 발전하여 심층구조물, 해양과 우주 개발 등에 적용되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인공어초(200,200')는 규격화된 공장 제작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제품의 균일생산으로 인하여 시공성이 용이하고, 공기 단축으로 인하여 예산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식의 우려가 없어서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재질의 가공성이 우수하여, 비중조절이 가능하며, 대상 호소 지역의 특성 및 어종에 따른 다양한 모양과 구조, 해가림 패널 등의 부착으로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인공어초는 연약지반에도 시설이 가능하며, 대형어초로서 시설 후, 정확한 위치확인이 가능하여 사후 유지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회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패류서식장치(300)는 패류(30)와 수생식물(10)이 성장하고 식재될 수 있는 기반재 및 패류의 서식처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서식되는 패류(30)는 호소 내에서 서식하면서 호소 내의 수질을 정화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패류(30)는 섭식 활동시 영양염을 배출하는데, 상기 영양염은 식물플랑크톤이나 다른 미생물의 성장에 재이용된다. 또한 패류(30)가 배출하는 배설물은 입자 형태로써 호소 내의 바닥으로 침강되어 생물의 먹이원으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패류(30)는 수중과 퇴적층을 기능적으로 연결하므로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질정화에 사용되는 패류(30)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으나, 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국내 자생패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생식물(10)은 패류서식장치(300)에 식재될 수도 있다. 식재되는 수생식물(10)의 줄기와 잎은 호소 내의 물의 유동을 감소시켜 오염물질의 확산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패류서식장치(300)에 서식하는 패류(30) 및 미생물의 부착기질로 이용될 수 있어서 패류(30)가 수생식물(10)을 타고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수생식물(10)은 패류(30)의 먹이로 이용될 수 있어서, 패류(30)의 서식에 도움을 준다. 한편 수생식물(10)로는 노랑꽃창포, 갈대 등 정수성 수생식물(10)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d를 참조하면, 패류서식장치(300)는 틀 몸체(310)와, 식생기반재(320)와, 외부망체(330) 및 통공부(340)를 포함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틀 몸체(310)는 내부에 수용부를 가지는 틀 형태로 마련되어 패류서식장치(300) 전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틀 몸체(31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상기 식생기반재(320)는 틀 몸체(310)의 상부에 수용되어 설치되며, 패류(30)가 식생하며 성장하는 서식처로 이용된다. 여기서 식생기반재(320)는 토양, 폐그물, 합성섬유, 천연 섬유사 재질의 매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식생기반재(320)의 일례로는, 양 단부가 밀봉된 다수의 중공형 관을 뗏목의 형태로 배열하여 부력을 유지하고 식생기반재로 흙을 사용한 한국특허출원 제20010043609호(뗏목형 인공 식물섬), 양면이 밀폐된 원통형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부유체를 사용하고 식재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섬유질 재질인 블록 구조의 식생기반재를 이용한 한국특허출원 제19980012959호(수상식물 재배장치) 등이 공지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식생기반재(320)는 종래 식생기반재의 구성을 차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망체(330)는 틀 몸체(310)와 식생기반재(320)를 둘러싸 패류서식장치(300) 전체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패류서식장치(300)를 보호한다. 더욱이 외부망체(330)는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 제작될 수 있어서 호소내에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패류서식장치(3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통공부(340)는 식생기반재(320)를 상하로 관통하여 마련된다. 여기서 패류서식장치(300)는 호소 내에 위치되므로 호소 내에서 유동하는 물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되는데, 상기 저항으로 패류서식장치(300)가 손상될 수도 있다. 그래서 통공부(340)를 마련하여 호소 내에서 유동하는 물이 패류서식장치(300)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패류서식장치(300)에 가해지는 저항을 줄일 수 있어서 패류서식장치(30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통공부(340)를 통해 패류(30)의 분비물을 패류서식장치(300)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통공부(340)를 통해 패류(30)가 패류서식장치(300)에서 이탈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공부(340)의 소정위치에 망체(342)가 설치된다. 그래서 패류(30)는 패류서식장치(300) 내에서 안전하게 서식 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d를 참조하면, 틀 몸체(310)의 내부에는 패류(30)에게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한 진흙유닛(250)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진흙유닛(350)은 판재형상의 프레임(352)과, 통로부(35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352)은 수용부를 가지는 판재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에 진흙(358)이 수용된다. 여기서 프레임(352)은 틀 몸체(310)와 동일하게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통로부(strainer)(354)는 프레임(352)의 바닥면에 망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를 통해 물이 통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흙유닛(350)은 호소에 잠겨있으므로 그 바닥면이 막혀있으면 호소 내의 물의 유동에 의해 진흙유닛(350)이 저항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으로 인해 프레임(352)에 수용된 진흙(358)과 이물질이 호소 내로 유출되어 호소의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프레임(352)의 바닥면에 망 형상의 통로부(354)를 마련하여 물이 패류서식장치(300)를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호소 내에서 진흙유닛(350)에 가해지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진흙유닛(350)에 포함된 진흙(358) 및 이물질이 호소 내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한편 도 22c, 도 22d를 참조하면, 상기 천연섬유매트(356)는 프레임(352)의 수용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천연섬유매트(356)는 코코넛섬유와 천연고무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진흙(358)이 수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호소 내에서 진흙(358)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패류서식장치(300)는 도 1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 패널(290)에 양단이 놓여져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수중의 바닥에서 떠 있는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별도의 부유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패수서식장치(300)를 계단형 패널(290)의 상하 척층 구조로 이격 되게 설치할 수도 있게 됨으로써, 계단형 패널(290)을 지지구조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의 패류서식장치(300)를 인공어초(200)에 설치함으로써, 패류가 서식되기에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류서식장치(300)가 정체수역 내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대해 내구성을 지니므로 설치 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계속적으로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류의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진흙유닛(350)을 마련하여서 패류가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천연섬유매트를 마련함으로써, 패류의 서식에 필요한 진흙의 유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패류서식장치(300)에 수생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패류의 여과능과 함께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어서 수질정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어초(200)의 상부에는 인공수초(400)가 다수 설치된다. 이러한 인공수초(400)의 제1실시예는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부재(411)와, 미디어부재(411)에 결합되는 다수의 부력재(412)를 구비한다.
상기 미디어부재(411)는 막대 모양을 가지며, 소정 간격으로 마디(411a)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디(411a)가 있는 경우에는, 그 마디(411a) 마다 부력재(412)가 결합된다. 물론, 미디어부재(411)는 마디가 없는 막대형상을 가질 수 있 으며, 복수의 부력재(412)는 마디가 없는 막대형 미디어부재에 소정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미디어부재(411)는 선형의 형상으로서,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좋고, 마디(411a)는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부력재들(412)은 동일한 부력을 가질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부력을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부력재(412)는 미디어부재(411)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부력이 큰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부력이 큰 부력재(412)를 상부에 위치되게 순서대로 설치함으로써, 미디어부재(411)가 수중에서 눕혀지지 않고 직립된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수중의 물 흐름에 의해 자연의 수초와 같이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중 물 흐름을 방해하지 않음은 물론, 물의 자연스런 유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연 상태의 수초와 같이 어류의 서식처 및 생물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수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공수초(400)는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도록 묶이거나, 엮인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인공수초(400)는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패널(510)에 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패널(510)은 상기 인공어초(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인공수초(400)를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격자프레임 형상을 가지거나, 그물망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설치패널(510)은 인공어초(2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패널(510)에 일정한 간격으로 별도의 부력재(520)를 로프(530)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부력재(520)는 인공수초(400)의 외측 테두리부분에 설치됨으로써, 인공수초의 외곽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게 되고, 인공수초(400)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24a 및 도 24b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초(420)는 미디어부재(421)와, 미디어부재(421)에 결합되는 복수의 부력재(422)를 구비하며, 상기 미디어부재(421)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판형의 구조를 가지며,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초(430)는 미디어부재(431)와, 미디어부재(431)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력재(432)를 구비하며, 미디어부재(431)는 선형의 미디어몸체(431a)와, 미디어몸체(431a)에 설치되는 다수의 섬모(431b)를 구비한다. 상기 미디어몸체(431a)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로프 형일 수 있다. 상기 섬모(431b)는 미디어몸체(431a)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로프 형의 미디어몸체(431a)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섬모(431b)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미디어몸체(431a)의 외측에 설치되어 물결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연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섬모(431b)는 미생물의 서식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수생물의 번식 및 활성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를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초(440)는 다수의 미디어부재(441)와, 미디어부재들(441)을 소정 간격으로 서로 묶어서 결합하는 결합부재(442) 및 미디어부재들(441) 사이에 내재되어 설치되는 부력재들(443)을 구비 한다.
상기 미디어부재들(441)은 길게 형성된 선형 즉, 막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진다. 미디어부재(4411)는 길이 방향으로 그 굵기가 일정하지 않게 형성될 수도 있다. 미디어부재(441)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굵은 마디부분(441a)은 결합부재(442)에 의해묶이도록 결합되며, 다른 가는 부분(441b)에는 부력재(443)가 내재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미디어부재들(441)은 3개 이상 사용 가능하며, 그 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결합부재(442)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형의 밴드인 것이 좋다. 이 결합부재(442)를 이용하여 미디어부재들(44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하고, 그 결합부재들(442)의 사이마다 부력재(443)를 설치하면, 복수의 미디어부재들(441)과 부력재(443)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도 27a 및 도 27c는 제5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초(450)는 복수의 미디어부재(451), 미디어부재들(451)을 소정 간격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452) 및 미디어부재들(451)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력재들(453)을 구비한다. 상기 미디어부재들(451)은 판 형상을 가지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미디어부재들(451)은 서로 나란하게 복수 개가 배열된 상태에서 결합부재(452)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묶여서 결합 된다.
도 28a 및 도 28b를 참조하면, 제6실시예에 따른 인공수초(460)는 자체부력을 가지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미디어부재(461)와, 미디어부재(461)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섬모(462)를 구비한다. 미디어부재(461)는 막대 형상 또는 로프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길이와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미디어부재(561)는 자체 부력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합성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체 부력을 가지는 미디어부재(461)를 이용하여 인공수초(460)를 수중에 설치하게 되면, 부력재와 미디어를 결합할 필요가 없고, 부력재의 이탈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섬모들(462)은 미디어부재(461)의 외측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일정 간격으로 섬모들(462)이 집중적으로 뭉쳐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섬모들(462)은 물결에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늘고 길게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미디어부재(46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섬모들(462)이 집중적으로 설치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마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인공식물섬(100)을 부교(600)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공식물섬들(100) 간에, 그리고 인공식물섬(100)과 인근 호소 주변을 부교(600)로 연결함으로써, 인공식물섬(100) 인근에서 자연생태계를 관찰할 수도 있고, 낚시 등의 레저 활동 장소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어초(200)에 다수의 패류서식장치(3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받침패널(280) 및 계단형 패널(290) 각각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에 따르면, 수면 위로 부유습지가 조성되며, 수중에는 대형 인공어초, 패류서식장치, 및 인공수초를 설치함으로써 종합적인 수생태 복원을 이룩할 수 있다. 즉, 미생물, 저서생물, 패류, 곤충류, 양서류, 파충류, 어류, 조류 등의 서식처를 모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부유식, 침수식 어류 서식처가 조성됨으로써 어류의 산란처, 은신처, 서식처가 되어 담수어류의 어족자원 보호효과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또한, 수생태계의 복합 서식처를 제공하여 생물 다양성을 확보하고 자정작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중에 설치된 인공어초, 패류서식장치 및 인공수초는 부착조류 및 부착 미생물의 작용으로 수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서식처에 사용되는 재질은 대부분이 친환경적인 재질, 예컨대 천연소재 또는 안정적인 PE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친환경적인 제작이 가능하며, 저탄소 녹색성장 사업의 매우 적합한 장치라 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위로 노출되는 인공식물섬(100)은 다양한 모양으로 연출이 가능하며, 친환경적 경관으로서 설치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경관을 창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서식장치에 부가되는 부교를 이용하여 산책로 조성이 가능하고, 낚시용 죄대로 조성할 수도 있으므로, 새로운 관광자원으로서도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a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식생기반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인공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 내지 도 22d는 도 1에 도시된 패류서식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3a 내지 도 28b는 도 1에 적용되는 인공수초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인공식물섬 200,200'..인공어초
280..받침패널 290..계단형 패널
300..패류서식장치 400..인공수초
Claims (7)
- 수생식물을 식재한 상태로 수면 위에 부유한 상태로 설치되는 인공식물섬과;각종 어류나 패조류의 식생과 산란을 위해 수중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인공식물섬과 연결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인공어초와;상기 인공어초에 설치되며, 패류 및 수생식물의 서식처로 제공되는 패류서식장치; 및상기 인공어초에 설치되는 인공수초;를 포함하고,상기 인공어초는,수중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프레임과;상기 바닥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연결관과;상기 다수의 수직 연결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과;상기 바닥프레임의 메인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테두리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보강지지대와;상기 바닥프레임, 상부프레임, 수직연결관으로 이루어진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연결관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패널; 및상기 받침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측이 계단형으로 형성된 계단형 패널;을 포함하며,상기 계단형 패널은 수직면 및 수평면을 가지며, 수평면에는 패조류 및 포자의 착상이 용이하도록 부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식물섬은,수생식물의 뿌리가 수중으로 내리도록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올레핀계 발포성형 수지 재질의 판형 부유체와;상기 수생식물을 활착시키도록 상기 판형 부유체 상에 설치되며, 천연 식물성 재질의 평판 매트형 식생기반재와;상기 판형 부유체와 상기 식생기반재를 감싸서 고정시키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삭제
- 수생식물을 식재한 상태로 수면 위에 부유한 상태로 설치되는 인공식물섬과;각종 어류나 패조류의 식생과 산란을 위해 수중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인공식물섬과 연결로프에 의해 연결되는 인공어초와;상기 인공어초에 설치되며, 패류 및 수생식물의 서식처로 제공되는 패류서식장치; 및상기 인공어초에 설치되는 인공수초;를 포함하고,상기 인공어초는,수중바닥에 설치되어 착지되는 기초대와;상기 기초대의 윗면에 복수개가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양측 외측에 계단형으로 형성된 계단형 패널;을 포함하며,상기 계단형 패널은 수직면과 수평면을 가지고, 상기 수평면에는 포자의 착상이 용이하도록 부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류서식장치는,상기 계단형 패널의 수평면에 외측테두리가 지지되도록 설치되며,틀 몸체와;상기 틀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패류의 서식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생식물이 식재 가능한 식생기반재와;상기 식생기반재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부; 및상기 틀 몸체와 식생기반재를 둘러싸 그 형태를 유지시키는 외부망체;를 포함하며,상기 식생기반재는 상기 틀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소정두께로 진흙이 수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진흙으로 패류가 침투하여 서식할수 있는 진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수초는 상기 인공어초의 상부에 설치되며,일정 길이를 가지는 미디어부재와;상기 미디어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미디어부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력재는 서로 다른 부력을 가지며,상기 미디어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89281A KR101130237B1 (ko) | 2009-09-21 | 2009-09-21 |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89281A KR101130237B1 (ko) | 2009-09-21 | 2009-09-21 |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1859A KR20110031859A (ko) | 2011-03-29 |
KR101130237B1 true KR101130237B1 (ko) | 2012-04-12 |
Family
ID=4393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089281A KR101130237B1 (ko) | 2009-09-21 | 2009-09-21 |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023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95888A (zh) * | 2013-08-23 | 2013-11-20 | 中国科学院武汉植物园 | 一种生态礁岛及其构建方法 |
KR101485828B1 (ko) * | 2014-06-03 | 2015-01-22 | 디엔텍 (주) | 호소 유입부의 수질개선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8118B1 (ko) * | 2012-06-19 | 2013-01-03 | 지유 주식회사 | 수생식물 식재용 부유체를 이용한 부유식 인공섬 |
KR101239060B1 (ko) * | 2012-12-03 | 2013-03-05 | (주)에코원 | 식물재배용 부유체 |
CN103250595B (zh) * | 2013-05-07 | 2014-07-23 | 湖南省烟草公司永州市公司 | 一种烤烟集约化漂浮育苗炼苗装置 |
CN103833139B (zh) * | 2014-03-04 | 2015-01-28 | 中国科学院亚热带农业生态研究所 | 一种修复富营养化水体的水生植物种量化评估方法 |
KR101421111B1 (ko) * | 2014-04-25 | 2014-07-21 |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 습지식물의 근경을 이용한 부유형 매트의 제조방법 및 조성방법 |
CN104365511B (zh) * | 2014-10-20 | 2017-04-12 | 浙江海洋学院 | 漂浮式碳汇贝类藻场 |
CN106577435B (zh) * | 2016-11-21 | 2019-05-21 |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 一种具备随潮位升降的鱼藻复合礁装置 |
CN108101224A (zh) * | 2017-12-29 | 2018-06-01 | 仲恺农业工程学院 | 一种园林水体自净化系统 |
CN110240282A (zh) * | 2019-07-15 | 2019-09-17 | 江苏江达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生态浮床 |
CN113354092A (zh) * | 2021-06-15 | 2021-09-07 | 上海海洋大学 | 一种用于湖库生态修复的多功能人工栖境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2210B1 (ko) | 2006-04-03 | 2006-05-23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
KR100949128B1 (ko) | 2009-06-08 | 2010-03-25 | (주)한솔환경건설 | 인공습지용 부유식 정화장치 |
-
2009
- 2009-09-21 KR KR20090089281A patent/KR1011302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2210B1 (ko) | 2006-04-03 | 2006-05-23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
KR100949128B1 (ko) | 2009-06-08 | 2010-03-25 | (주)한솔환경건설 | 인공습지용 부유식 정화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95888A (zh) * | 2013-08-23 | 2013-11-20 | 中国科学院武汉植物园 | 一种生态礁岛及其构建方法 |
CN103395888B (zh) * | 2013-08-23 | 2015-04-01 | 中国科学院武汉植物园 | 一种生态礁岛及其构建方法 |
KR101485828B1 (ko) * | 2014-06-03 | 2015-01-22 | 디엔텍 (주) | 호소 유입부의 수질개선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1859A (ko) | 2011-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0237B1 (ko) |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 |
CN100576997C (zh) | 可调节地浮动的增强型浮岛 | |
US11230483B2 (en) | Method for systematically controlling rapid proliferation of cyanobacteria cells in lakes in spring | |
JP5345375B2 (ja) | 沈水植物の再生方法、それに使用する沈水植物の栽培方法、植物再生基盤、浮島 | |
KR101034132B1 (ko) | 물순환 및 조경기능을 갖는 다기능 생태정화 식물섬 | |
US6089191A (en) | Marine habitat systems | |
KR101652102B1 (ko) |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 |
KR100939204B1 (ko) | 부유식 수변 및 수중생물 서식산란장 | |
KR20020074911A (ko) |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 |
KR100924538B1 (ko) | 다기능 조경 및 생태정화 식물섬 | |
CN104803557A (zh) | 复合型净化农田排水与生态修复的沟塘湿地系统 | |
KR100825917B1 (ko) | 수상 생태 체험 및 수상 레저 공원 | |
US11034415B2 (en) | Permeable concrete vessel for creating floating aquatic habitats | |
KR100478735B1 (ko) | 비골격형 인공 식물섬 | |
CN204529619U (zh) | 复合型净化农田排水与生态修复的沟塘湿地系统 | |
KR100899573B1 (ko) | 어류산란처 및 수질정화기능이 구비된 하천의 침수방틀 | |
KR100705230B1 (ko) |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 |
KR100968614B1 (ko) |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 |
KR100834091B1 (ko) | 펜스형 조립식 생태 수초섬 | |
KR101742191B1 (ko) | 인공 생태섬 | |
JP4247285B2 (ja) | 沈水植物群落の再生方法及びそれによる水質浄化方法 | |
KR101407518B1 (ko) | 여과형 생태 수중보 | |
McCarty et al. | A case study and recommendation for large scale floating wetlands | |
KR101580142B1 (ko) | 인공 식물섬의 식물식재방법 | |
CN213537424U (zh) | 一种基于浮岛构建的水生生态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