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803A - 플로트, 플로트 집합체 및 플로트 집합체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플로트, 플로트 집합체 및 플로트 집합체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803A
KR20190022803A KR1020197002683A KR20197002683A KR20190022803A KR 20190022803 A KR20190022803 A KR 20190022803A KR 1020197002683 A KR1020197002683 A KR 1020197002683A KR 20197002683 A KR20197002683 A KR 20197002683A KR 20190022803 A KR20190022803 A KR 2019002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solar panel
end side
fix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650B1 (ko
Inventor
타카야 니이미
요시노리 모토하시
쯔토무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30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069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50683A external-priority patent/JP68393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50681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20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50680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20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57014A external-priority patent/JP6979585B2/ja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70Waterborne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1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 F24S25/11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using shaped bodies, e.g. concrete elements, foamed elements or moulded box-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3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modules or their peripheral frames to 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3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modules or their peripheral frames to supporting elements
    • F24S25/632Side connectors; Base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3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modules or their peripheral frames to supporting elements
    • F24S25/634Clamps;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3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modules or their peripheral frames to supporting elements
    • F24S25/634Clamps; Clips
    • F24S25/636Clamps; Clips clamping by screw-thread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5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coupling adjacent support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profiles toge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25/6001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by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팽창과 수축을 억제하는 솔라 패널용 수지의 플로트를 제공한다.
(해결수단)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이며, 중공으로 형성된 환상 플로트부와, 상기 환상 플로트부 내에 설치된 주벽을 갖는 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부는 공기를 수용 가능한 이면벽이 표면벽 측을 향해 함몰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요부 내에서 적어도 이면벽의 일부가 상기 표면벽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플로트, 플로트 집합체 및 플로트 집합체의 설치 방법
본 발명은 솔라 패널용 플로트(float), 플로트를 연결한 플로트 집합체 및 그 플로트 집합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은 솔라 패널(태양전지 패널, 태양전지 모듈이라고도 칭한다)이 이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솔라 패널은 주로 건축물의 지붕과 벽면, 지면 등에 설치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유휴화 되고 있는 연못이나 호수 등의 수상에의 설치도 행하여지고 있다.
수상에 솔라 패널을 설치할 경우, 솔라 패널을 수상에 띄우기 위한 플로트가 사용되며, 그 플로트에 솔라 패널이 설치된다(특허문헌1,2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 특표 2014-511043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 특개 2015-217771호 공보
(제1관점)
플로트는 솔라 패널을 수상에 띄우는 부력을 얻기 위해 내부에 기체(공기 등)를 갖는 수지의 중공 형성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트는 솔라 패널에 태양광이 잘 들도록 양지 바른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태양광에 의해 플로트 내의 기체가 팽창하게 된다.
그러면 플로트 내의 기체의 팽창에 따라 플로트 자체도 팽창하려고 한다.
한편, 밤이 되면 기온이 떨어지기 때문에 팽창된 기체는 수축하고 그에 따라 팽창하고 있던 플로트도 수축하려고 한다.
또한, 더 긴 주기로 보면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 등의 영향으로도 플로트는 팽창 수축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플로트 자체는 날마다 팽창 수축을 반복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플로트의 솔라 패널을 장착하는 부분은 장착 부분의 강성이 크게 되어 있고, 장착용 장착 브래킷이 존재하는 것으로 다른 부분보다 강성이 높은 부분이기 때문에 플로트의 팽창 수축에 대한 추종성이 나쁘다.
따라서 솔라 패널을 장착할 부분은 응력 등이 집중되기 쉽고 솔라 패널을 장착하는 부분에 변형 등이 발생하거나 설치가 느슨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팽창과 수축을 억제한 솔라 패널용 수지의 플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관점)
특허문헌1에서는 플로트에 솔라 패널을 고정함에 있어서 엘라스토머제의 고정용 형재가 이용되고 있다.
이 고정용 형재에는 솔라 패널의 프레임을 협지(挾持)하는 홈이 설치되어 있고, 그 홈에 프레임의 가장자리가 삽입됨으로써 프레임을 탄성으로 협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플로트는 수상에 띄운 상태에서 솔라 패널을 설치하는 작업과 유지 보수 작업 등이 행해지는데, 플로트는 부력을 얻기 위해 내부에 기체(공기 등)를 갖는 수지의 중공 형성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솔라 패널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플로트에 올라탔을 때에 휨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그 휨의 영향으로 솔라 패널의 협지가 해제되도록 하는 방향(홈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솔라 패널의 고정이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강풍에 의해 솔라 패널이 부유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솔라 패널의 협지가 해제되도록 하는 방향(홈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솔라 패널의 고정이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하게 솔라 패널을 고정할 수 있는 플로트의 출현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안정하게 솔라 패널을 고정할 수 있는 솔라 패널용 수지의 플로트 및 그 플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3관점)
플로트의 모서리의 한 곳과 연결용 요소의 모서리 한 곳을 연결함으로써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이 되는 집합 플로트부로 하는 경우, 집합 플로트부의 모서리에만 고정용 고리부가 남게 된다.
그러면 집합 플로트부가 수상을 이동하지 않도록 앵커 로프를 고정용 고리부에 계류하는 것을 고려하면, 고정용 고리부가 집합 플로트부의 모서리의 네 곳 밖에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네 곳에 앵커 로프를 계류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집합 플로트부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그 이동을 억류하기 위한 힘은 앵커 로프와 앵커 로프가 연결된 고정용 고리부에 가해지게 되는데, 그 힘은 플로트의 집합수가 증가하여 집합 플로트부가 커지면 커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한편, 발전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태양열 패널의 설치수가 많은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플로트의 집합수를 늘리면 집합 플로트부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때 앵커 로프가 연결된 고정용 고리부와 앵커 로프가 파손될 수 있다.
그리고 집합 플로트부의 모서리만 앵커 로프로 계류된 상태에서는 그 중 두 곳의 앵커 로프 또는 앵커 로프가 연결된 고정용 고리부에서 파손이 발생하면 집합 플로트부를 제자리에 계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여기서, 네 곳에서 집합 플로트부를 억류하고 있을 경우, 한 곳을 억류하기 위해 필요한 힘은 전체의 25%를 분담하고 있는 것인데, 그 중 한 곳이 파손되어 세 곳이 되면 한 곳을 억류하기 위해 필요한 힘은 전체의 33%의 힘을 받게 되어 앵커 로프와 앵커 로프가 연결된 고정용 고리부에 걸리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앵커 로프와 앵커 로프가 연결된 고정용 고리부의 한 곳이라도 파손되어 세 곳으로 되자 마자 남은 앵커 로프와 앵커 로프가 연결된 고정용 고리부가 파손될 확률이 대폭 상승하기 때문에 집합 플로트부를 안정하게 계류하는 것이 불안해지고, 더 안정하게 집합 플로트부를 계류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또한 집합 플로트부가 설치되는 장소의 지형(예를 들어, 연못이나 호수의 바닥 지형)에 따라 반드시 집합 플로트부 네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앵커 로프를 연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집합 플로트부에서 앵커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장소의 자유도가 높은 것도 기대된다.
본 발명의 제3관점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집합 플로트부로 할 때,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하는 장소의 자유도가 높은 집합 플로트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안정하게 계류할 수 있는 집합 플로트부를 형성할 수 있는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4관점)
솔라 패널로 발전한 전력은 연못이나 호수 등의 수상에서 소비하는 것이 아니므로 수상에 설치된 솔라 패널과 육상의 시설(축전 시설과 송전 시설) 사이를 전력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칭한다) 등으로 연결해야 한다.
이 경우, 연못이나 호수의 바닥을 따라 수상에 설치된 솔라 패널 측에서 육상까지 케이블을 부설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부설하는 것은 해저 케이블에서 행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케이블의 자중에 의해 케이블이 오랫동안 열화하여 파손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수상에 설치된 솔라 패널 측에서 육상에 있는 시설까지 직선으로 연결되도록 케이블을 부설하는 경우보다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블이 수중에 부설되면 케이블의 보수 점검에 손이 많이 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4관점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설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수 점검 등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는 플로트 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5관점)
태양광 발전에서는 솔라 패널의 방향이 중요하며, 솔라 패널을 태양에 추적시키는 것으로 발전 효율이 대폭 상승한다. 그래서 태양추적장치를 갖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각 방면에서 검토되고 있지만, 대규모인 것이 많고, 막대한 설비 투자가 필요하다. 또한 태양추적을 위해 많은 발전 전력을 소비해 버려, 반드시 발전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는것이 아니라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이면서 태양추적이 가능하며, 막대한 설비 투자가 불필요하고, 태양추적을 위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르면,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이며, 중공으로 형성된 환상 플로트부와, 상기 환상 플로트부에 설치된 주벽(周壁)을 갖는 요부(凹部)를 구비하고, 상기 요부는 공기를 수용 가능하게 이면벽이 표면벽 측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요부 내에서 적어도 이면벽의 일부가 상기 표면벽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르면, 팽창과 수축을 억제하는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면벽과 상기 표면벽을 아울러 형성된 상기 솔라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환상 플로트부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연결되는 한 개의 변을 힌지로 하여 상기 표면벽 측에 일으켜지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요부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일으켜진 상기 지지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환상 플로트부의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부는 상기 지지부에 따른 방향의 양단과 중앙에 상기 표면벽 측에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과, 상기 지지부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을 잇는 상기 표면벽 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홈상의 오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요부가 상기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 선단 부분에서 상기 이면벽과 상기 표면벽이 일체화되어 있는 한편, 상기 홈상의 오목부분에서는 상기 이면벽과 상기 표면벽이 일체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벽은 상기 요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인 상기 요부의 거의 끝의 위치로부터 상기 요부에서 분리하는 측을 향해 설치된 이면벽 측에 접근하는 경사부와, 상기 요부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부의 단부로부터 일으켜지도록 설치되고, 솔라 패널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벽은 적어도 상기 요부 상의 위치로부터 상기 경사부에 걸쳐 홈부가 설치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경사부 측의 선단이 상기 경사부에 거의 단차가 없도록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르면,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이며, 솔라 패널의 타단측을 고정하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과 타단측에 설치되고,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장착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적어도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측이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하측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 브래킷은 솔라 패널에 계합 또는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르면, 안정하게 솔라 패널을 고정할 수 있는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 및 그 플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상기 장착부에 고정하는 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타단측이 상기 장착부에 고정된 상측 브래킷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측 브래킷은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을 하측 브래킷 측에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하측 브래킷과 협지하고, 상기 상측 브래킷의 상기 타단측과 상기 하측 브래킷의 타단측이 상기 나사에 의해 상기 장착부에 함께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측 브래킷에는 일단측에 U자형의 후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측 브래킷은 상기 솔라 패널에 설치되는 상기 후크부가 계합 할 수 있는 계합부에 상기 후크부가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 솔라 패널에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이며, 타단측에 설치되고, 솔라 패널의 타단측을 받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근방의 타단측에 설치된 상기 솔라 패널을 고정하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장착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이면벽이 표면벽 측에 함몰하여 주벽부를 갖는 제1요부와 표면벽이 이면벽 측에 함몰하여 너트를 수용 고정하는 너트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 수용부는 이면벽 측이 되는 저부가 상기 제1요부의 표면벽 측이 되는 저부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타단측 가까이에 설치되고,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상기 표면벽이 이면벽 측에 접근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경사부의 타단측의 단부에서 상기 표면벽이 상기 이면벽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일으켜진 입벽부이고, 상기 제1요부의 상기 주벽부는 상기 입벽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입벽부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받침부에 따른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상기 너트 수용부와, 상기 너트 수용부를 잇는 직선보다 타단측이고, 상기 받침부에 따른 방향에서의 상기 너트 수용부 사이의 위치에 상기 제1요부의 저면에서 나아가 상기 표면벽 측에 함몰되는 제2요부을 구비하고, 상기 제2요부의 표면벽 측이 되는 저부가 상기 표면벽과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받침부에 따른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는 상기 너트 수용부에 고정되는 귀목 너트(rasp-cut nut)와 상기 귀목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고정하는 나사와, 상기 나사에 의해 나사 고정되는 상기 솔라 패널을 고정하는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브래킷,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브래킷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 브래킷 및 상기 상측 브래킷의 타단측이 상기 나사에 의해 상기 귀목 너트에 함께 고정됨으로써, 상기 솔라 패널의 하측과 상측을 고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브래킷은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을 하측 브래킷 측에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하측 브래킷과 협지하고 상기 하측 브래킷은 일단측에 U자형 후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측 브래킷은 상기 솔라 패널에 설치되는 상기 후크부가 계합할 수 있는 계합부에 상기 후크부가 계합함으로써 상기 솔라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솔라 패널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상기 솔라 패널의 일단측을 고정하는 일단측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면벽과 상기 표면벽을 따라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일단측의 변 이외의 변이 절단되고, 일단측의 모서리를 힌지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표면벽 측에 일으켜지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상기 힌지와 대향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일으켜진 상태에서 일단측을 향해 상기 지지부의 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을 협지하는 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협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거리가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해 슬라이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타단측에 솔라 패널의 타단측을 받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근방에 설치된 상기 솔라 패널을 고정하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장착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장착부는 표면벽을 이면벽 측으로 함몰시켜 형성된 너트를 수용 고정하는 너트 수용부의 이면벽 측으로 되는 저부가, 이면벽을 표면벽 측에 함몰시켜 형성된 주벽부를 갖는 제1요부의 표면벽 측으로 되는 저부에 일체화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르면,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로서, 개구부를 갖는 환상 플로트부와, 상기 개구부의 근방에 설치되고, 표면벽과 이면벽을 아울러 구성된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는 계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르면, 집합 플로트부일 때,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하는 장소의 자유도가 높은 집합 플로트부로 할 수 있고, 또한 안정하게 계류를 실시할 수 있는 집합 플로트부로 할 수 있는 솔라 패널용 수지의 플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표면벽과 이면벽을 아울러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측의 내벽면에 연결되는 변을 힌지로 상기 개구부를 개구시키도록 상기 표면벽 측에 일으켜진 솔라 패널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류부가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힌지와 대향하는 변 측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의 일단측을 협지하는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과,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의 가장자리의 양단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이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막도록 상기 지지부를 넘어뜨릴 때, 상기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의 일부를 받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상기 힌지에 대향하는 측이고, 상기 지지부가 일으켜진 상태에서 일단측을 향한 상기 지지부의 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을 협지하는 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가 일으켜진 상태에서 일단측을 향한 상기 지지부의 면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류부가 상기 플로트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류 부재를 고정하는 아이 볼트(eyebolt)와, 상기 아이 볼트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계류부는 아이 볼트를 통과하는 제1관통공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류부의 상기 표면벽 측 또는 상기 이면벽 측에 배치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을 고정하는 한 쌍의 제1볼트와, 상기 제1볼트에 나사 결합하는 한 쌍 제1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계류부는 상기 제1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상기 제1볼트를 통과시키는 한 쌍의 제2관통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고정판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아이 볼트 및 상기 제1볼트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계류부에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의 가장자리를 따른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표면벽을 상기 이면벽 측에 테이퍼 형상으로 함몰시킨 테이퍼부를 가지며, 상기 제1고정판이 상기 이면벽 측에 배치될 때 상기 테이퍼부를 덮도록 상기 계류부의 상기 표면벽에 설치되는 제2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고정판은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아이 볼트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르면, 솔라 패널용 플로트를 연결한 플로트 집합체이며, 상기 플로트를 선상으로 연결한 선상 플로트부를 갖는 잔교와, 상기 플로트를 연결하여 형성된 솔라 패널을 배치하는 집합 플로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잔교는 기단부의 상기 플로트가 직접 상기 집합 플로트부의 상기 플로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집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르면 부설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수 점검 등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는 플로트 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를 연결한 플로트 집합체로서, 상기 플로트를 선상으로 연결한 선상 플로트부를 갖는 잔교와, 상기 플로트를 연결하여 형성된 솔라 패널을 배치하는 집합 플로트부와, 상기 플로트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집합 플로트부와 상기 잔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플로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플로트부는 폭 방향의 상기 플로트의 수가 상기 잔교의 폭 방향의 상기 플로트의 수보다 많고, 상기 연결 플로트부가 연결되는 집합 플로트부의 변의 플로트의 수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플로트부는 폭 방향의 상기 플로트의 수가 상기 잔교 측으로부터 상기 집합 플로트부 측을 향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교는 병치된 복수의 상기 선상 플로트부를 가지며 인접한 상기 선상 플로트부가 통로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교는 3개 이상의 상기 선상 플로트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를 연결하여 형성된 솔라 패널을 배치하는 집합 플로트부와, 상기 플로트를 선상으로 연결한 선상 플로트부를 갖는 잔교를 구비한 플로트 집합체의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잔교가 북측 또는 남측에 위치하도록 집합 플로트부에 상기 잔교를 연결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플로트에 솔라 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플로트에서 솔라 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플로트의 상측을 본 도면이며,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플로트의 하측을 본 도면이며,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지지대가 일으켜진 상태를 나타내는 플로트의 상측을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지지대가 일으켜진 상태를 나타내는 플로트의 하측을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A-A선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 및 도 4에서 화살표C로 가리킨 장착부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8A는 표면벽 측을 본 확대 사시도이고, 도 8B는 이면벽 측을 본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장착부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9A는 도 8의 Y-Y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8의 X-X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플로트를 통로 조인트로 연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솔라 패널의 타단부 측의 고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B 및 도 4B의 D-D선에 따른 D-D선 단면도이며, 도 12A는 아이 볼트 등의 계류 부재를 고정하는 부품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B는 아이 볼트의 링이 이면벽 측에 위치하도록 아이 볼트 등의 계류 부재를 고정하는 부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C는 아이 볼트의 링 표면벽 측에 위치하도록 아이 볼트 등의 계류 부재를 고정하는 부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개구부의 개폐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플로트를 연결한 플로트 집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플로트 집합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솔라 패널에서의 케이블의 부설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케이블의 부설 형태에 맞춘 구성을 갖는 플로트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서 도 18A 내지 도 18E는 각각 변형예에 따른 플로트 집합체에의 견인용 로프의 연결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 한다)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설명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에 솔라 패널(50)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플로트(10)에서 솔라 패널(5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 플로트(10)의 솔라 패널(50)이 설치되는 측을 상측이라 하고 플로트(10)의 수면에 설치되는 측을 하측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솔라 패널(50) 등에서도 수면 측이 되는 측을 하측이라 부르고 수면 측과 반대측이 되는 측을 상측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는 나중에 설명하듯이 다수의 플로트(10)가 통로 조인트(60)(도 10 참조)로 연결되어, 솔라 패널(50)을 설치하는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는 수천개(예를 들어, 많은 것은 1만개)의 플로트(10)가 집합하는 부분이며, 그 집합 플로트부(120)에 사용되는 플로트(10) 중 일부 플로트(10)에는 솔라 패널(50)을 설치하지 않고, 솔라 패널(50)의 보수 점검을 할 수 있는 통로로 되어 있다.
또한 그 통로는 솔라 패널(50)의 케이블을 부설하는 데에도 이용되고 있다.
한편,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는 솔라 패널(50)의 발전 효율이 좋은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바람 등의 영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솔라 패널(5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통로 등으로 사용되는 플로트(10)를 이용하여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계류할 수 있도록 플로트(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계류할 수 있는 구성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 집합체(100)(도 14 참조)는 상술한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뿐만 아니라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10)를 잘 활용하여 집합 플로트부(120)에서 육상에 있는 시설까지 케이블을 부설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는 솔라 패널(50)을 설치하는 플로트로서도, 통로 등을 구성하는 플로트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먼저 솔라 패널(50)을 설치하는 경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에, 통로 등으로 사용되며 계류 부재가 계류되는 플로트로 사용되는 경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플로트(10)로서의 설명이 끝난 후 플로트 집합체(100)(도 14 참조)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는 도 1과 같이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솔라 패널(50)의 짧은 변 측을 경사시키도록 지지하고, 예를 들어, 연못이나 호수 등의 수상에 솔라 패널(50)을 설치할 수 있는 솔라 패널용 플로트이다.
(솔라 패널 설치 개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10)는 솔라 패널(50)의 한 쌍의 긴 변 측 중의 일단부(51)(일단부(51) 측을 일단측이라고도 함)를 지지하는 지지부(11)와, 솔라 패널(50)의 다른 한편의 긴 변 측의 타단부(52)(타단부(52) 측을 타단측이라고도 함)를 받치는 받침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11)의 높이가 솔라 패널(50)의 발전 효율을 고려하여 솔라 패널(50)이 적절한 경사 상태로 설치되도록 설계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라 패널(50)의 일단부(51)는 지지부(11)에 지지되는 알루미늄 받침대(5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받침대(53)가 지지부(11)에 지지된다.
한편,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플로트(10)는 솔라 패널(50)의 일단부(51) 측(일단측)을 지지부(11)에 고정하는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솔라 패널(50)이 이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과 지지부(11) 사이에 끼워져 협지됨으로써 고정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1에는 솔라 패널의 프레임을 협지하는 홈이 설치된 엘라스토머의 고정용 형재(形材)를 플로트에 장착하고, 그 고정용 형재에 솔라 패널의 프레임의 엣지를 탄성적으로 협지시켜 플로트에의 솔라 패널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예의 경우, 강풍 등에 의해 솔라 패널이 부유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솔라 패널의 협지가 해제되는 방향(홈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면 솔라 패널의 고정이 풀려져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금속 고정 브래킷(13)을 이용함으로써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에 의한 협지와 달리 더 견고하게 솔라 패널(50)을 협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에도, 일단부(51)에 설치되어 있는 알루미늄 받침대(53)와 동일한 알루미늄 받침대(5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플로트(10)는 받침부(12)에 받쳐지는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타단측)을 플로트(10)에 고정하는 2개의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에 의해, 솔라 패널(50)의 타단측이 플로트(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타단측)에서도 금속 고정 브래킷(14)을 이용함으로써, 엘라스토머 등에 의한 탄성에 의한 협지와 달리 더 견고하게 솔라 패널(50)을 협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에도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두 개의 받침대(54) 사이의 위치에도 받침대를 설치하여 세 개의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을 이용하여 세 곳에서 고정하도록 하여도 되고, 이렇게 하면 더 강력하게 안정한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타단측)을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플로트(10)에 장착 시, 솔라 패널(50)에 받침대(53), (54)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플로트의 전체 구성)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플로트(10)에 대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플로트(10)의 상측을 본 도면이며,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평면도이고, 도 4는 플로트(10)의 하측을 본 도면이며, 도 4A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A에 대응하는 도면, 즉 플로트(10)의 상측을 본 사시도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1)가 일으켜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A에 대응하는 도면, 즉 플로트(10)의 하측을 본 사시도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11)가 일으켜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지지부(11)에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을 임시 고정한 상태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플로트(10)는 예를 들어, 용융 상태의 원통형 파리손(Parison)을 복수의 분할 금형에 끼워 부풀리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성형 재료에는 각종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플로트(1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외형이 직사각형 모양(장방형 모양)을 하고, 도 3A 및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팅 라인PL을 포함하는 측벽부(15)와, 상측에 위치하는 표면벽(16)(도 3A 참조)과 하측에 위치한 이면벽(17)(도 4A 참조)을 갖고 내부에 기체(공기 등)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지부 및 개구부)
도 3A 및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10)는 이면벽(17)과 표면벽(16)을 아울러 구성된 솔라 패널(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해칭 부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4는 지지부(11)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으켜지기 전에 상태가 표시되며, 이 지지부(11)의 주위의 일단측의 변(24) 이외의 세 변(21, 22, 23)이 절단되고, 일단측의 변(24)을 힌지로 개구부(26)(도 5 및 도 6 참조)를 형성하도록 표면벽(16) 측(솔라 패널(50)이 배치되는 측)에 일으켜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개구부(26)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상 플로트(30)(해치 부분 참조)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이 환상 플로트(30)는 중공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부력을 발생시키는 기체(공기 등)가 존재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라 패널(50)을 설치할 때 힌지가 되는 변(24) 측의 개구부(26)의 내벽면(25)(도 3A 참조)에 당접하도록 지지부(11)가 표면벽(16) 측에 일으켜지고, 힌지로 되는 일단측의 변(24)과 대향하는 측의 변(22) 측에 솔라 패널(50)의 일단측의 하측이 지지되도록 솔라 패널(50)이 설치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1)의 힌지가 되는 일단측의 변(24)과 대향하는 측의 변(22) 측에는 솔라 패널(50)의 일단부(51) 측을 받치는 받침 리브(22a)(점선 부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받침 리브(22a)의 부분은 이면벽(17)을 표면벽(16) 측에 가까이하여 단차 구조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며, 솔라 패널(50)의 플로트(10)에 설치할 때, 솔라 패널(50)의 일단부(51) 측이 받쳐질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솔라 패널(50)의 일단부(51) 측이 지지부(11)를 넘어 일단측에 어긋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1)를 구성하면 지지부(11)의 근방에는 개구부(26)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개구부(26)의 내벽면이 구조적인 휨을 억제하는 벽면이므로 휨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지지부(11)가 힌지 구조로 플로트(10)의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플로트(10)에 휨이 발생해도 지지부(11)는 그 영향을 받기 어렵고, 또한 지지부(11)가 이면벽(17)과 표면벽(16)을 너무 이격시키지 않고 맞추게 하고 강성이 증가된 부분일 수도 있기에, 휨의 영향으로 변형을 초래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에서 고정 작업을 위해, 그 고정 작업을 진행하는 플로트(10) 근처의 통로 조인트(60)(도 10 참조)에 작업자가 있거나 그 고정 작업을 진행하는 플로트(10) 위에 작업자가 발을 올리거나 하여 작업자의 체중 등의 영향으로 플로트(10)에 응력이 가해지는 상황에도 지지부(11)는 플로트(10)의 휨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으로 플로트(10)의 일단부(51) 측(일단측)을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플로트(10)의 휨의 영향으로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의 장착이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은 후술하는 장착부(19)(도 2 참조)에 고정되는데, 이 장착부(19)에 휨 등이 발생하면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의 고정 작업이 하기 어려운 불충분한 고정으로 되고, 일단 제대로 고정되어도 유지 보수 작업에서 작업자가 근처를 통과하거나 기타 여러 요인으로 장착부(19)에 반복적으로 휨 등이 발생하면, 그 사이에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의 고정이 느슨해지는 것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19) 자체는 휨이 일어나기 어렵도록 하고 있지만, 플로트(10) 자체의 강성도 높이게 함으로써, 플로트(10) 자체의 휨의 발생을 경감하고 나아가, 장착부(19)에 휨을 발생시키는 응력이 가해지기 어렵도록 한다. 다음,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플로트의 휨 억제 구조)
도 6은 지지부(11)가 보이지 않지만, 지지부(11)가 위치하는 곳에 화살표로 지지부(11)의 부호를 나타내고, 도 1에 나타낸 지지부(11)에 따른 방향(도 1의 Z축 참조)과 같은 방향을 Z축으로 나타내고 있다.
플로트(1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6)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부력을 발생시키는 기체(공기 등)를 내부에 갖는 환상 플로트(30)(도 5의 해치 부분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환상 플로트부(30) 내에는 개구부(26)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11)와 반대측의 위치에 주벽을 갖는 요부(4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요부(40)는 이면벽(17)을 표면벽(16) 측을 향해 함몰하도록 성형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A-A선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며, 도 7에서 상측은 플로트(10)의 표면벽(16) 측이며, 하측은 이면벽(17) 측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도 도 6과 같이 도 1에 나타낸 지지부(11)에 따른 방향(도 1의 Z축 참조)과 동일한 방향을 Z축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40)는 지지부(11)에 따른 방향(Z축 참조)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표면벽(16) 측에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과 다른쪽의 단부에 설치된 표면벽(16) 측에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2)과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과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표면벽(16) 측에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3)을 구비하고 있다.
즉, 요부(40)는 지지부(11)에 따른 방향(Z축 참조)의 양단 및 중앙 표면벽(16) 측에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 4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요부(40)는 지지부(11)에 따른 방향(Z축 참조)에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 43)을 잇는 표면벽(16) 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40)는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 43)의 선단 부분에서 이면벽(17)과 표면벽(16)이 일체화되어 있는 반면, 홈상의 오목부분(44, 45)에서는 이면벽(17)과 표면벽(16)이 일체화되어 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요부(40)를 설치하도록 하면, 이 요부(40)의 주벽이 강성을 강화하는 리브로서의 역할을 하여 플로트(10)에 휨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의 표면벽(16) 측인 저부를 표면벽(16)에 일체화되지 않도록 하여 기체(공기 등)가 유통할 수 있는 유로로 하는 것으로, 블로우 성형을 할 때 성형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이 요부(40)에 의해 환상 플로트부(30) 내의 기체(공기 등)를 수용하는 용적이 감소하지만, 이 요부(40)가 이면벽(17)을 표면벽(16) 측에 함몰시켜 이면벽(17) 측에 개구하는 주벽을 갖는 요부(40)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수면에 플로트(10)를 배치할 때, 부력의 일단을 담당하는 공기들로 되기 때문에 플로트(10) 내의 기체(공기 등)의 용량이 감소하는 것에 따른 부력의 감소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플로트(10)는 솔라 패널(50)의 발전 효율이 좋아지도록 양지 바른 장소에 설치되므로 낮 기온이 높을 때에는 플로트(10)의 기체(공기 등)가 팽창하여 야간의 기온이 저하되면 팽창한 플로트(10) 내의 기체(공기 등)가 수축하고 이에 따라 플로트(10) 자체도 팽창 수축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팽창 수축은 플로트(10) 위에 작업자가 타는 것에 의한 휨(변형)은 원인이 다르지만 역시 휨(변형)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부(4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환상 플로트부(30) 내에 수용되는 기체(공기 등)의 총량이 감소하여 있기 때문에, 기체(공기 등)의 팽창 수축력이 작게 되어 있어 밤낮의 온도차로 인한 플로트(10)의 휨(변형)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요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 43)의 선단 부분에서 이면벽(17)과 표면벽(16)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기체(공기 등)가 팽창하여도 표면벽(16)과 이면벽(17)이 이격하도록 움직이지 않고, 반대로 내부의 기체(공기 등)가 수축 할 경우에도 표면벽(16)과 이면벽(17)이 가까워 지도록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한 층 더 휨(변형)을 억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요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성을 높이는 보강 리브의 효과를 발휘하지만, 이면벽(17)을 표면벽(16) 측에 함몰시켜 성형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가 그 만큼 얇아지고 성형시에 핀 홀(pin hole)이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가장 표면벽(16) 측에 함몰된 부분이 되는 곳은 성형시에 국소적인 두께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원추대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6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 43)의 저변(개구 측)의 직경은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완만하게 경사진 얇은 두께로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40)에 인접한 이면벽(17)과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의 시작점 부근에서 얇은 두께에 의한 핀 홀의 발생을 고려하여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에 관해서는 요부(40)에 인접한 이면벽(17)에서 θ1(구체적으로는 110도)의 각도로 표면벽(16) 측에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3)은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의 표면벽(16) 측인 바닥에서 θ2(구체적으로는 145도)의 각도로 표면벽(16) 측에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3)의 선단 측이 일으켜지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도는 일례로서, θ1은 110±15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θ2는 145±15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40)의 중앙에 위치하는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3)의 이면벽(17)이 표면벽(16)에 일체화된 부분의 직경이 요부(40)의 양단에 위치한 두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오목부분(41, 42))의 이면벽(17)이 표면벽(16)에 일체화 된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환상 플로트부(30) 내에 이면벽(17)을 표면벽(16) 측에 함몰시키도록 형성된 요부(40)를 설치하도록 하여 플로트(10)의 부력이 희생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플로트(10) 내의 기체(공기 등)의 용량을 감소시켜 플로트(10)가 변형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기체의 팽창과 수축을 억제함과 동시에 구조적으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플로트(10) 자신의 휨(변형)의 발생이 억제되고, 장착부(19)에 휨을 발생시키는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장착부(19)의 휨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도 2 참조)의 고정이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을 형성하는 이면벽(17)을 표면벽(16)에 일체화되지 않을 정도의 오목부분로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 43)을 성형할 때, 요부(40) 내에 핀 홀이 발생하지 않도록 두께를 유지하는 설계로 할 수 있으며, 이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을 형성하는 이면벽(17)을 표면벽(16)에서 어느 정도 이격시켜 두거나, 즉,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을 어느 정도의 오목으로 하는 플로트(10)의 성형시의 핀 홀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결정하면 된다.
또한이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의 폭을 크게 하면 플로트(10) 내의 기체의 용적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요부(40) 자체는 수면 측에 개구하고 있는 것으로 수면이 뚜껑이 되어, 공기 등의 기체가 갇혀 있기 때문에 강한 바람 등으로 플로트(10)가 흔들리는 타이밍에서 그 요부(40) 내의 기체의 일부가 새어나갈 수 있다.
그러면 그만큼 플로트(10)의 부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런 일이 돌발적으로 일어난다고 해도 플로트(10)로써의 충분한 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은 표면벽(16) 측에의 오목부분이 얕게 형성되어 있는 곳이기 때문에 성형시의 핀 홀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폭이 작아도 핀 홀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의 폭을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 43)의 저변(개구 측)의 직경보다 작게하여 부력이라는 관점에서 플로트(10) 내의 기체의 용적이 지나치게 감소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벽(16)의 형상에 따라 플로트(10)의 휨(변형)을 억제하고, 플로트(10)의 휨의 영향으로 장착부(19)가 휘여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도 2 참조)의 고정이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다음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표면벽(16) 측에 주목하면, 도 3A의 A-A선의 부분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부(40)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벽(16)은 요부(40)를 사이에 두고 개구부(26)(도 5 참조)와 반대측인 요부(40)의 거의 끝의 위치(점선B 참조)에서 요부(40)에서 분리되는 측을 향해 이면벽(17) 측에 접근하는 플로트(10)의 타단측 가까이에 설치된 경사부(18)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부(18)는 솔라 패널(50)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기 쉬운 경사면을 구성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그 경사부(18)에는 홈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홈(35)을 설치하도록 하여 표면벽(16)이 요철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면, 이 요철 구조가 강성을 높이는 보강 리브로서의 역할을 하여 휨(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홈(35)은 요부(40)의 위치에 존재하도록 경사부(18)에서 개구부(26) 측에도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요부(40)의 이면벽(17)이 이와 같이 강성이 강화된 표면벽(16)에 대해 일체화되는 것으로, 또한 전체적인 강성이 높아져 한층 더 휨(변형)이 억제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홈(35)은 경사부(18) 측의 선단이 경사부(18)의 표면에 거의 단차가 없도록 해방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트(10) 위에 물이 고이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어 있다.
(솔라 패널의 일단측의 고정)
위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솔라 패널(50)은 솔라 패널(50)의 일단부(51) 측이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에 의해 지지부(11)에 고정되도록 하여 플로트(10)에 고정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은 힌지(도 3에 나타낸 변(24) 참조)와 대향하는 측(도 3에 나타낸 변(22) 측)이며, 지지부(11)가 일으켜진 상태에서 플로트(10)의 일단측을 향해 지지부(11)의 면(11a)에 고정되는 다른 쪽의 면을 갖는 고정부(13b)와, 고정부(13b)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고정부(13b)에서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지지부(11)와 솔라 패널(50)을 협지하는 한 쪽의 면을 갖는 협지부(13a)를 구비하는 L자형 앵글 모양의 고정 브래킷이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은 지지부(11)에 대응하여 4개의 나사(13c)에 나사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 중 중앙 쪽의 2개의 나사(13c)에 대응하여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에 설치된 나사(13c)를 통과시키는 나사 구멍은 상하 방향으로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중앙 쪽의 2개의 나사(13c)에서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을 지지부(11)에 임시 고정한 상태의 경우에는 협지부(13a)와 지지부(11) 사이의 거리가 변경 가능하게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을 지지부(11)에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을 지지부(11)에 임시 고정한 상태로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의 협지부(13a)와 지지부(11)의 사이에 솔라 패널(50)을 삽입하는 틈새가 생길 수 있도록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을 슬라이드시켜 그 틈새에 솔라 패널(50)을 삽입한 후, 솔라 패널(50)이 지지부(11)와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의 협지부(13a)에 의해 협지되도록 다시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을 슬라이드시켜 중앙 쪽의 2개의 나사(13c)를 정식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중앙 쪽의 2개의 나사(13c)를 정식 고정한 후, 외측의2개의 나사(13c)로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을 지지부(11)에 고정하면, 솔라 패널(50)의 일단부(51) 측(일단측) 플로트(10)에의 고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1)는 플로트(10)의 본체의 휨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의 협지부(13a)를 단단히 솔라 패널(50) 측으로 밀면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을 지지부(11)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휨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 작업도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이 지지부(11)에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 지므로 작업성이 좋다.
(솔라 패널의 타단측의 고정)
위에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했듯이, 솔라 패널(50)은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타단측)이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에 의해 플로트(10)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10)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을 장착하는 장착부(19)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은 도 3과 도 4에서 화살표C로 가리키는 하나의 장착부(19)의 주변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8A는 표면벽(16) 측을 본 확대 사시도이고, 도 8B는 이면벽(17) 측을 본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9는 장착부(19)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9A는 도 8의 Y-Y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8의 X-X선에 따른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9에서 상측이 표면벽(16) 측이며, 하측이 이면벽(17) 측이고 왼쪽이 플로트(10)의 중앙측이고, 우측이 플로트(10)의 단(端) 측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은 일단측이 솔라 패널(5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브래킷(14a)과 일단측이 솔라 패널(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브래킷(14b)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측 브래킷(14a) 및 상측 브래킷(14b)의 타단측이 나사(19ac)(도 11 참조)에 의해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을 장착하는 장착부(19)에 함께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측 브래킷(14a)과 상측 브래킷(14b)을 나사(19ac)(도 11 참조)에 의해 함께 고정하는 고정 형태로 만들어두면 하측 브래킷(14a)과 상측 브래킷(14b)은 나사(19ac)를 분리하는 것으로 플로트(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브래킷(14a)과 상측 브래킷(14b)을 플로트(10)에 고정할 때에도 나사(19ac)를 장착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하측 브래킷(14a)과 상측 브래킷(14b)이 개별적으로 플로트(10)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 비해, 하측 브래킷(14a)과 상측 브래킷(14b)의 장착 및 제거 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솔라 패널(50)이 고장났을 때, 새로운 솔라 패널(50)로 교환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19)에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의 나사(19ac)(도 11 참조)를 통과시키는 나사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면벽(16)이 이면벽(17) 측에 오목부분 너트를 수용 고정하는 한 쌍의 너트 수용부(19a)가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도 2 참조)을 받치는 받침부(12)에 따른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그 너트 수용부(19a) 내에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을 나사 고정하는 나사(19ac)(도 11 참조)가 나사 결합되는 귀목 너트(19ab)(도 11 참조)가 수용 고정된다.
또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19)에는 하측 브래킷(14a)이 배치되는 부분에 하측 브래킷(14a)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단차부가 설치되어 있고, 하측 브래킷(14a)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다른 도에서는 이 단차부의 도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이 장착부(19)에 대응하는 위치를 이면벽(17) 측에서 보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면벽(17)이 표면벽(16) 측에 함몰하여 주벽부(19b)를 갖는 제1요부(19c)가 설치되어 있다.
즉, 장착부(19)는 이면벽(17)이 표면벽(16) 측에 함몰하여 주벽부(19b)를 갖는 제1요부(19c)와 표면벽(16)이 이면벽(17) 측에 함몰하여 너트를 수용 고정하는 너트 수용부(19a)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있다.
또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요부(19c)보다 플로트(10)의 타단측(도 8B의 우측)에는 제1요부(19c)에 인접하여 요부(19f)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요부(19f)는 제1요부(19c)보다 약간 얕고 이면벽(17)을 표면벽(16) 측에 함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플로트(10)를 운반할 때 등 작업자가 플로트(10)를 잡을 때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플로트(10)를 안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플로트(10)를 수면 위로 운반하는 등의 운반 작업을 실시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분에 대한 단면 구조를 보면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 수용부(19a)는 이면벽(17) 측인 저부(19aa)가 제1요부(19c)의 표면벽(16) 측인 저부(19d)에 일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일체화를 실현하기 위한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을 하는 금형의 형상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부(19)는 보강 리브 역할을 하는 제1요부(19c)가 설치되는 동시에, 귀목 너트(19ab)(도 11 참조)를 수용하는 너트 수용부(19a)가 이면벽(17)에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휨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이 너트 수용부(19a)가 변형하여 수용 고정되는 귀목 너트(19ab)가 너트 수용부(19a)에서 빠져나오거나 할 수 없다.
또한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도 2 참조)을 받치는 받침부(12)에 따른 방향에서 한 쌍의 너트 수용부(19a) 사이의 위치(도 8의 X-X선의 위치)의 단면인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너트 수용부(19a)(도 8 및 도 9A 참조)를 잇는 직선보다 타단측에는 표면벽(16) 측에 함몰되는 제2요부(19e)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제2요부(19e)의 표면벽(16) 측인 저부(19ea)가 표면벽(16)과 일체화됨으로써 더욱 강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타단측)을 받치는 받침부(12)는 표면벽(16)과 이면벽(17)이 일체화 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받침부(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부(18)의 타단측의 단부에서 표면벽(16)이 이면벽(17)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일으켜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받침부(12)는 입벽부로써 형성되어 있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요부(19c)의 주벽부(19b)는 그 받침부(12)로써의 입벽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입벽부와 일체화되고 있다.
따라서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타단측)을 받치는 받침부(12)의 강성이 높아져 받침부(12)보다 플로트(10)의 중앙 가까이의 기체(공기 등)가 많이 존재하는 부분에서 기체의 팽창 수축이 발생하더라도 그에 따른 휨(변형)이 받침부(12)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장착부(19)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19)는 휨(변형) 자체가 일어나기 어렵도록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플로트(10)의 다른 부분에서 휨(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그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장착부(19)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 수용부(19a)가 변형되어 그 너트 수용부(19a) 내에 수용 고정되는 귀목 너트(19ab)(도 11 참조)가 너트 수용부(19a)에서 빠질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휨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장착부(19)에 설치되는 귀목 너트(19ab)(도 11 참조)에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이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을 하측 브래킷(14a)과 상측 브래킷(14b)으로 솔라 패널(50)을 상하로 사이에 두도록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더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솔라 패널(50)과 플로트(10) 사이에 강한 바람이 불거나 하면 솔라 패널(50)을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강한 힘이 가해지고 상측으로부터 솔라 패널(50)을 누르는 것만으로 고정하면 솔라 패널(50)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솔라 패널(50)의 하측 및 상측을 단단히 고정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위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 안정된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솔라 패널(50)은 플로트(10) 위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솔라 패널(50)의 일단부(51) 측은 타단부(52) 측보다 플로트(10)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바람 등은 솔라 패널(50)의 일단부(51) 측에서 솔라 패널(50)과 플로트(10) 사이에 침투한다.
한편,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은 플로트(10)와의 사이에 거의 틈이 없도록 플로트(10) 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솔라 패널(50)과 플로트(10) 사이에 침투한 바람은 그대로 빠질 수 없고,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을 들어올리도록 작용하고,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에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솔라 패널(50)의 상측에는 솔라 패널(50)의 유리 부분(50a)(도 2 참조)이 위치하기 때문에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의 상측 브래킷(14b)(도 2 참조)은 솔라 패널(50)에 나사 고정 등으로 고정되지 않고,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의 하측 브래킷(14a)(도 2 참조) 측에 솔라 패널(50)을 가압하도록 하고 하측 브래킷(14a)과 솔라 패널(50)을 협지하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바람 등의 영향으로 솔라 패널(50)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응력에 의해, 솔라 패널(50)이 상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힘에 의해 상측 브래킷(14b)과 하측 브래킷(14a)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자 상측 브래킷(14b)에 안정하게 솔라 패널(50)을 고정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하측 브래킷(14a)은 솔라 패널(50)에 설치된 받침대(54)에 나사 고정하는 것으로 솔라 패널(50)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솔라 패널(50)이 상측으로 움직이려고 해도 안정된 솔라 패널(5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안정된 솔라 패널(5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은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타단측)를 받치는 받침부(12)에 따른 방향의 플로트(10)의 양단의 위치에서 각각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에 의해 플로트(10)에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양단으로 고정하여 좌우로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된 고정을 실현할 수 있지만, 중앙에서 고정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플로트(10)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플로트(10)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관리 등을 할 때 통로가 되는 통로 조인트(60)에 연결되어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10)는 지지부(11)에 가까운 측의 플로트(10)의 제1단부(10a) 측으로 통로 조인트(60)(도 10 참조)에 계합하는 한 쌍의 계합 돌기부 (61)가 형성되어 있고, 통로 조인트(60)는 이면측에 그 계합 돌기부(61)에 계합하는 계합 요부(미도시)를 갖고 있다.
또한 플로트(10)는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타단측)을 받치는 받침부(12)에 가까운 측의 플로트(10)의 제2단부(10b) 측에 통로 조인트(60)를 연결하는 연결 볼트(62)를 통과시키는 볼트공(62a)(도 3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로트(1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10)의 제2단부(10b) 측의 일부와 제1단부(10a) 측의 일부를 거듭되게 할 때, 플로트(10)의 제1단부(10a) 측에도 제2단부(10b) 측의 볼트공(62a)에 대응한 볼트공(62b)(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로 조인트(60)는 그 볼트공(62a) 및 볼트공(62b)에 대응한 볼트공(63)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플로트(10)에 그 하나의 플로트(10)의 계합 돌출부(61)에 통로 조인트(60)가 계합되는 동시에 하나의 플로트(10)의 제1단부(10a) 측의 볼트공(62b)(도 1 참조)과 다른 하나의 플로트(10)의 제2단부(10b) 측의 볼트공(62a)과 통로 조인트(60)의 볼트공(63)을 연결 볼트(62)로 연결하도록 하여 다수의 플로트(10)가 통로 조인트(60)를 통해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로 조인트(60)는 하나의 플로트(10)와 다른 하나의 플로트(10)를 연결하는 부분에 플로트(10)의 정렬 방향(Z축 참조)과 직교하는 방향(W축 참조)에 대칭되게 한쌍 배치되고, 하나의 통로 조인트(60)(60A 참조)의 일단(60a)은 상술한 하나와 다른 하나의 플로트(10)에 연결되지만, 하나의 통로 조인트(60)의 타단(60b)은 다른 플로트(10)의 한 쪽과 다른 하나의 플로트(10)의 연결 부분에 연결된다.
또 한쌍의 설치된 다른 하나의 통로 조인트(60)(60B 참조)의 타단(60b)은 상술한 하나와 다른 하나의 플로트(10)에 연결되지만, 다른 하나의 통로 조인트(60)(60B 참조)의 일단(60a)은 다른 플로트(10)의 한 쪽과 다른 하나의 플로트(10)의 연결 부분에 연결된다. 이렇게하여 통로 조인트(60)를 통해 연달아 플로트(10)가 연결되고, 후술하는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통로 조인트(60)는 유지 보수 등의 경우에 사람이 걷는 부분이 되기 때문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플로트(10)의 강성이 낮으면 그 하중을 받는 것으로 플로트(10)가 변형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는 장착부(19)뿐만 아니라 플로트(10) 자체의 강성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하중을 받은 경우에도 휨(변형)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있어 통로 조인트(60)를 사람이 통과할 때, 흔들림 등이 일어나기 어렵고 걷기 쉽고 작업성이 향상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강성이 향상된 장착부(19)는 이러한 하중을 받은 경우에도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고,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을 통해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이 고정되는 장착부(19)가 변형을 초래하는 것이 피면되어 그 장착부(19)에 설치되는 귀목 너트(19ab)(도 11 참조)가 어긋나는 것도 억제되므로 안정된 솔라 패널(50)의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솔라 패널의 타단측의 고정 변형예)
위에서는 솔라 패널(50)에 설치된 받침대(54)(도 2 참조)에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의 하측 브래킷(14a)(도 2 참조)을 나사 고정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하측 브래킷(14a)을 받침대(54)에 나사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수면 위에 놓인 플로트(10)에서의 작업일 경우, 솔라 패널(50)의 하측에 위치하는 받침대(54)의 면에 하측 브래킷(14a)을 나사 고정하는 작업은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래서 다음에 설명하는 것을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타단측)의 고정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이 장착되는 장착부(19)의 귀목 너트(19ab)를 수용하는 한 쌍의 너트 수용부(19a)(도 3B 참조)의 하나의 너트 수용부(19a)를 횡단하도록 절단했을 때의 장착부(19) 주변의 일부 단면도이고, 솔라 패널(50)이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에 의해 플로트(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플로트(10) 측의 구성은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의 하측 브래킷(14a)의 구성이 다를 뿐, 그 밖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라 패널(50)에는 솔라 패널(50)의 유리 부분(50a)의 외주(50b)에 따라 설치된 유리 부분(50a)를 받치는 패널 받침부(55a)와, 솔라 패널(50)의 유리 부분(50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패널 받침부(55a)의 단부에서 유리 부분(50a)에 거의 평행하게 솔라 패널(50)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계합부(55b)를 구비한 프레임(5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14)의 하측 브래킷(14a)은 일단측을 상측으로 접는 것으로 형성된 U자형의 후크부(14aa)가 일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브래킷(14a)은 솔라 패널(50)에 설치되는 후크부(14aa)가 계합할 수 있는 계합부(55b)에 후크부(14aa)가 결합함으로써 솔라 패널(50)에 계합되도록 되어있다.
이렇게 하측 브래킷(14a)이 솔라 패널(50)에 계합하여 있으면, 바람 등의 영향으로 솔라 패널(50)이 상측으로 움직이려고 해도 하측 브래킷(14a)이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변형예의 경우, 나사 고정 등을 실시하지 않고, 후크부(14aa)를 계합부(55b)에 계합시키는것 만으로 하측 브래킷(14a)을 솔라 패널(50)에 장착하는 작업의 작업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후크부(14aa)에 대응하는 솔라 패널(50) 측의 구조(계합부(55b))를 솔라 패널(50)에 설치되는 프레임(55)이 갖도록 하고 있지만, 상술한 받침대(54)에 같은 구조(계합부(55b))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 플로트(10)의 솔라 패널(50)을 설치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일례인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위에서는 요부(40)가 지지부(11)에 따른 방향의 양단 및 중앙 표면벽(16) 측에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 43)과 지지부(11)에 따른 방향에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41, 42, 43)을 잇는 표면벽(16) 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홈상의 오목부분(44, 45)을 구비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것은 바람직한 요부(40)의 일례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요부(40)의 일부 형상을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요부(40)는 요부(40)의 지지부(11)에 따른 방향(Z축 방향)의 폭이 거의 지지부(11)의 폭과 동일한 폭인 것으로 되어 있지만, 지지부(11)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복수의 요부를 지지부(11)에 따른 방향으로 배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요부(40)를 형성하는 이면벽(17)의 요부(40)의 저면의 일부가 표면벽(16)에 일체화되어 있었지만, 전부가 일체화되어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받침대(53) 및 받침대(54)는 솔라 패널(50)의 외주(50b)의 일부에 설치되는 형태로 나타냈지만, 외주(50b)의 전체를 덮는 틀(55)과 유사한 구조의 받침대로도 된다.
(플로트의 계류를 위한 구성)
다음으로, 솔라 패널(50)을 설치하지 않고, 통로 등의 일부로 사용되는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에 계류될 때를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26)를 갖는 환상 플로트부(30)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했던대로, 개구부(26)는 개구부(26)에 대응하는 표면벽(16)과 이면벽(17)을 따라 구성되어 개구부(26)의 일단측의 내벽면에 연결되는 변(24)을 힌지로써 개구부(26)를 개구시키도록 표면벽(16) 측에 솔라 패널(50)의 일단부(51) 측 (일단측)을 지지하는 지지부(11)가 일으켜지는 것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6)를 형성하도록 지지부(11)가 일으켜지면 해당 개구부(26)로부터 플로트(10)의 중앙의 이면벽(17) 측의 영역 F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플로트(10)의 중앙의 영역F는 직사각형의 플로트(10)의 모서리에서 대각선을 그엇을 때 교점이 위치한 근처에 위치하고 거의 중심 위치에 있다.
이러한 중심 위치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고정하도록 하면, 강풍 등에 의해 플로트(10)가 이동하려고 할 때 계류 부재의 당기는 것과 같은 억류하는 힘은 플로트(10)가 기울어 지거나 할 수 없는 자세 안정성이 높은 중심 위치에 가해지게 되기 때문에 플로트(10)의 자세가 나빠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플로트(10) 주위의 가장자리 근처에 작업자가 올라타면 경우에 따라서는 플로트(10)가 기울어져 작업자가 수중에 낙하하는 것도 고려되어 플로트(10) 주위의 가장자리 근처에 작업자가 타지 않으면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플로트(10)에 고정하는 작업을 할 수 없으면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
또한, 이러한 수중에의 낙하를 고려하여 플로트(10) 주위의 가장자리 근처에 배 등으로 접근해 작업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선박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결코 작업성이 좋은 것은 아니다.
한편, 플로트(10)의 중앙 영역F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세 안정성이 높은 중심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근처에 작업자가 타고 있었다고 해도, 플로트(10)의 균형이 무너지기 어렵다.
따라서 플로트(10)의 중앙 영역F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고정하도록 하면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플로트(10)에 고정하는 작업의 경우, 플로트(10)의 균형이 깨지지 않기 때문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플로트(10)에 고정하는 작업을 실행하기 쉽다.
그래서 이 플로트(10)의 거의 중앙 영역F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는 계류부(70)를 설치하도록 하고 이하 구체적으로 계류부(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류부(70)는 개구부(26)의 근방(타단측 근방), 더 구체적으로는 개구부(26)를 사이에 두고 일으켜진 지지부(11)와 대향하는 개구부(26)의 가장자리(26a)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계류부(7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벽(16)이 이면벽(17)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류부(70)는 이면벽(17)도 표면벽(16) 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계류부(70)는 표면벽(16)과 이면벽(17)을 아울러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도 3B 및 도 4B의 D-D선에 따른 D-D선 단면도이며, 도 12A는 아이 볼트(80) 등의 계류 부재를 고정하는 부품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B는 아이 볼트(80)의 링(80a)이 이면벽(17) 측에 위치하도록 아이 볼트(80) 등의 계류 부재를 고정하는 부품을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C는 아이 볼트(80)의 링(80a)이 표면벽(16) 측에 위치하도록 아이 볼트(80) 등의 계류 부재를 고정하는 부품을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B 및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10)는 부속품으로써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고정하는 링(80a)을 가진 아이 볼트(80)와, 링(80a)에서 연장되어 선단에 나합홈이 설치되어 본체부(80b)를 가진 아이 볼트(80)의 나합홈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81)를 구비하고 그에 대응하여 계류부(70)는 아이 볼트(80)의 본체부(80b)를 통과시키는 제1관통공(71)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2B 및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10)는 부속품으로써 계류부(70)의 표면벽(16) 측 또는 이면벽(17) 측에 배치되는 제1고정판(82)과, 제1고정판(82)을 계류부(70)에 고정하는 한 쌍의 제1볼트(83)와, 제1볼트(83)에 나사 결합하는 한 쌍의 제1너트(84)를 구비하고 그에 대응하여 계류부(70)는 제1관통공(71)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제1볼트(83)를 통과시키는 한 쌍의 제2관통공(7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고정판(82)은 제1관통공(71) 및 제2관통공(72)에 대응하여 설치된 아이 볼트(80)의 본체부(80b) 및 제1볼트(83)를 통과시키는 3개의 관통공(82a)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3B, 도 4B,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관통공(71) 및 제2관통공(72)은 계류부(70)에 개구부(26)의 타단측의 가장자리(26a)(도 5 참조)에 따른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부속품을 이용하여 구성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B는 연못이나 호수의 바닥에 앵커(닻)를 침몰시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의 일단이 이 닻에 연결된 계류 부재의 타단을 플로트(10)에 계류할 때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이며, 따라서 아이 볼트(80)의 링(80a)이 수면 측인 이면벽(17)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가 바람 등에 의해 이동하려고 할 때,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플로트(10)를 붙들려고 하는 힘은 아이 볼트(80)를 플로트(10)의 이면벽(17)에서 표면벽(16)과 반대측이 되는 방향(도면의 하측)에 당기는 힘으로 작동한다.
이 때, 아이 볼트(80)가 위치하는 플로트(10)의 국소적인 위치에 응력이 집중하면 수지인 플로트(1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류부(70)의 표면벽(16) 측에 두께를 가진 제1고정판(82)을 설치하고, 아이 볼트(80)의 본체부(80b)가 제1고정판(82)을 관통하도록 배치한 후 제1고정판(82)을 관통한 아이 볼트(80)의 본체부(80b)의 선단에 너트(81)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제1고정판(82)을 계류부(70)의 표면벽(16) 위에 고정하고, 그 당기는 힘이 제1고정판(82)을 통해 계류부(70) 전체에 분산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고정판(82)은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의 당기는 힘을 직접 받게되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울뿐만 아니라 소재로써 강도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금속 플레이트 등을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제1고정판(82)은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되고,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계류부(70)의 국소적인 위치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의 당기는 힘이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계류부(70)가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아이 볼트(8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1볼트(83)와 제1너트(84)로 제1고정판(82)을 계류부(70)에 고정하도록 해두는 것으로, 제1고정판(82)의 고정을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의 일단을 연못이나 호수 바닥의 앵커(닻)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연못이나 호수 주변의 육상에 고정하고 싶을 때 등도 있어, 이 경우에는 아이 볼트(80)의 링(80a)이 플로트(10)의 표면벽(16) 측에 위치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아이 볼트(80)의 링(80a)을 표면벽(16)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면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플로트(10)를 억류하려고 하는 힘이 방금 전과는 반대로 소요되므로, 이 경우,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고정판(82)을 계류부(70)의 이면벽(17) 측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이 볼트(80)의 본체부(80b)를 통과시키는 계류부(70)에 설치된 제1관통공(71)이 표면벽(16)을 이면벽(17) 측에 테이퍼 형상으로 함몰시킨 테이퍼부(71a)를 갖도록 하여 보강 리브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1고정판(82)이 이면벽(17) 측에 배치될 때, 이 테이퍼부(71a) 내에 아이 볼트(80)의 링(80a)이 빠지지 않도록 부속부품으로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부(71a)를 덮도록 계류부(70)의 표면벽(16) 위에 설치되는 제2고정판(85)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제2고정판(85)은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플로트(10)를 억류하려고 할 때 그렇게까지 강한 힘이 걸리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고정판(82) 정도의 두께인 것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이 제2고정판(85)도 아이 볼트(80)의 본체부(80b)가 관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1관통공(71)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이 볼트(80)의 본체부(80b)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위에서는 수중과 육상에 고정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의 고정 장소별로 설명 사정상 설명을 했지만, 다수(복수)의 플로트(10)를 집합시킨 집합 플로트부에 연결되는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는 수중 및 육상에 고정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혼재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즉, 집합 플로트부에서는 안정하게 계류할 수 있도록 여러 곳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연결되기 때문에 그 여러 곳 중 일부가 수중의 앵커(닻)에 고정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에 연결된 나머지 부분이 육상에 고정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서는 플로트의 모서리에 고정용 고리부가 설치되는 동시에 연결용 요소의 모서리에 고정용 고리부가 설치되어 그러한 고정용 고리부를 고정핀으로 연결하여 플로트를 집합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이 경우, 외형이 직사각형이 되도록 플로트를 집합시키면 집합된 플로트부의 모서리에만 고정용 고리부가 남기 때문에, 4개의 앵커 밧줄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플로트의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경우, 그 연결 구조가 사용되는 부분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할 수 없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로트(10)를 집합시킬 때의 연결 구조와는 별도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하는 계류부(7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트(10)를 집합시켜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로 할 때, 통로 등에 사용되는 플로트(10)이면 어떤 플로트(10)에도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킬 수 있어 앵커 로프의 설치의 자유도가 매우 높다.
그리고, 특허문헌1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4곳에서만 앵커 로프에 연결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고, 그러면 집합된 플로트부가 움직이려고 할 때의 힘 전체의 25%씩 각 앵커 로프가 맡는 것이 되지만, 1개라도 앵커 로프가 파단하면 집합된 플로트부가 움직이려고 할 때의 힘 전체의 33%의 힘이 남겨진 각 앵커 로프에 가해져 단번에 앵커 로프의 파단 확률이 상승하기 때문에 계류 안정성에 불안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이면, 통로 등에 사용되는 플로트(10)이면 어떤 플로트(10)에나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킬 수 있으므로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를 계류하기 위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의 수를 대폭 늘릴 수 있어, 각 계류 부재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파손될 확률을 대폭 저감 할 수 있는 동시에, 만일 하나의 계류 부재가 파손 되더라도 나머지 계류 부재에 큰 힘이 가해지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의 높은 계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하나의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앵커(닻)의 무게를 줄여도 그만큼 집합 플로트부에 연결되는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의 개수를 증가시켜 집합 플로트부를 충분히 계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앵커(닻)의 무게를 줄여 두는 것으로, 솔라 패널(50)의 사용이 종료하여 집합 플로트부 등을 철거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 앵커(닻)의 끌어올리는 작업 등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계류되는 플로트(10)의 계류부(70)에서도 한 곳 당에 가해지는 힘이 경감하므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파손될 확률이 저감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계류부(70)가 파손될 가능성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플로트(10)의 중앙측이라는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가 플로트(10)를 억류하려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플로트(10)가 경사지지 않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는 위치에 계류부(7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세 안정성이 좋은 플로트(10)의 계류가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플로트(10)의 중앙측의 위치에 계류부(70)를 설치하면 거기에 접근할 수 있는 개구부(26)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부(70)에 계류하는 작업이 진행되기 어려운 위치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계류부(70)의 근방에 개구부(26)가 존재하기 때문에 쉽게 계류부(70)의 이면벽(17) 측에 접근할 수 있으며, 아이 볼트(80)의 링(80a)이 이면벽(17)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쉽게 그 링(80a)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의 중앙측 등 이어도, 솔라 패널(50)을 설치하지 않은 플로트(10)를 설치하도록 하면, 그 플로트(10)에 대해서도 쉽게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를 이용하여 구성된 집합 플로트부(120)(도 14 참조)이면 집합 플로트부(120)의 주위뿐만 아니라 집합 플로트부(120)의 중앙측 이어도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로 계류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는 통로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사용 형태의 경우에는 개구부(26)가 닫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계류부(70)의 이면벽(17) 측에 접근할 때 쉽게 개구부(26)를 개구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쉽게 개구부(26)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두면, 평상시는 개구부(26)를 닫고 통로로서의 편리성을 높이고,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점검할 때 쉽게 개구부(26)를 개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점검 작업을 쉽게 하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쉽게 개구부(26)를 닫거나 열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하, 이 개구부(26)를 쉽게 닫거나 열거나 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개구부(26)의 개폐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의 E-E선을 따른 E-E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이 지지부(1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도면으로 되어 있지만, 도 13은 지지부(11)에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26)는 지지부(11)를 일으키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26)의 내부 형태와 지지부(11)의 외형은 거의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지부(11)로 개구부(26)를 닫도록 하여도 지지부(11)를 이면벽(17) 측으로 미는 힘이 가해지면 쉽게 지지부(11)는 이면벽(17) 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1)가 변(24)을 힌지로 일으켜 개구부(26)(도 5 참조)가 개구된 상태가 되었을 때, 그 개구부(26)의 타단측(힌지가 되는 변(24)에 대향하는 측)의 가장자리(26a)(도 5 참조)의 양단 근방에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이 지지부(11)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구부(26)를 막도록 지지부(11)를 넘어뜨릴 때,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의 일부(양단)을 받치는 스토퍼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90)를 플로트(10)에 구비시키는 것으로, 지지부(11)로 개구부(26)를 닫게 하고 있을 때, 지지부(11)를 이면벽(17) 측으로 미는 힘이 가해져도 지지부(11)가 이면벽(17) 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은 솔라 패널(50)을 고정하기 위한 부속부품이며 그 부속부품을 활용하고 있을 뿐이므로 새로운 부품을 늘릴 필요도 없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1)는 지지부(11)가 표면벽(16) 측에 일으켜진 상태로 일단측을 향한 지지부(11)의 면(11a)에,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13)의 고정부(13b)와 지지부(11)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 요부(9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11)가 개구부(26)를 닫도록 넘어뜨러져 있는 상태에서 표면벽(16) 측에 일으켜지려고 할 때 고정부(13b)와 지지부(11)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표면벽(16) 측에 지지부(11)를 일으키도록 당기는 것 만으로 쉽게 개구부(26)를 개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솔라 패널(5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플로트(10)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솔라 패널(50)이 설치되면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는 작업이 하기 어렵게 되지만,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솔라 패널(50)이 설치되어 있는 플로트(10)에 대해서도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도록 하고 있다.
(플로트 집합체)
다음, 상기에서 설명한 플로트(10) 및 통로 조인트(60)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플로트 집합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은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10)을 연결한 플로트 집합체(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 집합체(100)는 플로트(10)를 선상으로 연결한 선상 플로트부를 갖는 잔교(110)와, 플로트(10)을 연결하여 형성되며, 솔라 패널(50)을 배치하는 집합 플로트부(120)와, 플로트(10)를 연결하여 형성된 집합 플로트부(120)와 잔교(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플로트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잔교(110)와 연결 플로트부(130)는 집합 플로트부(120)에 사용되는 플로트(10)와 동일한 구조의 플로트(10)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잔교(110)와 연결 플로트부(130)용으로 다른 구조의 플로트를 만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잔교(110)와 연결 플로트부(130)를 구성하기 위한 플로트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집합 플로트(120)에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처음에 언급했듯이, 집합 플로트부(120)는 실제로는 수백, 수천이라는 수의 플로트(10)가 통로 조인트(60)를 통해 밖으로 연결된 수많은 솔라 패널(50)이 배치된다.
또한 솔라 패널(50)을 배치하는 집합 플로트부(120)와 달리 잔교(110)와 연결 플로트부(130)에는 솔라 패널(50)이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지지부(11)의 힌지가 되는 변(24)(도 3 및 도 4 참조)을 제외한 나머지 세 변(21, 22, 23)을 절단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며, 그러한 절단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면, 지지부(11)가 이면벽(17) 측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고정 브래킷(13)의 장착 등도 불필요하고, 지지부(11)가 경사질 수 없기 때문에 보행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절단 및 고정 브래킷(13)의 장착 등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다음 플로트 집합체(100)의 각부(잔교(110), 집합 플로트부(120)와 연결 플로트부(1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집합 플로트부(120)는 플로트 집합체(100)의 솔라 패널(50)을 설치하는 부분이지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의 플로트(10)에는 솔라 패널(50)을 설치하지 않도록 하고, 예를 들어, 집합 플로트부(120)의 주위와 중앙을 횡단하도록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로는 유지 보수 등의 경우에 작업자가 보행할 부분임과 동시에 각 솔라 패널(50)에서의 케이블 등이 부설되는 장소가 된다.
한편, 이러한 케이블을 육상을 향해 부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의 플로트 집합체(100)에서는 플로트(10)를 선상으로 연결한 선상 플로트부를 갖는 잔교(110)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4에서는 직선상의 선상 플로트부를 갖는 잔교(110)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어떻게 잔교(110)를 설치하고자 하느냐에 따라 직선상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L자 모양의 선상 플로트부를 갖는 잔교 등이어도 된다.
그리고 잔교(110)와 집합 플로트부(120)의 연결 부분은 플로트 집합체(100)가 바람 등에 의해 움직이려고 할 때 응력이 가해지기 쉽고 파손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집합 플로트부(120)와 잔교(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플로트부(130)를 통해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플로트부(130)는 폭 방향의 플로트(10)의 수가 잔교(110)의 폭 방향의 플로트(10)의 수보다 많고 연결 플로트부(130)가 연결되는 집합 플로트부(120)의 변(121)의 플로트(10)의 수보다 적도록 되어있어, 연결부의 강성의 향상과 응력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폭 방향으로 연결된 플로트(10)을 1열분(1단이라고도 함)만 갖는 연결 플로트부(130)를 나타내고 있지만, 연결 플로트부(130)는 폭 방향으로 연결된 플로트(10)를 여러 단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연결 플로트부(130)는 폭 방향의 플로트(10)의 수가 잔교(110) 측에서 집합 플로트부(120) 측을 향해 증가하도록 각 단을 구성하는 것이 응력 분산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로트 집합체(100)이면, 솔라 패널(50)이 설치되는 집합 플로트부(120)에서 육상 측을 향해 잔교(11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잔교(110)에 케이블을 부설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매우 쉽다.
게다가 수중에 부설하는 것과 달리 물밑까지 케이블을 늘어뜨릴 필요도 없기 때문에 필요한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도 있다.
그런데 집합 플로트부(120)의 동측과 서측 잔교(110)를 연결시키도록 하면 강풍과 파도의 영향을 받을 때, 집합 플로트부(120)와 잔교(110) 사이(매 연결 플로트부(130))에 강한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플로트 집합체(100)의 설치 방법은 잔교(110)가 북측 또는 남측에 위치하도록 집합 플로트부(120)에 잔교(110)를 연결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4에 나타내는 플로트 집합체(100)는 어디 까지나 일례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로트 집합체(100)이어도 된다.
도 15는 플로트 집합체(10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플로트 집합체(100)에서는 연결 플로트부(130)를 생략하고 잔교(110)가 집합 플로트부(120) 측인 기단부의 플로트(10)에서 직접 집합 플로트부(120)의 플로트(10)에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집합 플로트부(120)와 잔교(110)의 연결 부분에 응력이 가해져도 되도록 잔교(110)는 병렬된 여러 개의 선상 플로트부(예를 들어 세 개 이상)를 가지는 것으로서 인접한 선상 플로트부가 통로 조인트(60)에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하면 된다.
그리고 이 잔교(110) 위에 케이블을 부설하는 경우에는 잔교(110)의 중앙측을 케이블이 따르도록 설치하고 잔교(110)의 끝을 통로로 이용하여 케이블이 수중에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잔교(110)의 좌우 중 하나에 케이블이 치우쳐 부설되면 잔교(110)의 균형이 나빠져 케이블이 부설되어 있는 측으로 잔교(110)가 경사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데, 잔교(110)의 중앙측에 무게가 있는 케이블을 부설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사가 발생하는 것이 피면되고, 작업자 등이 잔교(110) 위를 보행할 때 보행 가능한 잔교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연결 플로트부(130)를 갖는 플로트 집합체(100)의 경우에도, 잔교(110)를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렬된 여러 개의 선상 플로트부(예를 들어 3개 이상)를 갖는 물건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런데 솔라 패널(50)에서의 케이블CA(도 17 참조)는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예를 들면, 일례로서 도 16에 나타내는 실선(140)처럼 부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6에 나타내는 점선(145)과 같이 케이블CA(도 17 참조)를 부설하고 싶은 경우 등도 있지만, 이 경우 어떻게하여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도 1 및 도 2 참조) 측을 통과시킬 것인가가 과제로 된다.
그래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듯이 플로트(10)에 도 16의 점선(145)과 같은 케이블CA(도 17 참조)의 부설이 실시하기 쉬운 구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점선(145)과 같이 케이블CA(도 17 참조)를 부설할 때 케이블CA(도 17 참조)의 부설 형태에 어울리는 구성을 갖는 플로트(1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7에서는 왼쪽 플로트(10) 위에 솔라 패널(50)을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솔라 패널(50)이 설치되면,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플로트(10)의 변형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홈부(35)의 중앙측의 한 쌍의 홈부(35)의 깊이를 도 17과 같이 깊게 함과 동시에 솔라 패널(50)의 타단부(52) 측을 받치는 받침부(12)를 케이블CA가 통과할 수 있도록 홈부(35)를 타단부(52) 측에 연장한 것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도 17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플로트(10)에 배치된 솔라 패널(50)의 케이블CA를 좌측 플로트(10)에 배치된 솔라 패널(50)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배선할 수 있게 되어 도 16의 점선(14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케이블CA의 부설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선(145)의 부설의 경우 통로 조인트(60)에 부설된 이외의 케이블CA의 부분은 솔라 패널(50)의 하측에 위치하며 비 등에 노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케이블CA의 열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확실하게 플로트(10) 위를 통과하므로 케이블CA가 수중에 낙하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집합 플로트부(120)에는 솔라 패널(50) 이외의 것, 예를 들어, 솔라 패널(50)에서 케이블CA가 연결되는 파워 컨디셔너(Power Conditioner)와 같은 기기류를 함께 설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파워 컨디셔너에서 육상에 케이블이 부설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잔교(110)는 육지 근처까지만 설치되는 것으로서 육지에 직접 고정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해두면 집합 플로트부(120)가 움직이려고 할 때 동일하게 움직이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잔교(11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잔교(110)를 육지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잔교(110)와 집합 플로트부(120)는 바람을 받는 면적과 무게가 다르기 때문에 잔교(110)와 집합 플로트부(120)의 움직이는 방법 자체는 동일하지 않을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잔교(11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대로, 잔교(110)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이며 오히려 집합 플로트부(120)와의 연결부에 응력이 가해지기 쉬워질 수 있기 때문에 잔교(110)의 적절한 위치를 계류시킬 수 있도록, 잔교(110)에 사용된 플로트(10)에도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잔교(110)의 플로트(10)에는 지지부(11)를 일으키기 위해 힌지가 되는 변(24)을 제외한 나머지 세 변(21, 22, 23)을 절단하는 공정은 필요 없다고 말했지만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플로트(10)에 계류시키는 경우에는 개구부(26)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잔교(100)의 플로트(10)에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는 경우에는 잔교(110)에 사용되는 플로트(10) 중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는 플로트(10)에 관해서만, 세 변(21, 22, 23)을 절단하는 공정을 수행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계류 작업 이외의 경우에는 보행할 수 있도록 지지부(11)를 일으키는 것을 통해 개구부(26)가 닫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는 잔교(100)의 플로트(10)도 평상시에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11)에 고정 브래킷(13)을 설치하고, 지지부(11)가 이면벽(17) 측에 탈락하지 않도록 하여 개구부(26)를 닫도록 하면 된다.
(플로트의 회전)
그런데 통로 조인트(60)는 각 플로트(10)의 윗면에서 플로트(10)와 결합되고 통로 조인트(60)의 연결 방향으로 플로트(10)가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되고 따라서 인접한 플로트(10)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통로 조인트(60)에 의한 연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연결은 각 플로트(10)의 차양 모양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행해지고 있다. 플로트(10)를 띄울 때 차양 모양의 단부는 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방향(통로 조인트(60)에 의한 연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도 각 플로트(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의 플로트 집합체(100)에서는 소정의 연결 방향에서 플라스틱 성형체로 형성되는 통로 조인트(60)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플로트(10)의 차양 모양의 단부 사이가 연결되고 어느 간격도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불변). 따라서 물에 대한 저항이 항상 작은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플로트 집합체(100)에서 통로 조인트(60)에 연결되어 있으며, 플로트(10) 사이의 간격을 크게 취할 수 있다. 플로트(10)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하는 것으로, 플로트 집합체(100)가 파도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고 떠있는 위치에서 준비가 되지 않은 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로트 집합체 (100)는 파도에 움직이지 않도록 앵커를 설치하고 육지와 연결하여 고정하고, 밀물 썰물 차이와 비 오는 전후의 물줄기의 변화를 고려하여 계류에 늘어짐을 구비하고 있다. 이 늘어짐에 기인하여 플로트 집합체(100)가 파도 등의 영향으로 움직이면 태양 추적에서 예정대로 움직일 수 없고,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상기 플로트 집합체(100)는 플로트(10) 사이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파도 등에 의한 물의 흐름을 받아 흘러가기 쉽고 준비가 되지 않은 채로 움직여 버리는 일이 없다.
즉, 변형예로서 상기 플로트 집합체(100)를 태양에 추적시켜도 되고, 플로트 집합체(100)가 수상에 떠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지상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작은 힘으로 이것을 회전시켜 태양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회전은 넓은 의미의 회전이며, 플로트 집합체(100)의 방향이 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회전각에 규정은 없고 태양을 효율적으로 빛을 받을 수 있는 정도(최대 180도 정도)이면 된다. 또한, 이러한 회전 동작은 낮에 걸쳐 이루어지기 때문에 급격하게 움직일 필요가 없으며 시시각각 또는 정기적으로 움직이면 된다. 따라서 조파 항력은 무시할 정도로 작아진다.
또한 연결되는 각 플로트(1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물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플로트 집합체(100)를 회전시킬 때 물의 저항을 약하게 할 수 있고 더 작은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8A 내지 도 18E는 변형예에 따른 플로트 집합체(100)를 회전 조작하는 견인용 로프의 연결예를 나타낸 것이다. 플로트 집합체(100)는 물에 떠있고, 물에 대한 저항이 작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8A는 직사각형의 플로트 집합체(100)의 네 모서리에 견인용 로프(101, 102, 103, 104)를 연결하고 긴 변 측에서 견인용 로프(101, 102) 및 견인용 로프(103, 104)를 각각 교차시킨 예이다. 이 경우, 견인용 로프(101)와 견인용 로프(103)를 당기면 플로트 집합체(100)는 순시침 방향으로 회전한다. 견인용 로프(102)와 견인용 로프(104)를 당기면 플로트 집합체(100)는 역시침 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상측의 긴 변을 북쪽을 향해, 하측의 긴 변을 남쪽을 향해 상기 견인용 로프(101~104)를 조작함으로써 플로트 집합체(100)를 회전시키면, 솔라 패널(50)을 태양에 추적시킬 수 있다.
도 18B는 직사각형의 플로트 집합체(100)의 네 모서리에 견인용 로프(101, 102, 103, 104)를 연결하고 짧은 변 측에서 견인용 로프(101, 102) 및 견인용 로프(103, 104)를 각각 크로스 시킨 예이다. 견인용 로프(101)와 견인용 로프(103)를 당기면 플로트 집합체(100)는 역시침 방향으로 회전한다. 견인용 로프(102)와 견인용 로프(104)를 당기면 플로트 집합체(1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8C는 직사각형의 플로트 집합체(100)의 네 모서리에 견인용 로프(101, 102, 103, 104)를 연결하여 한 쪽의 긴 변 측의 견인용 로프(101, 10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기도록 함과 동시에 다른 한 쪽의 긴 변 측의 견인용 로프(103, 104)를 각각 교차시킨 예이다. 견인용 로프(101)와 견인용 로프(104)를 당기면 플로트 집합체(1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견인용 로프(102)와 견인용 로프(103)를 당기면 플로트 집합체(1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8D와 도 18E는 견인용 로프를 플로트 집합체(100)의 세 곳에 연결한 예이다. 도 18D는 직사각형의 플로트 집합체(100)의 한 쪽 긴 변의 중앙에 견인용 로프(101)를 연결하고 다른 한 쪽의 긴 변의 양단에 견인용 로프(102, 103)를 연결하여 교차시킨 예이다. 도 18E는 직사각형의 플로트 집합체(100)의 한쪽 긴 변의 중앙에 견인용 로프(101)를 연결하고, 다른 한 쪽의 긴 변의 양단에 견인용 로프(102, 103)를 연결하고, 상기 견인용 로프(101)와 반대 방향으로 당기도록 한 예이다. 두 경우 모두, 긴 변의 중앙에 연결된 견인용 로프(101)를 중심으로 견인용 로프(102, 103) 중 하나를 당기게 하여 긴 변의 중앙에 연결된 견인용 로프(101)를 중심으로 플로트 집합체(10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 형태의 태양광 발전 장치는 물의 저항이 적은 플로트 집합체(100)를 견인용 로프로 당기는 것만으로 태양을 추적하고 있다. 태양 추적을 위한 설비로는 견인용 로프와 그것을 당기는 구동 기구뿐이며 회전에 필요한 힘도 작은 것들이기 때문에, 구동 기구도 최소화된다. 따라서 장비를 대대적인 것으로 할 필요가 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설비 투자도 최소화로 가능하다. 또한 태양 추적을 위해 필요한 힘이 작아도 되기 때문에 전력 소모도 최소화로 태양 추적에 의한 발전 효율의 향상과 맞물려, 실질적인 발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팽창과 수축을 억제한 솔라 패널용 수지의 플로트와, 안정하게 솔라 패널을 고정할 수 있는 솔라 패널용 수지의 플로트 및 그 플로트의 제조 방법과, 집합 플로트부일 때, 앵커 로프 등의 계류 부재를 계류하는 장소의 자유도가 높은 집합 플로트부로 할 수 있고, 또한 안정하게 계류을 할 수 있는 집합 플로트부로 할 수 있는 솔라 패널용 수지의 플로트와, 부설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수 점검 등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는 플로트 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해당 신규 실시 형태는 다른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대체, 변경을 할 수 있다. 해당 실시 형태와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와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 : 플로트 10a : 제1단부
10b : 제2단부 11 : 지지부
11a: 면 12 : 받침부
13 :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 13a : 협지부
13b : 고정부 13c : 나사
14 :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 14a : 하측 브래킷
14aa : 후크부 14b : 상측 브래킷
15 : 측벽부 16 : 표면벽
17 : 이면벽 18 : 경사부
19 : 장착부 19a : 너트 수용부
19aa : 저부 19ab : 귀목 너트
19ac : 나사 19b : 주벽부
19c : 제1요부 19d : 저부
19e : 제2요부 19ea : 저부
19f : 요부 21,22,23,24 : 변
22a : 받침 리브 25 : 내벽면
26 : 개구부 26a : 가장자리
30 : 환상 플로트부 35 : 홈부
40 : 요부 41,42,43 :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
44,45 : 홈상의 오목부분 50 : 솔라 패널
50a : 유리 부분 50b : 외주
51 : 일단부 52 : 타단부
53 : 받침대 54 : 받침대
55 : 프레임 55a : 패널 받침부
55b : 계합부 60 : 통로 조인트
60a : 일단 60b : 타단
61 : 계합 돌기부 62 : 연결 볼트
62a : 볼트공 62b : 볼트공
63 : 볼트공 70 : 계류부
71 : 제1관통공 71a : 테이퍼부
72 : 제2관통공 80 : 아이 볼트
80a : 링 80b : 본체부
81 : 너트 82 : 제1고정판
82a : 관통공 83 : 제1볼트
84 : 제1너트 85 : 제2고정판
90 : 스토퍼부 91 : 손가락 삽입 요부
100 : 플로트 집합체 101~104 : 견인용 로프
110 : 잔교 120 : 집합 플로트부
121 : 변 130 : 연결 플로트부
CA : 케이블 F : 영역
PL : 파팅 라인

Claims (30)

  1.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로서,
    중공으로 형성된 환상 플로트부와,
    상기 환상 플로트부 내에 설치된 주벽을 갖는 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부는 공기를 수용 가능하도록 이면벽이 표면벽 측을 향해 함몰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요부 내에 있어서 적어도 이면벽의 일부가 상기 표면벽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벽과 상기 표면벽을 아울러 형성된 상기 솔라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환상 플로트부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연결되는 1개의 변을 힌지로 하여 상기 표면벽 측으로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요부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일으켜진 상기 지지부와 반대측에 위치한 환상 플로트부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상기 지지부에 따른 방향의 양단과 중앙에 상기 표면벽 측에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과,
    상기 지지부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을 잇는 상기 표면벽 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홈상의 오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요부가 상기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분의 선단 부분에서 상기 이면벽과 상기 표면벽이 일체화되어 있는 한편, 상기 홈상의 오목부분에서는 상기 이면벽과 상기 표면벽이 일체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벽은
    상기 요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인 상기 요부 상의 거의 끝의 위치에서 상기 요부에서 분리하는 측을 향해 설치된 이면벽 측에 접근하는 경사부와,
    상기 요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일으켜지게 설치되고, 솔라 패널의 단부를 받치는 받침부를 구비하는 플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벽은 적어도 상기 요부 상의 위치로부터 상기 경사부에 걸쳐 홈부가 설치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경사부 측의 선단이 상기 경사부에 거의 단차가 없도록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6.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로서,
    솔라 패널의 타단측을 고정하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과,
    타단측에 설치되고,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장착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적어도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고, 타단측이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하측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 브래킷은 솔라 패널에 계합 또는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상기 장착부에 고정하는 나사를 구비하고,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의 상측에 배치되고, 타단측이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는 상측 브래킷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측 브래킷은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을 하측 브래킷 측에 가압하도록 상기 하측 브래킷으로 협지하고,
    상기 상측 브래킷의 상기 타단측과 상기 하측 브래킷의 타단측이 상기 나사를 통해 상기 장착부에 함께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브래킷은 일단측에 U자모양의 후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 브래킷은 상기 솔라 패널에 설치되는 상기 후크부가 계합할 수 있는 계합부에 상기 후크부가 계합하는 것으로 상기 솔라 패널에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9.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로서,
    타단측에 설치되고, 솔라 패널의 타단측을 받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근방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솔라 패널을 고정하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장착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이면벽이 표면벽 측으로 함몰하고 주벽부를 갖는 제1요부와,
    표면벽이 이면벽 측으로 함몰하고 너트를 수용 고정하는 너트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 수용부는 이면벽 측으로 되는 저부가 상기 제1요부의 표면벽 측이 되는 저부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10. 제9항에 있어서,
    타단측 가까이에 설치되고,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상기 표면벽이 이면벽 측에 접근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경사부의 타단측의 단부로부터상기 표면벽이 상기 이면벽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일으켜지는 입벽부이며,
    상기 제1요부의 상기 주벽부는 상기 입벽부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입벽부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받침부에 따른 방향으로 이간되어 형성된 한 쌍의 상기 너트 수용부와,
    상기 너트 수용부를 잇는 직선보다도 타단측이고, 상기 받침부에 따른 방향에서의 상기 너트 수용부 사이의 위치에 상기 제1요부의 바닥으로부터 나아가 상기 표면벽 측에 함몰되는 제2요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요부의 표면벽 측으로 되는 저부가 상기 표면벽과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받침부에 따른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너트 수용부에 고정되는 귀목 너트와
    상기 귀목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고정하는 나사와
    상기 나사에 의해 나사 고정되는 상기 솔라 패널을 고정하는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브래킷과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브래킷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 브래킷 및 상기 상측 브래킷의 타단측이 상기 나사에 의해 상기 귀목 너트에 함께 고정됨으로써, 상기 솔라 패널의 하측과 상측을 고정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브래킷은 일단측이 상기 솔라 패널을 하측 브래킷 측에 가압하도록 상기 하측 브래킷으로 협지하고,
    상기 하측 브래킷은 일단측에 U자모양의 후크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측 브래킷은 상기 솔라 패널에 설치되는 상기 후크부가 계합할 수 있는 계합부에 상기 후크부가 계합함으로써 상기 솔라 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15. 제6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라 패널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상기 솔라 패널의 일단측을 고정하는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면벽과 상기 표면벽을 아울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일단측의 변 이외의 변이 절단되고,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일단측의 변을 힌지로 상기 표면벽 측에 일으키는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상기 힌지와 대향하는 측이고, 상기 지지부가 일으켜진 상태에서 일단측을 향하는 상기 지지부의 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을 협지하는 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상기 지지부에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협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거리가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해 슬라이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16. 타단측에 솔라 패널의 타단측을 받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근방에 설치된 상기 솔라 패널을 고정하는 타단측의 고정 브래킷을 장착하는 장착부를 구비한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장착부는 표면벽을 이면벽 측으로 함몰시켜 형성된 너트를 수용 고정하는 너트 수용부의 이면벽 측으로 되는 저부가 이면벽을 표면벽 측에 함몰시켜 형성된 주벽부를 갖는 제1요부의 표면벽 측으로 되는 저부에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7. 솔라 패널용 수지 플로트로서,
    개구부를 갖는 환상 플로트부와,
    상기 개구부의 근방에 설치되고, 표면벽과 이면벽을 아울러 구성된 계류 부재를 계류시키는 계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표면벽과 이면벽을 아울러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측의 내벽면에 연결되는 모서리를 힌지로 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구 시키도록 상기 표면벽 측으로 일으켜지는 솔라 패널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류부가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힌지와 대향하는 변 측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의 일단측을 협지하는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과,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의 가장자리의 양단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이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막도록 상기 지지부를 넘어뜨렸을 때, 상기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의 일부를 받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측의 고정 브래킷은
    상기 힌지에 대향하는 측이고, 상기 지지부가 일으켜진 상태에서 일단측을 향한 상기 지지부의 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솔라 패널을 협지하는 협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가 일으켜진 상태에서 일단측을 향한 상기 지지부의 면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가 상기 플로트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 부재를 고정하는 아이 볼트와
    상기 아이 볼트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계류부는 아이 볼트를 통과하는 제1관통공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의 상기 표면벽 측 또는 상기 이면벽 측에 배치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을 고정하는 한 쌍의 제1볼트와,
    상기 제1볼트에 나사 결합하는 한 쌍의 제1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계류부는 상기 제1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상기 제1볼트를 통과하는 한 쌍의 제2관통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고정판은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아이 볼트 및 상기 제1볼트를 통과하는 관통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계류부에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의 가장자리를 따른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표면벽을 상기 이면벽 측에 테이퍼 형상으로 함몰시킨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고정판이 상기 이면벽 측에 배치될 때, 상기 테이퍼부를 덮도록 상기 계류부의 상기 표면벽에 설치되는 제2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고정판은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아이 볼트를 통과하는 관통공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25. 솔라 패널용 플로트를 연결한 플로트 집합체로서,
    상기 플로트를 선상으로 연결한 선상 플로트부를 갖는 잔교와,
    상기 플로트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솔라 패널을 배치하는 집합 플로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잔교는 기단부의 상기 플로트가 직접 상기 집합 플로트부의 상기 플로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집합체.
  26. 솔라 패널용 플로트를 연결한 플로트 집합체로서,
    상기 플로트를 선상으로 연결한 선상 플로트부를 갖는 잔교와,
    상기 플로트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솔라 패널을 배치하는 집합 플로트부와,
    상기 플로트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집합 플로트부와 상기 잔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플로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플로트부는 폭 방향의 상기 플로트의 수가 상기 잔교의 폭 방향의 상기 플로트의 수보다 많고, 상기 연결 플로트부가 연결되는 집합 플로트부의 변의 플로트의 수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집합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로트부는 폭 방향의 상기 플로트의 수가 상기 잔교 측에서 상기 집합 플로트부 측을 향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집합체.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교는 병치된 복수의 상기 선상 플로트부를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선상 플로트부가 통로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집합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잔교는 3개 이상의 상기 선상 플로트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집합체.
  30. 솔라 패널용 플로트를 연결하여 형성된 솔라 패널을 배치하는 집합 플로트부와, 상기 플로트를 선상으로 연결한 선상 플로트부를 갖는 잔교를 구비한 플로트 집합체의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잔교가 북측 또는 남측에 위치하도록 집합 플로트부에 상기 잔교를 연결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방법.
KR1020197002683A 2016-06-30 2017-06-30 플로트 KR102355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0782A JP6806988B2 (ja) 2016-06-30 2016-06-30 ソーラパネル用のフロート
JPJP-P-2016-130782 2016-06-30
JPJP-P-2016-150683 2016-07-29
JPJP-P-2016-150680 2016-07-29
JP2016150683A JP6839341B2 (ja) 2016-07-29 2016-07-29 ソーラパネル用のフロートを連結したフロート集合体
JP2016150681A JP6712055B2 (ja) 2016-07-29 2016-07-29 ソーラパネル用の樹脂製のフロート
JP2016150680A JP6712054B2 (ja) 2016-07-29 2016-07-29 ソーラパネル用の樹脂製のフロート及びそのフロートの製造方法
JPJP-P-2016-150681 2016-07-29
JPJP-P-2016-257014 2016-12-28
JP2016257014A JP6979585B2 (ja) 2016-12-28 2016-12-28 太陽光発電装置
PCT/JP2017/024113 WO2018003966A1 (ja) 2016-06-30 2017-06-30 フロート、フロート集合体及びフロート集合体の設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803A true KR20190022803A (ko) 2019-03-06
KR102355650B1 KR102355650B1 (ko) 2022-01-25

Family

ID=6078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683A KR102355650B1 (ko) 2016-06-30 2017-06-30 플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752325B2 (ko)
KR (1) KR102355650B1 (ko)
CN (2) CN109415111B (ko)
MY (1) MY197056A (ko)
PH (1) PH12018502730A1 (ko)
TW (2) TWI778846B (ko)
WO (1) WO20180039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70A1 (ko) * 2019-04-12 2020-10-15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내구성이 향상된 부유체와 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발전장치
KR20220135430A (ko) * 2021-03-30 2022-10-07 현대글로벌 주식회사 고내구성 발포형 부력체를 활용한 독립형 수상태양광발전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7014A1 (en) * 2016-12-09 2018-06-14 Ironridge, Inc. Universal end clamp for securing solar panels to a rail support guide
SG10201803348WA (en) * 2018-04-20 2019-11-28 Housing And Dev Board Floatable structure and system
FR3088300B1 (fr) * 2018-11-08 2022-07-29 Ciel Et Terre Int Installation photovoltaique flottante avec passerelles de maintenance amovibles
WO2020110928A1 (ja) * 2018-11-29 2020-06-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フロート集合体
CN111434510B (zh) * 2020-03-31 2023-01-20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包壳体以及电池包
US11728758B1 (en) * 2021-03-25 2023-08-15 Concept Clean Energy, Inc. Support base for photovoltaic panels
TWI772165B (zh) * 2021-08-27 2022-07-21 向陽農業生技股份有限公司 水上浮體裝置
CN114044100A (zh) * 2021-11-11 2022-02-15 中能众诚(浙江)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海上可调节倾角的水上光伏电站浮体装置
ES1294626Y (es) * 2022-07-26 2022-12-20 Isigenere S L Sistema flotante para paneles fotovoltaicos e instalación flotante que comprende varios sistemas flotantes para paneles fotovoltaicos
WO2024105283A1 (es) * 2022-11-15 2024-05-23 Isigenere, S.L. Sistema flotante para paneles fotovoltaico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1043A (ja) 2011-04-15 2014-05-01 シエル エ テール アンテルナシオナル パネル支持装置
KR101430528B1 (ko) * 2013-10-08 2014-08-19 (주) 그린솔루션 태양광셀 모듈의 고정체
KR101554146B1 (ko) * 2014-05-28 2015-09-1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JP2015217771A (ja) 2014-05-16 2015-12-0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連結体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466A (ja) 1991-09-30 1993-04-06 Tomoe Kogyo Kk 浮揚構造体
KR101012954B1 (ko) * 2008-12-01 2011-02-08 남정훈 태양전지 어레이 설치용 부유식 구조물
JP5246578B2 (ja) * 2009-07-30 2013-07-24 有限会社花谷工業 太陽電池パネル取付装置及び取付金具
US20130146127A1 (en) 2010-02-02 2013-06-13 C & L Pastoral Company Pty Ltd Floatation device for solar panels
FR2958382A1 (fr) * 2010-03-31 2011-10-07 Gcmsd Plateforme flottante pour panneaux solaires
KR101170777B1 (ko) * 2010-09-10 2012-08-03 (주)서일테크씨에프 수면부상식 태양광 발전장치
CN202345890U (zh) * 2011-11-22 2012-07-25 贵州航天红光机械制造有限公司 大功率舷外机驱动的快速移动作业浮台
EP2783918B1 (en) * 2011-11-24 2017-10-25 Kyoraku Co., Ltd. Resin panel and molding method of its manufacture
JP4953401B1 (ja) 2011-12-13 2012-06-13 ケイコン株式会社 ソーラーパネル用基礎及びその基礎を使用したソーラーパネルユニット
CN102957346A (zh) * 2012-11-27 2013-03-06 东南大学 海上漂浮型太阳能光伏发电装置
JP5814954B2 (ja) * 2013-01-21 2015-11-17 株式会社環境資源開発コンサルタント 水上設置太陽光発電装置用フロート及び水上設置太陽光発電装置
US20160068238A1 (en) * 2013-03-28 2016-03-10 Jun Yan Underwater floating body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CN103573545B (zh) * 2013-09-29 2015-09-30 上海交通大学 浮筒式海上发电平台
KR20150058827A (ko) * 2013-11-21 2015-05-29 주식회사 청우마린테크 풍하중에 의해 태양전지판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능동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MY183456A (en) 2014-05-16 2021-02-18 Kyoraku Co Ltd Solar panel float and connected member thereof
KR101481093B1 (ko) * 2014-06-18 2015-01-15 (주)에이치에스쏠라에너지 친환경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
JP6448053B2 (ja) * 2014-10-01 2019-01-09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太陽光パネルの水上設置用浮き架台、及び太陽光パネルの水上設置用構造物
JP2016078781A (ja) * 2014-10-22 2016-05-16 株式会社近畿開発 太陽光発電装置
KR20160047201A (ko) * 2014-10-22 2016-05-02 최문수 단위 부유구와, 단위 부유구를 결합한 태양전지판 부유장치
CN104283492B (zh) * 2014-10-27 2016-06-08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用光伏发电组件和复合浮力材料在河面上建造的光伏电站
JP6490959B2 (ja) * 2014-12-18 2019-03-27 株式会社環境資源開発コンサルタント 水上設置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浮体係留装置
CN204349861U (zh) * 2014-12-29 2015-05-20 聊城华诚节能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水上光伏漂浮模组
KR101685567B1 (ko) * 2014-12-31 2016-12-13 오토렉스 주식회사 부력일체형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05123653U (zh) * 2015-08-26 2016-03-30 浙江融聚节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水上太阳能光伏发电系统
CN204937420U (zh) * 2015-09-11 2016-01-06 周森田 水上浮筒浮体及具有该浮体的太阳能发电装置
CN204967703U (zh) * 2015-09-16 2016-01-13 郑琳瑜 一种水陆两用支撑平台
CN204956870U (zh) * 2015-09-18 2016-01-13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浮体及具有所述浮体的光伏组件、水上漂浮光伏电站
CN105155581B (zh) * 2015-10-06 2017-10-27 东北石油大学 分体式水上漂浮节能建筑结构体系与施工方法
CN204947966U (zh) * 2015-10-10 2016-01-06 山东智领电力实业有限公司 一种水面光伏电站的新型浮体
CN205105144U (zh) * 2015-11-11 2016-03-23 传玉能源科技(上海)有限公司 水面光伏组件漂浮支撑装置
CN105490626B (zh) * 2016-01-12 2018-03-23 北京京东方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上光伏发电用支撑结构
CN105610387B (zh) * 2016-03-21 2018-10-16 上海旗华水上工程建设股份有限公司 光伏系统用支撑装置
CN105610388B (zh) * 2016-03-22 2018-05-18 台州晶晟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支撑光伏板的水上浮筒装置
CN205647356U (zh) * 2016-04-27 2016-10-12 常熟市亚德实业有限公司 太阳能光伏水面电站用的分体式浮筒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1043A (ja) 2011-04-15 2014-05-01 シエル エ テール アンテルナシオナル パネル支持装置
KR101430528B1 (ko) * 2013-10-08 2014-08-19 (주) 그린솔루션 태양광셀 모듈의 고정체
JP2015217771A (ja) 2014-05-16 2015-12-0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連結体
KR101554146B1 (ko) * 2014-05-28 2015-09-1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회전형 수상 태양광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70A1 (ko) * 2019-04-12 2020-10-15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내구성이 향상된 부유체와 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발전장치
KR20200120335A (ko) * 2019-04-12 2020-10-21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내구성이 향상된 부유체와 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발전장치
KR20220135430A (ko) * 2021-03-30 2022-10-07 현대글로벌 주식회사 고내구성 발포형 부력체를 활용한 독립형 수상태양광발전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72027A (zh) 2021-12-10
PH12018502730A1 (en) 2019-04-15
TW202208238A (zh) 2022-03-01
US10752325B2 (en) 2020-08-25
TWI778846B (zh) 2022-09-21
WO2018003966A1 (ja) 2018-01-04
TWI747917B (zh) 2021-12-01
US11305849B2 (en) 2022-04-19
US20190168848A1 (en) 2019-06-06
CN109415111A (zh) 2019-03-01
MY197056A (en) 2023-05-23
CN109415111B (zh) 2021-11-09
KR102355650B1 (ko) 2022-01-25
US20200331570A1 (en) 2020-10-22
TW201815627A (zh)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2803A (ko) 플로트, 플로트 집합체 및 플로트 집합체의 설치 방법
US10038400B2 (en) Floating structures for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floating structures
US20200369350A1 (en) Float assembly
CN102277878A (zh) 一种可浮运的浮式基础及其施工方法
CN205792366U (zh) 一种模块化漂浮式光伏阵列及其光伏电站
TWI765052B (zh) 浮板集合體、浮板系統及浮板
CN102985628A (zh) 太阳能发电面板安装用基座
CN108146588A (zh) 海上漂浮式风电基础结构
JP6839341B2 (ja) ソーラパネル用のフロートを連結したフロート集合体
CN107453689B (zh) 一种模块化漂浮式光伏阵列
CN111418149A (zh) 光伏板支撑体
JP6712055B2 (ja) ソーラパネル用の樹脂製のフロート
JP7071615B2 (ja)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システム
CN205945592U (zh) 水上漂浮式光伏电站
KR102576584B1 (ko) 수상 태양광발전 구조체
JP7137088B2 (ja) ソーラパネル用のフロートを連結したフロート集合体及びそのフロート集合体の設置方法
JP6923785B2 (ja) フロート集合体
KR102209442B1 (ko) 조립형 계류시설
KR101428329B1 (ko) 풍력발전기 및 풍력발전기 설치장치
JP6959503B2 (ja) フロート集合体
US20200062351A1 (en) Float, notably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KR20190001357U (ko) 태양광 패널 지지체
CN217629793U (zh) 一种抗冰锥单元及抗冰单桩基础
CN115125925A (zh) 一种抗冰锥单元及抗冰单桩基础
KR20090054195A (ko) 태양광 발전 브리지 셀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