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347B1 - 부력 센싱 부표 - Google Patents
부력 센싱 부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2347B1 KR102302347B1 KR1020200120871A KR20200120871A KR102302347B1 KR 102302347 B1 KR102302347 B1 KR 102302347B1 KR 1020200120871 A KR1020200120871 A KR 1020200120871A KR 20200120871 A KR20200120871 A KR 20200120871A KR 102302347 B1 KR102302347 B1 KR 102302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 buoyancy body
- buoy
- sensing
- sensor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586 Cirriped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력 센싱 부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반원 기둥 형상의 제 1 부력체 및 제 2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력체 및 제 2 부력체 각각은, 상기 반원 기둥 형상의 수평면에 해당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력체 및 제2부력체의 결합면 중 일측에는 부력센서모듈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센서모듈은 부력센서, 전원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부력 센싱 부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력 센싱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수하식 굴양식장 등에서는 주로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부표를 사용하여 양식장의 양식 그물을 지지하고 있다. 그런데, 스티로폼 부표는 자연 분해되지 않아서 바다에 버려지는 경우에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환경오염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부표의 소재를 스티로폼에서 다른 소재로 변경하고 있는 상황이다.
폴리에틸렌(PE)의 경우에는 특별히 과도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부서지지 않고 가벼워서 부표의 소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만약 부표의 수명이 다한 폴리에틸렌 부표의 경우에는 그대로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티로폼에 비해서 친환경적이다.
다만, 폴리에틸렌 부표의 경우에는 다른 물체와 부딪히는 등의 외력이 가해지면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만약, 부표의 형태가 변형되면 그 내부의 공간이 줄어들어서 부표의 부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부표가 부력 약화로 물 밑으로 가라앉게 되어 부표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표에는 따개비와 같은 해양 생물이 부착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하여 부표의 부력이 약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부표의 부력이 약화되는 것을 미리 알 수 있어서 부표의 수명과 사용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표의 부력을 센싱하는 부력 센싱 부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력이 약화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부력 센싱 부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표의 수명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력 센싱 부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는 반원 기둥 형상의 제 1 부력체 및 제 2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력체 및 제 2 부력체 각각은, 상기 반원 기둥 형상의 수평면에 해당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력체 및 제2부력체의 결합면 중 일측에는 부력센서모듈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센서모듈은 부력센서, 전원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부력 센싱 부표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부력체 및 상기 제 2 부력체의 결합면 각각에는 길이 방향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력체 및 상기 제 2 부력체가 결합하면 상기 오목부에 의해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력체 및 상기 제 2 부력체의 외주면에는 부유시키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상기 부력 센싱 부표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력체와 상기 제 2 부력체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외주면에서 돌출되거나 파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의 주위에는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표를 반원 기둥 형상의 2개의 부분을 결합하여 형성하되 그 사이에 부력센서모듈을 장착하여 부표의 부력을 센싱할 수 있는 부력 센싱 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력을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이를 외부로 통신하여 부표의 부력이 약화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부력 센싱 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력센서를 전원부 및 통신부와 함께 모듈화하여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침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력 센싱 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센싱 부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력 센싱 부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센싱 부표에서 장착 공간에 부력센서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장착 공간에 부력센서모듈이 장착되고 마감이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부력 센싱 부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센싱 부표에서 장착 공간에 부력센서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장착 공간에 부력센서모듈이 장착되고 마감이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센싱 부표(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력 센싱 부표(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센싱 부표(10)는 제 1 부력체(100)와 제 2 부력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력체(100)와 제 2 부력체(20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져서 해양 또는 담수에서 부력에 의해 뜰 수 있다. 제 1 부력체(100) 및 제 2 부력체(200)는 폴리에틸렌(PE)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스티로폼 부표에 비해서 친환경적인 부표를 제조할 수 있다.
제 1 부력체(100) 및 제 2 부력체(200) 각각은 반원 기둥 형상이며, 제 1 부력체(100) 및 제 2 부력체(200) 각각은 반원 기둥 형상의 수평면에 해당하는 결합면을 가질 수 있다. 제 1 부력체(100) 및 제 2 부력체(200) 각각의 결합면이 서로 접하여 결합됨으로써 원기둥 형상의 부력 센싱 부표(10)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부력체(100) 및 제 2 부력체(200) 각각의 결합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오목부(310, 320)는 제 1 부력체(100)와 제 2 부력체(200)가 결합하게 되면 합하여 중공부(300)로 될 수 있다.
제 1 부력체(100) 및 제 2 부력체(200)의 외주면에는 해양 또는 담수의 흐름에 따라서 부력 센싱 부표(1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부력체(100) 및 제 2 부력체(200)가 결합되어 부력 센싱 부표(10)가 된 상태에서는 제 1 부력체(100) 및 제 2 부력체(200)의 회전유도부는 서로 연결되어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유도부는 제 1 부력체(100) 및 제 2 부력체(2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형태일 수도 있고, 외주면에서 파인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부력체(100)와 제 2 부력체(200)가 결합될 때 그 사이에 부력센서모듈(400)이 개재되어 부력 센싱 부표(10) 내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부력센서모듈(400)이 부력 센싱 부표(10) 내에 위치함으로써, 부력 센싱 부표(10)의 부력이 저하되어 물 밑으로 가라앉기 전에 부력 센싱 부표(10)의 부력 상태를 센싱하여 사전에 부력이 약화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부력체(100)와 제 2 부력체(200)의 결합면 중 일측에 부력센서모듈(400)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 공간(450)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 공간(450) 내에 모듈 형태의 부력센서모듈(400)이 삽입됨으로써 부력 센싱 부표(10)의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부력센서모듈(400)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부력 센싱 부표(10)가 물위에서 부유하는 중에도 부력센서모듈(400)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센싱 부표(10)에서 장착 공간(450)에 부력센서모듈(400)이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부력센서모듈(400)은 그 안에 부력센서, 전원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착 공간(450)에 부력센서모듈(400)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전원부는 부력센서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통신부는 부력센서를 통해 감지된 부력 센싱 부표(10)의 부력 상태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는 무선통신 장치일 수 있다. 무선통신 장치라면 그 종류는 어떤 것이어도 상관 없다.
장착 공간(450)에 부력센서모듈(400)을 장착하기 위하여 장착 공간(450)의 형상은 부력센서모듈(4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착 공간(450)내에 부력센서모듈(400)이 밀착 고정되어 부력센서모듈(400)이 불필요하게 장착 공간(450)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력센서모듈(40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부력센서모듈(400)의 복수 부위(도 3에서는 부력센서모듈(400)의 양측)에 피스통과부(405a, 405b)를 형성하고 피스(410a, 410b)가 피스통과부(405a, 405b)를 통과하여 장착 공간(450) 측에 형성된 관통공(455a, 455b)에 결합되어 부력센서모듈(400)이 장착 공간(45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장착 공간(450)에 부력센서모듈(400)이 장착되고 마감이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착 공간(450) 내에 부력센서모듈(400)이 장착되면 제 1 부력체(100)와 제 2 부력체(200) 각각의 결합면을 접합할 수 있다. 다만, 부력센서모듈(400)을 보다 밀폐하여 방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부력센서모듈(400)이 장착된 장착 공간(450)의 둘레를 따라서 실링부(500)를 형성할 수 있다. 실링부(500)는 실링을 하기 위한 소재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스티로폼을 대체하는 친환경 폴리에틸렌 소재를 사용하는 부표에서 수압에 의해 부표의 형상이 변형되어 부력이 약화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표의 부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부력이 약화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표의 부력이 약화되게 되면 부표를 사용하는 양식장 등에서의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부력의 약화되는 것을 사전에 감지하여 방지함으로써 양식장에서의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양식장에서 부표로 인한 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부표로서의 기능을 계속 유지하여 양식장에서의 양식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부력 센싱 부표(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부력 센싱 부표
100 : 제 1 부력체
200 : 제 2 부력체
300 : 중공부
310, 320 :오목부
400 : 부력센서모듈
405a, 405b : 피스통과부
410a, 410b : 피스
450 : 장착 공간
455a, 455b : 관통공
500 : 실링부
100 : 제 1 부력체
200 : 제 2 부력체
300 : 중공부
310, 320 :오목부
400 : 부력센서모듈
405a, 405b : 피스통과부
410a, 410b : 피스
450 : 장착 공간
455a, 455b : 관통공
500 : 실링부
Claims (6)
- 내부에 밀폐된 빈 공간을 가지는 반원 기둥 형상의 제 1 부력체; 및
내부에 밀폐된 빈 공간을 가지는 반원 기둥 형상의 제 2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력체 및 제 2 부력체는 폴리에틸렌(PE)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 방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력체 및 제 2 부력체 각각은,
상기 반원 기둥 형상의 수평면에 해당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력체 및 제2부력체의 결합면 중 일측에는 부력센서모듈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센서모듈은 부력센서, 전원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력체 및 제 2 부력체의 결합면은 서로 접합되어 결합되는, 부력 센싱 부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력체 및 상기 제 2 부력체의 결합면 각각에는 길이 방향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력체 및 상기 제 2 부력체가 결합하면 상기 오목부에 의해 중공부가 형성되는, 부력 센싱 부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력체 및 상기 제 2 부력체의 외주면에는 부유시키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상기 부력 센싱 부표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유도부가 형성되는, 부력 센싱 부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력체와 상기 제 2 부력체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부력 센싱 부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외주면에서 돌출되거나 파인 형태인, 부력 센싱 부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의 주위에는 실링부가 형성되는, 부력 센싱 부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0871A KR102302347B1 (ko) | 2020-09-18 | 2020-09-18 | 부력 센싱 부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0871A KR102302347B1 (ko) | 2020-09-18 | 2020-09-18 | 부력 센싱 부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2347B1 true KR102302347B1 (ko) | 2021-09-15 |
Family
ID=7779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0871A KR102302347B1 (ko) | 2020-09-18 | 2020-09-18 | 부력 센싱 부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234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2825B1 (ko) * | 2021-11-09 | 2022-07-19 | 이종택 | IoT 센싱 수상펜스 |
KR102507756B1 (ko) | 2022-09-22 | 2023-03-07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해수압 환경 시험장치 |
KR102613875B1 (ko) * | 2023-06-01 | 2023-12-14 | 주식회사 오션테크 |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에어포켓 타입의 부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6748B1 (ko) * | 2015-11-19 | 2016-07-07 | 세창이피에스(주) | 어업용 부구 |
KR101830550B1 (ko) * | 2016-12-14 | 2018-02-20 | 주식회사 포스코 | 수중 작업 부하 모니터링 부표, 수중 작업 부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작업 부하 모니터링 방법 |
KR20190021585A (ko) | 2017-08-23 | 2019-03-06 | 주영테크 주식회사 | 어구용 부표의 부력을 조절하는 잠수식 가두리 양식장 |
KR102088967B1 (ko) * | 2019-06-20 | 2020-03-13 | 이종택 | 회전 부유체 |
-
2020
- 2020-09-18 KR KR1020200120871A patent/KR1023023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6748B1 (ko) * | 2015-11-19 | 2016-07-07 | 세창이피에스(주) | 어업용 부구 |
KR101830550B1 (ko) * | 2016-12-14 | 2018-02-20 | 주식회사 포스코 | 수중 작업 부하 모니터링 부표, 수중 작업 부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작업 부하 모니터링 방법 |
KR20190021585A (ko) | 2017-08-23 | 2019-03-06 | 주영테크 주식회사 | 어구용 부표의 부력을 조절하는 잠수식 가두리 양식장 |
KR102088967B1 (ko) * | 2019-06-20 | 2020-03-13 | 이종택 | 회전 부유체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2825B1 (ko) * | 2021-11-09 | 2022-07-19 | 이종택 | IoT 센싱 수상펜스 |
KR102507756B1 (ko) | 2022-09-22 | 2023-03-07 |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해수압 환경 시험장치 |
KR102613875B1 (ko) * | 2023-06-01 | 2023-12-14 | 주식회사 오션테크 |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에어포켓 타입의 부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2347B1 (ko) | 부력 센싱 부표 | |
US20150296753A1 (en) |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 |
ATE427879T1 (de) | Unterwasserfahrzeug | |
KR200475806Y1 (ko) | 부표 | |
CN112539894A (zh) | 船舶用软管的流体泄漏感测系统 | |
CN105408670B (zh) | 海洋舱船体密封组件 | |
US6536365B1 (en) | Shock-mitigating nose for underwater vehicles | |
TW201706177A (zh) | 船舶之船體安裝電子裝置 | |
KR101715289B1 (ko) | 부력 집합체를 구비한 부이 | |
CN204418069U (zh) | 蜂窝式柔性防船撞套箱 | |
KR20220042553A (ko) | 부표 | |
KR20180062888A (ko) | 가스발생기와 메탈블레더를 이용한 비상용 메탈블레더 장치 | |
KR200207971Y1 (ko) | 어구용 부표 | |
JP2006306280A (ja) | 可撓性ブイ | |
KR102422825B1 (ko) | IoT 센싱 수상펜스 | |
KR102050405B1 (ko) | 메인시트부가 구비된 다공성 부력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KR102240126B1 (ko) | 다종의 해양표층요소 획득을 위한 관측시스템 | |
KR102211359B1 (ko) | 선박용 구조신호 발신장치 | |
GB2473404A (en) | Floating security barrier | |
JP2017163965A (ja) | 漂流通知装置付き中層浮魚礁 | |
CN112460342B (zh) | 一种海洋平台立管保护装置 | |
US20110194899A1 (en) | Pile saver | |
KR20070081985A (ko) | 외피가 스테인리스 재질로 만들어진 부이 | |
CN216301406U (zh) | 用于海洋环境保护的跟踪定位设备 | |
JP3791925B2 (ja) | マリンホース連結部用拡径カバーおよびマリンホースライ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