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825B1 - IoT 센싱 수상펜스 - Google Patents

IoT 센싱 수상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825B1
KR102422825B1 KR1020210153333A KR20210153333A KR102422825B1 KR 102422825 B1 KR102422825 B1 KR 102422825B1 KR 1020210153333 A KR1020210153333 A KR 1020210153333A KR 20210153333 A KR20210153333 A KR 20210153333A KR 102422825 B1 KR102422825 B1 KR 102422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sub
iot
buoyancy
water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택
이민창
최정화
Original Assignee
이종택
이민창
최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택, 이민창, 최정화 filed Critical 이종택
Priority to KR102021015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IoT 센싱 수상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에 설치되는 IoT센싱 수상펜스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부가 마련되는 복수의 부력체;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를 연결하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력체 중 일부는, IoT 압력센싱 모듈이 장착된 압력 센싱 부력체인, IoT센싱 수상펜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IoT 센싱 수상펜스 {IoT SENSING WATER FEN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IoT 센싱 수상펜스에 관한 것이다.
육상에서 발생하는 쓰레기가 하천이나 해상에 유입됨으로써 하천이나 해상이 오염되고 물속 생태계가 파괴되는 환경문제가 계속하여 이슈로 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물에서 분해되지 않는 플라스틱이 하천 및 해상의 환경을 파괴하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가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용 펜스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차단용 펜스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쓰레기가 하천 및 해상에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용 펜스에 걸리는 쓰레기의 양이 어느 정도에 도달하면 하천 및 해상을 관리하는 기관에서 해당 쓰레기를 수거하여 처리하는 식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차단용 펜스에 의해 차단된 쓰레기의 양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쓰레기의 양을 수시로 확인하기 위하여 인력이 상시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력의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 만약 확인 인력이 없는 경우에는 쓰레기가 차단용 펜스를 넘어서 하천 및 해상에서의 쓰레기의 확산이 발생하게 되어 펜스를 배치하는 의미가 퇴색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6338호 (2012.07.1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면서 차단된 쓰레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IoT 센싱 수상 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펜스에 의해 차단된 쓰레기가 한계 무게에 도달한 경우에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에 이를 통지하여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하는 IoT 센싱 수상 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면에 설치되는 IoT센싱 수상펜스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부가 마련되는 복수의 부력체;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를 연결하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력체 중 일부는, IoT 압력센싱 모듈이 장착된 압력 센싱 부력체인, IoT센싱 수상펜스가 제공된다.
상기IoT 압력센싱 모듈은 압력센서, 전원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싱 부력체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반원 기둥 형상의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 각각은 상기 반원 기둥 형상의 수평면에 해당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의 결합면 중 일측에는 상기 IoT 압력센싱 모듈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의 결합면 각각에는 길이 방향의 로프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가 결합하면 상기 로프삽입홈에 의해 상기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공간의 주위에는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력체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반원 기둥 형상의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 각각은 상기 반원 기둥 형상의 수평면에 해당하는 결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의 결합면에는 제 1 오목부와 상기 제 1 오목부로부터 이격되어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와 상기 제 2 서브 부력체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2 서브 부력체의 결합면에는 상기 제 1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 2 볼록부와 상기 제 1 볼록부가 삽입되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상에서 부유하는 쓰레기를 차단하면서 차단된 쓰레기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IoT 센싱 수상 펜스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펜스에 의해 차단된 쓰레기가 한계 무게에 도달한 경우에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에 이를 통지하여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하는 IoT 센싱 수상 펜스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센싱 수상 펜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력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부력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부력체에서 장착 공간에 IoT 압력센서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장착 공간에 압력센서모듈이 장착되고 마감이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센싱 수상 펜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센싱 수상 펜스는 수면에 설치되어 육상에서 하천 또는 해상으로 유입되거나 하천 또는 하천에 투기되는 쓰레기의 이동을 차단하여 수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IoT 센싱 수상 펜스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부가 마련되는 복수의 부력체(100, 200) 및 부력체의 관통부를 통해 복수개의 부력체(100, 200)를 연결하는 로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부력체(100, 200) 중에는 IoT 압력센싱 모듈이 장착된 압력 센싱 부력체(200)가 포함될 수 있다. 압력 센싱 부력체(200)는 일반 부력체(100) 중에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센싱 부력체(200)는 IoT 센싱 수상 펜스의 중심부와 같이 쓰레기가 집중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싱 부력체(200)에 의해서 IoT 센싱 수상 펜스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는 쓰레기의 무게에 의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고 많은 양의 쓰레기가 쌓인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쓰레기 처리에 관련된 측에 이를 원격으로 전달하여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력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100)는 부력체(100)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보관, 이동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에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공간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된다.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는 상호 맞닿는 결합면(112, 162)과 결합면(112, 162)의 단부로부터 결합면(112, 162)의 모서리로 연장형성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노출면(114, 1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면(112, 162)와 노출면(114, 164)에 의하여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부력체(110)의 결합면(112)에는 공간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오목부(116)와 제 1 오목부(116)로부터 이격되어 공간부의 대향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 1 볼록부(118)가 형성되며,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결합면(162)에는 제 1 오목부(116)에 삽입되는 제 2 볼록부(168)와 제 1 볼록부(118)가 삽입되는 제 2 오목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결합시,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결합면(112, 162)는 상호 맞닿게 되며, 제 1 서브 부력체(110)의 결합면(112)에 형성된 제 1 오목부(116)에는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결합면(162)에 형성된 제 2 볼록부(168)가 삽입되며, 제 1 서브 부력체(110)의 결합면(112)에 형성된 제 1 볼록부(118)는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제 2 오목부(166)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부력체(100)는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가 결합하는 경우, 결합면(112, 162)에 형성된 제 1 오목부(116)와 제 2 오목부(166)에 제 1 볼록부(118)와 제 2 볼록부(168)가 삽입되어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가 상대적으로 비틀려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부력체(100)는 부표 전체가 하나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일반적인 부표에 비하여 공간이 복수 개로 구분되어 있어, 하나 공간부에 공기가 부표의 손상에 의하여 누출되는 경우에도 다른 공간부에 공기가 유지됨으로써 일정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력체(100)의 결합면(112, 162)이 내부를 유지하는 구조물의 기능을 수행하므로써 수중에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부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부력체(100)의 설치전 부표를 보관 또는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형태로 분리되어 보관, 이동되므로 일반적인 부표와 비교하여 동일한 공간에 보다 많은 부표를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 이동이 일반적인 부표와 비교하여 보다 효과적이다.
앞에서 살펴본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각각의 결합면(112, 162)에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연장되는 제 1 로프삽입홈(119)과, 제 2 로프삽입홈(169)가 형성된다. 제 1 로프삽입홈(119)와 제 2 로프삽입홈(169)은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결합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가 관통되는 관통부(100a)를 형성할 수 있다.
부력체(100)는 관톨부(100a)에 로프를 삽입하거나,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조립 전에 로프삽입홈(119, 169)에 로프를 배치하고,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를 결합하여 보다 편리하게 부표와 로프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부력체(100)의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는 볼트와 너트 등과 가튼 고정구를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출면과 결합면 사이에는 고정구가 삽입되는 고정구 관통공(100b)이 형성되어,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가 결합되는 경우 고정구가 제 1 서브 부력체(110)의 고정구 관통공(100b)에서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고정구 관통공(100b)를 관통하여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서브 부력체(110)의 고정구 관통공(100b)과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고정구 관통공(100b)은 도 3과 같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는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노출면(114, 164)에 형성된 고정구 관통공(100b)에는 별도의 캡등을 결합시켜 부유생물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정구 관통공(100b)는 공간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하여 공간부 내의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아울러 결합면(112, 162)에는 공간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가 공간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공기주입구에는 공간부로 주입된 공기의 배출을 방지하는 캡(100c)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간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공기주입구가 노출면(114, 164)에 형성되는 경우, 노출면(114, 164)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노출면(114, 164)에 형성된 공기주입구로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응력의 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노출면(114, 116)을 피해, 결합면(112, 162)에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기주입구는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제 2 서브 부력체(160)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공간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공기주입구에는 캡(100c)을 씌워 공기주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의 사시도인 도 4를 참조하면, 노출면(114, 164)에는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경사를 갖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나선홈(100d)이 형성되고, 나선홈(100d)은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110)와 상기 제 2 서브 부력체(160)가 결합되는 경우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나선홈(100d)은 부력체(100)의 외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로프 등을 감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파도 등에 의하여 부표를 자연스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부력체(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압력 센싱 부력체(200)도 부력체(100)와 유사하게 제 1 서브 부력체(210)와 제 2 서브 부력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부력체(210)와 제 2 서브 부력체(22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져서 해양 또는 담수에서 부력에 의해 뜰 수 있다. 제 1 서브 부력체(210) 및 제 2 서브 부력체(220)는 폴리에틸렌(PE)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스티로폼 부표에 비해서 친환경적인 부표를 제조할 수 있다.
제 1 서브 부력체(210) 및 제 2 서브 부력체(220) 각각은 반원 기둥 형상이며, 제 1 서브 부력체(210) 및 제 2 서브 부력체(220) 각각은 반원 기둥 형상의 수평면에 해당하는 결합면을 가질 수 있다 제 1 서브 부력체(210) 및 제 2 서브 부력체(220) 각각의 결합면이 서로 접하여 결합됨으로써 원기둥 형상의 부력 센싱 부력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서브 부력체(210) 및 제 2 서브 부력체(220) 각각의 결합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로프삽입홈(211, 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로프삽입홈(211, 221)은 제 1 서브 부력체(210)와 제 2 서브 부력체(220)가 결합하게 되면 합하여 관통부로 될 수 있다.
제 1 서브 부력체(210) 및 제 2 서브 부력체(220)의 외주면에는 해양 또는 담수의 흐름에 따라서 압력 센싱 부력체(20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서브 부력체(210) 및 제 2 서브 부력체(220)가 결합되어 압력 센싱 부력체(200)가 된 상태에서는 제 1 서브 부력체(210) 및 제 2 서브 부력체(220)의 회전유도부는 서로 연결되어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유도부는 제 1 서브 부력체(210) 및 제 2 서브 부력체(2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형태일 수도 있고, 외주면에서 파인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서브 부력체(210) 및 제 2 서브 부력체(220)가 결합될 때 그 사이에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개재되어 압력 센싱 부력체(200) 내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압력 센싱 부력체(200) 내에 위치함으로써, 압력 센싱 부력체(200)에 대한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압력 센싱 부력체(200)에 걸리는 압력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서브 부력체(210)와 제 2 서브 부력체(220)의 결합면 중 일측에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 공간(450)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공간(450) 내에 모듈 형태의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삽입됨으로써 압력 센싱 부력체(200)의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IoT 압력센서모듈(400)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싱 부력체(200)가 물위에서 부유하는 중에도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 부력체(200)에서 장착 공간(450)에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IoT 압력센서모듈(400)은 그 안에 압력 센서, 전원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착 공간(450)에 IoT 압력센서모듈(400)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전원부는 압력 센서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통신부는 압력 센서를 통해 감지된 압력 센싱 부력체(200)에 대한 압력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는 무선통신 장치일 수 있다. 무선통신 장치라면 그 종류는 어떤 것이어도 상관 없다.
장착 공간(450)에 IoT 압력센서모듈(400)을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 공간(450)의 형상은 IoT 압력센서모듈(4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착 공간(450)내에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밀착 고정되어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불필요하게 장착 공간(450)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oT 압력센서모듈(40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IoT 압력센서모듈(400)의 복수 부위(도 6에서는 IoT 압력센서모듈(400)의 양측)에 피스통과부(405a, 405b)를 형성하고 피스(410a, 410b)가 피스통과부(405a, 405b)를 통과하여 장착 공간(450) 측에 형성된 관통공(455a, 455b)에 결합되어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장착 공간(45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은 장착 공간(450)에 압력센서모듈(400)이 장착되고 마감이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착 공간(450) 내에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장착되면 제 1 서브 부력체(210)와 제 2 서브 부력체(220) 각각의 결합면을 접합할 수 있다. 다만, IoT 압력센서모듈(400)을 보다 밀폐하여 방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IoT 압력센서모듈(400)이 장착된 장착 공간(450)의 둘레를 따라서 실링부(500)를 형성할 수 있다. 실링부(500)는 실링을 하기 위한 소재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싱 부력체에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압력의 크기를 통해 IoT 센싱 수상 펜스에 걸린 쓰레기의 무게를 도출할 수 있어서 쓰레기의 처리 타이밍을 외부에 통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부력체
100a : 관통부
100b : 고정구 관통공
100c : 캡
100d : 나선홈
110 : 제 1 서브 부력체
112 : 결합면
114 : 노출면
116 : 제 1 오목부
118 : 제 1 볼록부
119 : 제 1 로프삽입홈
160 : 제 2 서브 부력체
162 : 결합면
164 : 노출면
166 : 제 2 오목부
168 : 제 2 볼록부
169 : 제 2 로프삽입홈
200 : 압력 센싱 부표
210 : 제 1 서브 부력체
211 : 제 1 로프삽입홈
220 : 제 2 서브 부력체
221 : 제 2 로프삽입홈
400 : 압력센서모듈
405a, 405b : 피스통과부
410a, 410b : 피스
450 : 장착 공간
455a, 455b : 관통공
500 : 실링부

Claims (7)

  1. 수면에 설치되는 IoT센싱 수상펜스에 있어서,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부가 마련되는 복수의 부력체;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를 연결하는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력체 중 일부는,
    IoT 압력센싱 모듈이 장착된 압력 센싱 부력체이고,
    상기 IoT 압력센싱 모듈은 장착된 압력 센싱 부력체에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IoT센싱 수상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IoT 압력센싱 모듈은 압력센서, 전원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IoT 센싱 수상펜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싱 부력체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반원 기둥 형상의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 각각은 상기 반원 기둥 형상의 수평면에 해당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의 결합면 중 일측에는 상기 IoT 압력센싱 모듈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 공간이 형성되는, IoT 센싱 수상펜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의 결합면 각각에는 길이 방향의 로프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가 결합하면 상기 로프삽입홈에 의해 상기 관통부가 형성되는, IoT 센싱 수상펜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착 공간의 주위에는 실링부가 형성되는, IoT 센싱 수상펜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력체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반원 기둥 형상의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 및 제 2 서브 부력체 각각은 상기 반원 기둥 형상의 수평면에 해당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IoT 센싱 수상펜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의 결합면에는 제 1 오목부와 상기 제 1 오목부로부터 이격되어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 1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서브 부력체와 상기 제 2 서브 부력체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2 서브 부력체의 결합면에는 상기 제 1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 2 볼록부와 상기 제 1 볼록부가 삽입되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되는, IoT 센싱 수상펜스.
KR1020210153333A 2021-11-09 2021-11-09 IoT 센싱 수상펜스 KR102422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333A KR102422825B1 (ko) 2021-11-09 2021-11-09 IoT 센싱 수상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333A KR102422825B1 (ko) 2021-11-09 2021-11-09 IoT 센싱 수상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825B1 true KR102422825B1 (ko) 2022-07-19

Family

ID=8260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333A KR102422825B1 (ko) 2021-11-09 2021-11-09 IoT 센싱 수상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8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507B1 (ko) * 2007-02-23 2007-09-27 주식회사 우지스건설 유입 수거형 오탁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상침적물제거방법
KR101166338B1 (ko) 2011-10-12 2012-07-18 김은숙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KR102191134B1 (ko) * 2019-12-11 2020-12-16 주식회사 포어시스 지능형 하천 및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2302347B1 (ko) * 2020-09-18 2021-09-15 이종택 부력 센싱 부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507B1 (ko) * 2007-02-23 2007-09-27 주식회사 우지스건설 유입 수거형 오탁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상침적물제거방법
KR101166338B1 (ko) 2011-10-12 2012-07-18 김은숙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KR102191134B1 (ko) * 2019-12-11 2020-12-16 주식회사 포어시스 지능형 하천 및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2302347B1 (ko) * 2020-09-18 2021-09-15 이종택 부력 센싱 부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347B1 (ko) 부력 센싱 부표
US20150296753A1 (en)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RU2466329C2 (ru) Концевой выступающий элемент и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емкость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US7509841B2 (en) Flexible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ouble carcass hose
US3708982A (en) System and barrier for containing an oil spill
EP2460154B1 (en) Acoustic reflectors
UY24029A1 (es) Metodos y aparatos para usar en telemetria ultrasónica
KR102422825B1 (ko) IoT 센싱 수상펜스
KR101918116B1 (ko) 수상용 부상조립체
KR100270931B1 (ko) 침하식어류가두리양식장치
KR0169996B1 (ko) 환경오염 폐기물 저장장치
KR100633018B1 (ko) 오탁방지장치
KR200207971Y1 (ko) 어구용 부표
JP4720279B2 (ja) 可撓性ブイ
KR101380831B1 (ko) 해상표면흐름 모사체 유출유 대용 실험장치
CN213187702U (zh) 一种工业化水产养殖池
KR102419369B1 (ko) 그물설치구조물 및 그물설치구조물 조립체
KR101470743B1 (ko) 기름포집장치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JP2003156180A (ja) 流体移送用ホース及びその漏洩流体監視方法
KR20000019696A (ko) 잠수 조절 기능을 갖는 양식장용 가두리 틀 구조물
CN112460342B (zh) 一种海洋平台立管保护装置
KR101766326B1 (ko) 경량 부자
CN212483844U (zh) 一种耐腐蚀的水下升降装置
KR20020072385A (ko) 양식장용 부자
KR102448003B1 (ko) 소파 및 수평 기능을 가지는 부잔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