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788A -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788A
KR20220101788A KR1020210003684A KR20210003684A KR20220101788A KR 20220101788 A KR20220101788 A KR 20220101788A KR 1020210003684 A KR1020210003684 A KR 1020210003684A KR 20210003684 A KR20210003684 A KR 20210003684A KR 20220101788 A KR20220101788 A KR 2022010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synthetic resin
prefabricated hollow
locking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주
Original Assignee
조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주 filed Critical 조영주
Priority to KR1020210003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1788A/ko
Publication of KR2022010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분할동체를 간단한 원터치식 체결구조에 의해 수밀되게 결합하여 수압 등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을 용이하게 한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에 관한 것으로, 로프고리가 각각 부착된 제1동체와 제2동체 그리고 상기 제1동체와 제2동체를 압착 결합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제1동체와 제2동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체결수단의 체결로서 압착되면서 밀폐력을 가지는 패킹부재로 구성되어 이들의 결합에 의해 전체 형상이 원통형 또는 타원형 통체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prefabricated hollow plastic material substructuring}
본 발명은 연안해역의 수산 양식장에서 미역, 김, 굴 등의 양식어망을 바다에 띄우거나 어장을 표시하는 어장표시, 그물의 위치를 표시하는 그물 표식 등 해상용 부표, 어로 표식과 항로 표지용으로 사용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분할동체를 간단한 원터치식 체결구조에 의해 수밀되게 결합하여 수압 등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을 용이하게 한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해역의 각종 양식장 어망을 수면위로 띄워 올리거나 그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산 양식용 부구는 예전에는 발포스티로폼으로 된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내구성이 매우 좋지 않아 조그마한 외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고 파손된 파편들이 해양을 심하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포스티로폼의 외면에 경질 합성수지 통체나 두꺼운 비닐포지를 덧씌워서 내구성을 보강하여 왔으나 이 역시 사용상, 내충격성 등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따라서, 근래에는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발포폴리프로필렌 등 합성수지재질로 성형한 부구가 널리 보급, 사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합성수지재 부구는 종래의 스티로폼 부구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여 수명이 긴 장점이 있으나 이 역시 중공체로 형성하기 위한 제작구조상의 문제로 인해 개선의 소지가 있었다.
종래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부구는 주로 원통체로 성형한 통체의 양측에 캡을 열융착하여 중공체의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특허 공개번호 10-2018-0107993호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개시된 기술은 원통체로 성형한 부구 통체의 양단에 캡을 열융착하여 부력을 가지는 중공체로 구성한 것으로서 종래의 스티로폼 부구에 비해 내구성면에서 매우 우수한 장점은 있으나, 통체와 캡을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한 것이므로 높은 고열로 융착하는 과정에서 조직의 파괴가 발생되고 융착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열의 분산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붙지 않는 곳이 발생함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수압을 받거나 햇빛에 노출되면 접합부에 균열이 발생되어 수밀효과가 상실되고 이로 인해 부력을 상실하게 되며 열융착을 위한 고가의 설비가 필요로 하여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근래 굴 양식장에서는 기후 변화로 인해 수온이 상승되어 수온이 보다 낮은 깊은 바다 속으로 종패를 침하시키고 또 굴의 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구를 바다 속에 설치하는 수압용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종래의 열융착에 의한 접합식 합성수지재 부구는 열융착한 접합부가 고열의 접합과정에서 조직이 약화되어 있으므로 높은 수압을 견디지 못해 쉽게 균열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부구 통체가 높은 수압이나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도 쉽게 찌그러지고 변형되며 심하게는 터지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외에도 분할된 부구를 접착제로서 본딩 접착하거나,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도 있으나, 이들은 결합강도가 우수하지 못하여 내구성이 매우 취약하고 나사식 구조는 제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제작공정도 매우 복잡하여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있는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서 성형한 한 쌍의 분할동체를 열융착, 나사식 결합, 본딩 결합에 의하지 않고 밀폐식 체결 구조로서 내부에 부력공간을 마련한 중공형 원통체로서 일체가 되도록 구성한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한 체결력을 가지는 원터치식 체결구조에 의해 결합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수압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동체의 사이에 강하게 압착되는 패킹링의 두께 탄성으로 유지되는 밀폐력으로 수밀성이 확실히 보장되어 부력을 상실하지 않으며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이 매우 용이한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밀폐된 부력공간이 마련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에 있어서,
부구의 일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이 개구되는 제1동체와;
상기 제1동체와 결합되어 완성된 부구를 형성하는 일측이 개구된 나머지 부분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제1동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제1동체 보다 직경이 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동체의 개구측이 삽입되는 제2동체와;
상기 제2동체의 내부에 제1동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동체 또는 제2동체 중 어느 한쪽을 가압하거나 또는 제1동체와 제2동체를 동시에 가압하여 분리된 제1동체와 제2동체를 원터치식으로 일체가 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
상기 제1동체와 제2동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체결수단의 체결로서 압착되면서 밀폐력을 가지는 패킹부재; 로 구성되어 제1동체와 제2동체의 긴밀한 압착 결합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중공의 부력공간이 마련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제1동체의 개구측에 인접한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와 제2동체의 개구측에 인접한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져 체결되는 다수개의 걸림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개구측에서 반대측으로 상향 경사면과 걸림턱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동체의 개구단 측 내면에 개구단부에서 걸림공까지 연장되는 안내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동체와 제2동체의 내면에는 강도를 보강하여 수압으로부터 보호하고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용 리브가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제1동체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의 두꺼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패킹링과 상기 패킹링의 일면에 접합되어 패킹링을 지지하는 받침링으로 구성되어 제1동체의 개구단부와 제2동체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보강용리브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끼워져 압착상태로 수밀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의 전체 두께는 제1동체가 제2동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한 체결시 제1동체의 개구단부와 제2동체의 보강용리브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보다 넓은 두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제1동체의 개구측에 인접한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 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공과, 제2동체의 개구단부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경사면과 걸림턱을 가지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로 분할된 제1동체와 제2동체를 원터치로 간단히 체결하여 내부에 부력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 부구를 구성하므로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며, 특히 분할된 제1동체와 제2동체의 사이에 강한 압력으로 압착되는 패킹링의 두께 탄성으로 밀폐하여 수밀을 유지하므로 부력이 상실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제작이 용이하여 실용적으로서 상용화가 가능한 우수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에 따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가-가"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조립상태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에 따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조립상태 예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한다고 할 수 없으며,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구(100)는 로프고리(1)가 각각 부착된 제1동체(50)와 제2동체(60) 그리고 상기 제1동체(50)와 제2동체(60)를 압착 결합하는 체결수단(10) 및 상기 제1동체(50)와 제2동체(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체결수단(10)의 체결로서 압착되면서 밀폐력을 가지는 패킹부재(20)로 구성되어 이들의 결합에 의해 전체 형상이 원통형 또는 타원형 통체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부구(100)는 합성수지재로서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는 제1동체(50)와 제2동체(60)의 압착 결합에 의한 밀폐중공형의 부력공간(F)이 마련된다.
상기 제1동체(50)는 일측이 구형을 이룬 타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약간의 길이를 가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동체(50)의 내면에는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용 리브(30)가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용 리브(30)는 제1동체의 강도를 보강하여 수압으로부터 보호하고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동체(60)는 제1동체(50)가 내부 삽입식으로 결합되어 부구(100)를 형성하는 나머지 부분으로서 일측이 구형을 이룬 타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제1동체(5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제1동체(50)보다 직경이 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동체(50)의 개구측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동체(60)의 내면에는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용 리브(30)가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용 리브(30)는 제2동체(60)의 강도를 보강하여 수압으로 보호하고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1동체(50)가 삽입되는 제2동체(60)의 개구측 입구 내측에는 제1동체(50)가 삽입 가능하도록 보강용 리브(30)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체결수단(10)은 일 실시예로서 제1동체(50)의 개구측에 인접한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1)와 제2동체(60)의 개구측에 인접한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되어 상기 걸림돌기(11)가 끼워져 체결되는 다수개의 걸림공(12)으로 이루어진다.
제1동체(50)에 설치된 걸림돌기(11)는 개구측에서 반대 측으로 상향 경사면(11a)과 걸림턱(11b)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동체(60)의 개구단 측 내면에는 개구단부(a)에서 걸림공(12)까지 연장되는 안내홈(13)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수단(10)의 체결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상기 패킹부재(20)는 제1동체(5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의 두꺼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패킹링(21)과 상기 패킹링(21)의 일면에 접합되어 패킹링(21)을 지지하는 받침링(22)으로 구성되어 제1동체(50)의 개구단부(b)와 제2동체(6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보강용 리브(30)의 선단부(30')와의 사이에 끼워져 압착상태로 완벽한 수밀기능을 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패킹부재(20)는 설치시 고무재질의 패킹링(21)은 제1동체(50)의 개구단부(b)와 접면되고 이면의 받침링(22)은 제2동체(60)의 보강용 리브(30)의 선단부(30')에 접면되도록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수밀유지를 위해서는 패킹부재(20)의 전체 두께는 제1동체(50)가 제2동체(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수단(10)에 의한 체결시 제1동체의 개구단부(b)와 제2동체(60)의 보강용 리브(30)의 선단부(30')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보다 넓은 두께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동체(50)와 제2동체(60)가 체결수단(10)으로 긴밀하게 억지 체결되어 결합될 때 패킹부재(20)의 패킹링(21)이 제1동체(50)의 개구단부(b)에 의해 강하게 압착될 수 있으므로 완벽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패킹부재(20)의 패킹링(21)의 이면에는 경질의 받침링(22)이 접면되어 있으므로 패킹링(21)이 압착될 때 받침링(22)에 의해 지지되어 변형되지 않고 밀폐기능을 다하게 되는 데, 받침링(22)은 경질의 합성수지나 나무,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부구(100)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서 분할 성형한 제1동체(50)와 제2동체(60)의 조립식 체결로서 밀폐된 중공의 부력공간(F)을 형성하는 원통형 또는 타원형 부구(1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제1동체(50)는 제2동체(60)에 삽입 가능하도록 그 외경이 제2동체(60)의 내경과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구(100)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제2동체(60)의 개구측 입구 내부에 패킹부재(20)를 받침링(22)이 제2동체(60)의 보강용 리브(30)의 선단부(30')에 받쳐지도록 먼저 끼워 넣고 제1동체(50)의 개구측을 제2동체(60)의 내부에 삽입하여 제1동체(50) 또는 제2동체(60)의 어느 한쪽을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한쪽을 가압하거나 또는 제1동체(50)와 제2동체(60)를 동시에 압축하는 방법으로 결합하게 되면 걸림돌기(11)의 경사면(11a)이 제2동체(60)의 개구단부(a)의 저부를 슬라이딩하면서 압입되는 과정에서 개구단부(a)를 순간적으로 약간 들어올리면서 삽입되어 걸림턱(11b)이 걸림공(12)에 감합되므로 제1동체(50)와 제2동체(60)는 견고하게 체결되어 조립되는 데, 이와 같은 체결과정에서 전기한 바와 같이 제1동체(50)의 개구단부(b)가 제2동체(60)의 보강용 리브(30)의 선단부(30') 사이에서 패킹부재(20)의 패킹링(21)을 강하게 압착하게 됨에 따라 부구(100)의 내부는 완벽한 밀폐상태의 중공을 형성하여 부력공간(F)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부연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구(100)의 소재는 합성수지로서 성형되어 합성수지의 물성상 약간의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제1동체(50)를 가압하여 걸림돌기(11)를 걸림공(12)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11)의 경사면(11a)이 제2동체(60)의 개구단부(a)를 슬라이딩하여 통과할 때 탄성에 의해 순간적으로 개구단부(a)를 들어올리면서 들어가 걸림공(12)에 걸림턱(11b)이 체결되고 들어 올려진 개구단부(a)는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걸림돌기(11)의 걸림턱(11b)이 걸림공(12)에 한번 삽입되어 체결되면 제2동체(60)의 개구단부(a)를 억지로 들어올리지 않는 이상 임의로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2동체(60)의 개구단부(a) 내면에는 개구단부(a)에서 걸림공(12)까지 연장되는 안내홈(13)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시 걸림돌기(11)가 안내홈(13)을 따라 들어가게 되므로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과정에서도 어긋나지 않고 정확한 체결이 가능하며 제1동체(50)를 제2동체(60)에 삽입하는 초기단계에서도 안내홈(13)에 의해 체결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체결수단(10)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전기한 실시예에서는 체결수단(10)이 제1동체(50)에는 경사면(11a)을 가지는 걸림돌기(11)를, 그리고 제2동체(60)에는 걸림돌기(11)가 삽입되는 걸림공(12)이 형성되어 걸림돌기(11)가 걸림공(12)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졌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내지 도 7과 같은 구조로도 실시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수단(10)은 제1동체(50)의 개구측에 인접한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 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공(12)과, 제2동체(60)의 개구단부(a)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경사면(11a)과 걸림턱(11b)이 형성된 탄성을 갖는 걸림돌기(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10)은 전기한 실시예와는 걸림공(12)과 걸림돌기(11)의 위치가 반대로 이루어지고, 걸림공(12)과 걸림돌기(11)의 구조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제1동체(50)와 제2동체(60)를 압착하면서 걸림돌기(11)와 걸림공(12)을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여 내부에 밀폐된 중공형 부력공간(F)을 형성하는 점에서 동일하다.
조립과정과 작용은 전기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조립식 부구(100)를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인 경우를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을 비롯하여 부력을 가질 수 있는 다른 형태에도 실시 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로프고리 10 : 체결수단 11 : 걸림돌기 11a : 경사면 11b : 걸림턱 12 : 걸림공 13 : 안내홈 20 : 패킹부재 21 : 패킹링 22 : 받침링 30 : 보강용 리브 30' : 선단부 50 : 제1동체 60 : 제2동체 100 : 부구 a : 개구단부 b : 개구단부 F : 부력공간

Claims (7)

  1. 내부에 밀폐된 부력공간(F)이 마련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100)에 있어서,
    부구(100)의 일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이 개구되는 제1동체(50)와;
    상기 제1동체(50)와 결합되어 완성된 부구(100)를 형성하는 일측이 개구된 나머지 부분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제1동체(5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제1동체(50)보다 직경이 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동체(50)의 개구측이 삽입되는 제2동체(60)와;
    상기 제2동체(60)의 내부에 제1동체(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동체(50) 또는 제2동체(60) 중 어느 한쪽을 가압하거나 또는 제1동체(50)와 제2동체(60)를 동시에 가압하여 분리된 제1동체(50)와 제2동체(60)를 원터치식으로 일체가 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10);
    상기 제1동체(50)와 제2동체(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체결수단(10)의 체결로서 압착되면서 밀폐력을 가지는 패킹부재(20); 로 구성되어 제1동체(50)와 제2동체(60)의 긴밀한 압착 결합에 의해 내부에 밀폐된 중공의 부력공간(F)이 마련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체결수단(10)은 제1동체(50)의 개구측에 인접한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1)와 제2동체(60)의 개구측에 인접한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관통되어 상기 걸림돌기(11)가 끼워져 체결되는 다수개의 걸림공(12)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3. 제 2 항에 있어서, 걸림돌기(11)는 개구측에서 반대 측으로 상향 경사면(11a)과 걸림턱(11b)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동체(60)의 개구단 측 내면에 개구단부(a)에서 걸림공(12)까지 연장되는 안내홈(13)이 종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동체(50)와 제2동체(60)의 내면에는 강도를 보강하여 수압으로 부터 보호하고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용 리브(30)가 간격을 두고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패킹부재(20)는 제1동체(5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의 두꺼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패킹링(21)과 상기 패킹링(21)의 일면에 접합되어 패킹링(21)을 지지하는 받침링(22)으로 구성되어 제1동체(50)의 개구단부(b)와 제2동체(6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보강용 리브(30)의 선단부(30')와의 사이에 끼워져 압착상태로 수밀기능을 제공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6. 제 1 항에 있어서, 패킹부재(20)의 전체 두께는 제1동체(50)가 제2동체(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수단(10)에 의한 체결시 제1동체(50)의 개구단부(b)와 제2동체(60)의 보강용 리브(30)의 선단부(30')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보다 넓은 두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체결수단(10)은 제1동체(50)의 개구측에 인접한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 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공(12)과, 제2동체(60)의 개구단부(a)에 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경사면(11a)과 걸림턱(11b)을 가지는 걸림돌기(1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KR1020210003684A 2021-01-12 2021-01-12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KR20220101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684A KR20220101788A (ko) 2021-01-12 2021-01-12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684A KR20220101788A (ko) 2021-01-12 2021-01-12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788A true KR20220101788A (ko) 2022-07-19

Family

ID=8260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684A KR20220101788A (ko) 2021-01-12 2021-01-12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17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935B1 (ko) * 2022-12-28 2024-02-07 김부석 부력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935B1 (ko) * 2022-12-28 2024-02-07 김부석 부력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748B1 (ko) 어업용 부구
US20150296753A1 (en)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KR101861759B1 (ko) 어업용 부구
KR101908844B1 (ko) 복수의 내부 단위 부자를 이용한 부력체
KR200475806Y1 (ko) 부표
KR20220101788A (ko)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KR102203215B1 (ko)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KR20170063467A (ko) 양식용 해수부자
KR20200131079A (ko) 열융착 고정 부표
KR20190054781A (ko) 격벽을 구비하는 친환경 부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325761B1 (ko)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결합형 친환경 부표
US4188679A (en) Annular shaped buoyancy element for transport hoses
KR102058656B1 (ko) 부구
KR20170002519U (ko) 포켓을 갖는 부력체
KR101763100B1 (ko) 친환경 부자의 제조 방법
KR101715289B1 (ko) 부력 집합체를 구비한 부이
KR20110004023U (ko) 조립형 부구
KR200430077Y1 (ko) 밀봉식 개량 부자
KR20150052567A (ko) 2중 벽관으로 구성된 부구 및 제조방법
KR102196311B1 (ko) 열융착 고정 부표
KR20170083000A (ko) 친환경 부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9941B1 (ko) 다중 부력공간을 형성한 금속재 부구
KR102117573B1 (ko) 친환경 발포형 부표
KR200472729Y1 (ko) 오염 방지성을 갖는 고강도 부력체
KR20220158455A (ko) 이중부력식 정치망 부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