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240B1 - 부력조립체 - Google Patents

부력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240B1
KR102448240B1 KR1020210074621A KR20210074621A KR102448240B1 KR 102448240 B1 KR102448240 B1 KR 102448240B1 KR 1020210074621 A KR1020210074621 A KR 1020210074621A KR 20210074621 A KR20210074621 A KR 20210074621A KR 102448240 B1 KR102448240 B1 KR 10244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hole
main body
cov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준
Original Assignee
조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준 filed Critical 조승준
Priority to KR102021007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용으로 사용되며,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부력이 유지되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부력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구조체는 본체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을 점유하도록 부력체가 삽입 배치됨으로써 본체에 크랙이나 손상이 발생하여 해당 부위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부력체에 의해 부력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수상태양광 발전장치가 수중으로 침강하거나 일 측으로 기우는 등의 문제가 없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안정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력조립체{Buoyancy assembly}
본 발명은 부력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용으로 사용되며,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부력이 유지되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부력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연환경의 오염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발전시설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지열 발전 등으로부터 소량의 전기를 수득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종래의 발전시설이 생산하던 전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시설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데, 기존의 발전수단을 통해 수득하던 전기에너지를 상기 태양광 발전시설을 통해 보완하기 위해서는 상기 태양광 발전시설을 대규모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넓은 평지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태양광 발전은 타 발전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설치 및 운영이 용이하고 빠른 설치가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발전량이 설치 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원하는 발전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치 및 운영을 위한 부지의 확보가 필연적이다. 하지만, 입지조건에 부합하는 부지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발전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강, 호수, 저수지와 같은 수상과 해상에 설치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수상 및 해상 공간은 일부 공간만이 양식장 또는 레저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어, 육상부지에 비해 막대한 면적의 부지를 발전설비의 운영공간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은 일정 두께와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부구를 지지대로 상호 연결하여 일정 크기로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한 부유체에 다수의 태양광모듈을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수상 태양광 발전 시설을 지지하는 부유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4883호와 같은 부력부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434호의 부력체가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의 부력부재나 부력체는 내부의 공간이 빈 구조를 가지므로 외력이 가해져 파손될 시 파손 부위를 통해 부력부재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048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94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며,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에 적용하는데 적합한 부력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을 점유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복수의 부력체;를 구비하고 상기 부력체는 육면체 구조를 갖고,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어느 일 면에는 상기 부력체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부력체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에 외력이 작용할 시 상기 부력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체는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양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전면 및 후면과, 상기 본체의 상하 두께 방향 양측을 향하는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상기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부력체의 전면과 타 측 부력체의 후면 사이에는 상기 보강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부력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상기 제1부력홀에 삽입 설치되고,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1부력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양측 내주면과 각각 마주하는 일 측 부력체의 전면과 타 측 부력체의 후면 사이에는 상기 보강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부력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상기 제2부력홀에 삽입 설치되고,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2부력튜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측 내주면과 각각 마주하는 일 측 부력체의 좌측면과 타측 부력체의 우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부력체 상호간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며,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2관통공이 형성된 판 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결합플랜지부를 감싸는 결합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의 후크핀을 포함하는 고정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크핀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을 통과하며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중심축을 기준으로 복수로 분할 및 갈라지게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플랜지부의 하단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헤드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부 주변을 감싸는 헤드보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스커트부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부의 하단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결합플랜지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부 하방으로 인입 형성된 수밀홈의 바닥에 접촉되도록 상기 수밀홈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구조체는 본체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을 점유하도록 부력체가 삽입 배치됨으로써 본체에 크랙이나 손상이 발생하여 해당 부위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부력체에 의해 부력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수상태양광 발전장치가 수중으로 침강하거나 일 측으로 기우는 등의 문제가 없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안정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구조체는 본체 내주면과 부력체 사이에 일정한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본체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서 본체에 충격이 발생할 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부력체 자체에 보강구조가 적용되어 있어 부력체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구조체는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후크핀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 및 고정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구조체는 실링부를 구비함으로써 본체와 커버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 및 부력조립체 상에 설치되는 수상태양광 발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100)는 본체(10)와, 커버(30)와, 부력체(40)와, 고정구(50)와, 실링부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본체(10)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바디부(11)와,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바디부(1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본체(10) 외측으로 연장 및 본체(10)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결합플랜지부(15)를 포함한다.
결합플랜지부(15)는 수평부(16)와 수직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부(16)는 바디부(1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하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고정구(50)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제1관통공(18)과,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의 태양광모듈(2)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1결합홈(19)이 형성된다.
지지프레임(3)은 볼트를 이용하여 커버(30)의 상단에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볼트는 지지프레임(3), 제2결합홈(33), 제1결합홈(19) 순서로 관통하며 단부에 너트가 결합된다.
수직부(17)는 수평부(16)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하단은 후술하는 고정구(50)의 걸림턱(53)에 간섭 및 접촉된다.
바디부(11)와 결합플랜지부(15) 사이에는 강성을 향상 및 보강하기 위해 바디부(11)와 결합플랜지부(15)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리브(14)가 구비된다. 보강리브(14)는 바디부(11)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다.
커버(30)는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부(31)와, 결합스커트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부(31)는 바디부(11)의 상부, 상세하게는 결합플랜지부(15)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어 수용공간(12)을 밀폐하도록 판 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수상태양광 발전장치(1)가 설치된다.
플레이트부(31)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고정구(50)를 체결하기 위한 제2관통공(32)이 형성된다.
플레이트부(31)는 본체(10)의 상단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부(31)의 하면(40F)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격자상으로 배치되는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부(31)에는 지지프레임(3)과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홈(33)이 형성된다.
결합스커트부(35)는 플레이트부(3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결합플랜지부(15)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결합스커트부(35)는 결합플랜지부(15)의 수직부(17)보다 하방으로 더 길게 돌출된다.
그리고, 결합스커트부(35)의 하단에는 결합플랜지부(15)의 하단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걸림턱이 더 구비된다. 걸림턱은 결합스커트부(35)의 하단으로부터 바디부 또는 결합플랜지부(15) 측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다. 걸림턱(53)은 결합스커트부(35)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고정구(50)와 함께 커버(3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부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와 커버(3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와 커버(30)는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본체(10)와 커버(30)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재질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강재, 알루미늄, 섬유강화복합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부력체(40)는 수용공간을 점유하도록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복수가 서로 인접되게 배치된다.
부력체(40)는 내부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력공간(41)이 형성된다.
부력체(40)는 전면(40A), 후면(40B), 좌측면(40C), 우측면(40D), 상면(40E), 하면(40F)을 구비하는 육면체 구조로 형성된다.
부력체(40)의 육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 면에는 부력체(40)에 외력이나 충격 등이 작용할 시 부력체(40)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42)가 마련된다.
보강부(42)는 부력체(40)의 일 면으로부터 부력체(4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 인입된 홈 구조를 가지며, 부력체(4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체(40)는 본체(10)의 길이 방향 양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전면(40A) 및 후면(40B)과, 본체(10)의 상하 두께 방향 양측을 향하는 상면(40E) 및 하면(40F)에 각각 보강부(42)가 형성된 것을 적용하였다.
본 실시 예에서 부력체(40)는 전면(40A), 후면(40B), 상면(40E), 하면(40F)에만 보강부(42)를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육면 모두에 보강부(4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부력체(40)는 전면(40A)과 후면(40B)에 각각 2개의 보강부(42)를 형성하고, 상면(40E)과 하면(40F)에 각각 1개의 보강부(42)를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각 면의 면적이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보강부(42)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보강부(42)는 부력체(40)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를 가져 부력체(40) 자체의 강성이나 휨 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 및 부력체(40) 자체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부력체(40)에 외력이나 충격이 작용할 시, 이에 대한 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부력체(40)가 찌그러져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부력체(40)의 전면(40A)과, 타 측 부력체(40)의 후면(40B) 사이에는 보강부(42)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부력홀이 형성된다. 제1부력홀은 부력체(40)의 좌우 폭 방향 및 본체(10)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40)들 사이에는 보강부(42)에 의해 형성된 제1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제1부력홀에 삽입 설치되어 부력체(40)들 사이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부력튜브(43)를 더 구비한다. 제1부력튜브(43)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제1부력튜브(43)는 부력체(40)들 사이에 부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40)들 사이 개재되어 부력체(40)들이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함으로써 부력체(40)들의 서로 마주하는 각 면이 마찰되면서 닳아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일정 부분 방지한다. 또한, 제1부력튜브(43)는 부력체(40)들 사이에 개재되어 일 측의 부력체(40)에서 타 측의 부력체(40) 측으로 충격이나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길이 방향 양측 내주면과 각각 마주하는 일 측 부력체(40)의 전면(40A)과, 타 측 부력체(40)의 후면(40B) 사이에는 보강부(42)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부력홀이 형성된다. 제2부력홀은 제1부력홀과 마찬가지로 부력체(40)의 좌우 폭 방향 및 본체(10)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본체(10)의 내주면과 부력체(40)의 전면(40A) 사이, 그리고 본체(10)의 내주면과 부력체(40)의 후면(40B) 사이에는 보강부(42)에 의해 형성된 제2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제2부력홀에 삽입 설치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제2부력튜브(44)를 더 구비한다. 제2부력튜브(44)는 제1부력튜브(43)와 같이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제2부력튜브(44)는 부력체(40)와 본체(10) 내주면 사이에 부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부력체(40)와 본체(10) 사이에 개재되어 부력체(40)와 본체(10)의 내주면을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함으로써 부력체(40)와 본체(10) 내주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부력체(40)가 닳아 손상되는 것을 일정부분 방지한다. 또한, 제2부력튜브(44)들은 본체(10)와 부력체(40)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10)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이 부력체(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부력체(40)들 사이에 부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부력체(40)들 사이 개재되어 부력체(40)들이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함으로써 부력체(40)들의 서로 마주하는 각 면이 마찰되면서 닳아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일정 부분 방지한다. 또한, 제1부력튜브(43)는 부력체(40)들 사이에 개재되어 일 측의 부력체(40)에서 타 측의 부력체(40) 측으로 충격이나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부(42)는 부력체(40)의 좌측면(40C)에서 우측면(40D)을 향하도록 부력체(4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부력체(40)의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구조체의 부력체(40)는 엠보싱부(45)가 더 구비된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의 폭 방향 양측 내주면과 각각 마주하는 일 측 부력체(40)의 좌측면(40C)과 타측 부력체(40)의 우측면(40D)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엠보싱부(45)가 구비된다.
엠보싱부(45)는 부력체(40) 외주면으로부터 반원 형태로 돌출되어 본체(10)의 내주면과 부력체(40) 상호간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며, 본체(1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한다.
엠보싱부(45)는 부력체(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부력체(40)와 별개로 형성한 뒤 부력체(40)에 부착할 수 있다. 엠보싱부(45)를 부력체(40)와 별개로 형성한 경우 부력체(40)는 본체(10)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부력체(40)는 블로우 성형 방식으로 성형 및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우 성형 방식으로 부력체(40)를 성형함으로써 경량화시킬 수 있고, 일정량의 탄력도 가지며, 내부에 부력공간(41)을 형성함으로써 높은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고정구(50)는 커버(3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도록 본체(10)와 커버(3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의 후크핀(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크핀(51)은 헤드부(51A)와, 연장부(51B)와, 걸림편(5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부(51A)는 단면이 원형이며,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헤드부(51A)는 플레이트부(31)의 상면(40E)에 접촉되어 연장부(51B)가 인입되는 깊이를 제한한다.
연장부(51B)는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을 통과할 수 있게 헤드부(51A) 하면(40F)에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연장부(51B)는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축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로 분할 및 갈라지게 형성된다.
연장부(51B)는 하부는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을 통과할 때 후술하는 걸림편(51C)의 간섭 및 걸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헤드부(51A)에서 하부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인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된다.
연장부(51B)는 중심축방향으로 오므라지거나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다. 연장부(51B)는 경량화 및 재료의 절약을 위해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51C)은 연장부(51B)의 에서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직부(17)의 하단에 접촉된다. 걸림편(51C)의 하부는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을 통과할 때 걸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후크핀(51)을 이용하여 본체(10)와 커버(30)를 결합시키는 경우, 후크핀(51)은 연장부(51B)가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으로 삽입되는 도중에 오므려져 직경이 작아진 상태로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을 통과하며, 걸림편(51C)이 제2관통공(32)을 완전히 통과하면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벌어지면서 걸림편(51C)의 상단이 수평부(16)의 하단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후크핀(51)이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제한 및 억제된다.
이와 반대로 연장부(51B)에 외력을 가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오므린 상태에서 걸림편(51C)를 제2관통공(32) 및 제1관통공(18)에 삽입 후 후크핀(51)을 상부로 인출시키면 본체(10)와 커버(3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실링부는 결합플랜지부(15)에 형성된 수밀홈(13)과, 커버(30)에 형성된 수밀부재(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밀홈(13)은 결합플랜지부(15)의 수평부(16)를 따라 연장되고, 결합플랜지부(15) 하방으로 일정 깊이 인입 형성된다. 수밀홈(13)은 반원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밀부재(71)는 수밀홈(13)과 대응되는 커버(30)의 하면(40F)으로부터 수밀홈(13)의 바닥에 접촉될 수 있도록 수밀홈(13)의 깊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돌출된다.
수밀부재(71)는 플레이트부(3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이 탄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수밀부재(71)의 단부 또는 수밀홈(13)의 바닥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는 실링부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패킹부가 결합될 수 있다.
수밀부재(71)는 수밀홈(13)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그 하단이 수밀홈(13)의 바닥에 긴밀하게 접촉되어 수용공간(12)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밀홈(13)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수밀홈(13)의 바닥에는 외부로 연장된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편,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커버(30)는 플레이트부(31)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구(50)의 헤드부(51A)를 보호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부(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헤드부(51A) 주변을 감싸는 헤드보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헤드보호부(37)는 후크핀(51)이 제1관통공(18) 및 제2관통공(32)을 통과하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플레이트부(31)의 상부로 돌출된 헤드부(51A)의 측면을 감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헤드보호부(3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51A)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헤드부(51A)를 충격이나 외력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는 고정구의 후크핀을 커버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고정구(151)는 후크핀(151)을 구비한다.
후크핀(151)은 제1관통홀(18)과 대응되는 커버(30)의 하면(40F)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후크핀(51)의 연장부(51B) 및 걸림편(51C)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연장부(151B)와 걸림편(151C)을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후크핀(151)은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후크핀(51)에 있어서 헤드부(51A)가 생략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고정구(50)는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헤드보호부(37)와, 후크핀(51)의 헤드부(51A) 및 제1관통공(18)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할뿐만 아니라, 후크핀(51)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고, 복수의 후크핀(51)을 작업자가 일일이 체결해야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조립 및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의 고정부는 핀고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250)는 후크핀(251)과, 핀고정부재(252)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후크핀(251)은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헤드부(51A), 연장부(51B), 걸림편(51C)를 구비한 후크핀(51)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헤드부(251A), 연장부(251B), 걸림편(251C) 각각 구비하며, 이에 더해 본 실시 예에 따른 후크핀(251)에는 헤드부(251A) 및 연장부(251B)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하는 쐐기홀(251D)이 더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후크핀(251)에는 헤드부(251A)와 연장부(251B)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쐐기홀(51D)이 형성된다.
쐐기홀(251D)은 핀고정부재(252)를 삽입할 시, 핀고정부재(252)에 의해 연장부(251B)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될수록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고정부재(252)는 쐐기홀(251D)에 삽입되며, 쐐기홀(251D)을 통과하면서 연장부(251B)의 하부를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며, 핀고정부재(252)가 쐐기홀(251D)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연장부(251B) 외측의 걸림편(251C)이 지속적으로 수평부(16) 하단에 걸려 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후크핀(251)을 통해 커버(30)를 본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후크핀(251)이 쐐기홀(251D)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핀(251)의 외주면과 쐐기홀(251D)의 내주면 각각에는 상호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립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바디부
15 : 결합플랜지부
30 : 커버
31 : 플레이트부
35 : 결합스커트부
40 : 부력체
41 : 부력공간
42 : 보강부
50 : 고정구
51 : 후크핀
100 : 부력조립체

Claims (10)

  1.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는 커버와;
    상기 수용공간을 점유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복수의 부력체;를 구비하고,
    상기 부력체는 육면체 구조를 갖고,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어느 일 면에는 상기 부력체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부력체의 내부를 향해 인입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에 외력이 작용할 시 상기 부력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가 마련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 측 부력체의 전면과 타 측 부력체의 후면 사이에는 상기 보강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부력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양측 내주면과 각각 마주하는 일 측 부력체의 전면과 타 측 부력체의 후면 사이에는 상기 보강부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부력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상기 제1부력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부력체들을 이격되게 지지하며,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1부력튜브와;
    상기 제2부력홀을 점유하도록 상기 제2부력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부력체를 이격되게 지지하며, 팽창 및 수축 가능한 제2부력튜브와;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본체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결합플랜지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부 하방으로 인입 형성된 수밀홈의 바닥에 접촉되도록 상기 수밀홈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밀홈의 바닥에는 상기 수밀홈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로 연장된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양측 내주면과 각각 마주하는 일 측 부력체의 좌측면과 타측 부력체의 우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부력체 상호간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며,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2관통공이 형성된 판 상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결합플랜지부를 감싸는 결합스커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의 후크핀을 포함하는 고정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후크핀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을 통과하며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중심축을 기준으로 복수로 분할 및 갈라지게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플랜지부의 하단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헤드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부 주변을 감싸는 헤드보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결합스커트부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부의 하단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립체.
  10. 삭제
KR1020210074621A 2021-06-09 2021-06-09 부력조립체 KR10244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621A KR102448240B1 (ko) 2021-06-09 2021-06-09 부력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621A KR102448240B1 (ko) 2021-06-09 2021-06-09 부력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240B1 true KR102448240B1 (ko) 2022-09-28

Family

ID=8346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621A KR102448240B1 (ko) 2021-06-09 2021-06-09 부력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240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359Y1 (ko) * 1999-11-23 2000-04-15 김득수 가두리양식장용 부구
KR101040014B1 (ko) * 2010-07-22 2011-06-08 오세진 조립형 부구
KR101430528B1 (ko) * 2013-10-08 2014-08-19 (주) 그린솔루션 태양광셀 모듈의 고정체
KR101554146B1 (ko) * 2014-05-28 2015-09-1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JP2015217771A (ja) * 2014-05-16 2015-12-0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連結体
KR20180101102A (ko) * 2017-03-03 2018-09-12 주형중 복수의 내부 단위 부자를 이용한 부력체
KR20190051717A (ko) * 2017-11-07 2019-05-15 김민상 부표 결합구조
KR20190069144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지엔씨 조립형 플로트
KR102069434B1 (ko) 2018-03-22 2020-01-2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태양전지판의 경사각 및 단위 부력체 모듈간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는 수상태양광 시스템
KR102110426B1 (ko) * 2018-12-28 2020-05-13 조진택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2173280B1 (ko) * 2020-05-20 2020-11-03 손태진 탄성판을 이용한 걸림구조를 갖는 체결핀
KR20210004883A (ko) 2019-07-03 2021-01-13 지엔에스티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부력체와 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359Y1 (ko) * 1999-11-23 2000-04-15 김득수 가두리양식장용 부구
KR101040014B1 (ko) * 2010-07-22 2011-06-08 오세진 조립형 부구
KR101430528B1 (ko) * 2013-10-08 2014-08-19 (주) 그린솔루션 태양광셀 모듈의 고정체
JP2015217771A (ja) * 2014-05-16 2015-12-0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連結体
KR101554146B1 (ko) * 2014-05-28 2015-09-1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KR20180101102A (ko) * 2017-03-03 2018-09-12 주형중 복수의 내부 단위 부자를 이용한 부력체
KR20190051717A (ko) * 2017-11-07 2019-05-15 김민상 부표 결합구조
KR20190069144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지엔씨 조립형 플로트
KR102069434B1 (ko) 2018-03-22 2020-01-2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태양전지판의 경사각 및 단위 부력체 모듈간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는 수상태양광 시스템
KR102110426B1 (ko) * 2018-12-28 2020-05-13 조진택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20210004883A (ko) 2019-07-03 2021-01-13 지엔에스티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용 부력체와 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2173280B1 (ko) * 2020-05-20 2020-11-03 손태진 탄성판을 이용한 걸림구조를 갖는 체결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KR102017295B1 (ko)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 구조물
KR101821127B1 (ko) 수상 부유체 및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15595B1 (ko) 수상태양광 발전설비용 부유 장치의 부력체
KR101392586B1 (ko) 부유식 프레임 구조체의 지지를 위한 고내구성 부력체
KR102448240B1 (ko) 부력조립체
KR101632004B1 (ko) 수상 태양광 구조물
KR102322797B1 (ko)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용 부력체
KR101602578B1 (ko) 태양 전지 장착용 부표 구조체
KR20180025370A (ko) 친환경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2005924B1 (ko) 내파성 구조방식을 이용한 해상 태양광 발전용 구조체
KR20100030009A (ko) 수면위에 뜨는 태양전지부력체
KR20180038327A (ko) 수상 태양전지판 지지용 부력모듈패널
KR101961662B1 (ko) 태양광 패널 지지체
KR20200132021A (ko) 수상 구조물용 다중 부력체
KR102047948B1 (ko) 수상태양광 발전 부력체용 연결핀
KR20180018046A (ko) 부유식 수상 태양광 구조물
KR102364660B1 (ko) 수해상 태양광 모듈 설치용 단위 부력체 및 이를 적용한 수해상 태양광 시스템의 부력구조
KR102299281B1 (ko) 수상태양광 발전용 부유구조물
KR101703125B1 (ko) 태양전지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부력체
KR102618422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용 강성 구조체
KR20180040403A (ko) 수상 태양광발전용 부유체
KR20230131016A (ko) 부력조립체를 이용한 바지선
KR200481086Y1 (ko)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KR101632001B1 (ko) 수상 태양광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