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146B1 -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 Google Patents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146B1
KR101554146B1 KR1020140064456A KR20140064456A KR101554146B1 KR 101554146 B1 KR101554146 B1 KR 101554146B1 KR 1020140064456 A KR1020140064456 A KR 1020140064456A KR 20140064456 A KR20140064456 A KR 20140064456A KR 101554146 B1 KR101554146 B1 KR 10155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tension
solar cell
fixing
buoy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고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4006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수상에 배치된 태양 전지 모듈의 입사각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태양광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상 태양광 구조물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발명은 하부가 개방된 제1 삼각형 형상과 제2 삼각형 형상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하여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경사면에 태양 전지 모듈을 배치시키는 프레임 몸체부,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하부에 연장되어 쌍으로 형성되는 몸체 연장부, 상기 몸체 연장부의 직각 방향으로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몸체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몸체 고정부, 상기 몸체 연장부에 끼워져 수중에 있는 물의 힘에 의해 회전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부에 끼워져 상기 베어링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수중속으로 일부분만이 잠긴 상태로 방향성을 갖는 부력체부를 포함하여, 태양광의 입사각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태양광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프레임 몸체부 등의 구조로 인하여, 시공 시간과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ROTARY TYPE SUNLIGHT STRUCTURE ON WATER SURFACE}
본 발명은 수상 태양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 배치된 태양 전지 모듈의 입사각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태양광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상 태양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 연료가 고갈됨에 따라, 대체 에너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태양 에너지를 활용하는 에너지 자원 개발은 더욱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태양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기술로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기관을 구동시켜 전기를 발전시키는 태양열 발전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이 있었다.
여기서, 태양광 발전에 이용되는 태양 전지는 통상적으로 주로 실리콘과 복합재료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태양전지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태양 빛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광전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태양전지는 대면적의 P-N 접합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N 접합 다이오드의 양극단에 발생된 기전력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최소 단위를 셀(Cell)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태양전지를 셀 그대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실제 사용되는데 필요한 전압이 수 V에서 수십 혹은 수백 볼트(V) 이상인데 비하여 셀 1개로부터 나오는 전압은 약 0.5V로 매우 작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다수의 단위 태양전지들을 필요한 단위 용량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태양전지가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여러 가지 혹독한 환경에 처하게 되므로, 필요한 단위 용량으로 연결된 다수의 셀을 혹독한 환경에서 보호하기 위하여 복수의 셀을 패키지로 한 태양 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 전지 모듈은 일정 전력을 얻기 위하여 다량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장소에 제한이 따르고, 태양 전지 모듈의 배치 구조에 따른 하부 지지구조의 변형에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건물 옥상이나 옥외 시설물 등에 설치할 때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지만, 수상에 설치할 때는 많은 지지 구조물들이 부수적으로 필요로하기 때문에 수상에 설치하기란 비용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쉽지 않았었다.
이와 같은 어러움에도 불구하고, 수상에 다량의 태양 전지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수상 태양광 구조물들이 속속 개발되었는데, 이중에서 종래의 수상 태양광 구조물을 수상에서 띄우기 위하여 부력체를 설치하였지만, 물의 흐름에 의한 상기 부력체의 저항으로 인하여, 수상 태양광 구조물에 유동이 심하게 발생됨으로써, 태양광 입사각의 불규칙한 변화를 초래하여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 : 제2012-0130810호, 공개일자 : 2012년 12월 04일, 발명의 명칭 :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전도방지 부력체. 2 한국공개특허 : 제2012-0130810호, 공개일자 : 2012년 12월 04일, 발명의 명칭 :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전도방지 부력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광 입사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범위안으로 부력체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상의 태양 전지 모듈을 지지하도록 삼각형 구조를 가지되, 개방된 구조를 가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부력체 상단에 형성되도록 하여 부식을 줄일 수 있는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부가 개방된 제1 삼각형 형상과 제2 삼각형 형상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하여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경사면에 태양 전지 모듈을 배치시키는 프레임 몸체부;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하부에 연장되어 쌍으로 형성되는 몸체 연장부; 상기 몸체 연장부의 직각 방향으로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몸체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몸체 고정부; 상기 몸체 연장부에 끼워져 수중에 있는 물의 힘에 의해 회전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부에 끼워져 상기 베어링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수중속으로 일부분만이 잠긴 상태로 방향성을 갖는 부력체부를 포함하는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은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하부와 상기 몸체 고정부가 교차하는 지점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몸체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몸체 고정부 및 고정 프레임부는 상기 물 위에 일부 떠있는 상기 부력체부의 상부에서 형성되고, 상기 몸체 연장부의 하부는 상기 부력체부의 일부분과 함께 수중속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은 상기 몸체 연장부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나란히 쌍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연장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은 교차 방향의 상기 연장체 고정부에 계류 고리부를 각각 끼운후 상기 계류 고리부를 통과한 계류 루프를 수면 또는 지면에 고정시키는 계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부력체부는 상기 베어링부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이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력체부의 좌,우 회전각은 1도 내지 10도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에 있는 물의 힘에 의해 회전되는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부력체부의 구조로 인하여, 물의 저항을 최소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동성이 적은 태양광의 입사각을 통해 발전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물의 저항을 적게받도록 부력체마다 각기 다르게 고정시키게 되면 시공 시간과 설치 비용이 증가되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의 저항을 최소할 수 있도록 부력체의 좌우 회전력을 줌으로써 다양한 수상 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시공 시간을 줄이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구조물, 예컨대 프레임 몸체부, 몸체 고정부 및 고정 프레임부를 일부 수중위에 존재하는 부력체 상단에 설치하므로 물에 잠기지 않게 되어 지지 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태양 전지 모듈에 대응하여 쌍으로 이루어져 공간이 비고 하부가 개방된 삼각형 형태의 지지 구조물로 인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의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 구조물(100)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몸체 구조(10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부(150)의 회전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 구조물(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 구조물(100)을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태양광 구조물(100)은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범위안으로 유동성을 최소화하고, 지지 구조물의 설계 구조를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프레임 몸체부(110), 몸체 연장부(120), 몸체 고정부(130), 베어링부(140), 부력체부(150), 고정 프레임부(160), 연장체 고정부(170) 및 계류 연결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몸체부(110)는 하부가 개방됨에 따라 빈공간(102)을 갖는 제1 삼각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삼가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제1 삼가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에 구비된 경사면(113)에 태양 전지 모듈(101)을 배치시키는 구조를 가질수 있다.
상기 제1 삼각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의 경사면(113)에 배치되는 태양 전지 모듈(101)은 상기 태양 전지 모듈(101)은 복수개가 제1 삼각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의 경사면(113)에 격자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한쌍의 경사면(113)에 하나의 태양 전지 모듈(101)이 마련되는 것을 일례로서 나타내었지만, 태양광 발전 용량에 따라 배치 구조와 태양 전지 모듈(10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태양 전지 모듈(101)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격자 구조의 패턴으로도 복수개로 결합될 수 있고, 인접하는 다른 태양 전지 모듈과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태양 전지 모듈(101)에 바람 또는 적설과 같은 외력 발생 시, 바람과 적설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태양 전지 모듈과 높이차가 발생하도록 높낮이를 달리하여 배치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몸체 연장부(120)는 제1 삼각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의 하부에 연장되어 쌍으로 형성되는 구조로서, 제1 삼각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의 하부에 연장되면 4개의 프레임이 제1 삼각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의 하부들에 형성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몸체 고정부(130)는 앞서 설명한 몸체 연장부(120)의 직각 방향으로 제1 삼각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프레임 몸체부(11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란하게 한쌍으로 구비된 몸체 고정부(130)의 길이는 이웃하고 있는 다른 수상 태양광 구조물 중 앞서 설명한 제1 삼각형 형상과 제2 삼각형 형상 의 개수만큼 연장되어 상기 제1 삼각형 형상과 제2 삼각형 형상의 하부에서 동일하게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부(140)는 앞서 설명한 몸체 연장부(102)에 끼워져 수중에 있는 물의 힘(조력)에 의해 회전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어링부(140)는 볼 또는 롤러를 구비하여 조력에 의해 몸체 연장부(102)로부터 미끄러져 회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갖지 않고 다른 형태의 베어링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몸체 연장부(102)와 접촉하는 면을 조력에 의해 미끄러지도록 하여 회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 구조가 본 실시예에서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부(150)는 앞서 설명한 베어링부(140)에 끼워져 베어링부(14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수중속으로 일부분만이 잠긴 상태로 방향성을 갖는다. 즉, 수중에 있는 물의 힘, 예컨대, 물의 압력과 저항력과 같은 힘(흐름)이 발생할 경우 이에 맞게 베어링부(140)에 맞물린 부력체부(15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력체부(150)의 회전은 작용하는 물의 흐름(힘)에 따라 저항을 최소화하는 방향, 예컨대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부(140)의 좌,우 방향 회전으로 인하여, 앞서 설명한 지지 구조물들의 유동을 막을 수 있어 태양 전지 모듈(101)의 입사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기존의 유동이 심한 지지 구조물에 비하여 태양광 발전량을 본 실시예에서는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프레임부(160)는 앞서 설명한 제1 삼각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의 하부들과 몸체 고정부(130)가 교차하는 지점에 나란히 형성되어 몸체 고정부(1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바다 바람과 같은 압력이 작용하여도 태양 전지 모듈(101)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의 뒤틀림 현상등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부(160)는 제1 삼각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의 하부들과 몸체 고정부(130)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제1 삼각형 형상(111)과 제2 삼각형 형상(112)의 하부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몸체 고정부(13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더욱더 뒤틀림 현상등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몸체 고정부(130) 및 고정 프레임부(160)는 물 위에 일부 떠있는 부력체부(150)의 상부에서 위치하기 때문에 물에 잠기는 구조물의 부분을 최소화하므로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앞서 설명한 몸체 연장부(120)는 상단이 몸체 고정부(130) 및 고정 프레임부(160)와 마찬가지로 부력체부(150)의 상부에 형성되지만 하단이 부력체부(150)의 일부분과 함께 수중속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속에 잠기는 지지 구조물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장체 고정부(170)는 몸체 연장부(120)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나란히 쌍으로 고정되어 형성된다. 즉, 쌍으로 구비되는 연장체 고정부(170)의 일단은 제1 삼각형 형상(111)에서 연장된 몸체 연장부(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 삼각형 형상(112)에서 연장된 몸체 연장부(120)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앞서 설명한 프레임 몸체부(110) 및 몸체 연장부(120) 구조와 일체로 이룰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계류 연결부(180)는 앞서 설명한 연장체 고정부(170)의 대략 중심 부근에 계류 고리부(181)를 각각 끼운후 계류 고리부(181)를 통과한 계류 루프(182)를 수면 또는 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계류 연결부(180)가 연장체 고정부(170)의 대략 중심 부근에 고정되면, 앞서 설명한 지지 구조물의 유동을 줄이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위와 같은 계류 연결부(170)가 구비되면, 앞서 설명한 부력체부(150)를 안정적으로 수중상에 위치시켜 띄울 수 있는데 매우 도움을 준다.
한편, 앞서 설명한 프레임 몸체부(110), 몸체 연장부(120) 및 연장체 고정부(170)가 상호간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체의 지지 구조물 형상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몸체 구조(10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물의 지지 몸체 구조(100A)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몸체부(110), 몸체 연장부(120) 및 연장체 고정부(170)가 일체로 제작되어 경량화된 지지 구조물임에도 불구하고, 태양 전지 모듈(101)과 부력체부(150)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어 수상에서도 균형을 유지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부력체부의 회전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부(150)의 회전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부(150)는 물의 압력과 저항력과 같은 힘(흐름)이 발생할 경우에 물의 힘으로부터 베어링부(140)와 함께 좌 또는 우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부(150)의 좌,우 회전각은 각각 1도 내지 10도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1도 이하면, 물의 힘에 의한 저항력에 따라 지지 구조물과 함께 부력체부(150)가 방향성을 잃고 유동되기 때문에 태양광 입사량을 증대시킬 수 없기 때문이며, 10도 이상이면, 물의 흐름이 바뀔경우 바뀐 물의 흐름에 맞게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10도 이하의 범위안에서 부력체부(150)를 설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방향이 다른 물의 힘(흐름)이 발생하더라도 그에 맞게 부력체부(150)를 좌우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지지 구조물의 유동을 막을 수 있어 태양광 입사각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수상 태양광 구조물 101 ; 태양 전지 모듈
110 : 프레임 몸체부 111 ; 제1 삼각형 형상
112 : 제2 삼각형 형상 113 : 경사면
120 : 몸체 연장부 130 : 몸체 고정부
140 ; 베어링부 150 : 부력체부
160 : 고정 프레임부 170 : 연장체 고정부
180 : 계류 연결부 181 : 계류 고리부
182 : 계류 루프

Claims (8)

  1. 하부가 개방된 제1 삼각형 형상과 제2 삼각형 형상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하여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경사면에 태양 전지 모듈을 배치시키는 프레임 몸체부;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하부에 연장되어 쌍으로 형성되는 몸체 연장부;
    상기 몸체 연장부의 직각 방향으로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몸체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몸체 고정부;
    상기 몸체 연장부에 끼워져 수중에 있는 물의 힘에 의해 회전되는 베어링부; 및
    상기 베어링부에 끼워져 상기 베어링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수중속으로 일부분만이 잠긴 상태로 방향성을 갖는 부력체부;
    를 포함하는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 삼각형 형상의 하부와 상기 몸체 고정부가 교차하는 지점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몸체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고정부 및 고정 프레임부는,
    상기 물 위에 일부 떠있는 상기 부력체부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연장부의 하부는, 상기 부력체부의 일부분과 함께 수중속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연장부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나란히 쌍으로 고정되어 형성되는 연장체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교차 방향의 상기 연장체 고정부에 계류 고리부를 각각 끼운후 상기 계류 고리부를 통과한 계류 루프를 수면 또는 지면에 고정시키는 계류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부는,
    상기 베어링부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물의 저항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부의 좌,우 회전각은, 1도 내지 10도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KR1020140064456A 2014-05-28 2014-05-28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KR10155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456A KR101554146B1 (ko) 2014-05-28 2014-05-28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456A KR101554146B1 (ko) 2014-05-28 2014-05-28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146B1 true KR101554146B1 (ko) 2015-09-18

Family

ID=54248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456A KR101554146B1 (ko) 2014-05-28 2014-05-28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1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803A (ko) * 2016-06-30 2019-03-06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플로트, 플로트 집합체 및 플로트 집합체의 설치 방법
KR102038530B1 (ko) * 2019-06-27 2019-10-31 주식회사 모든솔라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448240B1 (ko) * 2021-06-09 2022-09-28 조승준 부력조립체
CN115225023A (zh) * 2022-09-20 2022-10-21 宁波欧达光电有限公司 一种漂浮式光伏电池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50B1 (ko) 2012-12-18 2013-09-25 김변수 수상 태양광발전 장치의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50B1 (ko) 2012-12-18 2013-09-25 김변수 수상 태양광발전 장치의 지지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2803A (ko) * 2016-06-30 2019-03-06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플로트, 플로트 집합체 및 플로트 집합체의 설치 방법
KR102355650B1 (ko) * 2016-06-30 2022-01-25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플로트
US11305849B2 (en) 2016-06-30 2022-04-19 Kyoraku Co., Ltd. Float, float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ing float assembly
KR102038530B1 (ko) * 2019-06-27 2019-10-31 주식회사 모든솔라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448240B1 (ko) * 2021-06-09 2022-09-28 조승준 부력조립체
CN115225023A (zh) * 2022-09-20 2022-10-21 宁波欧达光电有限公司 一种漂浮式光伏电池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093B1 (ko) 친환경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
Choi et al. A study on major design elements of tracking-typ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s
KR101541698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61846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US20130313831A1 (en) Hydroelectricity Generating Unit Capturing Marine Wave Energy and Marine Current Energy
KR101554146B1 (ko)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BR112018073762B1 (pt) Usina elétrica fotovoltaica flutuante, e método de instalação
JP2017005967A (ja) 水上太陽光発電装置
KR101134289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632004B1 (ko) 수상 태양광 구조물
KR101785579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232314B1 (ko) 수면 부상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94783B1 (ko) 수상 구조물
KR101578682B1 (ko) 방위각 안정화를 위한 수상 태양광 구조물
ES2960704T3 (es) Una planta de energía solar y método de instalar una planta de energía solar
KR102030065B1 (ko) 수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80018046A (ko) 부유식 수상 태양광 구조물
KR101124486B1 (ko) 하이브리드식 타원구형 태양광 발전기
KR20190123389A (ko) 파이프를 이용한 수상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61845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81741B1 (ko) 수상 태양광 발전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KR101561847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632001B1 (ko) 수상 태양광 구조물
KR101703125B1 (ko) 태양전지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부력체
KR102239490B1 (ko) 수상용 태양전지 모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