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609A - 부자 - Google Patents
부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48609A KR20190048609A KR1020170143707A KR20170143707A KR20190048609A KR 20190048609 A KR20190048609 A KR 20190048609A KR 1020170143707 A KR1020170143707 A KR 1020170143707A KR 20170143707 A KR20170143707 A KR 20170143707A KR 20190048609 A KR20190048609 A KR 201900486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 half body
- rim
- joined
- buo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et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391944 Commicarpus scan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9 marine debri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의 부유 구조물인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부력재나 보강재가 내부에 구비되지 않으면서도 파력에 잘 견디며 일부 파손시에도 부력이 유지되도록 내부가 비고 접합되는 측이 개방된 반원통형의 반체 두 개가 상호 접합되어 원통형 몸체를 이루되, 상기 반체는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합시 단부가 상호 맞닿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내부가 다수의 구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상의 부유 구조물인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력에 잘 견디면서 일부 파손시에도 부력이 유지되는 부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자(浮子, buoy)는 해상 부유 구조물로써, 가두리 양식장이나 수상 태양관 발전장치, 파력 발전장치, 해상 쓰레기 작업선 등을 위하여 강이나 바닷물에 띄우는 부체(浮體)를 통틀어서 일컫는 말이며, 부표라 불리기도 한다.
부자는 필요로 하는 부력에 따라 다양한 부피로 제작되며, 재질도 여러 가지이다. 작은 부자의 경우에는 스티로폼만으로 제작되기도 하지만, 파손되기 쉬운 스티로폼은 수질 오염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근래에는 친환경을 고려하여 스티로폼만으로 부자를 만들지 않고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제작되는 추세이다.
부피가 큰 부자의 경우 사출 성형으로 한 번에 일괄 제작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보통은 사출기를 통해 부자를 반으로 잘라놓은 형태인 반체(半體)를 만든 후, 상기 반체 내부에 부력재(일 예로, 스티로폼 등) 또는 형태 유지를 위한 보강재를 채운 다음 두 개의 반체를 서로 맞대어 놓고 맞닿는 부분을 가열 융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부자는 스티로폼 만으로 제작된 부자에 비해 환경오염 측면에서 이점이 있으나, 별도의 부력재나 보강재를 마련하고 이를 반체의 가열 융착 전 채워넣어야 하는바 제작과정이 번거롭다.
또한, 현재 보편적으로 제작되는 부자는 내부가 완전히 비어 있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기에 부력재나 보강재를 채워넣더라도 강도가 약하여 파력에 의해 파손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어 내부에 채워넣은 부력재나 보강재에 의해 환경오염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위와 같이 내부에 어떠한 구조를 가지지 않고 완전히 비어 있는 원통형 부자의 경우 일부분이 파손된 경우 부자 전체가 부력을 상실하여 가라앉아 본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부력재나 보강재가 내부에 구비되지 않으면서도 파력에 잘 견디며 일부 파손시에도 부력이 유지되는 부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부자는 내부가 비고 접합되는 측이 개방된 반원통형의 반체 두 개가 상호 접합되어 원통형 몸체를 이루되, 상기 반체는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합시 단부가 상호 맞닿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내부가 다수의 구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접합되어 부자를 이루는 반체 내부에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합시 맞닿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재를 채우지 않아도 파력에 잘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격벽에 의해 부자 내부가 다수의 구획으로 나뉘어지는바,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밀폐된 구획 내 수용되어 있는 공기로 인해 부력이 일정부분 유지되므로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자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자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자에 적용되는 반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자에 적용되는 테두리 및 격벽의 단부에 요철이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자에 적용되는 반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부자에 적용되는 반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자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부자에 적용되는 반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자에 적용되는 테두리 및 격벽의 단부에 요철이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부자에 적용되는 반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부자에 적용되는 반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부력재나 보강재가 내부에 구비되지 않으면서도 파력에 잘 견디며 일부 파손시에도 부력이 유지되도록 내부가 비고 접합되는 측이 개방된 반원통형의 반체 두 개가 상호 접합되어 원통형 몸체를 이루되, 상기 반체는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합시 단부가 상호 맞닿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내부가 다수의 구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부자(浮子, buoy)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부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몸체(A)를 이루며, 상기 몸체(A)는 내부가 빈 반원통형의 반체(100) 두 개가 상호 접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A)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합성수지 등과 같이 어느 정도 강도를 가져 파손이 손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몸체(A)가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상기 반체(100)는 접합되는 측, 즉 반원통형의 형태 중 평면을 이루는 부분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두 개의 반체(100)가 상호 접합되어 원통형 몸체(A)를 이룬다. 이때, 접합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반체(100)의 상호 맞닿는 부분을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가열 융착 방법으로 접합됨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반체(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합시 단부(111)가 상호 맞닿도록 격벽(1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반체(100)는 내부가 다수의 구획(120)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구획(120)은 접합되는 측이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격벽(110)이 형성된 반체(100) 두 개를 상호 맞닿도록 하여 가열 융착 방법을 통해 접합시, 상기 몸체(A)는 밀폐된 다수의 구획(120)이 형성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격벽(110)은 종방향 또는 횡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강도 보강과 파손시 이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 즉 반체(100)를 길이방향을 따라 놓았을 때, 높이를 형성하는 방향과 길이를 형성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격벽(110)이 형성된 반체(100) 두 개를 접합하여 몸체(A)를 제작시, 상기 몸체(A)는 내부에 원형인 격벽(110)과, 상기 원형인 격벽(1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사각형인 격벽(110)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에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합시 맞닿도록 격벽(110)이 형성된 반체(110)를 접합하여 이루어진 몸체(A)는 격벽(110)에 의해 내부에 뼈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보강재를 채우지 않아도 파력에 잘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110)에 의해 몸체(A) 내부가 밀폐된 다수의 구획(120)으로 나뉘어지는바, 몸체(A)의 일부가 외부 요인에 의해 파손되어 일 구획(120)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나머지 밀폐된 구획(120) 내 수용되어 있는 공기로 인해 부력이 일정 부분 이상 유지되므로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격벽(110)에 의해 이루어진 반체(100)의 구획(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체(100) 양단의 구획(120a)은 내측에 형성된 구획(120b)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체(100)가 양단의 구획(120a)을 비롯하여, 이보다 내측에 구획(120b)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격벽(110)이 반체(100) 내부에 종방향으로 적어도 2개가 형성된다. 다만, 몸체(A) 제작시 강도 보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체(100) 내부에 종방향 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격벽(11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110)에 의해 이루어진 반체(100) 양단의 구획(120a)은 내측에 형성된 구획(120b)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파력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반체(100)의 양단과 인접하게 격벽(110)을 형성하게 되므로 반체(100)의 양단이 파력에 의해 견딜 수 있는 강도가 내측보다 크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파력에 의해 파손이 주로 일어나는 부분이 반체(100)의 양단인바, 본 발명은 파력에 의해 반체(100)의 양단 중 일부가 파손되어 양단의 구획(120a) 중 일부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내측에 형성된 구획(120b)의 길이가 물이 유입된 구획(120a) 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몸체(A)가 물 위에 떠있기에 충분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110)이 형성된 반체(100)는 두 개가 상호 접합되어 원통형 몸체(A)를 이루는바, 접합은 반체(100)의 테두리, 즉 사각형을 이루는 테두리(130)와 격벽(110)의 단부(111)에서 이루어진다. 일 반체(100)의 테두리(130)는 타 반체(100)의 테두리(130)와, 일 반체(100)의 격벽(100)의 단부(111)는 타 반체(100)의 격벽(100)의 단부(111)와 상호 맞닿으면 접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테두리(130) 및 격벽(110)의 단부(111)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凹凸)부(10,20)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A) 형성을 위해 상호 맞닿는 부분을 울퉁불퉁하게 형성함으로써, 가열 융착 방법을 통한 접합시 돌출된 부분은 용이하게 녹아 함입된 부분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접합시 맞닿는 부분이 밋밋한 경우에 비해 요철(凹凸)이 형성된 테두리(130) 및 격벽(110)의 단부(111) 가열시 열에 의해 반응이 빠르게 일어날 뿐만 아니라 접합이 깔끔하게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130) 및 격벽(110)의 단부(111)에 형성된 요(凹)부(10)는 철(凸)부(2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테두리(130)를 이루는 외측 가장자리와 내측 가장자리 사이에 돌출된 철(凸)부(20)가 형성됨으로써, 철(凸)부(20)와 외측 가장자리, 그리고 철(凸)부(20)와 내측 가장자리 사이에 요(凹)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110)의 단부(111)를 이루는 외측 가장자리와 내측 가장자리 사이에 돌출된 철(凸)부(20)가 형성됨으로써, 철(凸)부(20)와 외측 가장자리, 그리고 철(凸)부(20)와 내측 가장자리 사이에 요(凹)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철(凸)부(20)와 가장자리의 높이 차에 따라, 가열 융착시 철(凸)부(20)만 녹거나, 철(凸)부(20)와 가장자리가 함께 녹아 요(凹)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인 부자의 용도 및 사용환경, 제작환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는 것이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凸)부(20)를 가장자리보다 높게 형성하여 가열시 철(凸)부(20)만이 녹고 융착되는 과정에서 요(凹)부로 흘러들어가도록 하여 반체(100)의 가장자리는 유지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체(100)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테두리(130) 폭은 격벽(110)의 단부(111) 폭보다 넓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 요인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반체(100)의 테두리(130)가 접합된 후 파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도를 보강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반체(100)의 외주연과 내주연이 이루는 두께를 테두리(130)의 폭과 동일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할 경우 제작비용이 증가되는바, 상기 테두리(130)는 반체(100)의 외주연보다 돌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부자는 격벽(110)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구획(120)으로 나뉘어져 있는바, 별도의 보강재 및 부력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일정 이상의 강도와 부력을 가질 수 있으며, 요철(凹凸)부(10,20)를 통해 가열 융착에 따른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테두리(130) 폭을 격벽(110)의 단부(111)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접합된 부분의 강도를 보강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부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외주를 따라 함입된 고정홈(14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40)에 밧줄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이나 수상 태양관 발전장치, 파력 발전장치, 해상 쓰레기 작업선 등을 강이나 바닷물에 띄우는 부체로 사용할 수 있다.
A : 몸체
10 : 요(凹)부 20 : 철(凸)부
100 : 반체 110 : 격벽
111 : 격벽의 단부 120(120a,120b) : 구획
130 : 테두리 140 : 고정홈
10 : 요(凹)부 20 : 철(凸)부
100 : 반체 110 : 격벽
111 : 격벽의 단부 120(120a,120b) : 구획
130 : 테두리 140 : 고정홈
Claims (5)
- 내부가 비고 접합되는 측이 개방된 반원통형의 반체(100) 두 개가 상호 접합되어 원통형 몸체(A)를 이루되,
상기 반체(100)는 내주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합시 단부(111)가 상호 맞닿도록 격벽(110)이 형성되어 내부가 다수의 구획(1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10)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격벽(110)에 의해 이루어진 반체(100) 양단의 구획(120a)은 내측에 형성된 구획(120b)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체(100)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테두리(130)와 격벽(110)의 단부(111)에는 요철(凹凸)부(10,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부(10)는 철(凸)부(2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체(100)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테두리(130) 폭은 격벽(110)의 단부(111) 폭보다 넓게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130)는 반체(100)의 외주연보다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3707A KR101990541B1 (ko) | 2017-10-31 | 2017-10-31 | 부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3707A KR101990541B1 (ko) | 2017-10-31 | 2017-10-31 | 부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8609A true KR20190048609A (ko) | 2019-05-09 |
KR101990541B1 KR101990541B1 (ko) | 2019-06-18 |
Family
ID=6654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3707A KR101990541B1 (ko) | 2017-10-31 | 2017-10-31 | 부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054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090U (ko) * | 2019-11-12 | 2021-05-21 | 다스코 주식회사 | 수상 태양광 모듈용 부력체 |
KR102332895B1 (ko) * | 2020-11-06 | 2021-12-01 | 쏠에코 주식회사 |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
KR20220028225A (ko) | 2020-08-28 | 2022-03-08 | 최정화 | 볼 탑재가 용이하고 고경량·고강도의 강화틀을 포함하는 양식용부자 및 이에 제조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8278U (ko) | 1998-11-30 | 1999-02-25 | 이길우 | 양식업 부력 부이 |
KR20140000713U (ko) | 2012-07-23 | 2014-02-05 | (주)정진누리마루 | 부구 |
KR20150090677A (ko) * | 2014-01-29 | 2015-08-06 | 동신산업(주) | 수상 부력체 |
KR20170063032A (ko) * | 2015-11-30 | 2017-06-08 | 황해창 | 친환경 부표 |
KR20170064203A (ko) * | 2015-12-01 | 2017-06-09 | 김광호 | 보강 비드를 구비한 부표 |
KR101789793B1 (ko) * | 2016-12-09 | 2017-10-25 | 조범준 | 경량 부자 |
-
2017
- 2017-10-31 KR KR1020170143707A patent/KR1019905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8278U (ko) | 1998-11-30 | 1999-02-25 | 이길우 | 양식업 부력 부이 |
KR20140000713U (ko) | 2012-07-23 | 2014-02-05 | (주)정진누리마루 | 부구 |
KR20150090677A (ko) * | 2014-01-29 | 2015-08-06 | 동신산업(주) | 수상 부력체 |
KR20170063032A (ko) * | 2015-11-30 | 2017-06-08 | 황해창 | 친환경 부표 |
KR20170064203A (ko) * | 2015-12-01 | 2017-06-09 | 김광호 | 보강 비드를 구비한 부표 |
KR101789793B1 (ko) * | 2016-12-09 | 2017-10-25 | 조범준 | 경량 부자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090U (ko) * | 2019-11-12 | 2021-05-21 | 다스코 주식회사 | 수상 태양광 모듈용 부력체 |
KR20220028225A (ko) | 2020-08-28 | 2022-03-08 | 최정화 | 볼 탑재가 용이하고 고경량·고강도의 강화틀을 포함하는 양식용부자 및 이에 제조방법 |
KR102332895B1 (ko) * | 2020-11-06 | 2021-12-01 | 쏠에코 주식회사 |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0541B1 (ko) | 2019-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0541B1 (ko) | 부자 | |
KR101908844B1 (ko) | 복수의 내부 단위 부자를 이용한 부력체 | |
JP2015536679A (ja) | 容器を用いた浮上組立体 | |
KR101918116B1 (ko) | 수상용 부상조립체 | |
KR102181543B1 (ko) |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89793B1 (ko) | 경량 부자 | |
KR20190054781A (ko) | 격벽을 구비하는 친환경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57833B1 (ko) |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 |
KR101162007B1 (ko) | 개량형 양식장 부자 | |
KR102325761B1 (ko) |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결합형 친환경 부표 | |
KR101188910B1 (ko) | 중공 다중셀 부구 | |
KR20120058475A (ko) |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 |
KR200491375Y1 (ko) | 브라켓 일체형 부자 | |
KR200493702Y1 (ko) | 수상 태양광 모듈용 부력체 | |
KR100646744B1 (ko) | 수상구조물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200119645A (ko) | 이중 부력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491407Y1 (ko) | 이중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구 | |
KR20180107993A (ko) | 이중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구 | |
KR20150057225A (ko) | 타원형 또는 원뿔형 부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68642B1 (ko) | 다중 격벽에 의한 에어포켓을 갖는 부표 및 그 제조방법 | |
KR20070081985A (ko) | 외피가 스테인리스 재질로 만들어진 부이 | |
KR102613875B1 (ko) |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에어포켓 타입의 부표 | |
KR20240155538A (ko) | 내피가 포함된 이중사출구조의 친환경 부표 | |
KR200468226Y1 (ko) | 가두리 양식장용 코팅부구 | |
KR101216714B1 (ko) | 부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