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101U -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 Google Patents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101U
KR20100005101U KR2020100004413U KR20100004413U KR20100005101U KR 20100005101 U KR20100005101 U KR 20100005101U KR 2020100004413 U KR2020100004413 U KR 2020100004413U KR 20100004413 U KR20100004413 U KR 20100004413U KR 20100005101 U KR20100005101 U KR 201000051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mooring
frame
mooring structure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만
안정길
Original Assignee
(주)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 filed Critical (주)엠디
Priority to KR2020100004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101U/ko
Publication of KR20100005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력튜브와 발판 및 난간 등을 연결시켜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계류구조물을 시설토록 한 연결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브라켓간의 조립면이 되는 지지살 프레임의 좌,우측면에 결합돌기와 결합구멍을 대응 형성시키고, 지지살 프레임의 상단 양측 내부에는 핸드레일 포스트의 조립을 위한 연결파이프를 형성시킴으로서, 연결브라켓을 이용한 계류구조물의 설치작업을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토록 하는 한편, 연결브라켓을 기초로 하는 계류구조물의 시설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강풍이나 파랑(波浪) 등의 열악한 환경조건하에서도 오랜 기간동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계류구조물을 제공토록 함은 물론, 그 조립강도가 특히 취약하게 되는 핸드레일 포스트의 견고한 설치 및 이를 기초로 하는 난간의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살에 의하여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11)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계류구조물(1)용 부력튜브(5)가 삽입되는 튜브링(12)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단측에 형성되어 계류구조물(1)용 발판(3)과 핸드레일 포스트(2)가 조립되는 조립단부(1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연결브라켓(10)에 있어서,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일측 외부면에는 결합돌기(1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타측면에는 결합돌기(14)와 대응되는 결합구멍(14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단 양측 내부에는 계류구조물(1)용 핸드레일 포스트(2)가 삽입되는 연결파이프(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Joint bracket for a floating construction}
본 고안은 부력튜브와 발판 및 난간 등을 연결시켜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계류구조물을 시설토록 한 연결브라켓의 구조를 개선시킴으로서, 계류구조물의 설치작업을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토록 하는 한편, 연결브라켓을 기초로 하는 계류구조물의 시설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강풍이나 파랑(波浪) 등의 열악한 환경조건하에서도 오랜 기간동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계류구조물을 제공토록 한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해역이나 호수 등과 같은 수역(水域)에 설치되는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 등은,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재를 일정한 형상으로 엮어서 계류물을 설치한 다음, 이 계류물상에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이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가두리용 그물 또는 선박의 접안에 필요한 그물로프나 완충범퍼 등이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 등의 부력재를 사용하여 가두리시설이나 접안시설과 같은 계류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면, 계류구조물의 설치 과정에서 많은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파도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부력재가 쉽게 파손됨에 따라, 계류구조물의 수명과 안전성이 저하됨은 물론, 부력재로부터 떨어져 나온 파편 들이 바다나 호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접착 및 조립이 가능한 폴리에틸렌(PE), 바람직하게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제조된 부력튜브와 발판 및 난간 등을 연결브라켓을 토대로 하여 연결 설치함으로서,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각종 계류구조물을 시설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부력튜브와 발판 및 난간 등을 연결시켜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계류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종래의 연결브라켓은, 다수 개의 지지살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결시켜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하측단에 형성되어 부력튜브가 삽입되도록 한 튜브링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어 난간용 핸드레일 포스트와 발판이 각각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조립단부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은, 부력튜브나 발판 또는 난간의 조립을 위한 튜브링과 조립단부만을 지지살 프레임에 제공함에 따라, 부력튜브나 발판 또는 난간의 조립작업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었으나, 계류구조물의 설치시에 각각의 연결브라켓을 좌,우측 방향으로 맞대어 열융착시키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기준이 지지살 프레임에 제공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부력튜브와 발판 및 난간을 연결브라켓에 조립하는 작업은 튜브링과 조립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었으나, 각각의 연결브라켓을 좌,우측 방향으로 정확하게 맞대어 계류구조물의 실질적인 베이스(Base)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준이 제공되지 아니함으로서, 연결브라켓간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연결브라켓이 좌,우측 방향으로 정확하게 연결되지 못하면, 연결브라켓을 기초로 하여 조립되는 부력튜브와 발판 및 난간 또한 최초의 설계와 어긋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상황은 계류구조물의 전체적인 시설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강풍이나 파랑(波浪) 등과 같은 열악한 환경조건하에서 사용되는 계류구조물의 수명과 안전성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특히, 계류구조물에 사용되는 난간은 연결브라켓의 상단면에 조립되는 핸드레일 포스트를 기초로 하여 설치되는 바, 상기 핸드레일 포스트의 하단부 및 연결브라켓의 상단면에 돌출된 조립단부와의 사이에 매우 적은 접합면이 제공됨에 따라, 계류구조물 중에서 핸드레일 포스트의 조립강도가 가장 취약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핸드레일 포스트를 기초로 하여 설치되는 난간의 안전성 또한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핸드레일 포스트의 취약한 조립강도를 보완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과 핸드레일 포스트를 일체로 사출 성형토록 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에는 연결브라켓의 상단면에 그 길이가 길게 되는 핸드레일 포스트가 돌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연결브라켓의 보관이나 운반 및 취급에 따른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핸드레일 포스트가 설치되는 부분은 계류구조물의 가장자리측으로 한정되고, 나머지 대부분의 연결브라켓은 발판의 조립에 사용됨은 물론, 계류구조물의 가장자리에 맞추어 핸드레일 포스트가 설치되는 위치나 개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핸드레일 포스트의 유무와 그 위치 및 개수에 맞추어 최소 3개 이상의 브라켓용 사출금형이 필요하게 되며, 이는 계류구조물의 시설에 필요한 부품의 원가상승 및 시설비용의 증대를 유발시키는 비경제적인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브라켓간의 조립면이 되는 지지살 프레임의 좌,우측면에 결합돌기와 결합구멍을 대응 형성시키고, 지지살 프레임의 상단 양측 내부에는 핸드레일 포스트의 조립을 위한 연결파이프를 형성시킴으로서, 연결브라켓을 이용한 계류구조물의 설치작업을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토록 하는 한편, 연결브라켓을 기초로 하는 계류구조물의 시설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강풍이나 파랑 등의 열악한 환경조건하에서도 오랜 기간동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계류구조물을 제공토록 함은 물론, 그 조립강도가 특히 취약하게 되는 핸드레일 포스트의 견고한 설치 및 이를 기초로 하는 난간의 안전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고안은, 지지살에 의하여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계류구조물용 부력튜브가 삽입되는 튜브링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상단측에 형성되어 계류구조물용 발판과 핸드레일 포스트가 조립되는 조립단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연결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일측 외부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타측면에는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살 프레임의 상단 양측 내부에는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가 삽입되는 연결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구멍은 지지살 프레임의 타측 내부면에 제공된 보강블록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부력튜브나 발판의 조립 및 열융착 작업은 연결브라켓에 제공된 튜브링과 조립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각각의 연결브라켓을 좌,우측 방향으로 맞대어 열융착시키는 작업 또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구멍을 기준으로 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계류구조물의 실질적인 베이스가 되는 연결브라켓을 좌,우측 방향으로 정확하게 맞대어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연결브라켓을 기초로 하여 조립되는 부력튜브와 발판 및 핸드레일 포스트와 핸드레일로 이루어지는 난간 또한 최초의 설계대로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강풍이나 파랑 등과 같은 열악한 환경조건하에서 사용되는 계류구조물의 수명과 안전성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계류구조물용 난간의 기초가 되는 핸드레일 포스트의 하단부를 연결브라켓에 제공된 연결파이프의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삽입시킨 다음,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각각의 핸드레일 포스트가 연결브라켓과 일체로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핸드레일 포스트의 조립강도 및 이를 기초로 하는 난간의 안전성 또한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핸드레일 포스트의 조립를 위한 연결파이프가 발판용 조립단부의 사이에서 지지살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브라켓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결합돌기만으로 최소화시켜 연결브라켓의 보관과 운반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하나의 연결브라켓만으로도 발판과 난간의 조립에 모두 적용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계류구조물의 설치에 따른 편의성과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브라켓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된 계류구조물의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10)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지지살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결시켜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11)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하측단에 형성되어 부력튜브가 삽입되도록 한 튜브링(12)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단측에 돌출 형성되어 난간용 핸드레일 포스트 및 발판이 각각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조립단부(1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1개의 튜브링(12)이 제공된 연결브라켓(10)을 도시하였고, 도 2 및 도 3에서는 2개의 튜브링(12)이 제공된 연결브라켓(10)을 도시하였으나, 계류구조물의 종류나 크기 등에 맞추어 통상 1개 내지 4개 정도의 튜브링(12)이 연결브라켓(10)에 제공되므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튜브링(12)의 개수를 3개 또는 4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경우에도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지지살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한편, 상기 격자형 지지살의 좌,우측면과 상단면을 따라 테두리 형태의 지지살이 추가로 배치됨으로서, 튜브링(12)이 형성되는 하측 부분을 제외하고 개략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내부측 지지살의 배치형태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10)간의 조립면을 제공하는 지지살 프레임(11)의 일측(도면상 좌측) 외측면에 결합돌기(14)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연결브라켓(10)간의 또 다른 조립면을 제공하는 지지살 프레임(11)의 타측면(도면상 우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14)와 대응되는 결합구멍(14a)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상 "X"자 형상의 결합돌기(14)와 결합구멍(14a)이 지지살 프레임(11)의 양측면에 각각 3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합돌기(14)와 결합구멍(14a)의 형상 및 설치갯수는 임의대로 변경이 가능하며, 연결브라켓(10)간의 조립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4)와 결합구멍(14a)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4)와 결합구멍(14a)을 "X"자 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연결브라켓(10)간의 조립작업시 결합돌기(14)와 결합구멍(14a)이 끼움식으로 보다 견고하게 맞물릴 수 있는 한편, 결합돌기(14)와 결합구멍(14a)을 각각 1개씩만 형성시키더라도 연결브라켓(10)의 조립 작업시 각각의 연결브라켓(10)이 조립면을 중심으로 요동하지 않게 되므로, 계류구조물의 설치 측면에 보다 더 많은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핸드레일 포스트 및 발판의 조립면을 제공하는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부면 양측단에 핸드레일 포스트의 하단부가 소정의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는 연결파이프(15)를 형성시키되, 상기 연결파이프(15)가 지지살 프레임(11)의 내측에서 지지살 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파이프(15)는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단측에 제공된 조립단부(13)와 함께 핸드레일 포스트의 추가적인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부면 양측단에 위치하는 조립단부(13)의 사이에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도면상 상기 연결파이프(15)가 원통 형상의 파이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핸드레일 포스트의 형상에 맞추어 사각형 또는 다각형 파이프가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결합구멍(14a)이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11)의 타측(도면상 우측) 내부면에 보강블록(16)을 형성시키되, 상기 보강블록(16)의 내부에 결합돌기(14)의 삽입 깊이에 맞추어 결합구멍(14a)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구멍(14a)을 보강블록(16)의 내부에 형성시키게 되면, 연결브라켓(10)간의 조립작업시 결합돌기(14)와 결합구멍(14a)과의 접합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하여 연결브라켓(10)간의 결합력 및 이를 기초로 하는 계류구조물의 시설강도를 한층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블록(16) 또한 결합돌기(14)가 형성된 개수에 맞추어 지지살 프레임(11)의 타측 내부에 대응 형성되지만, 연결파이프(15)가 제공되는 상단측 위치에 결합돌기(14)가 형성된 경우에는, 그 맞은편 최상단측에 별도의 보강블록(16)을 형성시키지 않고 연결파이프(15)의 하측부, 즉 핸드레일 포스트가 삽입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보강블록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연결브라켓(10)을 사용하여 계류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도 5 및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튜브(5)나 발판(3)의 조립 및 열융착 작업은 연결브라켓(10)에 제공된 튜브링(12)과 조립단부(13)를 기준으로 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연결브라켓(10)을 좌,우측 방향으로 맞대어 열융착시키는 작업 또한 상기 결합돌기(14)와 결합구멍(14a)을 기준으로 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계류구조물(1)의 실질적인 베이스가 되는 연결브라켓(10)을 좌,우측 방향으로 정확하게 맞대어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연결브라켓(10)을 기초로 하여 조립되는 부력튜브(5)와 발판(3) 및 핸드레일 포스트(2)와 핸드레일(4)로 이루어지는 난간 또한 최초의 설계대로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강풍이나 파랑 등과 같은 열악한 환경조건하에서 사용되는 계류구조물(1)의 수명과 안전성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계류구조물(1)용 난간의 기초가 되는 핸드레일 포스트(2)의 하단부를 연결브라켓(10)에 제공된 연결파이프(15)의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삽입시킨 다음,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각각의 핸드레일 포스트(2)가 연결브라켓(10)과 일체로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핸드레일 포스트(2)의 조립강도 및 이를 기초로 하는 난간의 안전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핸드레일 포스트(2)의 조립를 위한 연결파이프(15)가 발판(3)용 조립단부(13)의 사이에서 지지살 프레임(11)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브라켓(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결합돌기(14)만으로 최소화시켜 연결브라켓(10)의 보관과 운반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하나의 연결브라켓(10)만으로도 발판(3)과 난간의 조립에 모두 적용이 가능토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계류구조물(1)의 설치에 따른 편의성과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 계류구조물 2 : 핸드레일 포스트 3 : 발판
4 : 핸드레일 5 : 부력튜브 10 : 연결브라켓
11 : 지지살 프레임 12 : 튜브링 13 : 조립단부
14 : 결합돌기 14a : 결합구멍 15 : 연결파이프
16 : 보강블록

Claims (2)

  1. 지지살에 의하여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살 프레임(11)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계류구조물(1)용 부력튜브(5)가 삽입되는 튜브링(12)과,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단측에 형성되어 계류구조물(1)용 발판(3)과 핸드레일 포스트(2)가 조립되는 조립단부(1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연결브라켓(10)에 있어서,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일측 외부면에는 결합돌기(1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타측면에는 결합돌기(14)와 대응되는 결합구멍(14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살 프레임(11)의 상단 양측 내부에는 계류구조물(1)용 핸드레일 포스트(2)가 삽입되는 연결파이프(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14a)은 지지살 프레임(11)의 타측 내부면에 제공된 보강블록(16)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KR2020100004413U 2010-04-27 2010-04-27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KR201000051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13U KR20100005101U (ko) 2010-04-27 2010-04-27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13U KR20100005101U (ko) 2010-04-27 2010-04-27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01U true KR20100005101U (ko) 2010-05-17

Family

ID=4445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413U KR20100005101U (ko) 2010-04-27 2010-04-27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101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09B1 (ko) * 2010-09-14 2011-05-06 주식회사 지주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수상 부유물 스크린장치
KR101033297B1 (ko) * 2010-09-14 2011-05-09 주식회사 지주 수상 부유물 스크린장치
CN106762341A (zh) * 2016-12-13 2017-05-3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井字型海洋能发电装置通用托架
WO2020013387A1 (ko) * 2018-07-11 2020-01-16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연결식 중공형 부력체
KR20200127564A (ko) 2019-05-03 2020-11-11 주창혁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102490549B1 (ko) 2022-09-01 2023-01-19 이상진 컨트롤 패널이 리프트 카 내부에 구비되는 건설용 리프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309B1 (ko) * 2010-09-14 2011-05-06 주식회사 지주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수상 부유물 스크린장치
KR101033297B1 (ko) * 2010-09-14 2011-05-09 주식회사 지주 수상 부유물 스크린장치
CN106762341A (zh) * 2016-12-13 2017-05-3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井字型海洋能发电装置通用托架
WO2020013387A1 (ko) * 2018-07-11 2020-01-16 주식회사 선광코리아 연결식 중공형 부력체
KR20200127564A (ko) 2019-05-03 2020-11-11 주창혁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102490549B1 (ko) 2022-09-01 2023-01-19 이상진 컨트롤 패널이 리프트 카 내부에 구비되는 건설용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9147B2 (ja)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KR20100005101U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ES2728170T3 (es) Plataforma de turbina eólica flotante y método de montaje
KR100956519B1 (ko) 스냅핏 착탈 조립식 중공단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데크를이용한 부잔교
KR100944183B1 (ko) 계류구조물용 부력튜브 연결블록
KR101285522B1 (ko) 부력 구조물
KR101172032B1 (ko) 해양 어업용 가두리 구조물
KR101789411B1 (ko) 부력 고정용 다목적 틀
KR200466457Y1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KR101359523B1 (ko)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CN105970797A (zh) 一种快速组装的塑胶浮桥
KR101270949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및 그 연결체 어셈블리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101312920B1 (ko) 보강부재가 형성된 폰툰, 폰툰조립체 및 폰툰조립체 제조방법
KR102200448B1 (ko)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200447721Y1 (ko)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KR102417512B1 (ko) 친환경 부유식 해상구조물
KR102273223B1 (ko)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KR200437188Y1 (ko)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 연결구
KR20180003898A (ko)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어셈블리
KR101364697B1 (ko) 에어튜브 가물막이
KR101934895B1 (ko)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KR102289188B1 (ko) 수상 도보용 데크
KR200455216Y1 (ko) 부력보강을 위한 계류구조물용 튜브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