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144A - 조립형 플로트 - Google Patents

조립형 플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144A
KR20190069144A KR1020170169562A KR20170169562A KR20190069144A KR 20190069144 A KR20190069144 A KR 20190069144A KR 1020170169562 A KR1020170169562 A KR 1020170169562A KR 20170169562 A KR20170169562 A KR 20170169562A KR 20190069144 A KR20190069144 A KR 2019006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acent
groove
side surfaces
float
op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034B1 (ko
Inventor
강남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씨
Priority to KR102017016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0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플로트는, 내부가 중공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전면, 배면 및 양측면에 연결부 삽입홈(118)이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에 개구홈(116)이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외벽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홈(118)과, 상기 몸체(110)와 이웃한 몸체(110)의 대향면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홈(118)에 양단이 삽입되어 이웃한 몸체(11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20), 및 상기 몸체(110)의 외벽에 형성된 개구홈(116)과, 상기 몸체(110)와 이웃한 몸체(110)의 대향면에 형성된 개구홈(116)을 연결한 상단에 삽입되는 캡(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형 플로트 {FLOAT OF ASSEMBLY TYPE}
본 발명은 조립형 플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를 조립하여 수상 구조물 등을 해상에 부유시키는 플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트(float)는 바다나 강 또는 호수와 같은 곳에서 물 위에 뜨게 해주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력체로써, 수상에서의 작업을 위해 호수나 하천 등의 양식장이나 낚시터 등에 사용되거나 부잔교, 선박 계류시설, 태양광 발전시설, 쓰레기 수상 집하장, 해양 낚시터 등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플로트 방식이 많이 사용되나 조립형 플로트는 설치와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에 많이 적용된다.
조립형 플로트는 단위 플로트가 복수 개 서로 밀착되게 결합하여 결속 형성되는 플로트 유닛으로 구성되는데, 조립형 플로트는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191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73452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 몸체의 네 모서리에 연결고리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에 연결볼트 또는 연결핀을 체결하여 서로 이웃하는 단위 부력체를 연결하는 첫 번째 방식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4559호, 등록특허공보 제10-09719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 몸체의 측면 각각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이 연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체결하여 서로 이웃하는 단위 부력체를 연결하는 두 번째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조립식 플로의 경우 건현(물에 닿지 않는 선체의 높이) 값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조립식 플로트가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조립식 플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을 필요가 있는데 조립식 플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결국 부력을 조절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한편, 상술한 일반적인 조립형 플로트의 첫 번째 방식의 경우 부력체 몸체의 네 모서리에 연결고리 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에 연결볼트 또는 연결핀을 체결하여 서로 이웃하는 단위 부력체를 연결하는데, 일반적으로 조립형 플로트 및 모서리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그 연결부위가 취약하여 물결의 반복되는 요동에 따라 피로가 누적되어 모서리가 많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립형 플로트의 두 번째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데, 이 경우 물결의 반복되는 상하 요동에 따라 단위 플로트(부력체)간에 높이 방향으로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1916호(2009.04.29.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4527호(2017.05.02.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4559호(2005.08.2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1941호(2010.07.16.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부력을 조절하여 플로트의 건현 값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높이방향의 결합력을 충분히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조립형 플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플로트는, 상하면과 대면하는 제1 및 제2 측면과 상기 제1 및 제2 측면보다 길이가 작은 대면하는 제3 및 제4 측면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네 측면의 중앙부에 연결부 삽입홈(118)이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 2 측면에 부력 조절용 개구홈(116)이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홈(118)과, 상기 몸체와 이웃한 몸체의 대향면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홈에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몸체(11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0); 및 상기 몸체(110)의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형성된 개구홈(116)과, 상기 몸체(110)와 이웃한 몸체의 대향면에 형성된 개구홈을 연결한 상단에 안착되어, 서로 인접한 양 몸체(110)의 개구홈(116)을 폐쇄하는 캡(130);을 포함한다.
상기 개구홈(116)은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몸체에 형성된 개구홈과 인접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구홈(116)은 상기 연결부 삽입홈(118)을 사이에 두고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홈(116)은 상단에 직경이 확장되는 안착턱(116a)이 형성되어, 이웃한 몸체의 개구홈에 형성된 안착턱과 인접시 상기 양 안착턱에 상기 캡(13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제3 및 제4 측면의 높이방향에 돌출부(112) 및 결합 홈부(11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돌출부(112)에 이웃한 몸체의 결합 홈부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110)의 결합 홈부(114)에 이웃한 몸체의 돌출부가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112) 및 결합 홈부(114)는 상기 제3 및 제4 측면의 높이 방향으로 중앙부에 한 개가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거리 이격되게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몸체의 양측면에 돌출부 및 결합 홈부가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몸체의 결합 홈부 및 돌출부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몸체의 높이방향(Z축방향)으로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두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일부 탈락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다른 양측면에 반원통형의 개구홈이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몸체에 형성된 개구홈과 인접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공간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상단에 캡으로 밀폐시킴으로써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플로트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플로트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 결국 플로트의 건현 값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형 플로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형 플로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형 플로트가 복수개 구비된 상태에서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형 플로트가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각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형 플로트가 복수개로 구비되며, 각각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플로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형 플로트(100)는 조립 형태로 연결되도록 다수 구비되는 몸체(110)와, 인접한 몸체(11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20), 및 인접한 몸체(110)에 각각 형성된 부력 조절용 개구홈(116)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캡(13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상하면과 네 측면 즉, 대면하는 제1 및 제2 측면과 상기 제1 및 제2 측면보다 길이가 작은 대면하는 제3 및 제4 측면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는 비어있거나 부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
몸체(110)의 네 측면 중앙부에는 연결부 삽입홈(118)이 각각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연결부 삽입홈(118)과, 이와 인접한 다른 몸체(110)에 형성되는 연결부 삽입홈(118)이 밀착될 때 대면하는 두 연결부 삽입홈(118)에 연결부재(1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 삽입홈(118)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몸체(110)의 외벽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2개가 대칭 형태로 구비되면서 꼭짓점 부분이 인접한 2개의 삼각형 형상 즉,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전술한 특허문헌 3,4와 같이 이웃한 두 개가 “I”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은 XY축 방향으로 인접한 각각의 몸체(110)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홈(118)에 삽입되어 각각의 몸체(110)를 연결한다. 연결부재(120)는 두 연결부 삽입홈(118)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20)가 인접한 두 몸체의 연결부 삽입홈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인접한 몸체는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몸체(110)의 네 측면 중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대면하는 양측면에는 돌출부(112)와 결합 홈부(114)가 각각 형성된다. 돌출부(112)와 결합 홈부(114)는 인접하는 몸체의 다른 결합 홈부와 돌출부에 결합된다, 즉 돌출부(112)는 일측으로 인접된 몸체에 형성된 결합 홈부와 결합되고, 결합 홈부(114)는 타측으로 인접된 몸체에 형성된 돌출부와 결합된다.
돌출부(112) 및 결합 홈부(114)는 그 종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그 종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2)와 결합 홈부(114)는 연결부 삽입홈(118)을 사이에 두고 대응되도록 각각 2개씩 병렬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구비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2) 및 결합 홈부(114)는 양 측면의 높이 방향으로 중앙부에 한 개씩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이 경우 하나의 측면에 돌출부 및 결합 홈부는 총 두 개씩 배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의 안정성을 위하여 예를 들어 일정거리 이격되게 두 개씩 형성될 수 있다(이 경우 하나의 측면에 돌출부 및 결합 홈부는 총 네 개씩 배치).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조립식 플로트의 경우 너울이나 파도에 의해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높이 방향으로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해, 각 단위 플로트(또는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0)가 높이 방향으로 빠지거나 일부 탈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112)와 결합 홈부(114)에 인접하는 몸체 간의 높이 방향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몸체(110)의 네 측면 중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대면하는 양측면에는 부력 조절용 개구홈(116)이 각각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개구홈(116)은 종단면이 반원인 반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른 몸체에 형성된 개구홈과 인접시 종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을 가지게 된다.
개구홈(116)은 양측면 각각에 한 개씩 형성될 수 있으나, 부력값 조절, 플로트의 안정성 측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 각각에 연결부 삽입홈(118)을 사이에 두고 일정거리 이격되게 두 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개구홈(116)의 상단에는 개구홈(116)의 직경보다 큰 안착턱(116a)이 형성되어, 이웃한 몸체의 개구홈에 형성된 안착턱과 밀착될 때 원형홈의 형상을 가지며, 이 원형홈으로 캡(130)이 삽입된다.
캡(cap: 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몸체(110)에 형성된 개구홈(116)의 안착턱(116a)에 삽입되어 원통 형상의 개구홈(116) 상단을 밀폐시키게 된다. 캡(130)은 끼움 결합,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의 의한 결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개구홈(116)의 안착턱(116a)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렇게, 개구홈(11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바닥에서부터 상면까지 연통되면서, 플로트가 수중에 설치될 때 수중의 물이 개구홈으로 일부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플로트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플로트의 건현 값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개구홈(116)에 원하는 물의 양이 유입되었을 때 개구홈(116)의 안착턱(116a)에 캡을 결함함으로써 물이 더 이상 개구홈(116)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개구홈(116)의 안착턱(116a) 상단에 캡(130)을 설치함으로써, 개구홈에 유입된 물의 흡착력을 높일 수 있고 플로트 내부에 물이 유입되므로 플로트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몸체(110)의 측면이 아니라 중앙부에 원통형의 개구홈을 관통시키고 그 상단에 캡을 덮어 상술한 효과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플로트의 몸체에 원통형의 홈을 관통하여 성형하는 것은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또한 플로트 몸체의 크기가 큰 경우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몸체의 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반원통형의 개구홈을 형성하고, 양 몸체가 연결될 때 두 개의 몸체가 합쳐서 원통형의 개구홈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결국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용이하게 개구홈을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플로트에 의하면, 각 몸체(110)의 네 측면 중앙부에 연결부 삽입홈(118)이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두 몸체의 연결부 삽입홈에 연결부재(120)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몸체(110)들을 XY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각 몸체(110)의 양측면에 돌출부(112) 및 결합 홈부(114)가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몸체의 결합 홈부 및 돌출부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몸체의 Z축 방향으로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상기 연결부재(120)의 일부 탈락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다른 양측면에 반원통형의 개구홈(116)이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몸체에 형성된 개구홈과 인접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공간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상단에 캡(130)으로 밀폐시킴으로써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플로트의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플로트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 결국 플로트의 건현 값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조립형 플로트 110: 몸체
112: 돌출부 114: 결합 홈부
116: 개구홈 118: 연결부 삽입홈
120: 연결부재 130: 캡

Claims (6)

  1. 상하면과 대면하는 제1 및 제2 측면과 상기 제1 및 제2 측면보다 길이가 작은 대면하는 제3 및 제4 측면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네 측면의 중앙부에 연결부 삽입홈(118)이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 2 측면에 부력 조절용 개구홈(116)이 각각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110);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홈(118)과, 상기 몸체와 이웃한 몸체의 대향면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홈에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몸체(11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0); 및
    상기 몸체(110)의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형성된 개구홈(116)과, 상기 몸체(110)와 이웃한 몸체의 대향면에 형성된 개구홈을 연결한 상단에 안착되어, 서로 인접한 양 몸체(110)의 개구홈(116)을 폐쇄하는 캡(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플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116)은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몸체에 형성된 개구홈과 인접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플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116)은 상기 연결부 삽입홈(118)을 사이에 두고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플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116)은 상단에 직경이 확장되는 안착턱(116a)이 형성되어, 이웃한 몸체의 개구홈에 형성된 안착턱과 인접시 상기 양 안착턱에 상기 캡(13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플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제3 및 제4 측면의 높이방향에 돌출부(112) 및 결합 홈부(11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의 돌출부(112)에 이웃한 몸체의 결합 홈부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110)의 결합 홈부(114)에 이웃한 몸체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플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2) 및 결합 홈부(114)는 상기 제3 및 제4 측면의 높이 방향으로 중앙부에 한 개가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거리 이격되게 두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플로트.
KR1020170169562A 2017-12-11 2017-12-11 조립형 플로트 KR10208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562A KR102084034B1 (ko) 2017-12-11 2017-12-11 조립형 플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562A KR102084034B1 (ko) 2017-12-11 2017-12-11 조립형 플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144A true KR20190069144A (ko) 2019-06-19
KR102084034B1 KR102084034B1 (ko) 2020-03-04

Family

ID=6710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562A KR102084034B1 (ko) 2017-12-11 2017-12-11 조립형 플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0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364B1 (ko) * 2020-10-23 2021-04-26 임영신 다기능 조립식 폰툰
KR102448240B1 (ko) * 2021-06-09 2022-09-28 조승준 부력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710B1 (ko) 2022-01-13 2022-10-28 이성일 선박 계류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156A (en) * 1985-02-15 1987-04-07 Dominion Al-Chrome Corporation Ltd. Flotation system
US5281055A (en) * 1992-07-17 1994-01-25 Ez Dock, Inc. Floating dock
KR200394559Y1 (ko) 2005-04-26 2005-09-02 윤건구 해상 부유 구조물
KR20090041916A (ko) 2007-10-25 2009-04-29 (주)에코리소스랩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KR100971941B1 (ko) 2010-02-25 2010-07-23 (주) 세모 조립형 부구
US20120260841A1 (en) * 2011-04-15 2012-10-18 Industria Mecanica NTC Ltda. Disposition introduced into assembling system for floating platforms
KR101252422B1 (ko) * 2012-09-13 2013-04-08 이창남 조립식 폰툰
KR101734527B1 (ko) 2016-05-13 2017-05-16 (주)에코원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156A (en) * 1985-02-15 1987-04-07 Dominion Al-Chrome Corporation Ltd. Flotation system
US5281055A (en) * 1992-07-17 1994-01-25 Ez Dock, Inc. Floating dock
US5281055C1 (en) * 1992-07-17 2001-08-14 Marine Floats Inc Floating dock
KR200394559Y1 (ko) 2005-04-26 2005-09-02 윤건구 해상 부유 구조물
KR20090041916A (ko) 2007-10-25 2009-04-29 (주)에코리소스랩 부력통용 연결구 유니트
KR100971941B1 (ko) 2010-02-25 2010-07-23 (주) 세모 조립형 부구
US20120260841A1 (en) * 2011-04-15 2012-10-18 Industria Mecanica NTC Ltda. Disposition introduced into assembling system for floating platforms
KR101252422B1 (ko) * 2012-09-13 2013-04-08 이창남 조립식 폰툰
KR101734527B1 (ko) 2016-05-13 2017-05-16 (주)에코원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364B1 (ko) * 2020-10-23 2021-04-26 임영신 다기능 조립식 폰툰
KR102448240B1 (ko) * 2021-06-09 2022-09-28 조승준 부력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034B1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9144A (ko) 조립형 플로트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US9643693B2 (en) Floating marine structure having floats
KR101392586B1 (ko) 부유식 프레임 구조체의 지지를 위한 고내구성 부력체
KR101213232B1 (ko) 블럭식 부유체를 가진 심해용 부유식 풍력 발전기
JP7482955B2 (ja) 拡張が容易な人工漁礁機能付き消波ブロック
KR101734527B1 (ko)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KR20140005973U (ko) 부표
JP5970084B2 (ja) 合成樹脂製フロートユニット及びフロート、並びに浮体構造物
KR20150048539A (ko) 조립식 부력체
KR101867569B1 (ko) 다공성 폼이 내장된 부력체
KR101279149B1 (ko) 조립식 부유체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102322875B1 (ko)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KR101961662B1 (ko) 태양광 패널 지지체
CN104358256B (zh) 快接式连接桩
KR102283438B1 (ko) 태양광 발전 장치용 부력체 연결 장치
CN103448880A (zh) 一种海上平台
CN203497141U (zh) 一种海上平台
KR20230020725A (ko) 부유체 구조물
CN105002886B (zh) 强拉扣接结构
KR101193622B1 (ko) 롤링-피칭 감쇠수단을 가진 수상 부유체의 부력관 지지대
KR20220101788A (ko)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KR20180025369A (ko) 부구 연결용 브라켓을 이용한 친환경 수상 구조물
CN110558263B (zh) 用于防止养殖网箱倾覆的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