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954B1 -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 Google Patents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954B1
KR100990954B1 KR1020080054639A KR20080054639A KR100990954B1 KR 100990954 B1 KR100990954 B1 KR 100990954B1 KR 1020080054639 A KR1020080054639 A KR 1020080054639A KR 20080054639 A KR20080054639 A KR 20080054639A KR 100990954 B1 KR100990954 B1 KR 10099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bmerged
floating
wat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736A (ko
Inventor
권오병
박선구
문정수
조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썸
Priority to KR102008005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95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opon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Abstract

침수식물이 식재 가능하며,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수중에 잠기는 침수 생물서식유닛과; 침수 생물서식유닛이 수면에서 소정 깊이로 잠긴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고정유닛; 및 침수 생물서식유닛에서 서식하는 치어를 보호하도록 침수 생물서식유닛의 주변을 소정 높이로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팬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가 개시된다.
수생식물, 생물서식처, 부유체, 치어

Description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floating and submerging-typed habitat}
본 발명은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 치어의 서식을 돕고 어류의 서식서 및 산란처를 제공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집중 호우, 오랜 가뭄, 태풍 등과 같은 불규칙한 기후 현상으로 인하여 저수지, 댐 등의 수위 변동이 심하고, 집중 강우시에는 토사 유입 등으로 인하여 호안의 파괴가 점점 가속화하고 있는 문제가 생태계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호안의 파괴는 호소의 부영양화를 심화시켜 수질을 악화시키고, 생물다양성을 훼손시키고 있으며, 생물 서식처를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정체 수역의 수생 태계를 복원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어류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친환경적인 생물 서식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친환경적 생물 서식장치를 개발할 경우 어류 개체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치어의 경우에는 포식자의 주요 먹잇감이 되므로, 치어 시기 동안 주위의 포식자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수중에서 생물서식처(특히, 치어를 위한 생물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는, 침수식물이 식재 가능하며,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수중에 잠기는 침수 생물서식유닛과;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이 상기 수면에서 소정 깊이로 잠긴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고정유닛; 및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에서 서식하는 치어를 보호하도록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의 주변을 소정 높이로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팬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 상에 설치되며, 침수식물이 식재 가능한 침수식물 식생기반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류에 서식처를 제공하는 복수의 미생물 미디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팬스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소정 높이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폴대와; 상기 복수의 폴대에 연결되어 상기 폴대들 사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망형상을 가지는 외부망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수면에 부유하도록 설치 되는 부유 식생기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상부에 적층되어 결합되며, 수생 식물이 식재 가능한 식생기반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류에 서식처를 제공하는 복수의 미생물 미디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은, 그 중앙부분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 쪽으로 태양광을 제공할 수 있는 개방구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수면에 설치되는 수면 부유체와;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과 상기 수면 부유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수면 부유체를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을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여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수면에 설치되는 수면 부유체와;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과 상기 수면 부유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수면 부유체를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에 따르면, 치어를 포함하는 어류 및 수중 생물에 산란처와 서식처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수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 생태계의 복원을 통해 수질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100)는, 수중에 잠긴 상태로 부유하도록 설치되어 수중 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100)는, 침수 생물서식유닛(10)과, 고정유닛(20) 및 보호팬스 유닛(30)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은 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의 전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1)은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1)은 부력부재(12)와 식생기반재(13)와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식생기반재(13)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은 침수 식물이 식재 가능하며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된다.이러한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은 지지프레임(11)과, 상기 지지프레임(11)에 결합되는 부력부재(12)와, 부력부재(12) 상에 설치되는 침수식물 식생시반재(13) 및 지지 프레임(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생물 미디어(14)를 구비한다.
상기 부력부재(12)는 양 단부가 밀폐된 PEM관, 천연 목재, 발포성 판형 EVA 소재, 스티로폼, 올레핀계열의 발포성형 수지와 같이 수상에서 부력이 우수한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포성의 에틸렌 초산비닐 코폴리머(EVA; 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부력부재(12)와 식생기반재(13)는 로프나 외부망체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 될 수 있다. 수면부유체(21)에 의해 침수 생물서식유닛(10)에 충분한 부력이 제공될 수 있을 경우 부력부재(12)는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침수식물 식생기반재(13)는 치어를 포함하는 어류의 서식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식물을 식재할 경우에는 침수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다. 물론 식생기반재(13)는 식물을 식재하지 않고 자연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침수식물 식생기반재(12)는 수생식물(15)이 식재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수생식물(15)은, 수질의 정화기능을 할 수 있으며, 그 줄기와 잎은 수체의 이동과 교란을 감소시켜 부유물의 침전이나 여과 기능을 하게 한다. 또한, 수생식물(15)의 뿌리와 줄기는 다양한 미생물의 부착기질 역할을 하며, 어류의 먹이가 되는 동물플랑크톤의 성장이 활발해지도록 유도한다. 또한, 수생식물(15)은 어류 등의 먹이가 되기도 하고, 그 뿌리가 성장하여 수중으로 뻗어나가게 되면 치어를 포함하여 어류의 산란처, 피난처 및 서식처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생식물(15)로는 노랑꽃창포, 갈대 등의 정수성 수생식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의 중앙부분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된 개방구(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구(10a)를 통해서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의 하부로 태양광이 도달하게 하며, 또한 개방구(10a)를 통해 수면 위의 공기가 수중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침수식물 식생기반재(12)는 토양, 폐그물, 합성섬유, 천연 섬유사 재질의 매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생기반재(12)의 일례로는, 양단부가 밀봉된 다수의 중공형 관을 뗏목의 형태로 배열하여 부력을 유지하고 식생기반재로 흙을 사용한 한국특허출원 제2001-0043609호(뗏목형 인공 식물섬), 양면이 밀폐된 원통형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부유체를 사용하고 식재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섬유질 재질인 블록 구조의 식생기반재를 이용한 한국특허출원 제1998-0012959호(수상식물 재배장치) 등이 공지 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식생기반재(12)는 종래 식생기반재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미디어(14)는 지지프레임(11)의 하부에 소정 길이로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미생물 미디어(14)는 어류가 서식 및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미생물 미디어(14)로는 코코넛 또는 황마 재질의 천연섬유나 화학섬유 재질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유닛(20)은 수면에 설치되는 수면 부유체(21)와,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10)과 상기 수면 부유체(21)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22)와, 상기 수면 부유체(21)를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23)를 구비한다.
상기 수면 부유체(21)는 수면상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며, 앞서 설명한 부력부 재들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면부유체(21)는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의 지지프레임(1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연결부재(23)는 주중 바닥에 마련되는 돌무더기를 포함하는 닻(24)과 같은 고정지지물에 연결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와는 달이 지상의 구조물이나 이웃한 수상시설물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닻(24)을 돌무더기로 구성할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어류의 서식처로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보호팬스 유닛(30)은 침수 생물서식유닛(10)에서 크기가 큰 포식자의 침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비교적 작은 크기의 치어가 안전하기 서식할 수 있도록 침수 생물서식유닛(10)의 주변을 소정 높이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보호팬스 유닛(30)은,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외측에 소정 높이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폴대(31)와, 상기 복수의 폴대(31)에 연결되어 상기 폴대들(31) 사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망 형상을 가지는 외부망체(33)를 구비한다.
상기 폴대(31)는 지지프레임(11)의 외관 테두리 쪽에 소정 간격으로 직립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금속파이프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폴대(1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1)에는 결합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 망체(33)는 소정 크기 이상의 어류나 수중생물이 통과하지 못하도 록 망 형상 즉, 그물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외부 망체(33)는 구부려지는 그물망의 구조도 가능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변형이 되지 않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100)는, 호소나 댐에 어류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한 산란 및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생기반재를 이용한 수생식물 및 침수식물의 식재를 통해서 수질개선 효과를 볼 수 있고, 특히 수생태계의 복원을 통해서 수질개선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치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생태계의 복원은 물론, 다양한 생태계 조성 및 생물종간의 다양한 상호 작용을 유도하여 수생태계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2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침수 생물서식유닛(10)과, 고정유닛(20) 및 보호팬스(30)을 포함하며, 상기 침수 서식유닛(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수면 상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부유 식생기반유닛(40)을 더 포함하는 데 특징이 있다.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40)은, 부력부재(41)와, 부력부재(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식생기반재(42)를 구비한다. 상기 부력부재(41)는 앞서 설명한 부력부재(1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식생기반재(42)는 수생식물이 식재 가능한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식생 기반재(13)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력부재(41)와 식생기반재(42)는 망체나 프레임 등을 포함하는 지지부재(4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식생기반재(42)의 하부에는 미생물 미디어(44)를 더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러면 부유 식생기반유닛(10)과 수중 생물서식유닛(20) 사이에 더 안전한 어류 서식처 및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40)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침수 생물서식유닛(10)으로 태양광을 공급하기 위한 개방구(40a)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10)과 부유 식생기반유닛(40)은 연결부재(5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50)는 일반적인 합성수지 재질의 로프 또는 금속재질의 로프가 가능하며, 또한 금속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50)는 플렉시블한 재질 또는 비 연성의 재질 모두 가능하다.
상기 부유침수식 생물서식장치에서 보호팬스(30)는 설치를 하지 않을 수 도 있으며, 폴대(31) 없이 외부망체 (33)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20)은 도 6 및 도 7과 같은 방법으로 부유 식생기반유닛(40)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수 생물서식유닛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지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를 나타내보인 도면.
도 5 및 도 6 각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침수 생물서식유닛 11..프레임
12,41..부력부재 13,42..식생 기반재
14,44..미생물 미디어 20..고정유닛
30..보호팬스유닛 31..폴대
32..외부 망체 40..부유 식생기반유닛
50..연결부재 100,200,300..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Claims (9)

  1. 침수식물이 식재 가능하며, 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수중에 잠기는 침수 생물서식유닛과;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이 상기 수면에서 소정 깊이로 잠긴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고정유닛; 및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에서 서식하는 치어를 보호하도록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의 주변을 소정 높이로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팬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 상에 설치되며, 침수식물이 식재 가능한 침수식물 식생기반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류에 서식처를 제공하는 복수의 미생물 미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팬스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 소정 높이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폴대와;
    상기 복수의 폴대에 연결되어 상기 폴대들 사이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망형상을 가지는 외부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며, 수면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부유 식생기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상부에 적층되어 결합되며, 수생 식물이 식재 가능한 식생기반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어류에 서식처를 제공하는 복수의 미생물 미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은,
    그 중앙부분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 쪽으로 태양광을 제공할 수 있는 개방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수면에 설치되는 수면 부유체와;
    상기 침수 생물서식유닛과 상기 수면 부유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수면 부유체를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을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여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수면에 설치되는 수면 부유체와;
    상기 부유 식생기반유닛과 상기 수면 부유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수면 부유체를 수중의 바닥 또는 지상에 마련된 고정지지물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KR1020080054639A 2008-06-11 2008-06-11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KR10099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39A KR100990954B1 (ko) 2008-06-11 2008-06-11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39A KR100990954B1 (ko) 2008-06-11 2008-06-11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736A KR20090128736A (ko) 2009-12-16
KR100990954B1 true KR100990954B1 (ko) 2010-10-29

Family

ID=4168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639A KR100990954B1 (ko) 2008-06-11 2008-06-11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024B1 (ko) * 2013-03-15 2015-04-06 우도영 어류 산란 및 서식 장치
KR101563739B1 (ko) * 2013-03-13 2015-10-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풍향에 수직방향으로 자가회전하는 에크만 나선 원리를 이용한 정체 수체 구역의 수류 순환 장치 및 수류 순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96B1 (ko) * 2011-06-30 2013-10-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치어 복원용 침수형 인공섬
KR101657131B1 (ko) * 2013-10-28 2016-09-19 이성희 녹조예방을 위한 녹지확장형 수면녹화 장치
CN105454106A (zh) * 2015-11-23 2016-04-06 浙江省海洋水产养殖研究所 缢蛏滩涂养殖方法
KR101678475B1 (ko) * 2016-02-19 2016-12-07 주식회사 비엔에코 부유 침수형 동물플랑크톤 배양장치
KR102230467B1 (ko) * 2020-12-23 2021-03-22 주식회사 지에코 인공 수초형 어류산란장 조성용 구조물
KR102253775B1 (ko) * 2021-02-04 2021-05-20 곽철우 부유성 산란어류의 산란장 조성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615Y1 (ko) 2003-04-16 2003-07-31 이광우 수중부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615Y1 (ko) 2003-04-16 2003-07-31 이광우 수중부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739B1 (ko) * 2013-03-13 2015-10-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풍향에 수직방향으로 자가회전하는 에크만 나선 원리를 이용한 정체 수체 구역의 수류 순환 장치 및 수류 순환 방법
KR101509024B1 (ko) * 2013-03-15 2015-04-06 우도영 어류 산란 및 서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736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954B1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JP5345375B2 (ja) 沈水植物の再生方法、それに使用する沈水植物の栽培方法、植物再生基盤、浮島
JP2008271989A (ja) 沈水植物用人工浮島を用いた沈水植物群の形成方法
JP2007029058A (ja) 沈水植物用人工浮島、それを用いた沈水植物群の形成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質浄化方法
KR101002567B1 (ko) 해삼 양식용 인공 어초
KR101652102B1 (ko)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KR101077585B1 (ko)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KR101657439B1 (ko) 해중림 조성용 해중림초
KR100802490B1 (ko) 다층으로 이루어진 어류 산란장치
JP4323769B2 (ja) 水生植物用の人工浮島、および人工浮島における水生植物の植生管理方法
KR100732907B1 (ko) 수중 복합 어류산란장 및 이의 시설 방법
CA2310163A1 (en) Artificial seaweed bed
JP4247285B2 (ja) 沈水植物群落の再生方法及びそれによる水質浄化方法
KR100297876B1 (ko) 담수호의수질정화용인공부도
KR100705230B1 (ko)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JP2012152126A (ja) 植生浮島における水生植物の根茎保護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植生浮島
KR100968614B1 (ko)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KR200484611Y1 (ko) 전복양식용 가두리
JP2007135429A (ja) 水中植生工法及び水中植生施設
KR100472943B1 (ko)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장치
KR101580142B1 (ko) 인공 식물섬의 식물식재방법
KR100724281B1 (ko) 하천의 친환경적인 어류보호 구조물
KR200181461Y1 (ko) 인공 부도 관찰용 부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