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895B1 -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 Google Patents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895B1
KR102332895B1 KR1020200147780A KR20200147780A KR102332895B1 KR 102332895 B1 KR102332895 B1 KR 102332895B1 KR 1020200147780 A KR1020200147780 A KR 1020200147780A KR 20200147780 A KR20200147780 A KR 20200147780A KR 102332895 B1 KR102332895 B1 KR 10233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groove
fusion
upper body
sea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원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쏠에코 주식회사
가스코 주식회사
다스코 주식회사
세라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쏠에코 주식회사, 가스코 주식회사, 다스코 주식회사, 세라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쏠에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5/00Building or assembling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e.g. semi-submersible platforms, SPAR platforms or wind turbine platfo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에 관한 것으로서, 하측에 제1 홈이 형성되는 상부체 및, 상기 상부체와 접합되며 상측에 제2 홈이 형성되는 하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홈의 입구 테두리와 제2 홈의 입구 테두리가 맞닿아 접합되되, 상기 제1 홈의 입구 테두리에는 상기 하부체를 향해 연장되며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차례로 제1 융착돌기와 제1 밀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의 입구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체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융착돌기와 제1 밀봉돌기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융착돌기와 제2 밀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의 융착 접합 작업시 제1 융착돌기와 제2 융착돌기가 상호 가압되어 융착물이 외측으로 밀려나와 돌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밀봉돌기와 제2 밀봉돌기가 맞닿아 접합부가 밀봉되기 때문에, 융착 접합부에 대한 추가 가공이 요구되지 않아 생산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BUOYANT MEMBER FOR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추가 가공이 요구되지 않아 생산성이 높은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과 그 연료의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풍력이나 태양광 등의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 발전설비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발전설비 중에서도 태양광 발전설비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재생에너지 산업, 즉 국책 사업으로 지정하여 정부 지원 아래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인 태양광 발전설비는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여 태양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 수상이나 육상에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여 그 지지 구조물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거나 건축물의 외벽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를 말한다.
육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의 경우,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태양광 모듈을 설치해야 하므로 태양광 발전설비가 설치되는 지역에 대한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경제성이 낮은 단점도 있다.
한편, 저수지나 해상에 설치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는 설치 안정성면에서는 육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에 비해 다소 떨어질 수 있으나 자유로운 수평 회전을 통해 방향 조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공간적인 제약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개시되고 있는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일체형의 부력체를 채택하고 있다.
플라스틱으로 부력체를 제조할 경우에는 사출 가공이 이용되고 금속으로 부력체를 제조할 경우에는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 상부체와 하부체를 용접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용접 가공의 경우 접합부에서 돌출된 용접부를 제거하기 위해 추가적인 가공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접합부가 노출되어 있어 부유물 등에 충돌하는 경우 쉽게 파손되어 내구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5595호 (2019.08.2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외면에 대한 추가 가공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 생산성이 높은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는,
하측에 제1 홈이 형성되는 상부체; 및,
상기 상부체와 접합되며 상측에 제2 홈이 형성되는 하부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홈의 입구 테두리와 제2 홈의 입구 테두리가 맞닿아 접합되되,
상기 제1 홈의 입구 테두리에는 상기 하부체를 향해 연장되며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차례로 제1 융착돌기와 제1 밀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의 입구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체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융착돌기와 제1 밀봉돌기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융착돌기와 제2 밀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의 융착 가공전에는 상기 제1 융착돌기와 제2 융착돌기가 맞닿을 때 상기 제1 밀봉돌기와 제2 밀봉돌기 사이는 이격되며, 융착 가공완료 후에는 상기 제1 밀봉돌기와 제2 밀봉돌기가 맞닿아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홈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입구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홈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입구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리브는 제1 가로부재와, 상기 제1 가로부재와 교차하는 제1 세로부재로 이루어져서 복수의 제1 챔버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리브는 제2 가로부재와, 상기 제2 가로부재와 교차하는 제2 세로부재로 이루어져서 복수의 제2 챔버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되,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2 챔버 모두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체 또는 하부체의 외면에는 파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체의 상단 둘레와 상기 하부체의 하단 둘레에는 각각 복수의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이 테두리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며,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은 일직선 상에서 두 쌍씩 짝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 제1 홈이 형성되는 상부체 및, 상기 상부체와 접합되며 일측에 제2 홈이 형성되는 하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홈의 입구 테두리와 제2 홈의 입구 테두리가 맞닿아 접합되되, 상기 제1 홈의 입구 테두리에는 상기 하부체를 향해 연장되며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차례로 제1 융착돌기와 제1 밀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의 입구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체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융착돌기와 제1 밀봉돌기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융착돌기와 제2 밀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의 융착 접합 작업시 제1 융착돌기와 제2 융착돌기가 상호 가압되는 과정에서 융착물이 외측으로 밀려나와 돌출되어도 상기 제1 밀봉돌기와 제2 밀봉돌기가 자연스럽게 맞닿아 접합부가 밀봉되기 때문에 융착 접합부에 대한 추가 가공이 요구되지 않아 생산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밀봉돌기와 제2 밀봉돌기가 맞닿아 외면이 밀봉되는 것에 의해 제1 융착돌기와 제2 융착돌기의 경계인 융착 접합부가 부유물 등 외부 구조물로부터 보호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홈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제1 홈의 입구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홈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제2 홈의 입구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제2 홈에 EPS 블럭이나 풍선 또는 각종 발포재 등 보조 부력부재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제2 리브에 의해 상기 보조 부력부재가 제2 홈 내에서 움직이는 것이 차단되어 부력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 구조체의 기울어짐이나 임의 회전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2 홈 내에 수용된 보조 부력부재를 눌러줄 수 있으므로 부력체 내에서 보조 부력부재의 한층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체 또는 하부체의 외면에는 파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부력체의 운반시 또는 융착 작업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한층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체의 상단 둘레와 상기 하부체의 하단 둘레에는 각각 복수의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이 테두리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며,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은 일직선 상에서 두 쌍씩 짝을 이루어 배치되므로,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부력체를 구성하는 상부체와 하부체를 묶어서 보관할 때 상기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한층 견고한 고정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를 나타내는 상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를 나타내는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하부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상부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에서 융착 접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A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서, (a)는 접합 가공 전의 구성을, (b)는 접합 가공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1000)는, 하측에 제1 홈(110)이 형성되는 상부체(100) 및, 상기 상부체(100)와 접합되며 상측에 제2 홈(210)이 형성되는 하부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홈(110)의 입구 테두리(120)와 제2 홈(210)의 입구 테두리(220)가 맞닿아 접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100)와 하부체(200)의 결합체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상면과 원형으로 이루어진 저면을 가지며 상기 원형의 직경은 상기 정사각형의 일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이 매끈하게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특히, 상기 제1 홈(110)의 입구 테두리(120)에는 상기 하부체(200)를 향해 연장되며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차례로 제1 융착돌기(130)와 제1 밀봉돌기(1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홈(210)의 입구 테두리(220)에는 상기 상부체(100)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융착돌기(130)와 제1 밀봉돌기(140)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융착돌기(230)와 제2 밀봉돌기(24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체(100)와 하부체(200)의 융착 접합 작업시 제1 융착돌기(130)와 제2 융착돌기(230)가 상호 가압되는 과정에서 융착물이 외측으로 밀려나와 돌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밀봉돌기(140)와 제2 밀봉돌기(240)가 맞닿아 접합부가 밀봉되기 때문에, 융착 접합부에 대한 추가 가공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밀봉돌기(140)와 제2 밀봉돌기(240)가 맞닿아 외면이 밀봉되는 것에 의해 제1 융착돌기(130)와 제2 융착돌기(230)의 경계인 융착 접합부가 부유물 등 외부 구조물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가 없이 확실히 보호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100)와 하부체(200)의 융착 가공전에는 상기 제1 융착돌기(130)와 제2 융착돌기(140)가 맞닿을 때 상기 제1 밀봉돌기(140)와 제2 밀봉돌기(240) 사이는 이격되며, 융착 가공완료 후에는 상호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융착돌기(130)와 제2 융착돌기(140)의 경계면이 횡방향으로 확장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밀봉돌기(140)와 제2 밀봉돌기(240)는 서로 맞닿아 밀봉되게 된다.
즉 실제 가공시에는, 상기 상부체(100)의 제1 융착돌기(130)와 하부체(200)의 제2 융착돌기(140)를 이격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한 후 제1 융착돌기(130)와 제2 융착돌기(140) 사이에 가열체(H)를 두어 상기 제1 융착돌기(130)와 제2 융착돌기(140)의 선단을 각각 가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융착돌기(130)와 제2 융착돌기(140)의 선단이 열에 의해 유연해지면 상기 상부체(100)와 하부체(200)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융착돌기(130)와 제2 융착돌기(140)가 상호 융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밀봉돌기(140)와 제2 밀봉돌기(240)는 직접적으로 가열되지 않으므로 융착되지 않으며 물리적으로 서로 맞닿아 밀봉되는 상태를 유지할 뿐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홈(110)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제1 홈(110)의 입구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리브(15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홈(210)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제2 홈(210)의 입구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리브(25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홈(210)에는 EPS 블럭이나 풍선 또는 각종 발포재 등 보조 부력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리브(25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조 부력부재가 제2 홈(210) 내에서 움직이는 것이 차단되는 등 균형이 유지되어 부력체(1000)의 상부에 배치되는 태양광 발전 구조체(S)의 기울어짐이나 임의 회전 등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브(150)는 상기 제2 홈(210) 내에 수용된 상기 보조 부력부재를 눌러주게 되므로 상기 부력체(1000) 내에서 보조 부력부재의 한층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 리브(150)는 제1 가로부재(151)와, 상기 제1 가로부재(151)와 교차하는 제1 세로부재(152)로 이루어져서 복수의 제1 챔버(16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리브(250)는 제2 가로부재(251)와, 상기 제2 가로부재(251)와 교차하는 제2 세로부재(252)로 이루어져서 복수의 제2 챔버(260)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 부력부재를 상기 제2 챔버(260)에 각각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리브(150)는 상기 보조 부력부재를 위에서 눌러서 제2 챔버(260)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부체(100)와 하부체(200)의 경계면에서 상기 제1 챔버(160)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챔버(26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리브(150)에 의해 상기 제2 챔버(260)에 각각 수용된 보조 부력부재가 모두 눌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챔버(160)가 9개, 제2 챔버(260)가 4개로 각각 구성되어 제1 챔버(150)의 단면적이 제2 챔버(250)의 단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으며,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상부체(100)와 하부체(200)의 결합시 제1 리브(150)가 상기 제2 챔버(260)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챔버(160)와 제2 챔버(260)의 개수가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상부체(100) 또는 하부체(200)의 외면에는 파지돌기(30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부력체(1000)의 이동시 또는 융착 가공시 자동화 기기가 상기 파지돌기(3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100)의 상단 둘레와 상기 하부체(200)의 하단 둘레에는 각각 복수의 제1 걸림홈(170)과 제2 걸림홈(270)이 테두리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며,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걸림홈(170)과 제2 걸림홈(270)이 일직선 상에서 두 쌍씩 짝을 이루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체(1000)를 구성하는 상부체(100)와 하부체(200)를 와이어로 묶어서 보관할 때 상기 제1 걸림홈(170)과 제2 걸림홈(270)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한층 견고한 고정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체(100)의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180)가 형성되어 와이어 연결 등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미끄러져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작업에 지장을 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1000)에 태양광 모듈(900)이 포함된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S)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상부체
110... 제1 홈
120... 제1 홈의 입구 테두리
130... 제1 융착돌기
140... 제1 밀봉돌기
150... 제1 리브
200... 하부체
210... 제2 홈
220... 제2 홈의 입구 테두리
230... 제2 융착돌기
240... 제2 밀봉돌기
250... 제2 리브
300... 파지돌기
1000...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H... 가열체
S... 태양광 발전 구조체

Claims (6)

  1. 하측에 제1 홈이 형성되는 상부체; 및,
    상기 상부체와 접합되며 상측에 제2 홈이 형성되는 하부체;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의 결합체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상면과 원형으로 이루어진 저면을 가지며 상기 원형의 직경은 상기 정사각형의 일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이 매끈하게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되,
    상기 제1 홈의 입구 테두리와 제2 홈의 입구 테두리가 맞닿아 접합되고,
    상기 제1 홈의 입구 테두리에는 상기 하부체를 향해 연장되며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차례로 제1 융착돌기와 제1 밀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의 입구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체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융착돌기와 제1 밀봉돌기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융착돌기와 제2 밀봉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의 융착 가공전에는 상기 제1 융착돌기와 제2 융착돌기가 맞닿을 때 상기 제1 밀봉돌기와 제2 밀봉돌기 사이는 이격되며, 융착 가공완료 후에는 상기 제1 밀봉돌기와 제2 밀봉돌기가 맞닿아 밀봉되고,
    상기 제1 홈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입구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홈의 내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입구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리브는 제1 가로부재와, 상기 제1 가로부재와 교차하는 제1 세로부재로 이루어져서 복수의 제1 챔버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리브는 제2 가로부재와, 상기 제2 가로부재와 교차하는 제2 세로부재로 이루어져서 복수의 제2 챔버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되,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의 경계면에서 상기 제1 챔버의 단면적이 제2 챔버의 단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어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2 챔버 모두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의 상단 둘레와 상기 하부체의 하단 둘레에는 각각 복수의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이 테두리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며, 평면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은 일직선 상에서 두 쌍씩 짝을 이루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KR1020200147780A 2020-11-06 2020-11-06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KR10233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780A KR102332895B1 (ko) 2020-11-06 2020-11-06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780A KR102332895B1 (ko) 2020-11-06 2020-11-06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895B1 true KR102332895B1 (ko) 2021-12-01

Family

ID=7889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780A KR102332895B1 (ko) 2020-11-06 2020-11-06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301B1 (ko) 2022-06-10 2022-11-04 제이와이솔루션(주)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853B1 (ko) * 2008-12-08 2009-02-02 신화종합건설 주식회사 이피에스를 이용한 부력체 및 이 부력체를 이용한 폰툰
KR20190048609A (ko) * 2017-10-31 2019-05-09 황남석 부자
KR102015595B1 (ko) 2019-01-15 2019-08-28 최동수 수상태양광 발전설비용 부유 장치의 부력체
KR20190121908A (ko) * 2018-04-19 2019-10-29 임재호 부력조립체
KR20200005935A (ko) *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국제화학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853B1 (ko) * 2008-12-08 2009-02-02 신화종합건설 주식회사 이피에스를 이용한 부력체 및 이 부력체를 이용한 폰툰
KR20190048609A (ko) * 2017-10-31 2019-05-09 황남석 부자
KR20190121908A (ko) * 2018-04-19 2019-10-29 임재호 부력조립체
KR20200005935A (ko) *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국제화학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KR102015595B1 (ko) 2019-01-15 2019-08-28 최동수 수상태양광 발전설비용 부유 장치의 부력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301B1 (ko) 2022-06-10 2022-11-04 제이와이솔루션(주)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895B1 (ko)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CN101408064A (zh) 基于屋顶的能量转换系统
KR101064714B1 (ko) 태양광 발전장치
EP1300523A4 (en) SOLAR BATTERY MODULE, INSTALLATION CONSTRUCTION FOR A SOLAR BATTERY MODULE, ROOF WITH ENERGY-PRODUCING FUNCTION FOR INSTALLATION DESIGN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OLAR BATTERY MODULE
WO2008121176A1 (en) A photovoltaic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hotovoltaic device using an involute-based concentrator
KR102017295B1 (ko)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KR19980086792A (ko) 태양 전지 모듈과 그 제조 방법, 건축 재료와 그 배치 방법 및 전기 발생 시스템
CN102651415A (zh) 供在集中太阳能系统中使用的太阳能电池模块
US20200006586A1 (en) Solar power generation unit and system
KR101404111B1 (ko) 단일형 지지부재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모듈 설치를 위한 친환경 부유식 구조물
JP2018533815A (ja) クランプ方式の締結部材により結合された外装部材を備える電池モジュール
AU2020269416A1 (en) Energy conversion system
KR200480504Y1 (ko) 태양광 모듈의 모서리 보호커버
KR20190014367A (ko) 에어캡(뽁뽁이)이 있는 부력체와 에어캡이 없는 부력체를 혼용한 수상태양광시스템
KR20100005101U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WO2006070425A1 (en) Integrated structural element for concentrating photovoltaic module
KR101971094B1 (ko) 에어캡(뽁뽁이)이 있는 부력체 및 그 부력체를 이용한 수상태양광시스템
CN203734591U (zh) 一种适用于水上的太阳能光伏组件
CN104579143A (zh) 具外框的太阳能面板模块
CN110087986B (zh) 太阳能电池板用浮板
KR101703125B1 (ko) 태양전지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부력체
KR102639705B1 (ko) 태양광 발전용 부표
KR100879532B1 (ko) 배터리용 터미널
CN202434544U (zh) 一种新型太阳能接线盒
KR101728356B1 (ko) 태양광 패널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