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941B1 - 조립형 부구 - Google Patents

조립형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941B1
KR100971941B1 KR1020100017091A KR20100017091A KR100971941B1 KR 100971941 B1 KR100971941 B1 KR 100971941B1 KR 1020100017091 A KR1020100017091 A KR 1020100017091A KR 20100017091 A KR20100017091 A KR 20100017091A KR 100971941 B1 KR100971941 B1 KR 100971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fitting holes
holes
buoyanc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진
Original Assignee
(주) 세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모 filed Critical (주) 세모
Priority to KR1020100017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된 여러 개의 부력체를 결합하여 하나의 대형 부력체를 제작할 수 있는 조립형 부구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물에 뜰 수 있는 부력 부재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부력체와, 상기 2개 이상의 부력체 사이에 끼워져 2개 이상의 부력체를 연결하는 결합 블록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부력체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에서 부력체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과, 상기 부력체의 측면 모서리를 부력체의 높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끼움홀의 외부 둘레면 일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함과 동시에 상기 끼움홀이 부력체의 외부와 통하도록 하는 가이드홀, 및 상기 끼움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끼움홀의 안쪽 방향으로 뻗어나와 끼움홀의 통로를 가로막을 수 있는 정지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끼움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부력체의 안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걸림홈을 더 포함한다. 또, 상기 결합 블록은 단면이 십자 형태를 이룸과 더불어 부력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단이 가이드홀에 끼워진 채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십자 연결구와, 외부 둘레면이 상기 십자 연결구의 측단에 부착됨과 더불어, 끼움홀에 끼워지는 원기둥 형태의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끼움홀에 갖추어진 걸림홈과 맞물릴 수 있는 돌출턱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독립적으로 나뉘어진 여러 개의 부력체 조각이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대형 부구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대형 부구의 양측면에 완충 부재나 해상 용구를 부가 장착할 수 있도록 측면 걸이 수단이 갖추어져 자칫 파도나 선박 또는 암초에 손상되기 쉬운 대형 부구의 바깥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 부력체의 상단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와이어 고정 수단이 갖추어져 일체로 결합된 여러 개의 부력체가 조류에 휩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보트로부터 뻗어나온 와이어의 일단을 와이어 고정 수단에 연결한 다음, 일체로 결합된 대형 부구를 정해진 위치로 끌고 갈 수 있어 해상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부구{ASSEMBLING TYPE BUOY}
본 발명은 조립형 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별적으로 나뉘어진 부력체들 사이에 결합 블록을 끼워넣어 개별적으로 나뉘어진 부력체들을 하나의 완성된 부력체로 구성할 수 있는 조립형 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구는 합성 수지를 발포 성형한 발포 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 수지재는 합성 수지의 발포시에 유입된 기체로 인해 공극이 발생되는데, 이때 발생된 공극을 가진 발포 수지는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가지게 된다.
이런 발포 수지는 내부의 공극에 의해 부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기가 저장되는 공간이 따로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발포 수지가 일부 파손되어도 파손되지 않은 부분에서 부력이 발생됨에 따라 물속으로 매몰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제시한 발포 수지는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강도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발포 수지로 이루어진 부구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부구의 둘레면이 쉽게 부서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체로 이루어진 대형 부구의 경우 암초나 선박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파손될 경우 대형 부구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자원 낭비 뿐만 아니라 손상된 부분을 교체하기 위한 인력 및 교체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존에 부구를 제작할 수 있는 제조 장비는 소형 부구에 알맞게 제작되기 때문에 일체로 이루어진 대형 부구를 제작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대형 부구를 제작하였다 하더라도 뭍에서 제작한 대형 부구를 해변까지 이동하기가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존에 부구를 제작할 수 있는 제조 장비는 부구의 외형이 변경되었을 때, 발포 수지의 외형을 결정지을 수 있는 성형틀의 모양을 완전히 변형해야 하므로 부구의 형상을 자유 자재로 변형시키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존의 대형 부구의 측면에는 완충 부재를 부가 장착할 수 없어, 대형 부구의 측면이 암초나 선박 또는 해변에 부딪혀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대형 부구가 파손되기 쉬운 발포 수지로 이루어져 대형 부구에 뭍과 연결된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기에도 부담스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조 및 이동이 간편하면서, 부력체의 면적과 형상을 자유 자재로 변형할 수 있고, 어느 일부분이 손상 되었을 때, 손상된 일부분만 신속하게 수리할 수 있는 조립형 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의 측면에 충격 흡수용 완충제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일체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의 일측을 지면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조립형 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물에 뜰 수 있는 부력 부재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부력체와, 상기 2개 이상의 부력체 사이에 끼워져 2개 이상의 부력체를 연결하는 결합 블록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부력체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에서 부력체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과, 상기 부력체의 측면 모서리를 부력체의 높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끼움홀의 외부 둘레면 일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함과 동시에 상기 끼움홀이 부력체의 외부와 통하도록 하는 가이드홀, 및 상기 끼움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끼움홀의 안쪽 방향으로 뻗어나와 끼움홀의 통로를 가로막을 수 있는 정지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끼움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부력체의 안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걸림홈을 더 포함한다.
또, 상기 결합 블록은 단면이 십자 형태를 이룸과 더불어 부력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단이 가이드홀에 끼워진 채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십자 연결구와, 외부 둘레면이 상기 십자 연결구의 측단에 부착됨과 더불어 끼움홀에 끼워지는 원기둥 형태의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끼움홀에 갖추어진 걸림홈과 맞물릴 수 있는 돌출턱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독립적으로 나뉘어진 여러 개의 부력체 조각이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대형 부구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대형 부구의 양측면에 완충 부재나 해상 용구를 부가 장착할 수 있도록 부력체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측면 걸이 수단이 갖추어져 자칫 파도나 선박 또는 암초에 손상되기 쉬운 대형 부구의 바깥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 부력체의 상단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와이어 고정 수단이 갖추어져 일체로 결합된 여러 개의 부력체가 조류에 휩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보트로부터 뻗어나온 와이어의 일단을 와이어 고정 수단에 연결한 다음, 일체로 결합된 대형 부구를 정해진 위치로 끌고 갈 수 있어 해상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여러 개의 부력체를 업자의 취향에 맞는 형태로 조립할 수 있어 그 활용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부력체의 사시도,
도면 2는 2개 이상의 부력체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3는 여러 개의 부력체가 결합 블록에 의해 결합되어 하나의 부력체로 구성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4는 끼움홀로 삽입된 고정구의 하단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정지턱과 결합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5는 부력체의 측면에 기타 필요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측면 걸이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6은 측면 걸이 수단이 부력체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7은 측면 걸이 수단에 갖추어진 고정구가 부력체에 갖추어진 끼움홀에 끼워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8은 일체로 결합된 다수개의 부력체 측면에 측면 걸이 수단이 장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9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와이어 고정 수단을 뒤집어 놓은 상태도,
도면 10은 본 발명에 갖추어진 와이어 고정 수단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면 11은 와이어 고정 수단에 갖추어진 고정구가 끼움홀로 삽입된 다음, 볼트와 너트에 의해 정지턱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12와 도면 13은 부력체의 상단면에 와이어 고정 수단이 부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물에 뜰 수 있는 부력 부재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부력체(1)와, 상기 2개 이상의 부력체(1) 사이에 끼워져 2개 이상의 부력체(1)를 연결하는 결합 블록(2)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는 부력체(1)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에서 부력체(1)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3a,3b,3c,3d)과, 상기 부력체(1)의 측면 모서리를 부력체(1)의 높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끼움홀(3a,3b,3c,3d)의 외부 둘레면 일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함과 동시에 상기 끼움홀(3a,3b,3c,3d)이 부력체(1)의 외부와 통하도록 하는 가이드홀(5a,5b,5c,5d), 및 상기 끼움홀(3a,3b,3c,3d)의 내주면으로부터 끼움홀(3a,3b,3c,3d)의 안쪽 방향으로 뻗어나와 끼움홀(3a,3b,3c,3d)의 통로를 가로막을 수 있는 정지턱(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1)는 끼움홀(3a,3b,3c,3d)의 내주면으로부터 부력체(1)의 안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걸림홈(9)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결합 블록(2)은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십자 형태를 이룸과 더불어 부력체(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단이 가이드홀(5a,5b,5c,5d)에 끼워진 채 가이드홀(5a,5b,5c,5d)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십자 연결구(11)와, 외부 둘레면이 상기 십자 연결구(11)의 측단에 부착됨과 더불어, 끼움홀(3a,3b,3c,3d)에 끼워지는 원기둥 형태의 고정구(13a,13b,13c,13d), 및 상기 고정구(13a,13b,13c,13d)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끼움홀(3a,3b,3c,3d)에 갖추어진 걸림홈(9)과 맞물릴 수 있는 돌출턱(15a,15b,15c)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부력체(1a,1b,1c,1d)를 한데 모은 다음, 부력체(1a,1b,1c,1d)에 갖추어진 측면을 서로 맞닿게 하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만들면,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부력체(1a,1b,1c,1d)에 갖추어진 어느 하나의 끼움홀(3e,3f,3g,3h)이 다른 부력체(1a,1b,1c,1d)에 갖추어진 어느 하나의 끼움홀(3e,3f,3g,3h)과 마주 보게 된다.
따라서, 상기 4개의 부력체(1a,1b,1c,1d)가 한데 모이면,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부력체(1a,1b,1c,1d)에 갖추어진 어느 하나의 끼움홀(3e,3f,3g,3h)은 다른 하나의 부력체(1a,1b,1c,1d)에 갖추어진 다른 하나의 끼움홀(3e,3f,3g,3h)과 함께 단면이 네잎 클로버 형상을 띄게 된다.
한편, 상기 단면이 네잎 클로버 형상을 지닌 4개의 끼움홀(3e,3f,3g,3h)에 십자 연결구(11)에 갖추어진 고정구(13a,13b,13c,13d)를 끼워넣으면, 상기 4개의 부력체(1a,1b,1c,1d)가 십자 연결구(11)에 연결된 고정구(13a,13b,13c,13d)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3a,13b,13c,13d)에 갖추어진 각각의 돌출턱(15b,15c,15d)은 고정구(13a,13b,13c,13d)가 끼움홀(3e,3f,3g,3h)의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각각의 끼움홀(3e,3f,3g,3h)에 갖추어진 걸림홈(9) 속으로 들어가 상기 고정구(13a,13b,13c,13d)가 끼움홀(3e,3f,3g,3h)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치자는 볼트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십자 연결구(11)에 갖추어진 고정구(13a,13b,13c,13d)를 부력체(1a,1b,1c,1d)에 갖추어진 끼움홀(3e,3f,3g,3h)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부력체 조립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작업 인력을 축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3a,13b,13c,13d)의 하단에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17)가 부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정지턱(7)의 하단에는 정지턱(7)을 관통한 다음 너트(17)와 체결될 수 있는 볼트(19)가 부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부구 조립자는 정지턱(7)의 하단에서 고정구(13a,13b,13c,13d) 방향으로 볼트(19)를 체결하여 볼트(19)에 갖추어진 나사산이 고정구(13a,13b,13c,13d)의 하단에 갖추어진 너트(17)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끼움홀(3e,3f,3g,3h)과 고정구(13a,13b,13c,13d)의 결속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체(1)의 측면에는 도면 5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체(1)의 측면에 완충 부재를 매달거나 해상 용구를 매달 수 있도록 측면 걸이 수단(20)이 장착되고, 상기 측면 걸이 수단(20)은 어느 하나의 끼움홀(3a,3b,3c,3d)에 끼워지는 고정구(13e)와, 상기 고정구(13e)와 간격을 두고 떨어짐과 더불어 다른 하나의 끼움홀(3a,3b,3c,3d)에 끼워지는 고정구(13f), 상기 고정구(13e,13f)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뻗어나옴과 더불어 가이드홀(5a,5b,5c,5d)에 끼워져 가이드홀(5a,5b,5c,5d)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장 브라켓(21a,21b), 및 상기 연장 브라켓(21a,21b)의 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양측단이 연장 브라켓(21a,21b)에 부착되고 2개 이상의 관통홀(24a,24b)을 구비한 연결판(23)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13e,13f)의 하단에는 너트(17)가 부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정지턱(7)의 하단에는 정지턱(7)을 관통한 다음, 고정구(13e,13f)에 갖추어진 너트(17)와 체결될 수 있는 볼트(19)가 부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부구 설치자는 도면 7과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판(23)과 연장 브라켓(21a,21b)이 일체로 연결된 고정구(13e,13f)를 부력체(1)에 갖추어진 끼움홀(3a,3b)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구 설치자는 연결판(23)에 갖추어진 2개 이상의 관통홀(24a,24b)에 와이어를 끼워넣은 다음, 연결판(23)의 바깥 측면에 완충 부재를 동여맬 수도 있고, 보트나 낚시대 같은 해상 용구를 붙들어 고정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부력체(1)의 상단에는 도면 9 내지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체(1)의 상단에 와이어를 엮을 수 있도록 와이어 고정 수단(26)이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 수단(26)은 하단면이 부력체(1)의 상단면과 마주 접함과 더불어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삼각판(25)과, 상단이 상기 삼각판(25)의 하단면 모서리에 장착되고 하단이 끼움홀(3a,3b,3d) 방향으로 곧게 뻗어나와 끼움홀(3a,3b,3d)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구(13g,13h,13i), 및 상기 삼각판(25)의 상단면에 장착되어 와이어의 일단이 감겨 고정될 수 있는 와이어 걸이부(27)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구(13g,13h,13i)의 하단에는 너트(17)가 부가 장착되며, 상기 정지턱(7)의 하단에는 정지턱(7)을 관통한 다음 고정구(13g,13h,13i)에 갖추어진 너트(17)와 체결되는 볼트(19)가 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 상기 와이어 걸이부(27)는 도면 9 내지 도면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이 삼각판(25)의 상단면에 고정되는 원기둥 형태의 지주(29)와, 상기 지주(29)의 상단면에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지주(29)의 단면적보다 넓은 상판(31), 및 상기 지주(29)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지주(29)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온 2개 이상의 확장봉(33a,33b,33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와이어 걸이부(27)와 삼각판(25)이 결합된 고정구(13g,13h,13i)를 도면 11 내지 도면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체(1)에 갖추어진 끼움홀(3a,3b,3d)에 끼워넣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부력체(1)와 일체로 결합된 와이어 걸이부(27)에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고, 와이어의 타단을 지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 걸이부(27)와 일체로 결합된 여러 개의 부력체(1)가 조류에 휩쓸려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상기 부력체(1)와 일체로 결합된 와이어 걸이부(27)에 와이어의 일단을 연결하고, 와이어의 타단을 보트등에 연결시킴으로써, 보트를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된 여러 개의 부력체(1)를 정해진 위치에 옮겨 놓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독립적으로 나뉘어진 여러 개의 부력체(1) 조각이 일체로 결합되어 하나의 대형 부구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대형 부구의 양측면에 완충 부재나 해상 용구를 부가 장착할 수 있도록 측면 걸이 수단(20)이 갖추어져 자칫 파도나 선박 또는 암초에 손상되기 쉬운 대형 부구의 바깥 측면을 보호할 수도 있다.
또, 부력체(1)의 상단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와이어 고정 수단(26)이 갖추어져 일체로 결합된 여러 개의 부력체(1)가 조류에 휩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보트로부터 뻗어나온 와이어의 일단을 와이어 고정 수단(26)에 연결한 다음, 일체로 결합된 대형 부구를 정해진 위치로 끌고 갈 수 있어 해상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1. 부력체 2. 결합 블록
3a. 끼움홀 5a. 가이드홀
7. 정지턱 9. 걸림홈
11. 십자 연결구 13a. 고정구
15a. 돌출턱 17. 너트
19. 볼트 20. 측면 걸이 수단
21a. 연장 브라켓 23. 연결판
25. 삼각판 26. 와이어 고정 수단
27. 와이어 걸이부 29. 지주
31. 상판 33a. 확장봉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물에 뜰 수 있는 부력 부재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부력체(1)와,
    상기 2개 이상의 부력체(1) 사이에 끼워져 2개 이상의 부력체(1)를 연결하는 결합 블록(2)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는 부력체(1)의 상단면 모서리 부분에서 부력체(1)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끼움홀(3a,3b,3c,3d)과,
    상기 부력체(1)의 측면 모서리를 부력체(1)의 높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상기 끼움홀(3a,3b,3c,3d)의 외부 둘레면 일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함과 동시에 상기 끼움홀(3a,3b,3c,3d)이 부력체(1)의 외부와 통하도록 하는 가이드홀(5a,5b,5c,5d),
    상기 끼움홀(3a,3b,3c,3d)의 내주면으로부터 끼움홀(3a,3b,3c,3d)의 안쪽 방향으로 뻗어나와 끼움홀(3a,3b,3c,3d)의 통로를 가로막을 수 있는 정지턱(7),
    및 상기 끼움홀(3a,3b,3c,3d)의 내주면으로부터 부력체(1)의 안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걸림홈(9)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블록(2)은 횡단면이 십자 형태를 이룸과 더불어 부력체(1)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단이 가이드홀(5a,5b,5c,5d)에 끼워진 채 가이드홀(5a,5b,5c,5d)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십자 연결구(11)와,
    외부 둘레면이 상기 십자 연결구(11)의 측단에 부착됨과 더불어, 끼움홀(3a,3b,3c,3d)에 끼워지는 원기둥 형태의 고정구(13a,13b,13c,13d),
    및 상기 고정구(13a,13b,13c,13d)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끼움홀(3a,3b,3c,3d)에 갖추어진 걸림홈(9)과 맞물릴 수 있는 돌출턱(15a,15b,15c)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구(13a,13b,13c,13d)의 하단에는 너트(17)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정지턱(7)의 하단에는 정지턱(7)을 관통한 다음 너트(17)와 체결되는 볼트(19)가 부가 장착되며,
    상기 부력체(1)의 측면에는 부력체(1)의 측면에 완충 부재를 매달거나 해상 용구를 매달수 있도록 측면 걸이 수단(20)이 장착되고,
    상기 측면 걸이 수단(20)은 어느 하나의 끼움홀(3a,3b,3c,3d)에 끼워지는 고정구(13e)와,
    상기 고정구(13e)와 간격을 두고 떨어짐과 더불어 다른 하나의 끼움홀(3a,3b,3c,3d)에 끼워지는 고정구(13f);
    상기 고정구(13e,13f)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뻗어나옴과 더불어 가이드홀(5a,5b,5c,5d)에 끼워져 가이드홀(5a,5b,5c,5d)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장 브라켓(21a,21b);
    및 상기 연장 브라켓(21a,21b)의 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양측단이 연장 브라켓(21a,21b)에 부착되고 2개 이상의 관통홀(24a,24b)을 구비한 연결판(23)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13e,13f)의 하단에는 너트(17)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정지턱(7)의 하단에는 정지턱(7)을 관통한 다음, 고정구(13e,13f)에 갖추어진 너트(17)와 체결되는 볼트(19)가 부가 장착되며,
    상기 부력체(1)의 상단에는 부력체(1)의 상단에 와이어를 엮을 수 있도록 와이어 고정 수단(26)이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 고정 수단(26)은 하단면이 부력체(1)의 상단면과 마주 접함과 더불어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삼각판(25)과;
    상단이 상기 삼각판(25)의 하단면 모서리에 장착되고 하단이 끼움홀(3a,3b,3d) 방향으로 곧게 뻗어나와 끼움홀(3a,3b,3d)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고정구(13g,13h,13i);
    상기 삼각판(25)의 상단면에 장착되어 와이어의 일단이 감겨 고정될 수 있는 와이어 걸이부(27)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13g,13h,13i)의 하단에는 너트(17)가 부가 장착되고,
    상기 정지턱(7)의 하단에는 정지턱(7)을 관통한 다음 고정구(13g,13h,13i)에 갖추어진 너트(17)와 체결되는 볼트(19)가 부가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걸이부(27)는 하단이 삼각판(25)의 상단면에 고정되는 원기둥 형태의 지주(29)와;
    상기 지주(29)의 상단면에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지주(29)의 단면적보다 넓은 상판(31);
    상기 지주(29)의 외부 둘레면으로부터 지주(29)의 직교 방향으로 뻗어나온 2개 이상의 확장봉(33a,33b,33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KR1020100017091A 2010-02-25 2010-02-25 조립형 부구 KR10097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091A KR100971941B1 (ko) 2010-02-25 2010-02-25 조립형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091A KR100971941B1 (ko) 2010-02-25 2010-02-25 조립형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941B1 true KR100971941B1 (ko) 2010-07-23

Family

ID=4264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091A KR100971941B1 (ko) 2010-02-25 2010-02-25 조립형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94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014B1 (ko) 2010-07-22 2011-06-08 오세진 조립형 부구
KR101414947B1 (ko) * 2010-08-27 2014-07-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부력재를 이용한 예인수조에서의 빙해수조 대체 선박 모형 시험 방법
CN104429883A (zh) * 2014-05-15 2015-03-25 浙江海洋学院 一种具有护苗功能的海藻礁
KR101510195B1 (ko) 2013-04-08 2015-04-1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플로팅 폰툰 조립체
KR20160028883A (ko) * 2014-09-04 2016-03-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듈형 조립식 선박
KR101975167B1 (ko) * 2018-06-21 2019-05-03 임영신 수상 플로트 구조물
KR20190069144A (ko)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지엔씨 조립형 플로트
KR20190102430A (ko) * 2018-02-26 2019-09-04 최정화 콤팩트형 양식용 부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99107A1 (zh) * 2019-04-01 2020-10-08 唐山哈船科技有限公司 海产品养殖浮漂和海产品水产养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224U (ko) * 1994-03-08 1995-10-16 김동환 조립식 부력체 구조물
KR200165118Y1 (ko) * 1997-10-21 2000-01-15 김귀화 다목적의 조립식 부력관
KR20010065118A (ko) * 1999-12-29 2001-07-11 장근호 진공챔버용 온도센서 설정방법
KR20090017001A (ko) * 2007-08-13 2009-02-18 주식회사 씨포트 조립식 도크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224U (ko) * 1994-03-08 1995-10-16 김동환 조립식 부력체 구조물
KR200165118Y1 (ko) * 1997-10-21 2000-01-15 김귀화 다목적의 조립식 부력관
KR20010065118A (ko) * 1999-12-29 2001-07-11 장근호 진공챔버용 온도센서 설정방법
KR20090017001A (ko) * 2007-08-13 2009-02-18 주식회사 씨포트 조립식 도크의 연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014B1 (ko) 2010-07-22 2011-06-08 오세진 조립형 부구
KR101414947B1 (ko) * 2010-08-27 2014-07-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부력재를 이용한 예인수조에서의 빙해수조 대체 선박 모형 시험 방법
KR101510195B1 (ko) 2013-04-08 2015-04-1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플로팅 폰툰 조립체
CN104429883A (zh) * 2014-05-15 2015-03-25 浙江海洋学院 一种具有护苗功能的海藻礁
CN104429883B (zh) * 2014-05-15 2016-08-17 浙江海洋学院 一种具有护苗功能的海藻礁
KR20160028883A (ko) * 2014-09-04 2016-03-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듈형 조립식 선박
KR101652493B1 (ko) 2014-09-04 2016-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듈형 조립식 선박
KR20190069144A (ko)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지엔씨 조립형 플로트
KR20190102430A (ko) * 2018-02-26 2019-09-04 최정화 콤팩트형 양식용 부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6113B1 (ko) * 2018-02-26 2019-09-27 최정화 콤팩트형 양식용 부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5167B1 (ko) * 2018-06-21 2019-05-03 임영신 수상 플로트 구조물
WO2020199107A1 (zh) * 2019-04-01 2020-10-08 唐山哈船科技有限公司 海产品养殖浮漂和海产品水产养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941B1 (ko) 조립형 부구
KR101471014B1 (ko) 해상 부유구조물용 부력파이프 연결소켓
KR100977015B1 (ko) 콘크리트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조립체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1813573B1 (ko)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200475806Y1 (ko) 부표
KR100952922B1 (ko) 해수면 및 내수면 부유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부유 구조체
KR20170114640A (ko) 어업용 부구
KR101040014B1 (ko) 조립형 부구
KR101162007B1 (ko) 개량형 양식장 부자
KR101651819B1 (ko) 다수의 유닛을 연결한 조립식 폰툰
KR101180822B1 (ko) 논슬립 패널이 부착된 조립식 폰툰
US20130298841A1 (en) Structure for Aquatic Farming
KR20120040945A (ko) 조립형 부구
KR200435836Y1 (ko) 양식장용 플로트의 결합구조
KR200403270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양구조체
US4867093A (en) Pontoon
KR20120007987U (ko) 양식장용 플로트
KR102117573B1 (ko) 친환경 발포형 부표
KR102495544B1 (ko) 친환경 김발용 부표시스템
CN203819480U (zh) 一种海上平台
KR101311166B1 (ko)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KR20180025369A (ko) 부구 연결용 브라켓을 이용한 친환경 수상 구조물
KR200203036Y1 (ko) 가두리 양식장의 구조물 설치구조
KR101227185B1 (ko) 안정성이 높은 콘크리트 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