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721Y1 -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 Google Patents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721Y1
KR200447721Y1 KR2020090007418U KR20090007418U KR200447721Y1 KR 200447721 Y1 KR200447721 Y1 KR 200447721Y1 KR 2020090007418 U KR2020090007418 U KR 2020090007418U KR 20090007418 U KR20090007418 U KR 20090007418U KR 200447721 Y1 KR200447721 Y1 KR 200447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post
main post
rail
hand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만
안정길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2109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47721(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 filed Critical (주)엠디
Priority to KR2020090007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7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계류구조물의 외곽측에 핸드레일에 의한 난간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포스트(Post)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레일의 삽입을 위하여 메인포스트에 형성된 레일관통공과 함께, 메인포스트의 하단부에 단지게 돌출되어 난간용 지주를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끼움부에도 핸드레일의 삽입을 위한 구멍을 형성시킴으로서, 끼움부에 의한 포스트간의 조립부위에도 핸드레일이 관통되도록 하여 난간용 지주의 강도 향상에 기여토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높이에 맞추어 난간을 보다 더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난간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핸드레일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난간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과 외관을 향상시키는 측면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계류구조물, 내파성 가두리, 선박계류장치, 난간, 핸드레일, 포스트

Description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Hand rail post for mooring construction}
본 고안은 각종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계류구조물의 외곽측에 핸드레일에 의한 난간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포스트(Post)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포스트간의 조립부위에도 핸드레일이 관통되도록 하여 난간용 지주의 강도 향상에 기여토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높이에 맞추어 난간을 보다 더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난간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핸드레일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난간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과 외관을 향상시키는 측면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해역이나 호수 등과 같은 수역(水域)에 설치되는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 등은,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재를 일정한 형상으로 엮은 계류물을 설치한 다음, 이 계류물상에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이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가두리용 그물 또는 선박의 접안에 필요한 접안로프나 완충범퍼 등이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통나무 또는 스티로폼 등의 부력재를 사용하여 가두리시설이나 접안 시설과 같은 계류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면, 계류구조물의 설치 과정에서 많은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파도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부력재가 쉽게 파손됨에 따라, 계류구조물의 수명과 안전성이 저하됨은 물론, 부력재로부터 떨어져 나온 파편 들이 바다나 호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접착 및 조립이 가능한 폴리에틸렌(PE), 바람직하게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재질의 부력파이프 및 연결브라켓을 토대로 하여, 내파성 가두리시설이나 선박용 접안시설과 같은 각종 계류구조물이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틸렌 재질의 부력파이프 및 연결브라켓을 토대로 하는 계류구조물은, 연결브라켓을 일정한 순서대로 배치 및 연결하여 계류구조물용 구조틀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다수 개의 부력파이프가 연결브라켓을 따라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연결브라켓에 의한 구조틀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보행을 위한 발판이 설치되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상기 계류구조물의 발판 외주연부에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이 설치되는 바, 이러한 난간의 경우에도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는 포스트(Post: 난간용 지주)와 핸드레일(Hand-rail)을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설치되며, 도 1에서는 본 출원인이 200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7144호로 선출원한 핸드레일 포스트(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핸드레일 포스트(100)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메인포 스트(101)상에 핸드레일이 관통되는 레일관통공(104)(105)이 상,하 높이 방향을 따라 2개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포스트(101)의 하단에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끼움부(102)가 내측으로 단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포스트(101)의 상단측에는 끼움부(102)의 끼움식 삽입을 위한 인입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일관통공(104)(105)이 형성되지 아니한 메인포스트(101)의 외측면에는 낚시대 등의 거치를 위한 보조거치대(108)(109)가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포스트(101)의 모서리측 하단면에는 조립핀(106)이 돌출 형성되는 한편, 메인포스트(101)의 모서리측 상단면에는 상기 조립핀(106)이 삽입되는 핀홀(107)이 대응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핸드레일 포스트(100)를 사용하여 난간용 지주를 조립하게 되면, 핸드레일 포스트(100)의 끼움부(102)가 다른 포스트(100)의 인입부(103)로 삽입되어 메인포스트(101)의 상부측에 형성된 레일관통공(104)을 막아버리기 때문에, 난간용 지주의 조립시 핸드레일이 실질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은 메인포스트(101)의 하부측에 형성된 하나의 레일관통공(105)으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끼움부(102)와 인입부(103)를 사용하여 난간의 높이 방향을 따라 2개 내지 4개의 핸드레일 포스트(100)를 조립식으로 연결시킬 경우, 핸드레일 포스트(100)간의 조립부에 위치하는 레일관통공(104)으로는 핸드레일이 관통되지 못하므로, 각각의 핸드레일 포스트(100)마다 1개의 핸드레일만이 관통될 수 있고, 최상부측에 위치하는 하나의 핸드레일 포스트(100)에만 2개의 핸드레일이 관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2개 내지 4개의 핸드레일 포스트(100)가 끼움부(102)와 인입부(103)에 의해서만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고, 핸드레일 포스트(100)간의 조립부위를 통하여 핸드레일이 관통하지 못하게 되면, 핸드레일 포스트(100)에 의하여 조립되는 난간용 지주의 전체적인 지지강도 및 이를 기초로 하는 난간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상황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선출원된 핸드레일 포스트(100)의 경우, 성인의 허리 높이 이상으로 난간을 견고하게 조립 설치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충분하게 확보토록 한다는 측면에서 문제점을 노출시킨 것일 뿐만 아니라, 계류구조물의 발판으로부터 최상단측 포스트(100)에 이르기까지 핸드레일의 간격이 넓고 불규칙하게 됨으로서, 난간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이 보다 더 저하되는 한편, 난간의 전체적인 외관 측면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메인포스트(101)는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데 반하여 끼움부(102)는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가짐으로서, 메인포스트(101)의 상단측에 원형의 인입구(103)를 별도로 형성시켜야 하는 바,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와 까다로운 금형 설계가 수반됨으로서, 핸드레일 포스트(100)의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형의 끼움부(102)와 인입부(103)에 의한 핸드레일 포스트(100)의 조립시 각각의 포스트(100)가 조립부를 중심으로 엇갈리게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립핀(106)과 핀홀(107)을 형성시켜야 함으로서, 핸드레 일 포스트(100)의 제조과정 및 핸드레일 포스트(100)를 이용한 난간의 조립작업이 다소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는, 핸드레일의 삽입을 위하여 메인포스트에 형성된 레일관통공과 함께, 메인포스트의 하단부에 단지게 돌출되어 난간용 지주를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끼움부에도 핸드레일의 삽입을 위한 구멍을 형성시킴으로서, 끼움부에 의한 포스트간의 조립부위에도 핸드레일이 관통되도록 하여 난간용 지주의 강도 향상에 기여토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높이에 맞추어 난간을 보다 더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난간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핸드레일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난간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과 외관을 향상시키는 측면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메인포스트의 모서리측을 모따기면으로 형성시켜 메인포스트가 팔각 형상의 파이프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메인포스트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부 또한 메인포스트와 대응하는 팔각 파이프가 되도록 함으로서, 메인포스트 자체에 끼움부가 쐐기식으로 직접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각의 포스트가 조립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견고히 조립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핸드레일 포스트의 조립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동 시에, 핸드레일의 제조에 따른 원가절감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며, 메인포스트에 형성된 각각의 레일관통공에 보강플랜지를 형성시킴으로서, 메인포스트와 핸드레일 사이의 조립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고안은, 사각 파이프 형상의 메인포스트에는 핸드레일이 관통되는 다수 개의 레일관통공이 상,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메인포스트의 하단에는 파이프 형상의 끼움부가 내측으로 단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포스트의 상단측에는 끼움부의 끼움식 삽입을 위한 인입부가 형성된 핸드레일 포스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포스트의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면으로 형성되어 메인포스트가 팔각 형상의 파이프를 이루게 되고, 상기 끼움부는 메인포스트와 대응하는 팔각 파이프 형상으로 메인포스트의 하단부에서 단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는 팔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상기 끼움부의 조립을 위하여 제공된 메인포스트의 개구된 상단부 자체가 되며, 상기 끼움부에는 핸드레일이 관통되는 컴비네이션홀이 형성되고, 상기 컴비네이션홀은 메인포스트의 상단측 레일관통공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메인포스트의 레일관통공 외주면에는 보강플랜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끼움부와 인입부에 의하여 각각의 포스트가 수직 방향으로 끼움 조립되는 한편, 레일관통공과 컴비네이션홀을 통과하는 핸드레일에 의해서도 각각의 포스트가 조립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난간용 지주의 전 체적인 지지강도 및 이를 기초로 하는 난간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의 보강플랜지에 의하여 메인포스트와 핸드레일간의 결합력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부력파이프와 연결브라켓을 토대로 하는 각종 계류구조물의 외곽측에 성인의 허리 높이 이상으로 난간을 견고하게 조립 설치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충분하게 확보토록 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계류구조물의 발판으로부터 최상단측의 포스트에 이르기까지 핸드레일의 간격이 좁고 규칙적으로 배치되도록 함에 따라, 난간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 뿐만 아니라 난간의 전체적인 외관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측면에도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메인포스트와 끼움부의 불필요한 모서리측을 모따기면으로 형성시켜, 메인포스트와 끼움부가 팔각 파이프 형상으로 대응되도록 하는 한편, 메인포스트의 개구된 상단부 자체가 인입부의 기능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조립부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난간용 지주의 조립작업을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핸드레일 포스트의 소재가 되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낭비를 방지하고, 핸드레일 포스트의 사출성형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토록 함으로서, 핸드레일 포스트의 제조에 따른 원가절감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는 도 2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드레일이 관통되는 2개의 레일관통공(14)(15)이 사각 형상을 가지는 메인포스트(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메인포스트(11)의 하단에는 파이프형 끼움부(12)가 내측으로 단지게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메인포스트(11)의 상단측에는 끼움부(12)의 끼움식 삽입을 위한 인입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관통공(14)(15)은 선출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인포스트(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2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메인포스트(11)의 길이를 길게 하여 3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도 레일관통공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의 레일관통공(14)(15)이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끼움부(12)상에도 메인포스트(11)와 마찬가지로 핸드레일이 관통되는 컴비네이션홀(Combination hole)(16)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컴비네이션홀(16)의 직경이 메인포스트(11)의 상단측에 형성된 레일관통공(14)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앞에서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메인포스트(11)의 길이를 길게 하여 3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레일관통공을 형성시킨 경우에 한하여, 상기 끼움부(12)에 형성되는 컴비네이션홀(16)의 개수 또한 2개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끼움부(12)의 길이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는 길게 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각각의 컴비네이션홀(16)이 메인포스트(11)의 상부측에 형성된 2개 이상의 레일관통공 과 동일한 직경으로 대응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핸드레일 포스트(10)를 수직 방향으로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요구하는 길이만큼 난간용 지주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간용 지주의 최소 단위가 되는 핸드레일 포스트(10)의 길이를 가능한 짧게 하는 것이 다양한 높이의 난간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태를 최적 실시예로서 제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메인포스트(11)의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면(11a)으로 형성시켜 메인포스트(11)가 전체적으로 팔각 형상의 파이프를 이루도록 하는 한편, 상기 끼움부(12)의 경우에 있어서도 모서리측의 모따기면(12a)에 의하여 메인포스트(11)와 대응되는 팔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포스트(1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인입부(13)는 선출원의 경우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포스트(11)의 개구된 상단부 자체가 또 다른 핸드레일 포스트(10)의 끼움부(12)를 끼움식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인입부(13)가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 3의 (가) 및 (나)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12)를 상광하협(上廣下狹: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핸드레일 포스트(10)간의 조립 및 분해작업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메인포스트(11)의 레일관통공(14)(15) 외주면에 보강플랜지(14a)(15a)를 돌출 형성시킨 것이며, 위에서 설명되어진 구성을 포함하여, 선출원의 핸드레일 포스트(100)에서 낚시대 등의 거치를 위하여 적용된 보조거치대(108)(109) 및 핸드레일 포스트(100)의 조립을 위하여 적용된 조립핀(106)과 핀홀(107) 또한 본 고안의 핸드레일 포스트(10)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핸드레일 포스트(10)를 이용한 난간의 조립식 설치과정 및 그 작용관계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계류구조물에 요구되는 난간의 높이에 맞추어 2개 내지 4개의 핸드레일 포스트(10)를 수직 방향을 따라 조립식으로 연결시키되, 상부측 핸드레일 포스트(10)의 끼움부(12)가 하부측 핸드레일 포스트(10)의 메인포스트(11)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끼움부(12)에 형성된 컴비네이션홀(16)이 메인포스트(11)의 상부측 레일관통공(14)과 대응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난간용 핸드레일(20)을 각각의 레일관통공(14)(15)을 따라 삽입시키게 되면, 각각의 핸드레일 포스트(10)가 하나의 핸드레일(20)을 공유하면서 핸드레일 포스트(10) 1개당 2개의 핸드레일(20)이 관통됨은 물론이고, 핸드레일 포스트(10)간의 조립부에도 핸드레일(20)이 관통된다.
이로 인하여, 각각의 핸드레일 포스트(10)가 끼움부(12)와 인입부(13)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끼움 조립되는 한편, 레일관통공(14)과 컴비네이션홀(16)을 통과하는 핸드레일(20)에 의해서도 조립되므로, 난간용 지주의 전체적인 지지강도 및 이를 기초로 하는 난간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각의 보강플랜지(14a)(15a)에 의하여 메인포스트(11)와 핸드레일(20)간의 결합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핸드레일 포스트(10)를 사용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파이프(4)와 연결브라켓(3)을 토대로 하는 각종 계류구조물(1)의 외곽측에 성인의 허리 높이 이상으로 난간을 견고하게 조립 설치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충분하게 확보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계류구조물(1)의 발판(2)으로부터 최상단측의 포스트(10)에 이르기까지 핸드레일(20)의 간격이 좁고 규칙적으로 배치됨으로서, 난간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 뿐만 아니라 난간의 전체적인 외관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포스트(11)와 끼움부(12)가 팔각 파이프 형상으로 대응되도록 함은 물론, 메인포스트(11)의 개구된 상단부 자체가 인입부(13)의 기능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포스트(10)간의 조립부위에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핸드레일 포스트(10)에 의한 난간용 지주의 조립작업을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포스트(11)의 개구된 상단부 자체가 인입부(13)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고, 메인포스트(11)와 끼움부(12)의 불필요한 모서리측을 모따기면(11a)(12a)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핸드레일 포스트(10)의 소재가 되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핸드레일 포스트(10)의 사출성형 역시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핸드레일 포스트(10)의 제조에 따른 원가절감 측면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선출원된 핸드레일 포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포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포스트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포스트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핸드레일 포스트를 이용한 난간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핸드레일 포스트가 계류구조물용 난간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류구조물 2 : 발판 3 : 연결브라켓
4 : 부력파이프 10 : 핸드레일 포스트 11 : 메인포스트
11a, 12a : 모따기면 12 : 끼움부 13 : 인입부
14,15 : 레일관통공 14a,15a : 보강플랜지 16 : 컴비네이션홀
20 : 핸드레일

Claims (3)

  1. 삭제
  2. 사각 파이프 형상의 메인포스트(11)에는 핸드레일(20)이 관통되는 다수 개의 레일관통공(14)(15)이 상,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메인포스트(11)의 하단에는 파이프 형상의 끼움부(12)가 내측으로 단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포스트(11)의 상단측에는 끼움부(12)의 끼움식 삽입을 위한 인입부(13)가 형성된 핸드레일 포스트(10)에 있어서,
    상기 메인포스트(11)의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면(11a)으로 형성되어 메인포스트(11)가 팔각 형상의 파이프를 이루게 되고,
    상기 끼움부(12)는 메인포스트(11)와 대응하는 팔각 파이프 형상으로 메인포스트(11)의 하단부에서 단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13)는 팔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상기 끼움부(12)의 조립을 위하여 제공된 메인포스트(11)의 개구된 상단부 자체가 되며,
    상기 끼움부(12)에는 핸드레일(20)이 관통되는 컴비네이션홀(16)이 형성되고,
    상기 컴비네이션홀(16)은 메인포스트(11)의 상단측 레일관통공(14)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포스트(11)의 레일관통공(14)(15) 외주면에는 보강플랜지(14a)(15a)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KR2020090007418U 2009-06-09 2009-06-09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KR200447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418U KR200447721Y1 (ko) 2009-06-09 2009-06-09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418U KR200447721Y1 (ko) 2009-06-09 2009-06-09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721Y1 true KR200447721Y1 (ko) 2010-02-12

Family

ID=4421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418U KR200447721Y1 (ko) 2009-06-09 2009-06-09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7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303B1 (ko) * 2017-06-05 2017-12-07 주식회사 임성 난간살대가 난간지주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안전난간
CN114382336A (zh) * 2021-12-28 2022-04-22 海洋石油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导管架海上安装栏杆的新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776U (ko) * 1995-11-03 1997-06-20 이종현 조립식 난간
KR200440869Y1 (ko) * 2007-03-23 2008-07-04 인재훈 핸드레일용 포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776U (ko) * 1995-11-03 1997-06-20 이종현 조립식 난간
KR200440869Y1 (ko) * 2007-03-23 2008-07-04 인재훈 핸드레일용 포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303B1 (ko) * 2017-06-05 2017-12-07 주식회사 임성 난간살대가 난간지주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안전난간
CN114382336A (zh) * 2021-12-28 2022-04-22 海洋石油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导管架海上安装栏杆的新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240B1 (ko) 다목적 계류장치
KR101285522B1 (ko) 부력 구조물
KR100944183B1 (ko) 계류구조물용 부력튜브 연결블록
KR200447721Y1 (ko)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포스트
KR101359523B1 (ko)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KR200440869Y1 (ko) 핸드레일용 포스트
US8790039B2 (en) Modular floating structures with anti pollution barrier
KR101090147B1 (ko) 커튼식 방파제 시공방법
KR100762307B1 (ko) 조립식 부양구조체
JP3976760B2 (ja) 雨水流出抑制施設及びその清掃方法
KR200482319Y1 (ko) 계류장치용 발판의 신축이음유닛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101395136B1 (ko) 도로변의 지반 보강용 가드 펜스 및 그 시공 방법
KR20120008677U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조립체
CN212865773U (zh) 一种亲水平台结构
KR20180003898A (ko) 계류구조물용 핸드레일 어셈블리
KR101364697B1 (ko) 에어튜브 가물막이
KR200461384Y1 (ko) 부력튜브의 교체가 가능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
KR101680347B1 (ko) 기초와 세굴 방지 기능을 가진 쐐기식 기초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KR101122544B1 (ko) 연약지반용 파일 지지식 소파 방파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82410B1 (ko) 인공어초 형성 또는 침식과 모래 유실의 원인인 파랑 에너지 저감을 위한 해양 구조물 단위 모듈
KR102289188B1 (ko) 수상 도보용 데크
KR100837848B1 (ko) 벌집형 해수유통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05102U (ko) 수상가두리용 부력튜브 연결브라켓
RU2799172C1 (ru) Плавучий барьер "Спрут" и плавучи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014

Effective date: 201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