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8475A -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475A
KR20120058475A KR1020120041211A KR20120041211A KR20120058475A KR 20120058475 A KR20120058475 A KR 20120058475A KR 1020120041211 A KR1020120041211 A KR 1020120041211A KR 20120041211 A KR20120041211 A KR 20120041211A KR 20120058475 A KR20120058475 A KR 20120058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partition
annular portion
cell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식
Original Assignee
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영식 filed Critical 변영식
Priority to KR102012004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8475A/ko
Publication of KR2012005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부구를 상, 하몸통으로 구분제작하고, 칸막이부(300)와 칸막이 지지부(400)에 의해 부구 내에 다수 개의 셀(CELL)을 형성함으로써, 셀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이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 하부 몸통(100, 200)으로 구분되되, 상기 상, 하부 몸통(100, 200)은 각각 중공축(120, 220)이 중심부위에 형성되고, 상, 하부 몸통(100, 200) 내부 벽면에는 칸막이지지부(400)가 형성 되어 있으며 상부몸통(100)과 하부몸통(200) 사이에는 중앙부에 구멍이 천공된 칸막이부(300)가 게재되어 있으며, 상기 부구의 상, 하부 몸통(100, 200)과 칸막이부(300)는 초음파접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칸막이 지지부(400)는 여러 개의 지지판이며, 또한, 하부몸통(200)과 결합되는 상부몸통(100)의 결합단면인 원환부에는 돌기원환부(110)가 형성되고, 상부몸통(100)의 중공축 단면에도 돌기원환부(110)가 형성되며, 상부몸통(100)과 결합되는 하부몸통(200)의 결합단면인 원환부에는 오목홈원환부(210)가 형성되고, 중공축 단면에도 오목홈원환부(210)가 형성되어 초음화 접합시 상기 돌기원환부(110)가 상기 오목홈 원환부(210)에 긴밀하게 체결되어, 하부몸통(200)과 상부몸통(100)이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또한, 원판형태의 칸막이부(300)는 상하몸통의 내벽면에 동시에 결합되어 초음파접합되게 구성하는 것으로, 곧 칸막이부(300)의 지름은 상하몸통의 돌기원환부(110) 및 오목홈원환부(210)의 지름 보다 작고, 상하몸통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내부가 비어 있는 상, 하부 몸통은 상, 하부 몸통 형상의 금형에 합성수지 용융액을 주입하여 제조하는 사출방식에 의해 제작되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인 ABS 수지를 사용하며, 또한, 초음파접합시, 상, 하몸통을 서로 접합할 경우 작업용 지그 1(500)을 사용하여, 버(BUR)가 발생되지 않아, 로드 등을 결합하기가 용이하게 되며, 또한 작업용 지그 2(600)을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버(BUR)가 발생되지 않아, 부구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것으로, 부구를 상, 하몸통으로 구분제작하고, 칸막이부(300)와 칸막이 지지부(400)에 의해 부구 내에 다수 개의 셀(CELL)을 형성함으로써, 셀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이 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강성이 크며, 또한 상, 하몸통을 초음파접합함으로써 제작공정이 편리하며, 제작시 불량발생이 없는 것으로,
본 발명은 부구를 상, 하몸통으로 구분제작하고, 칸막이부와 칸막이 지지부에 의해 부구 내에 다수 개의 셀(CELL)을 형성함으로써, 셀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이 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강성이 크며, 또한 상, 하몸통을 초음파접합함으로써 제작공정이 편리하며, 제작시 불량발생이 없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PRODUCT METHOD OF HOLLOW MULTI-CELL BUOY}
본 발명은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그리고 어구(漁具)나 닻 등 물 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되는 중공 다중셀 부구(浮具)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중에 사용되는 어망용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00-0000362에 종래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부구는 통상 장방형의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그 위에 판자 등을 결합함으로서 작업자의 작업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와 함께 그물의 상단부도 지지하게 된다. 또한 부구는 스티로폴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가벼워 물에 잘 뜨면서도 다루기가 쉽고 특히 값이 매우 저렴하여 널리 범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스티로폴 부구는 바닷물(소금물)이나 햇볕에 약하여 쉽게 부식되고 또 장기간 사용시 다량의 해수를 흡수하게 되어 부력이 약화됨에 따라 잦은 교체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스티로폴은 신율(伸率)이 거의 없어 판자 또는 그물 등과의 결속시 쉽게 부서지는 등 폐기되는 부구가 자주 그리고 다량으로 발생될 뿐 아니라 또 이를 바다에 마구 버림으로써 바다를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폐부구는 거의 수거 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바다오염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현재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부구의 외면에 합성섬유 등으로 감싸기도 하는데 이 경우 다소나마 부구의 장기간 사용 그리고 해수의 흡수 지연 내지는 판자나 그물의 결합시 부구의 훼손 등을 개선하는 효과는 있으나 상기 합성섬유는 완벽한 방수 구조로 되어 있지도 않으며, 또 부구를 완전히 감싸지 아니하고 대충 감싸게 되므로 상기 합성섬유로 된 커버수단 만으로는 해수의 염분 및 햇볕 등과의 완벽한 차단을 기대할 수 없다. 또 상기 합성섬유의 결합은 양식장의 부구 설치작업에 따른 이중의 작업을 초래하여 작업성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다.
상기 고안은 이를 개선한 것으로, 스티로폴로 된 통상의 부구본체(10)외면 전체에 우레탄수지 코팅층(20)을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구를 요지로 하고 있다.
한편, 공개실용신안 실1999-0039807에는 부구에 대한 종래기술로, 부구는 물 위에 띠우는 것으로서, 양식용이나 일정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용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부구는 드럼통과 같은 철제통을 이용한 것이 있었으나 제작비가 많이 들고 또한 바닷물에서는 빨리 부식됨으로 인하여 경제적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스치로폴을 발포하여 부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스치로폴로 만든 부구는 사용중이 강풍이나 물살 등으로 인하여 일부가 파손되어 떨어져나가 물위에 떠다니기 때문에 공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일정 사용 수명이 지나 수거한 부구로 말미암아 환경을 파괴하는 공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부구를 설치하기 위하여 운반할 때 부피가 크기 때문에 운반이 불편하고 또한 보관하는데 많은 장소를 차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한 고안으로 로프연결구(1)가 형성되도록 고무나 합성인조고무나 연질합성수지로 형성된 부구(2)와, 상기 부구(2)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부(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모두 제작공정이 불편하며, 불량발생이 많고 재료비가 많이 들며, 제품의 강성이 떨어져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구를 상, 하몸통으로 구분제작하고, 칸막이부와 지지부에 의해 부구 내에 다수 개의 셀(CELL)을 형성함으로써, 셀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이 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강성이 크며, 또한 상, 하몸통을 초음파접합함으로써 제작공정이 편리하며, 제작시 불량발생이 없는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부구를 상, 하몸통으로 구분제작하고, 칸막이부(300)와 칸막이 지지부(400)에 의해 부구 내에 다수 개의 셀(CELL)을 형성함으로써, 셀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이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 하부 몸통(100, 200)으로 구분되되, 상기 상, 하부 몸통(100, 200)은 각각 중공축(120, 220)이 중심부위에 형성되고, 상, 하부 몸통(100, 200) 내부 벽면에는 칸막이지지부(400)가 형성 되어 있으며 상부몸통(100)과 하부몸통(200) 사이에는 중앙부에 구멍이 천공된 칸막이부(300)가 게재되어 있으며,
상기 부구의 상, 하부 몸통(100, 200)과 칸막이부(300)는 초음파접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칸막이 지지부(400)는 여러 개의 지지판이며,
또한, 하부몸통(200)과 결합되는 상부몸통(100)의 결합단면인 원환부에는 돌기원환부(110)가 형성되고, 상부몸통(100)의 중공축 단면에도 돌기원환부(110)가 형성되며, 상부몸통(100)과 결합되는 하부몸통(200)의 결합단면인 원환부에는 오목홈원환부(210)가 형성되고, 중공축 단면에도 오목홈원환부(210)가 형성되어 초음화 접합시 상기 돌기원환부(110)가 상기 오목홈 원환부(210)에 긴밀하게 체결되어, 하부몸통(200)과 상부몸통(100)이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또한, 원판형태의 칸막이부(300)는 상하몸통의 내벽면에 동시에 결합되어 초음파접합되게 구성하는 것으로, 곧 칸막이부(300)의 지름은 상하몸통의 돌기원환부(110) 및 오목홈원환부(210)의 지름 보다 작고, 상하몸통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내부가 비어 있는 상, 하부 몸통은 상, 하부 몸통 형상의 금형에 합성수지 용융액을 주입하여 제조하는 사출방식에 의해 제작되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인 ABS 수지를 사용하며,
또한, 초음파접합시, 상, 하몸통을 서로 접합할 경우 작업용 지그 1(500)을 사용하여, 버(BUR)가 발생되지 않아, 로드 등을 결합하기가 용이하게 되며, 또한 작업용 지그 2(600)을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버(BUR)가 발생되지 않아, 부구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것으로,
부구를 상, 하몸통으로 구분제작하고, 칸막이부(300)와 칸막이 지지부(400)에 의해 부구 내에 다수 개의 셀(CELL)을 형성함으로써, 셀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이 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강성이 크며, 또한 상, 하몸통을 초음파접합함으로써 제작공정이 편리하며, 제작시 불량발생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구를 상, 하몸통으로 구분제작하고, 칸막이부와 칸막이 지지부에 의해 부구 내에 다수 개의 셀(CELL)을 형성함으로써, 셀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이 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강성이 크며, 또한 상, 하몸통을 초음파접합함으로써 제작공정이 편리하며, 제작시 불량발생이 없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부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 부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 부구의 다른 실시례 사시도
도 4는 도 3 부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부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부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부구의 상, 하부 몸통과 칸막이부 사이의 결합관계도
도 8은 본 발명 부구의 하부단면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례 부구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례 부구의 상, 하부 몸통과 칸막이부 사이의 결합관계도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례 부구의 하부단면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 부구를 지그를 이용하여 초음파접합하는 방식도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부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 부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 부구의 다른 실시례 사시도, 도 4는 도 3 부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부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부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부구의 상, 하부 몸통과 칸막이부 사이의 결합관계도, 도 8은 본 발명 부구의 하부단면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례 부구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례 부구의 상, 하부 몸통과 칸막이부 사이의 결합관계도,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례 부구의 하부단면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 부구를 지그를 이용하여 초음파접합하는 방식도이다.
본 발명은 중공 다중셀 부구에 관한 것으로,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 하부 몸통(100, 200)으로 구분되되, 상기 상, 하부 몸통(100, 200)은 각각 중공축(120, 220)이 중심부위에 형성되고, 상, 하부 몸통(100, 200) 내부 벽면에는 칸막이 지지부(400)가 형성 되어 있으며 상부몸통(100)과 하부몸통(200) 사이에는 중앙부에 구멍이 천공된 칸막이부(300)가 게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 하부 몸통(100, 200)으로 구분되되, 상기 상, 하부 몸통(100, 200) 내부 벽면에는 칸막이 지지부(400)가 형성 되어 있으며 상부몸통(100)과 하부몸통(200) 사이에는 칸막이부(300)가 게재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구의 상, 하부 몸통(100, 200)과 칸막이부(300)는 초음파접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 지지부(400)는 여러 개의 지지판인 것이다.
본 발명의 부구는 주로 어망의 상부에 체결한 후 수중에서 어망이 펼쳐질 수 있도록 사용하는 어망용 부구이다. 물론 그 구조상 부구의 일반적인 다른 용도로 사용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 부구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기재하면, 상기 부구는 부력을 부여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 있는 여러 개의 셀이 형성된 상, 하부 몸통으로 구분된다. 상, 하부 몸통이 결합된 부구의 대체적인 형상은 내부가 여러 개의 셀이 형성된 빈 계란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가 비어 있는 상, 하부 몸통은 상, 하부 몸통 형상의 금형에 합성수지 용융액을 주입하여 제조하는 사출방식에 의해 제작된다. 그 재질은 합성수지이며 특히 본 실시례에서는 ABS 수지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 하부 몸통은 중간에 칸막이부를 게재한 후 초음파 접합방식으로 접합한다. 상, 하부 몸통을 초음파 접합방식으로 접합하게 되면 제작공정도 편리하며, 부구제품하자가 없다. 그리고 상, 하부 몸통은 중간에 칸막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상, 하부 몸통은 독립적으로 중공셀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 하부 몸통 내부에는 각각 중공축이 중심부위에 형성되어 있어서, 로프 등의 줄을 축의 구멍을 통해 통과시켜서 부구를 메달거나 물에 떠내려가지 않게 고정할 수 있으며, 여러 개를 한 번에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 하부 몸통 내부 벽면에는 지지부가 형성 되어 있어서 부구가 외력을 받더라도 우그러지지 않는 강성을 가진다. 지지부는 다수 개의 지지판 형태이며, 일단이 부구 상, 하부 몸통 내부 벽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중공축의 외면에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균등하게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4개가 방사상으로 동일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몸통과 하부몸통 사이에는 중앙부에 구멍이 천공된 칸막이부가 게재되어 있다. 칸막이부 역시 부구의 강성을 유지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부구 상, 하부 몸통을 상호 초음파 접합함에 있어서 상, 하부 몸통이 틀어지지 않게 하고 공정이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몸통, 다수 개의 지지판, 칸막이부에 의해 다수 개의 셀(CELL)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셀은 각각 밀폐된 공간에 의해 부력을 갖는 것이므로, 그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은 고유의 부력을 유지하게 되어 부구는 그 기능을 충분히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몸통과 결합되는 상부몸통의 결합단면인 원환부에는 돌기 원환부가 형성되고, 상부몸통의 중공축 단면에도 돌기 원환부가 형성되며, 상부몸통과 결합되는 하부몸통의 결합단면인 원환부에는 오목홈 원환부가 형성되고, 중공축 단면에도 오목홈 원환부가 형성되어 초음화 접합시 상기 돌기 원환부가 상기 오목홈 원환부에 긴밀하게 체결되어, 하부몸통과 상부몸통이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원판형태의 칸막이는 상하몸통의 내벽면에 동시에 결합되어 초음파접합되게 구성한다. 곧 칸막이의 지름은 상하몸통의 돌기원환부 및 오목홈 원환부의 지름 보다 작고, 상하몸통의 내경보다는 크게 제작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는 상기 중공축이 없고, 또한 칸막이부에 구멍이 천공되지 않은 형태로 제작되는 부구이며, 곧 그 구성을 기재하면, 상기 부구는 다수 개의 셀이 형성된 구조로, 내부가 비어 있는 상, 하부 몸통(100, 200)으로 구분되되, 상기 상, 하부 몸통(100, 200) 내부 벽면에는 칸막이 지지부(400)가 형성 되어 있으며 상부몸통(100)과 하부몸통(200) 사이에는 칸막이부(300)가 게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구이다. 하부몸통에는 로프 등의 끈을 연결하기 위한 고리가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물론 상기 부구의 상, 하부 몸통(100, 200)과 칸막이부(300)는 초음파접합 방식으로 결합하며, 또한 상기 칸막이 지지부(400)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지지판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한편, 초음파접합 방법을 기술하면, 상, 하몸통을 서로 접합할 경우 작업용 지그 1(500)을 사용하게 되면, 버(BUR)가 발생되지 않아, 로드 등을 결합하기가 용이하며, 또한 작업용 지그 2(600)을 사용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버(BUR)가 발생되지 않아, 부구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지그 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지그 1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부구를 세워지지할 수 있는 수직원형벽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안착홈에 지그 1의 하부가 삽입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지그 1은 중간에 원형 결합턱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이며, 지그 1의 상부는 부구의 중공축 내부에 삽입되어 초음파작업이 용이하게 부구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구를 상, 하몸통으로 구분제작하고, 칸막이부와 지지부에 의해 부구 내에 다수 개의 셀(CELL)을 형성함으로써, 셀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이 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강성이 크며, 또한 상, 하몸통을 초음파접합함으로써 제작공정이 편리하며, 제작시 불량발생이 없다.
100 : 상부몸통 200 : 하부몸통
300 : 칸막이부 400 : 칸막이 지지부
110 : 돌기 원환부(초음파용 융착산) 120, 220 : 중공축
210 : 오목홈 원환부(초음파용 오목부) 500 : 작업용 지그 1
600 : 작업용 지그 2 700 : 초음파접합기(초음파 공구툴)

Claims (1)

  1. 부구를 상, 하몸통으로 구분제작하고, 칸막이부(300)와 칸막이 지지부(400)에 의해 부구 내에 다수 개의 셀(CELL)을 형성함으로써, 셀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이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 하부 몸통(100, 200)으로 구분되되, 상기 상, 하부 몸통(100, 200)은 각각 중공축(120, 220)이 중심부위에 형성되고, 상, 하부 몸통(100, 200) 내부 벽면에는 칸막이지지부(400)가 형성 되어 있으며 상부몸통(100)과 하부몸통(200) 사이에는 중앙부에 구멍이 천공된 칸막이부(300)가 게재되어 있으며,
    상기 부구의 상, 하부 몸통(100, 200)과 칸막이부(300)는 초음파접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칸막이 지지부(400)는 여러 개의 지지판이며,
    또한, 하부몸통(200)과 결합되는 상부몸통(100)의 결합단면인 원환부에는 돌기원환부(110)가 형성되고, 상부몸통(100)의 중공축 단면에도 돌기원환부(110)가 형성되며, 상부몸통(100)과 결합되는 하부몸통(200)의 결합단면인 원환부에는 오목홈원환부(210)가 형성되고, 중공축 단면에도 오목홈원환부(210)가 형성되어 초음화 접합시 상기 돌기원환부(110)가 상기 오목홈 원환부(210)에 긴밀하게 체결되어, 하부몸통(200)과 상부몸통(100)이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또한, 원판형태의 칸막이부(300)는 상하몸통의 내벽면에 동시에 결합되어 초음파접합되게 구성하는 것으로, 곧 칸막이부(300)의 지름은 상하몸통의 돌기원환부(110) 및 오목홈원환부(210)의 지름 보다 작고, 상하몸통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내부가 비어 있는 상, 하부 몸통은 상, 하부 몸통 형상의 금형에 합성수지 용융액을 주입하여 제조하는 사출방식에 의해 제작되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인 ABS 수지를 사용하며,
    또한, 초음파접합시, 상, 하몸통을 서로 접합할 경우 작업용 지그 1(500)을 사용하여, 버(BUR)가 발생되지 않아, 로드 등을 결합하기가 용이하게 되며, 또한 작업용 지그 2(600)을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버(BUR)가 발생되지 않아, 부구의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것으로,
    부구를 상, 하몸통으로 구분제작하고, 칸막이부(300)와 칸막이 지지부(400)에 의해 부구 내에 다수 개의 셀(CELL)을 형성함으로써, 셀 중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이 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강성이 크며, 또한 상, 하몸통을 초음파접합함으로써 제작공정이 편리하며, 제작시 불량발생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KR1020120041211A 2012-04-20 2012-04-20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KR20120058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211A KR20120058475A (ko) 2012-04-20 2012-04-20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211A KR20120058475A (ko) 2012-04-20 2012-04-20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643A Division KR101188910B1 (ko) 2010-07-21 2010-07-21 중공 다중셀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475A true KR20120058475A (ko) 2012-06-07

Family

ID=46610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211A KR20120058475A (ko) 2012-04-20 2012-04-20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847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918B1 (ko) * 2012-10-09 2014-01-02 변영식 스노클의 호흡관 제조방법
KR101540201B1 (ko) * 2015-04-09 2015-07-28 박영숙 친환경 어구용 부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8124541A1 (ko) * 2016-12-28 2018-07-05 (주) 중앙테크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
KR200491375Y1 (ko) * 2018-12-17 2020-03-27 김미희 브라켓 일체형 부자
KR20220053373A (ko) * 2020-10-22 2022-04-29 신유빈 저수지 물 증발 저감용 셰이드 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918B1 (ko) * 2012-10-09 2014-01-02 변영식 스노클의 호흡관 제조방법
KR101540201B1 (ko) * 2015-04-09 2015-07-28 박영숙 친환경 어구용 부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8124541A1 (ko) * 2016-12-28 2018-07-05 (주) 중앙테크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
KR200491375Y1 (ko) * 2018-12-17 2020-03-27 김미희 브라켓 일체형 부자
KR20220053373A (ko) * 2020-10-22 2022-04-29 신유빈 저수지 물 증발 저감용 셰이드 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8475A (ko)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KR101861759B1 (ko) 어업용 부구
KR101361280B1 (ko)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KR101188910B1 (ko) 중공 다중셀 부구
CN104429900B (zh) 一种组合式藻礁群
CN205071889U (zh) 一种漂浮式人工鱼礁
KR101646095B1 (ko) 양식장 부표
KR20140120983A (ko) 양식용 부자
CN2891662Y (zh) 一种海洋养殖网箱框架及网箱
KR20180043524A (ko) 에어캡을 파이프 형태의 원통에 넣어 밀봉한 친환경 양식장용 부이
KR20150046416A (ko) 개선된 부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8200B1 (ko) 해상 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20140053427A (ko) 수산물 양식용 부이
CN103478045A (zh) 一种改进型浮式抗风浪网箱
CN202663996U (zh) 用于网箱的抗风浪装置
CN201101058Y (zh) 一种深海抗风浪网箱
KR20140015033A (ko) 양식장용 부이
KR20190048609A (ko) 부자
CN202466392U (zh) 一种多功能浮箱
CN203492592U (zh) 一种改进型浮式抗风浪网箱
CN206871322U (zh) 一种海上超大型浮动平台
CN205813228U (zh) 一种适用于水产养殖的浮力球
CN207911836U (zh) 一种具有多腔室的渔网浮子
KR101247751B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06180U (ko) 가두리 양식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