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06Y1 - 부표 - Google Patents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06Y1
KR200475806Y1 KR2020130003916U KR20130003916U KR200475806Y1 KR 200475806 Y1 KR200475806 Y1 KR 200475806Y1 KR 2020130003916 U KR2020130003916 U KR 2020130003916U KR 20130003916 U KR20130003916 U KR 20130003916U KR 200475806 Y1 KR200475806 Y1 KR 200475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buoy
lower body
fitting portion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973U (ko
Inventor
신근국
Original Assignee
대진아이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아이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진아이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3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0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9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9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64Joining a non-plastics element to a plastics element, e.g. by force
    • B29C65/645Joining a non-plastics element to a plastics element, e.g. by force using friction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Zo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할 형성되는 한 쌍의 반구형 몸체를 요철끼워맞춤식으로 고정하여 구 형상의 부표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표는,
반 구 형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접촉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끼워맞춤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를 구 형상으로 밀착시킬 경우 결합되는 끼워맞춤부를 고정시킴에 의해 구 형상의 부표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표{a float}
본 고안은 부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할 형성되는 한 쌍의 반구형 몸체를 요철끼워맞춤식으로 고정하여 구 형상의 부표를 이루도록 한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또는 부자, 부이, 부구 등으로 칭함)는 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다. 부표는 암초, 침몰선 등의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해 사용되고, 어구(漁具)나 닻 등 물 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일정 범위에 어류, 폐류 및 조류 등을 양식하기 위해 설치된 그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전술한 부표는 바다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메어달 수 있는 기구에 의해 해저의 바닥 또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중량물에 고정된다. 부표를 메어달 수 있는 기구는 체인, 와이어 등이 사용된다.
부표에는 식별이 가능하도록 용도에 따라 깃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부표에는 전자 신호에 의해 식별이 가능한 각종 송,수신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발광되는 등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부표는 합성수지를 발포 성형한 발포 수지재로 제작된다. 발포 수지재는 합성수지의 발포 시에 유입된 기체로 인해 공극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극이 형성된 발포 수지는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발포 수지는 내부의 공극에 의해 부력을 가지고 있어 공기가 저장되는 공간이 필요 없다. 또한 발포 수지가 일부 파손되어도 남은 부분에서 부력이 발생됨에 따라 물속으로 매몰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발포 수지는 공극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강도가 약하다. 즉 조류, 파도, 작업선 등에 의한 외부 충격이 발포 수지에 가해질 경우 발포 수지의 공극 사이에서 충격이 전달되어 쉽게 부서진다. 따라서 강도가 약한 발포 수지를 이용한 부구는 자주 교체해야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9-0000223호에 조립형 부구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제0000223호의 조립형 부구는,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전체적인 형상이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면 부구의 형상이 되도록 나누어지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단위 몸체,
복수로 분할된 상기 단위 몸체의 조립되는 안쪽 면에 양쪽 끝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관통된 결합공을 가지는 결합 몸체,
분할된 상기 단위 몸체의 조립되는 안쪽에 서로 마주보는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분할된 상기 단위 몸체의 조립 시에 중첩되는 각각의 결합 몸체에 관통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 볼트, 그리고
상기 고정 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중첩된 상기 결합 몸체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방향의 양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몸체는 상기 단위 몸체의 조립되는 안쪽 면에 양쪽 끝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공기층이 폐쇄되도록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몸체와 상기 결합 몸체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일체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이다.
상기 제0000223호의 조립형 부구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어 조립된 부구 중 어느 하나의 부구가 파손되어 부력이 줄어들 경우에도 나머지 부구에 의해 부력을 유지할 수 있고, 파손된 부구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단위몸체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충전층을 형성하고, 단위몸체의 접촉면 상,하에 결합몸체를 대향되게 형성하게 되므로, 단위몸체를 제작하는 작업공수 증가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고 원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단위몸체의 접촉면에 형성된 결합몸체에 장축의 고정볼트를 끼운 후, 고정볼트의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구 형상의 부구를 이루게 되므로, 부구를 수작업에 의해 조립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조립성이 떨어져 인건비용 및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부표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이를 대량생산할 수 있어 제작비용 및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부표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분할 형성되는 반 구형 몸체의 접촉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요철부를 초음파 접합 등에 의해 고정하여 부표를 이루게 되므로, 부표를 조립하는 작업시간이 줄어들고 작업공수가 단축되어 인건비용 및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부표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표는,
반 구 형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접촉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끼워맞춤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를 구 형상으로 밀착시킬 경우 결합되는 끼워맞춤부를 고정시킴에 의해 구 형상의 부표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접촉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홈과,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중 나머지 하나의 내부 접촉면에 상기 요홈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요홈과 요철결합되는 돌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워맞춤부의 요홈과 돌기부는 초음파 접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워맞춤부의 요홈과 돌기부는
에폭시, 우레탄 및 아크릴계 수용성 에멀젼으로 이뤄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프라이머를 상기 요홈 및 돌기부에 도포처리 후 압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부표의 구조가 간단하고, 부표를 사출성형에 의해 대량생산함에 따라 제작비용 및 원가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되므로 저가의 부표를 어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 구 형상을 갖는 부표 몸체의 접촉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요철부를 초음파접합 등에 의해 고정하여 부표를 제조함에 따라, 부표를 조립하는 작업시간이 줄어들고 작업공수가 단축되어 인건비용 및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표의 반 구형으로 분할 형성됨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표의 조립단면도이다.
이하,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표는,
반 구 형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10,11)가 각각 형성되는 상부 몸체(12) 및 하부 몸체(13);
상기 상부 몸체(12) 및 하부 몸체(13)의 접촉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끼워맞춤부(14)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몸체(1) 및 하부 몸체(13)를 구 형상으로 밀착시킬 경우 결합되는 끼워맞춤부(14)를 고정시킴에 의해 구 형상의 부표(16)를 이루게 된다.
상기 끼워맞춤부(14)는
상기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3) 중 어느 하나(일 예로서 상부 몸체(12)를 말함)의 내부 접촉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홈(14a)과,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3) 중 나머지 하나(일 예로서 하부 몸체(13)를 말함)의 내부 접촉면에 요홈(14a)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요홈(14a)과 요철결합되는 돌기부(14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워맞춤부(14)의 요홈(14a) 및 돌기부(14b)는 초음파 접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끼워맞춤부(14)의 요홈(14a) 및 돌기부(14b)는
에폭시, 우레탄 및 아크릴계 수용성 에멀젼으로 이뤄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프라이머를 요홈(14a) 및 돌기부(14b)에 도포처리 후 압착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링 형상의 요홈(14a)을 하부 몸체(13)의 내부 접촉면에 형성하고, 상기 요홈(14a)과 대응되는 돌기부(14b)를 상부 몸체(12)의 내부 접촉면에 형성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5는 상기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3)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고, 부표(16)를 지정된 장소의 수면 위에 고정시키기 위해 와이어 또는 로프 등이 고정되는 고리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표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12) 및 하부 몸체(13)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으로 이뤄지는 금형(미도시됨)에 합성수지(일 예로서 ABS 수지재 등을 말함) 용융액을 주입하여 반 구 형상의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3)를 사출성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부 몸체(12) 및 하부 몸체(13)는 내부에 중공부(10,11)가 각각 형성되는 반 구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3)를 구 형상으로 밀착시킬 경우 요철결합되는 끼워맞춤부(14)를 고정시킴에 따라 구 형상의 부표(16)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몸체(12)의 내부 접촉면에 형성된 링 형상의 요홈(14a)에 이와 대응되게 하부 몸체(13)의 내부 접촉면에 형성된 돌기부(14b)를 요철결합시킨 후, 끼워맞춤부(14)의 요홈(14a)과 돌기부(14b)를 초음파 접합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몸체(12)의 요홈(14a)과 하부 몸체(13)의 돌기부(14b)에 프라이머를 각각 도포처리 후,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3)의 압착에 의해 요홈(14a)과 돌기부(14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반 구형 상부 몸체(12) 및 하부 몸체(13)로서 구 형상의 부표(16)를 성형하기 위해, 상부 몸체(12)의 요홈(14a)과 이와 대응되는 하부 몸체(13)의 돌기부(14b)를 결합하여 초음파 접합시키거나, 상부 몸체(12)의 요홈(14a)과 하부 몸체(13)의 돌기부(14b)에 프라이머를 도포처리하여 이들을 압착고정하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11; 중공부
12; 상부 몸체
13; 하부 몸체
14; 끼워맞춤부
15; 고리
16; 부표

Claims (4)

  1. 반 구 형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10,11)가 각각 형성되는 상부 몸체(12) 및 하부 몸체(13);
    상기 상부 몸체(12) 및 하부 몸체(13)의 접촉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끼워맞춤부(14)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몸체(1) 및 하부 몸체(13)를 구 형상으로 밀착시킬 경우 결합되는 끼워맞춤부(14)를 고정시킴에 의해 구 형상의 부표(16)를 이루게 되며,
    상기 끼워맞춤부(14)는
    상기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3)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접촉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홈(14a)과,
    상기 상부 몸체(12)와 하부 몸체(13) 중 나머지 하나의 내부 접촉면에 상기 요홈(14a)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요홈(14a)과 요철결합되는 돌기부(14b)로 구성되고,
    상기 끼워맞춤부(14)의 요홈(14a) 및 돌기부(14b)는 초음파 접합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끼워맞춤부(14)의 요홈(14a) 및 돌기부(14b)는
    우레탄 프라이머 또는 아크릴계 수용성 에멀젼 프라이머를 요홈(14a) 및 돌기부(14b)에 도포처리 후 압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30003916U 2013-05-20 2013-05-20 부표 KR200475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916U KR200475806Y1 (ko) 2013-05-20 2013-05-20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916U KR200475806Y1 (ko) 2013-05-20 2013-05-20 부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73U KR20140005973U (ko) 2014-12-01
KR200475806Y1 true KR200475806Y1 (ko) 2015-01-06

Family

ID=5245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916U KR200475806Y1 (ko) 2013-05-20 2013-05-20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610B1 (ko) 2018-11-07 2019-03-04 주식회사 혁신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밴드가 일체로 형성된 부표
KR20210090072A (ko) 2020-01-09 2021-07-19 김예준 부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1641A (zh) * 2018-04-25 2018-09-18 姜贵安 一种充气漂浮球
CN110973028A (zh) * 2019-11-06 2020-04-10 青岛福润德机械有限公司 一种pet组合浮球及包覆浮球
KR102160803B1 (ko) 2020-01-08 2020-09-28 주식회사 해성마린 조립식 부구
KR102285135B1 (ko) 2020-02-13 2021-08-04 (주) 피톤치드연구소 다기능성의 유무기 복합결합제 조성물
KR102587378B1 (ko) 2021-08-24 2023-10-12 김지훈 재생고무를 사용한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861Y1 (ko) * 1999-10-19 2000-04-15 박광배 낚시찌
KR20050120102A (ko) * 2004-06-18 2005-12-22 이근수 유동찌
KR20110053070A (ko) * 2009-11-13 2011-05-19 안병석 민물낚시용 낚시찌 및 낚시찌의 제조방법
KR20110009834U (ko) * 2010-04-12 2011-10-19 최재수 진동발전기를 이용한 부표 자동 점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861Y1 (ko) * 1999-10-19 2000-04-15 박광배 낚시찌
KR20050120102A (ko) * 2004-06-18 2005-12-22 이근수 유동찌
KR20110053070A (ko) * 2009-11-13 2011-05-19 안병석 민물낚시용 낚시찌 및 낚시찌의 제조방법
KR20110009834U (ko) * 2010-04-12 2011-10-19 최재수 진동발전기를 이용한 부표 자동 점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610B1 (ko) 2018-11-07 2019-03-04 주식회사 혁신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밴드가 일체로 형성된 부표
KR20210090072A (ko) 2020-01-09 2021-07-19 김예준 부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73U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806Y1 (ko) 부표
KR101765549B1 (ko) 조립식 부력체
KR101361280B1 (ko)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KR101861759B1 (ko) 어업용 부구
KR101636748B1 (ko) 어업용 부구
KR100971941B1 (ko) 조립형 부구
KR20170063467A (ko) 양식용 해수부자
KR101238200B1 (ko) 해상 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102058656B1 (ko) 부구
KR102325761B1 (ko)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결합형 친환경 부표
KR20120037544A (ko) 논슬립 패널이 부착된 조립식 폰툰
KR101852692B1 (ko) 항로표시용 등부표
KR101715289B1 (ko) 부력 집합체를 구비한 부이
KR100833714B1 (ko) 해역 경계 표시 마크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04023U (ko) 조립형 부구
KR20120058475A (ko)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KR101018012B1 (ko) 어구용 부구 및 부구 제작방법
KR20100007303U (ko) 조립형 부구
KR20150052567A (ko) 2중 벽관으로 구성된 부구 및 제조방법
US8920202B2 (en) Buoy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188910B1 (ko) 중공 다중셀 부구
KR20150057225A (ko) 타원형 또는 원뿔형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311166B1 (ko)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KR101477004B1 (ko) 부력 증가용 부구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