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215B1 -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 Google Patents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215B1
KR102203215B1 KR1020190020661A KR20190020661A KR102203215B1 KR 102203215 B1 KR102203215 B1 KR 102203215B1 KR 1020190020661 A KR1020190020661 A KR 1020190020661A KR 20190020661 A KR20190020661 A KR 20190020661A KR 102203215 B1 KR102203215 B1 KR 102203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oy
guide
selec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254A (ko
Inventor
이지운
Original Assignee
이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운 filed Critical 이지운
Priority to KR102019002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2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표와 어구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별성이 우수하면서 보관과 운반을 위한 적재의 용이성을 가지면서, 공기주입과 배출을 자유롭게할 수 있어 손상된 부표를 수리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불필요하게 자원을 낭비를 방지하고 부표구입에 필요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더 높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반구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탑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하향 돌출시켜 어구 연결을 위한 연결홀을 가지는 후육부를 포함하는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에 있어서;
상기 탑부의 중앙부에는 부표로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는 공기출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출입부는, 탑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결합 및 분리되어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가능하도록하는 공기선택구와; 상기 공기선택구가 가이드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하는 단속캡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A BUOY}
본 발명은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표 내부에 항상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여 수면 또는 수중에서 부표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손상된 부표를 수리하여 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관과 식별의 용이성을 가지도록 개선한 부표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각종 어선이나 어구들 등을 해수 중에 원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위치시켜 설치하는 위치설정 기능과, 어구 등이 설치된 장소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식별기능과 더불어, 양식장에 설치하여 양식로프, 양식망 등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부표가 종래에는 스티로폼을 구체 또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 바 또는 로프등과 결속시켜 사용하였으나, 환경문제를 유발한다는 연구결과와 재질의 특성상 파도나 기타 외력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어 망실되고, 이와 같이 망실된 부표가 해양쓰레기로 잔존하게 되는 문제로 인하여 제도적으로 스티로폼 부표의 사용이 금지되고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부표가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재질의 부표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부표는, 어패류 또는 해조류 등을 양식하기 위해 해저로 잠수하는 양식용 부표에 있어서:
일측에 끈의 고정과 파지가 가능하게 파지대(15)를 구비하고, 원형 또는 타원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게 브로워(blower)공법으로 공기(A)가 유입되며, 외부에 수압에 견뎌낼 수 있도록 일자형(11)과 십자형(12)의 힘살편(13)을 구비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유입되는 공기(A)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본체(10) 내부에 인서트 사출로 삽설 형성되어 내부에 체결부(21)를 구비하면서 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삽설부(22)를 구비하는 연결대(23)와, 연결대(23)의 체결부(21) 상에 체결되어 고정되면서 브로워 공법으로 공기(A)를 본체(10)의 내부에 유입시키게 유로(24a)를 구비하는 볼트(24)와,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볼트(24)의 헤드(24b)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돌부(25)와, 돌부(25) 상에 삽설되어 열융착으로 인한 공기(A)의 유출을 방지하는 마개(26)를 구비하는 이탈방지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 제 10 - 1871633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부표는, 본체에 인서트 사출되는 체결부에 유로를 가지는 볼트를 나사결합한 후 성형과정에서 블로워에 의하여 부표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고, 마개를 열융착시켜 주입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부표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부표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고 열융착을 통하여 밀봉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표 내부의 공기압력이 약하거나 부표가 손상되어 내부의 공기가 소실될 경우에는 부표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폐기처분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 중 부표가 손상되었을 경우 손상의 범위가 큰 경우에는 당연히 폐기처분하여야 할 것이나, 손상범위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폐기한 후 새로운 부표를 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불필요하게 많은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또한, 부표 자체에는 손상이 없으나 내부의 공기압력이 적정하지 못한 경우에도 실제 사용시 부표가 일정한 높이로 수면으로 노출되어야함에도 노출되지 못하여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데, 이 경우에도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손상없는 부표를 폐기하고 새로운 부표를 구입하여야하는 불편이 있는 것이다.
또한, 부표가 통상적으로 원통형상 또는 구체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된 부표를 보관하거나 이동할 때, 구매한 부표를 사용하기전 보관하는 과정에서 제 위치에 있지 못하고 의도치 않게 굴러서 이동하게 되므로 안정되게 적재하여 유지하는 것이 힘들게 된다.
그리고, 부표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강우 강설 또는 안개, 흐린날씨 야간과 같은 상황에서 관련작업을 수행할 때 부표를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어렵고, 부표를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연결홀이 단순하게 구멍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많은 힘을 받는 연결홀이 손상되어 부표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더 높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상부에 반구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탑부(102)와, 상기 본체(101)의 하부에 하향 돌출시켜 어구 연결을 위한 연결홀(105)을 가지는 후육부(103)를 포함하는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100)에 있어서;
상기 탑부(102)의 중앙부에는 부표(100)로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는 공기출입부(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출입부(110)는, 탑부(102)에 일체로 성형되는 가이드(111)와;
상기 가이드(111)에 결합 및 분리되어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가능하도록하는 공기선택구(112)와;
상기 공기선택구(112)가 가이드(111)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하는 단속캡(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부표와 어구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별성이 우수하면서 보관과 운반을 위한 적재의 용이성을 가지면서, 공기주입과 배출을 자유롭게할 수 있어 손상된 부표를 수리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불필요하게 자원을 낭비를 방지하고 부표구입에 필요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부표를 성형한 후 적정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한 후 밀봉하도록 하면서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부표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수리하여 재 사용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와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부표에 구름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하여 부표의 보관과 적재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식별수단을 더 강구하여 날씨와 주야관계없이 용이하게 식별하여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속을 견고하게하여 부표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파손 등에 의하여 망실되는 예를 원천적으로 배제하할 수 있어 부표의 품질과 내구성을 높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대외적인 경쟁력의 우위에 있을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의 공기출입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의 공기출입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의 공기출입부를 발췌한 공기주입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의 결속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의 공기출입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의 공기출입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의 공기출입부를 발췌한 공기주입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의 결속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100)는,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더 높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0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1)의 상부에는 반구형상의 탑부(10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1)의 하부에는 하향 돌출되게 후육부(103)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부표(100)는 사출성형 블로워성형 등을 위하여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므로 부표(100)의 재질과 성형방법에 대하여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후육부(103)에는 어구, 어망, 성장로프 등과 같은 어구(이하 어구라 한다.)와 연결할 수 있도록 후육부(103)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관통되는 연결홀(105)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1)의 종방향으로는 부표(100)를 보관하거나 적재할 때 구르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유지한 구름방지면(106)을 더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구름방지면(106)을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종방향으로 하나를 형성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적재를 위해서는 서로 대향되게 2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것으로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름방지면(106)의 상부에는 야광 및 축광기능, 태양광발전 축전판기능 또는 GPS위치표시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식별표시(107)를 더 부착하여 주간은 물론 야간과 흐린날씨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상기 식별표시(107)의 형상과 모양은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삼각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할 수 있을 것이며, 부표(100)가 직립되게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상부에 위치시키고 있으나 눕힌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구름방지면(106)의 중앙부위 위치시킬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연결홀(105) 위치에는 어구와 연결할 때 강한 힘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리브(108)를 일체로 더 형성하는 데, 상기 보강리브(108)는 연결홀(105)의 직 하방 양측에 원호형상으로 형성하여 로프 등으로 결속할 때 발생하는 힘에 대하여 견뎌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탑부(102)의 중앙부에는 부표(100)로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는 공기출입부(110)를 더 형성하는 데, 상기 공기출입부(110)의 위치는 본 발명의 도면과 설명에서와 같이 탑부(102)의 중앙이 아닌 탑부(102)와 본체(101) 어느 부위에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공기출입부(110)는, 탑부(102)에 일체로 성형되는 가이드(111)와, 상기 가이드(111)에 결합 및 분리되어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가능하도록하는 공기선택구(112)와, 상기 공기선택구(112)가 가이드(111)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하는 단속캡(113)으로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111)는, 탑부(102)와 인서트 성형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경성재질로 원통형상의 가이드바디(115)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바디(115)의 외경부에는 탑부(102)와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결합림(116)과 상부결합림(117)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바디(115)의 내경부 하측에는 공기선택구(112)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치턱(118)을 형성하고, 상기 안치턱(118)의 상부에는 단속캡(113)을 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119)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공기선택구(112)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선택구바디(120)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구바디(120)의 상부에는 가이드(111)의 안치턱(118)에 걸림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걸림플랜지(121)를 형성한다.
상기 선택구바디(120)의 하측에는 가이드바디(115)의 하단과 걸림되어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탈락방지림(12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선택구바디(120)의 축중심방으로는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공기주입기의 노즐이 삽입될 수 있는 노즐공(123)을 형성한다.
상기 선택구바디(120)의 하단에는 노즐공(123)과 연결되는 주입슬롯(125)을 형성하여 공기주입시에는 확장되었다가 공기주입이 멈춰지면 부표(100) 내부의 공기압력과 더불어 공기선택구(112)의 재질특성에 의하여 밀착되어 공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선택구(112)는 경성재질로 구성하는 것 보다는 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 주입시에는 주입슬롯(125)이 개방되고 주입이 멈춰지면 밀착되어 차단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속캡(113)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캡바디(126)의 외경부에는 가이드바디(115)에 형성된 암나사(119)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127)를 형성하여 공기선택구(112)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캡바디(126)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도구 사용을 위하여 중공 형태의 도구사용홈(128)을 일체로 형성하고, 캡바디(126)의 상단에는 결합시 필요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플랜지(129)를 일체로 형성하여 탑부(102)에 형성되는 플랜지홈(130)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됨이 없게하여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공기선택구(112)와 단속캡(113) 사이에는 혹여 있을 수 있는 공기 누출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패킹과 같은 형태의 기밀재(135)를 더 개재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100)를 제조할 때 연결홀(105)과 구름방지면(106) 및 보강리브(108)는 일체로 성형되어지며, 구름방지면(106)에 식별표시(107)는 별도로 고정하고 탑부(102)에 구비되는 공기출입부(110)의 가이드(111)를 일체로 성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출입부(110)의 가이드(111)에 공기선택구(112)를 결합시킨 후 통상적인 공기주입기의 노즐을 노즐공(123)에 위치시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선택구바디(1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주입슬롯(125)이 공기압에 의하여 개방되면서 본체(101) 내부로 일정압력의 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설정된 공기압력이 채워지면 공기주입기의 노즐을 공기선택구(112)로부타 이탈시키면 주입슬롯(125)이 자체적인 탄성과 더불어 주입슬롯(125) 부위가 부표(100)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부표(100) 내부의 공기압력에 의하여 주입슬롯(125) 외측부를 눌러주는 형태가 되므로 주입된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그런다음에는 가이드(111)에 단속캡(113)을 나사 결합하여 혹여 있을 수 있는 공기선택구(11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부표(10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부수적으로 공기선택구(112)와 단속캡(113) 사이에 오링이나 패킹과 패킹과 같은 기밀재(l35)를 더 개재하여 공기의 누출현상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부표는 본체(101)에 구비되는 구름방지면(106)에 의하여 바닥에 놓더라도 굴러서 이동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보관하는 과정이나 운반을 위하여 적재하는 과정에서도 다단으로 용이하게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관과 물류에 도움을 주게된다.
그리고, 부표(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어구 등과 연결할 때에는 본체(101) 하부에 형성하는 후육부(103)에 형성되는 연결홀(105)을 통하여 로우프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데, 이 연결홀(105)의 직하방 부위에 상당한 부하가 발생하는 데 이를 보강리브(108)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과정에서 쉽게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부표(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구름방지면(106)에 더 부착한 식별표시(107)에 의하여 주,야간이나 날씨변화에 관계없이 선명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어구의 위치를 찾지 못하여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또한, 부표(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본체(101) 등이 손상되어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부력이 상실된 경우에는 이를 수거하여 손상된 부위를 동일한 재질로 마감(용융부착 등의 방식으로)하여 수리를 수행하고, 수리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공기출입부(110)를 구성하는 단속캡(113)을 가이드(111)로부터 분리한 후 공기주입기의 노즐을 공기선택구(112)의 느즐공(123)에 결합시킨 후 공기를 주입하고 다시 단속캡(113)으로 마감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부표와 어구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별성이 우수하면서 보관과 운반을 위한 적재의 용이성을 가지면서, 공기주입과 배출을 자유롭게할 수 있어 손상된 부표를 수리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불필요하게 자원을 낭비를 방지하고 부표구입에 필요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101; 본체
102; 탑부 103; 후육부
105; 연결홀 106; 구름방지면
107; 식별표시 108; 보강리브
110; 공기출입부 111; 가이드
112; 공기선택구 113; 단속캡
115; 가이드바디 118; 안치턱
119; 암나사 120; 선택구바디
123; 노즐공 125; 주입슬롯
126; 캡바디 127; 수나사
129; 차단플랜지 130; 플랜지홈
135; 기밀재

Claims (5)

  1.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더 높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상부에 반구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탑부(102)와, 상기 본체(101)의 하부에 하향 돌출시켜 어구 연결을 위한 연결홀(105)을 가지는 후육부(103)를 포함하는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100)에 있어서,
    상기 탑부(102)의 중앙부에는 부표(100)로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는 공기출입부(110)를 구성하되, 공기출입부(110)를 구성하는 가이드(111)는 탑부(102)와 인서트 성형되어 유지되는 원통형상의 가이드바디(115)와, 상기 가이드바디(115)의 외경부에 탑부(102)와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게 형성하는 하부결합림(116) 및 상부결합림(117)과, 상기 가이드바디(115)의 내경부 하측에 공기선택구(112)를 유지하게 형성하는 안치턱(118)과, 상기 안치턱(118)의 상부에 단속캡(113)을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하는 암나사(119)로 구성한 것과;
    상기 가이드(111)에 결합 및 분리되어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선택구(112)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선택구바디(120)와, 상기 선택구바디(120)의 상부에 안치턱(118)에 걸림되게 형성하는 걸림플랜지(121)와, 상기 선택구바디(120)의 하측에 가이드바디(115) 하단과 걸림되게 형성하는 탈락방지림(122)과, 상기 선택구바디(120)의 축중심방으로 공기주입을 위하여 형성하는 노즐공(123)과, 상기 선택구바디(120)의 하단에 노즐공(123)과 연결되어 공기주입시에는 확장되었다가 공기주입이 멈춰지면 부표(100) 내부의 공기압력과 더불어 공기선택구(112)의 탄성에 의하여 밀착되어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주입슬롯(125)으로 구성한 것과;
    공기선택구(112)가 가이드(111)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하는 단속캡(113)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캡바디(126)와, 상기 캡바디(126)의 외경부에 가이드바디(115)의 암나사(119)와 결합될 수 있게 형성하는 수나사(127)와, 상기 캡바디(126)에 나사결합을 위한 도구사용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도구사용홈(128)과, 캡바디(126)의 상단에 탑부(102)에 형성되는 플랜지홈(130)에 걸림될 수 있게 형성하는 차단플랜지(129)로 구성한 것과;
    상기 본체(101)의 종방향으로는 부표(100)를 보관하거나 적재할 때 구르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름방지면(106)을 형성한 것과;
    상기 연결홀(105)의 직 하방 양측에 어구와 연결할 때 강한 힘에 견딜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보강리브(108)를 형성한 것과;
    상기 구름방지면(106)의 상부에 야광 또는 축광기능을 가지는 식별표시(107)를 구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0661A 2019-02-21 2019-02-21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KR102203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661A KR102203215B1 (ko) 2019-02-21 2019-02-21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661A KR102203215B1 (ko) 2019-02-21 2019-02-21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254A KR20200102254A (ko) 2020-08-31
KR102203215B1 true KR102203215B1 (ko) 2021-01-14

Family

ID=7223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661A KR102203215B1 (ko) 2019-02-21 2019-02-21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344B1 (ko) 2020-11-13 2021-09-15 이종택 결합형 부표
KR102377722B1 (ko) * 2021-06-03 2022-03-24 주식회사 케이비아이 친환경 부이의 코팅방법
KR102630791B1 (ko) * 2022-07-27 2024-01-29 주식회사 한스마린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102633935B1 (ko) 2022-12-28 2024-02-07 김부석 부력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424A (ja) * 1999-09-30 2001-04-10 Molten Corp 浮力調整型フロート
KR100978347B1 (ko) * 2010-02-12 2010-08-26 주식회사 넥센 공기 입출식 양식용 부표
KR101162007B1 (ko) 2011-03-15 2012-07-03 윤강호 개량형 양식장 부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660A (ko) * 1999-06-07 2001-01-05 정용권 양식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46681A (ko) * 2005-04-15 2005-05-18 김석균 수산 양식용 부구
KR101871633B1 (ko) 2017-06-20 2018-06-27 최태현 해저 양식용 부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5424A (ja) * 1999-09-30 2001-04-10 Molten Corp 浮力調整型フロート
KR100978347B1 (ko) * 2010-02-12 2010-08-26 주식회사 넥센 공기 입출식 양식용 부표
KR101162007B1 (ko) 2011-03-15 2012-07-03 윤강호 개량형 양식장 부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254A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215B1 (ko)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US3077614A (en) Buoy for mooring vessels
KR101361280B1 (ko)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US9809281B2 (en) Submersible buoy, inflation control system and kit
KR102105174B1 (ko) 가스 주입식 친환경 부표
KR102123152B1 (ko) 경질 우레탄폼 부이 및 이 부이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CN207208383U (zh) 起锚迅速的船锚
KR102220967B1 (ko)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190021585A (ko) 어구용 부표의 부력을 조절하는 잠수식 가두리 양식장
KR20200076948A (ko) 양식용 부표
KR101910371B1 (ko)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KR102196311B1 (ko) 열융착 고정 부표
KR200446214Y1 (ko) 내장형 노즐삽입부를 갖는 해태양식 및 어구용 부표
KR200207971Y1 (ko) 어구용 부표
KR101914760B1 (ko) 에어셀시트를 내장한 부구 제조방법
KR19980067833A (ko) 수산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633935B1 (ko) 부력구조체
KR20220101788A (ko)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KR101349367B1 (ko) 재활용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KR102620970B1 (ko) 해양 부표통, 해양 부표통의 제조장치 및 해양 부표통의 제조방법
EP1106499B1 (en) A buoyancy float
KR20170136088A (ko) 코팅층이 마련된 부력체
CN209241269U (zh) 一种漂浮桶
KR102562803B1 (ko) 공기주입형 부구
KR200327559Y1 (ko) 수차용 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