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791B1 -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 Google Patents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791B1
KR102630791B1 KR1020220093196A KR20220093196A KR102630791B1 KR 102630791 B1 KR102630791 B1 KR 102630791B1 KR 1020220093196 A KR1020220093196 A KR 1020220093196A KR 20220093196 A KR20220093196 A KR 20220093196A KR 102630791 B1 KR102630791 B1 KR 102630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floating
hole
unit
flo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마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마린
Priority to KR102022009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가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는, 부력을 갖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가 외부와 통하도록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각각을 폐쇄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마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마개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되, 상하 방향으로 마개 구멍이 형성된 마개부재 및 상기 마개 구멍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마개 구멍에 결합되는 마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 구멍과 상기 마개 결합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기 마개 구멍과 상기 마개 결합부재 사이에 상기 중공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갭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FLOATING BODY AND FLOATING PIER INCLUDING THE SAME}
본원은 부잔교 시공 등에 활용되는 부유체(플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 또는 호수의 해안인근이나 수역 내에 일정한 이동로나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잔교 등과 같은 부유해상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부유해상구조물은 부유교량(floating bridge), 부유 도크(floating dock), 요트계류장, 부두선착장, 마리나, 해상플랜트, 접안 부잔교, 수상 낚시터, 수상공원 조성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전술한 마리나와 같은 수상 시설은 통상 육지와의 연결을 위한 갱웨이(gang way) 및 갱웨이에 연결되면서 보행 통로로 기능하거나 각종 선박의 정박 영역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해상 통로로 이루어진다. 또한, 해상 통로는 폰툰(Pontoon)과 같은 복수의 부유체를 상호 결합 또는 조립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부유체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충진된 충진재(부력재)가 제공하는 부력에 의해 상부의 상판(데크)이 수면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부잔교 시공에 사용되는 부유체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중공부가 충진재가 채워진 후 완전히 밀폐되어, 부유체에 가해지는 충격, 중공부 내부의 압력 변화, 부유체의 온도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안정성이 떨어지고 파도에 의한 충격 등 부유체 주변의 환경적 요소의 변화에 취약한 한계가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353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진재가 충진되는 중공부에 대한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일부를 중공부 내부의 기체가 중공부와 외부 사이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갭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마개유닛으로 폐쇄함으로써 중공부 내부의 압력 변화, 온도, 부피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는, 부력을 갖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가 외부와 통하도록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각각을 폐쇄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마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마개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되, 상하 방향으로 마개 구멍이 형성된 마개부재 및 상기 마개 구멍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마개 구멍에 결합되는 마개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구멍과 상기 마개 결합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기 마개 구멍과 상기 마개 결합부재 사이에 상기 중공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갭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어느 하나의 하단 둘레를 따라 공기 포켓 형성용 홈이 상향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포켓 형성용 홈은, 상기 부유체가 적어도 일부 물에 잠기도록 수상 배치되었을 때, 외부 공기가 수중에서 머무르거나, 상기 중공부로부터 유출된 기체 중 적어도 일부가 머무를 수 있는 공기 포켓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향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구멍과 상기 마개 결합부재는, 상기 중공부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기 공기 포켓 공간에 머무르는 기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갭을 통해 상기 중공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결합부재는, 상기 마개 구멍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수나사형 결합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결합부재는, 상기 중공부 내부의 압력과 상기 중공부 하측의 외부의 압력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되면, 상기 압력차에 의해 상기 마개 구멍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면서, 수나사면과 암나사면 사이에 상기 갭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를 포함하는 부잔교는, 복수 개의 상기 부유체 및 상기 복수 개의 부유체 상부에 배치되는 데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충진재가 충진되는 중공부에 대한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일부를 중공부 내부의 기체가 중공부와 외부 사이를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갭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마개유닛으로 폐쇄함으로써 중공부 내부의 압력 변화, 온도, 부피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 탄성 블록을 포함함으로써, 연결 부위에 충격이 발생할 시 탄성 블록이 충격을 흡수해 부잔교를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 제1 판재부 및 제2 판재부를 포함함으로써, 제1 판재부와 제2 판재부가 연결 방향 일측으로 일측 폰툰 유닛과 연결되고, 연결 방향 타측으로 타측 폰툰 유닛에 연결되어 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제1 판재부 및 제2 판재부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상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판재 및 하부 판재를 포함함으로써, 연결 유닛에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상부 판재와 하부 판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연결 유닛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탄성 블록의 상하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제1 판재부 및 제2 판재부는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좌우 간격은 연결 유닛에 수직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제1 판재부와 제2 판재부의 간섭을 방지하며 연결 유닛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탄성 블록의 좌우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은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된 상측 홈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측으로 함몰된 하측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측 홈 및 하측 홈의 형성에 의해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 각도 범위가 상측 홈 및 하측 홈의 미형성시와 대비하여 더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하측에 일부가 상향 돌출된 상향 걸림 구조 및 상측에 상향 오픈된 상부 슬롯 구조를 갖는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구조부를 포함함으로써, 장착 구조부의 하향 걸림 구조가 사이드 프레임의 상향 걸림 구조에 걸림 체결된 상태에서 장착 구조부의 상부 홀이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 슬롯 구조 상에 위치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이동 완료 시 상부 홀이 상부 슬롯 구조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보다 간편하게 장착 구조부를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세로 연결 유닛 및 세로 U자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세로 연결 유닛과 세로 U자 링크부재에 의해 U자 링크부재가 장착 구조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파도에 의한 직접적인 횡 방향 응력 발생 시 보다 유연하게 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으로 오픈된 외측 슬롯 구조를 갖는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구조부를 포함함으로써, 장착 구조부가 외측 슬롯 구조에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사이드 프레임에 직접 체결되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를 포함하는 부잔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의 몸체부의 충진재 주입용 홀 및 공기 포켓 형성용 홈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제1마개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제1마개유닛이 삽입되지 않는 충진재 주입용 홀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제2마개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를 포함하는 부잔교의 데크 상측에 주유 장치가 배치되는 부유식 주유 폰툰(Floating Fuel Pontoon)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의 제작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 부잔교에서 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연결에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사시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측면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장착 구조부가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 U자 링크부재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평면도)이다.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세로 연결 유닛 및 세로 U자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사시도)이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장착 구조부가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길이방향, 폭방향, 상하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았을 때, 상하방향은 12시에서 6시방향이고, 폭방향은 3시에서 9시방향이고, 길이방향은 도면의 법선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2에서 보았을 때 길이방향은 2시에서 8시방향, 폭방향은 4시에서 10시방향이고, 상하방향은 12시에서 6시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았을 때 길이방향은 3시에서 9시 방향, 폭방향은 12시에서 6시 방향이고, 상하방향은 도면의 법선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 보았을 때, 상하방향은 12시에서 6시방향이고, 폭방향은 3시에서 9시방향이고, 길이방향은 도면의 법선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 장치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3 기준 상향이 수평 방향(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부유체가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3 기준 상향이 비스듬한 경사 방향을 향하도록 본원 부유체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상측 및 하측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잔교(1000) 및 이에 포함된 부유체(10)가 수상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10)의 '하측'이란 도 1을 기준으로 하면, 부유체(10)가 수상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6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및 도 8은 부유체(10)가 수상에 배치될 때 대비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뒤집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 및 도8에 대하여는 12시 방향이 부유체(10)의 '하측'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은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를 포함하는 부잔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에서 개시하는 부잔교(100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부유체(10) 및 복수 개의 부유체(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데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부유체(10) 각각은 도면부호 10a, 10b, 10c 등으로 부유체(10) 하나를 단위로 하여 구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부잔교'는 부유체, 부유 구조물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부잔교'는 부유체, 부유 구조물 등과 같이 물에 적어도 일부 잠기는 형태로 수상을 부유하도록 배치되는 모든 구조물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잔교(1000)는 데크(20)의 최외곽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프로파일 구조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구조체(30)의 하측에는 부유체(10)와 데크(20)를 연결하기 위한 레일 부재(301)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레일 부재(301)에 부유체(10)에 형성된 돌출 부재(3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형태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부유체(10) 및 데크(20)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부유체(10)는 몸체부(100) 및 복수의 마개유닛(200a, 20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0)에는 부력을 갖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중공부(A)가 내부에 형성되고, 중공부(A)가 외부와 통하도록 중공부(A)의 하측에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체(10)의 중공부(A)에 충진되는 충진재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Polystyrene)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충진재는 부유체(10)가 수상에 배치되어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합성 수지 등의 다양한 소재(Material)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충진재'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부력재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충진재 주입용 홀(110)은 후술하는 도 8을 참조하면, 충진재를 중공부(A) 내부로 충진하기 위해 구비되는 충진재 주입관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규격(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마개유닛(200a, 200b)은 몸체부(100)에 형성된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110) 각각을 폐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마개유닛(200a, 200b)을 후술하는 마개 구멍(211)의 형성 여부 및 마개 구멍(211)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마개 구멍에 결합되는 마개 결합부재(220)의 존부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는 복수의 마개유닛(200a, 200b) 중 마개 구멍(211)이 형성되며 마개 결합부재(220)가 구비되는 마개유닛을 제1마개유닛(200a)으로 지칭하고, 마개 구멍(211)이 미형성되고 마개 결합부재(220)를 미포함하는 마개유닛을 제2마개유닛(200b)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마개유닛(200a)은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충진재 주입용 홀(110) 중 부유체(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중심부에 형성된 충진재 주입용 홀(110)을 폐쇄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마개유닛(200b)은 전술한 중심부에 형성된 충진재 주입용 홀(110)을 제외한 나머지 충진재 주입용 홀(110)을 폐쇄하도록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방향 중심부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충진재 주입용 홀(110)에 제1마개유닛(200a)이 배치되고, 나머지 충진재 주입용 홀(110)에는 제2마개유닛(200b)이 배치되는 형태로 부유체(10)가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둘 이상의 충진재 주입용 홀(110)에 제1마개유닛(200a)이 배치되되, 나머지 충진재 주입용 홀(110)에 제2마개유닛(200b)이 배치되는 형태로 부유체(10)가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의 몸체부의 충진재 주입용 홀 및 공기 포켓 형성용 홈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00)의 하면에는,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110) 중 어느 하나의 하단 둘레를 따라 공기 포켓 형성용 홈(120)이 상향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포켓 형성용 홈(120)은 충진재 주입용 홀(110)을 폐쇄하도록 삽입되는 각각의 마개유닛(200a, 200b)이 용이하게 공기 포켓 형성용 홈(120)을 통과하여 충진재 주입용 홀(110)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충진재 주입용 홀(110)이 개구된 폭에 비하여 소정 이상 넓은 폭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기 포켓 형성용 홈(120)은, 부유체(10)가 적어도 일부 물에 잠기도록 수상 배치되었을 때, 외부 공기가 수중에서 머무르거나, 중공부(A)로부터 유출된 기체 중 적어도 일부가 머무를 수 있는 공기 포켓 공간이 형성되도록 충진재 주입용 홀(110)의 하단 둘레를 따라 상향 함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부유체(10)가 수상 배치되면, 마개유닛(200a, 200b)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포켓 형성용 홈(120)에 의해 형성된 공기 포켓 공간에 의해, 부유체(10)가 수상 배치된 영역에서 물이 부유체(1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00)에는 부유체(10)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덕트 공간(400)이 부유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덕트 공간(400)은 부유체(10)의 상부에 데크(20)가 배치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부잔교(1000)에서 수도관, 전기관 등의 관형 부재가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에서 개시하는 부유체(10) 및 부유체(10)를 통해 제작되는 부잔교(1000)에 의할 때, 수도관, 전기관 등의 관형 부재가 부잔교(1000)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어 부잔교(1000)의 통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부잔교(1000)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체(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데크(20)가 복수의 데크 구획부재(미도시)가 상호 결합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부유체(10)의 상측에 배치된 데크 구획부재를 나머지 데크 구획부재로부터 분리시키면, 분리된 데크 구획부재의 하측으로 형성된 덕트 공간(400)이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어, 부잔교(1000)의 관리 주체 등은 소정의 부유체(10)에 대하여 형성된 덕트 공간(400)에 배치된 수도관, 전기관 등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제1마개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마개유닛(200a, 200b) 중 어느 하나인 제1마개유닛(200a)은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110)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되, 상하 방향으로 마개 구멍(211)이 형성된 마개부재(210a) 및 마개 구멍(211)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마개 구멍(211)에 결합되는 마개 결합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진재 주입용 홀(110)이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관통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마개부재(210a)가 충진재 주입용 홀(110)을 전체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때, 마개부재(210a)의 반경방향 기준 중심 영역에는 상하방향으로 마개 구멍(21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 구멍(211)은 마개 결합부재(220)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마개유닛(200a)의 마개 구멍(211) 및 마개 결합부재(220)는 중공부(A)의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마개 구멍(211)과 마개 결합부재(220) 사이에 중공부(A) 내부의 기체가 중공부(A)로부터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갭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마개유닛(200a)의 마개 구멍(211)과 마개 결합부재(220)는, 중공부(A)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공기 포켓 공간 형성용 홈(120)에 의해 형성된 공기 포켓 공간에 머무르는 기체 중 적어도 일부가 갭을 통해 중공부(A)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마개유닛(200a)은 부유체(10)가 수상 배치된 상태에서 마개 구멍(211)과 마개 결합부재(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미세한 틈(갭)으로 액체 상태의 물질(물)이 침투하지 않으면서 갭에 의해 기체 상태의 물질(공기)의 순환은 필요에 따라 가능하게 구비되어 부유체(10)에 가해지는 충격(예를 들면, 파도 등)이나 외부 환경적 요소의 변화(예를 들면, 온도 변화 등)에 따라 중공부(A) 내부의 기체가 필요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개 결합부재(220)는 마개 구멍(211)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미도시)가 형성된 수나사형 결합 부재일 수 있다.
또한, 마개 결합부재(220)는 중공부(A) 내부의 압력과 중공부(A) 하측의 외부의 압력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되면, 발생한 압력차에 의해 마개 구멍(2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면서, 마개 결합부재(220) 외주면의 수나사면과 마개 구멍(211) 내주면의 암나사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개 구멍(211)의 암나사면인 내주면과 마개 결합부재(220)의 수나사면인 외주면은 폴리에틸렌(PE) 재질이고, 이러한 폴리에틸렌(PE) 재질의 변형적 특성 및 표면적 조도 특성에 의해, 마개 구멍(211)과 마개 결합부재(220) 사이에서 형성되는 갭이 액체 상태의 물질의 통과보다 기체 상태의 물질의 통과를 선택적으로 더 허용하는 미세한 갭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변형적 특성은 마개 구멍(211)의 암나사면과 마개 결합부재(220)의 수나사면을 형성하는 재질의 변형률(Strain)과 연계된 특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액체 상태의 물질의 통과보다 기체 상태의 물질의 통과를 선택적으로 더 허용하는 미세한 갭은 마개 구멍(211)의 암나사면인 내주면과 마개 결합부재(220)의 수나사면인 외주면을 형성하는 재질적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변형은 미세한 갭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적 변형, 소성적 변형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개 결합부재(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면과 마개 구멍(2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면 각각의 나사산 각도가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중공부(A) 내부의 압력 및 중공부(A) 하측의 외부 사이의 압력차에 의한 마개 결합부재(220)의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암나사면 및 수나사면 사이의 갭의 크기가 필요에 따라 넓어지거나 좁아지면서 중공부(A) 내부의 기체가 중공부(A) 외부로 이동하거나 중공부(A) 외부의 기체가 중공부(A) 내부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제1마개유닛이 삽입되지 않는 충진재 주입용 홀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제2마개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마개유닛(200b)은 앞서 상세히 설명한 제1마개유닛(200a)과 달리 마개 구멍이 미형성된 마개 부재(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마개유닛(200b)의 마개 부재(210b)는 제1마개유닛(200a)과 달리 충진재 주입용 홀(110)을 전체적으로 폐쇄(밀폐)하도록 충진재 주입용 홀(110)에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일체의 마개 부재(210b)를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를 포함하는 부잔교의 데크 상측에 주유 장치가 배치되는 부유식 주유 폰툰(Floating Fuel Pontoon)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잔교(1000)의 데크(20) 상측에 주유 장치가 배치되는 부유식 주유 폰툰(Floating Fuel Pontoon)의 주유 장치 하측에 배치되는 부유체(10)에는 주유 장치의 무게에 의해 하중이 더 가중되는 부분을 지탱하도록 보강 플로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갱웨이가 배치되는 영역, 핑거가 연결되는 영역 등에 대하여 배치되는 부유체(10)의 경우, 다른 부유체(10) 대비 가중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고려하여 보강 플로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크(20)의 하측에 폭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부유체(10)는 부유체(10) 각각의 몸체부(100)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 부재(300) 사이의 ㄷ자 형강 및 ㄷ자 형강 내로 삽입되는 고무 블록을 볼트 등의 결합부재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의 제작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몸체부(100)의 중공부(A)에는 충진재 주입용 홀(110)을 통해 부력을 갖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재는 중공부(A)의 전체 체적(부피) 대비 미리 설정된 비율의 체적(부피)만큼 충진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재는 중공부(A)의 전체 체적 중 95%을 차지하도록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충진재가 예시적으로 폴리스티렌 재질인 경우, 충진(발포)된 폴리스티렌 충진재 내부에 틈이 일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중공부(A) 내부의 충진재 충진이 완료되면, 복수 개의 충진재 주입용 홀(110)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부유체(1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형성된 충진재 주입용 홀(110) 등)에는 상술한 제1마개유닛(200a)의 마개 부재(210a)가 삽입되고, 삽입된 마개 부재(210a)는 충진재 주입용 홀(110)을 밀폐하도록 융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충진재 주입용 홀(110) 중 제1마개유닛(200a)의 마개 부재(210a)가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충진재 주입용 홀(110)에는 상술한 제2마개유닛(200b)의 마개 부재(210b)가 삽입되고, 삽입된 마개 부재(210b)는 충진재 주입용 홀(110)을 밀폐하도록 융착될 수 있다.
이어서, 제1마개유닛(200a)의 마개 부재(210a)에 형성된 마개 구멍(211)에 마개 결합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마개 구멍(211)에 마개 결합부재(220)가 결합(삽입)되고 나면, 마개 구멍(211)과 마개 결합부재(220) 사이에는 중공부(A)의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중공부(A) 내부의 기체가 중공부(A)로부터 외부로 유출되거나 공기 포켓 형성용 홈(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포켓 공간에 머무르는 기체 중 적어도 일부가 중공부(A)로 유입되도록 하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하 '본 연결 유닛'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 부잔교에서 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연결에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100)은 부잔교에서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 사이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100)은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을 서로 연결해주며, 그 사이에 완충제 역할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사시도)이며,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100)은 탄성 블록(1110),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를 포함한다.
탄성 블록(1110)은 탄성 거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블록(1110)의 탄성 재료는 고무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블록(1110)은 탄성을 갖는 다양한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블록(1110)은, 본 연결 유닛(1100)이 일측 폰툰 유닛(1400) 및 타측 폰툰 유닛(1500) 사이를 연결하여 사용될 때, 연결 부위에 충격이 발생할 시 발생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 블록(1110)은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 사이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연결 방향(예를 들어, 도 9 기준 3시-9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 블록(1110)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는 탄성 블록(1110)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를 기준으로, 연결 방향은 10시-4시 방향이며, 횡 방향은 2시-8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는 스테인레스 스틸 바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본 연결 유닛(1100)은 스테인레스 스틸 바를 고무가 감싼 형태로, 스테인레스로 보강한 고무블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100)은 탄성 블록(1110)이 형성될 평면상의 윤곽에 대응하는 공간을 갖는 몰드에 탄성 재료를 충진하고,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를 배치한 뒤, 남은 공간에 탄성 재료를 충진한 다음 열과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의 좌우 간격은, 연결 유닛(1100)에 수직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제1 판재부(1120)와 제2 판재부(113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연결 유닛(1100)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탄성 블록(1110)의 좌우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100)은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의 좌우 간격에 대하여 탄성 블록(1110)의 탄성 재료가 개재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결 유닛(1100)이 수직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제1 판재부(1120)와 제2 판재부(1130)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굽힘에 대한 완충 역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판재부(1120)와 제2 판재부(1130)는 연결 방향 일측으로 일측 폰툰 유닛(1400)과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연결 방향 타측으로 타측 폰툰 유닛(1500)과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는 연결 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되되, 탄성 블록(1110)의 내부에 배치 가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는 연결 방향 일측(예를 들어, 도 9 기준 9시 방향)으로는 일측 폰툰 유닛(1400)과 연결되며, 연결 방향 타측(예를 들어, 도 9 기준 3시 방향)으로는 타측 폰툰 유닛(1500)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100)에는 연결 방향 일측(도 9 기준, 9시 방향)에 일측 폰툰 유닛(1400)과 연결 시 이용되도록, 제1 일측 홀(1123)이 탄성 블록(1110)과 제1 판재부(1120)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제2 일측 홀(1133)이 탄성 블록(1110)과 제2 판재부(1130)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일측 홀(1123) 및 제2 일측 홀(1133)은, 본 연결 유닛(1100)이 일측 폰툰 유닛(1400)에 연결될 때,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볼트의 나사부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일측 홀(1123) 및 제2 일측 홀(1133)은, 본 연결 유닛(1100)이 일측 폰툰 유닛(1400)에 연결되는 방식에 대응하여 홀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100)에는 연결 방향 타측(도 9 기준, 3시 방향)에 타측 폰툰 유닛(1500)과 연결 시 이용되도록, 제1 타측 홀(1124)이 탄성 블록(1110)과 제1 판재부(1120)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제2 타측 홀(1134)이 탄성 블록(1110)과 제2 판재부(1120)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측 홀(1124) 및 제2 타측 홀(1134)은, 본 연결 유닛(1100)이 타측 폰툰 유닛(1500)에 연결될 때,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볼트의 나사부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타측 홀(1124) 및 제2 타측 홀(1134)은, 본 연결 유닛(1100)이 타측 폰툰 유닛(1500)에 연결되는 방식에 대응하여 홀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일측 홀(1123), 제1 타측 홀(1124), 제2 일측 홀(1133) 및 제2 타측 홀(1134)은, 본 연결 유닛(1100)의 제작에 사용되는 몰드에 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홀 형성용 부재를 구비하여 본 연결 유닛(1100) 제작 시 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연결 유닛(1100)이 제작된 후, 제1 일측 홀(1123), 제1 타측 홀(1124), 제2 일측 홀(1133) 및 제2 타측 홀(1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힘을 가하여 홀을 형성(펀칭)시킬 수 있다. 다만, 홀 형성 방식 및 그에 사용되는 장비 또는 부재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100)은 후술하는 U자 링크 부재(1220)를 통해 일측 폰툰 유닛(1400) 및 타측 폰툰 유닛(1500)에 대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연결 유닛(1110)의 제1 일측 홀(1123) 및 제2 일측 홀(1133)이 일측 폰툰 유닛(1400)에 설치된 U자 링크 부재(1220)에 대해 연결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타측 홀(1124) 및 제2 타측 홀(1134)이 타측 폰툰 유닛(1500)에 설치된 U자 링크 부재(1220)에 대해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 결합은 볼트-너트 결합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 각각은, 면 법선 방향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 상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판재(121, 131) 및 하부 판재(122,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면 법선 방향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은 12시-6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판재부(1120)는 제1 상부 판재(1121) 및 제1 하부 판재(1122)를 포함하며, 제2 판재부(1130)는 제2 상부 판재(1131) 및 제2 하부 판재(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100)은 탄성 블록(1110)이 형성될 평면상의 윤곽에 대응하는 공간을 갖는 몰드에 탄성 재료를 충진하고, 제1 하부 판재(1122) 및 제2 하부 판재(1132)를 배치한 뒤, 탄성 재료를 충진하고, 그 위에 제1 상부 판재(1121) 및 제2 상부 판재(1131)를 배치한 뒤, 탄성 재료를 다시 충진하여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판재(121, 131) 및 하부 판재(122, 132)의 상하 간격은, 본 연결 유닛(1100)에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상부 판재(121, 131)와 하부 판재(122, 132)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본 연결 유닛(1100)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탄성 블록(1110)의 상하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100)은 상부 판재(121, 131) 및 하부 판재(122, 132)의 상하 간격에 대하여 탄성 블록(1110)의 탄성 재료가 개재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결 유닛(1100)이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도리 때, 상부 판재(121, 131)와 하부 판재(122, 132)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굽힘에 대한 완충 역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100)은 탄성 블록(1110)의 탄성 재료와 상부 판재(121, 131) 및 하부 판재(122,132)가 번갈아가며 겹겹이 적층되는 샌드위치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다 오랜 기간 유지되는 견고한 힌지 연결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탄성 블록(1110)은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 사이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여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상측 홈(111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하측 홈(11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 사이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는 상측 홈(1111) 및 하측 홈(1112)은 파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발생될 때,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며 서로에 대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측 홈(1111) 및 하측 홈(1112)의 형성에 의해,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 각도 범위가 상측 홈(1111) 및 하측 홈(1112)의 미형성시와 대비하여 더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를 참조하면, 횡 방향 축은2시-8시 방향에 대응하는 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은, 본 연결 유닛(1100)이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 사이에 연결되어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이 파도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할 때, 예를 들어, 일측 폰툰 유닛(1400)이 타측 폰툰 유닛(1500)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고, 타측 폰툰 유닛(1500)이 일측 폰툰 유닛(1400)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여 본 연결 유닛(1100)에 발생한 굽힘일 수 있다.
또한, 상측 홈(1111) 및 하측 홈(1112)이 형성된 본 연결 유닛(1100)은 부잔교가 수면 상에 위치해 파도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 등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 시에 발생하는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이 상측 홈(1111) 및 하측 홈(1112)의 미형성시와 대비하여 더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탄성 블록(1110)의 상측 홈(1111) 및 하측 홈(1112)은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 사이의 이격 간격(좌우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 사이의 이격 간격(좌우 간격)에 대응하는 상측 홈(1111) 및 하측 홈(1112)은 파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발생될 때,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가 서로에 대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폰툰 유닛(1400) 및 타측 폰툰 유닛(1500)이 파고가 높은 곳에 배치될 때, 상측 홈(1111) 및 하측 홈(1112)은, 이에 따른 수상 환경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깊은 함몰 깊이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견고하게 대응하도록 얕은 함몰 깊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측 홈(1111) 및 하측 홈(1112)의 함몰 깊이는, 일측 폰툰 유닛(1400) 및 타측 폰툰 유닛(1500)이 배치되는 수상 환경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연결 유닛(1100)은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를 탄성 블록(1110)이 감싼 형태로써 간단한 조립으로 양쪽의 부잔교(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를 강력하게 연결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100)은 후술하는 U자 링크 부재(1220)를 통해 일측 폰툰 유닛(1400) 및 타측 폰툰 유닛(15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본 연결 유닛(1100)은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양쪽에 2개씩 배치되어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이 3m이고 길이가 100m인 부잔교가 필요할 때, 폭이 3m이고 길이가 10~12m인 부잔교 폰툰을 약 10개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폭이 3m이고 길이가 10~12m인 알루미늄 프레임 하부에 2.6mX2.3m의 콘크리트 부력체를 4~5개 볼트 접합하여 제작한 부잔교 폰툰을 10~12개 연결할 때, 본 연결 유닛(1100)을 통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이하 '본 연결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장착 구조부가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1200)는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1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구조체(1200)는 보조 잔교를 주잔교에 연결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1300)은 하측에 일부가 상향 돌출된 상향 걸림 구조(131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향 걸림 구조(1310)는 사이드 프레임(13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외측(예를 들면, 도 12 기준 9시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이 상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300)은 상측에 상향 오픈된 상부 슬롯 구조(132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1300)의 상부 슬롯 구조(1320)는 사이드 프레임(13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부 슬롯 구조(1320)의 오픈된 입구의 폭은 내부에 형성된 홈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도 12 기준 3시-9시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1200)는 본 연결 유닛(1100), 장착 구조부(1210), U자 링크부재(1220), 고정 유닛(1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1210)는 사이드 프레임(13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1210)는 상향 걸림 구조(1310)에 걸림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하향 걸림 구조(12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 걸림 구조(1211)는 장착 구조부(12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향 걸림 구조(1310)의 돌출된 형태에 걸림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하향 걸림 구조(1211)는 하측에 위치하는 연장된 끝단이 하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1210)는 상향 걸림 구조(1310)에 하향 걸림 구조(1211)가 걸림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 슬롯 구조(1320) 상에 위치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이동 완료 시 상부 슬롯 구조(1320)와 연결되도록 통하는 상부 홀(12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장착 구조부(1210)의 하향 걸림 구조(1211)를 상향 걸림 구조(1310)에 걸림 체결시키고, 사이드 프레임(1300)의 상부에 장착 구조부(1210)의 상부가 얹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장착 구조부(1210)의 상부 홀(1212)과 사이드 프레임(1300)의 상부 슬롯 구조(1320)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하여 이동 완료 시 상부 홀(1212)과 상부 슬롯 구조(1320)가 연결되도록 볼트-너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1210)는 C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1210)는 내측에 발생되는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에 대하여 저항하고 이에 대해 보강하기 위해 내측에 보강부재(예를 들면 수직보강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장착 구조부(1210)는 부잔교에 충돌 발생 시 충격을 흡수하여 부잔교를 보호하는 펜더(fender)가 사이드 프레임(1300)에 설치한 상태로 장착 구조부(12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보강판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장착 구조부(1210)는 보조잔교의 폭 또는 파일 가이드 연결부의 폭에 대응하는 폭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3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장착 구조부(1210)의 상부 홀(1212)은 상부면에 대하여 장착 구조부(1210)의 폭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1210)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구조부(1210)는 펜더가 설치된 주잔교를 한꺼번에 포함하도록 클립처럼 끼운 뒤에 볼트 접합하여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장착 구조부(1210)는 기설치된 펜더 위에 그대로 씌우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지 않으며, 추후 필요에 따라 보조잔교를 이동설치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1200)의 U자 링크부재(1220)는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 구조부(1210)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자 링크부재(1220)는 개구된 부분이 도 12 기준 9시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누운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자 링크부재(1220)는 장착 구조부(1210)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볼트-너트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1200)의 본 연결 유닛(1100)은 U자 링크부재(1220)의 개구된 부분에 일측 부분이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100)은 U자 링크부재(1220)의 개구된 부분에 본 연결 유닛(1100)이 삽입되되, 연결 방향 일측(도 12 기준 3시 방향)으로 삽입되어 본 연결 유닛(1100)의 제1 판재부(1120)의 일측 및 제2 판재부(1130)의 일측이 U자 링크부재(1220)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100)의 타측 부분은 외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폰툰 유닛(예를 들어, 보조잔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1200)의 고정 유닛(1230)은 본 연결 유닛(1100)에 형성된 홀 및 이에 대응하여 U자 링크부재(1220)에 형성된 홀을 통해 본 연결 유닛(1100)을 U자 링크부재(1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100)에 형성된 홀은 제1 일측 홀(1123) 및 제2 일측 홀(1133)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자 링크부재(1220)에 본 연결 유닛(1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본 연결 유닛(1100)의 제1 일측 홀(1123) 및 제2 일측 홀(1133)과 U자 링크부재(1220)에 형성된 홀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유닛(1230)이 본 연결 유닛(1100)에 형성된 홀과 U자 링크부재(122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본 연결 유닛(1100)을 U자 링크부재(1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1230)은 나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트와 너트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100)은 타측이 다른 폰툰 유닛과 연결되도록, 제1 타측 홀(1124) 및 제2 타측 홀(1134)이 다른 폰툰 유닛(예를 들면, 보조잔교)에 배치된 U자 링크부재(1220)에 형성된 홀에 대해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고정 유닛(123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 U자 링크부재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평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U자 링크부재(1220)는 부잔교와 보조잔교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양쪽에 배치되어 부잔교와 보조잔교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잔교와 보조잔교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은, 도 14 기준 3시-9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U자 링크부재(1220)는, 하나의 U자 링크부재(1220)의 개구된 부분에 대해 2개의 본 연결 유닛(1100)이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U자 링크부재(122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plan view)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자 링크부재(1220)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어 연결된 부분(도 14 기준 6시 방향)이 개구된 부분(도 14 기준 12시 방향)보다 긴 길이(9시-3시 방향으로의 폭)를 갖도록 구비되며, 개구된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에 대응하게 본 연결 유닛(1100)이 배치되고, 연결된 부분에 대해 본 연결 유닛(110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은 고정 유닛(1230)을 이용해 장착 구조부(121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다리꼴 형상을 통해 구조적 강성(수평 방향으로의 휨에 대한 구조적 저항성)이 보다 보강될 수 있다.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세로 연결 유닛 및 세로 U자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1200)는 세로 연결 유닛(1240) 및 세로 U자 링크부재(1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 연결 유닛(1240)은 본 연결 유닛(1100)에 대응하는 구성이되, 세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세로 연결 유닛(1240)의 세로 상태는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의 일측 및 타측 방향은 유지되되, 제1 판재부(1120) 및 제2 판재부(1130)의 좌우 간격이 상하 방향(도 15 기준 12시-6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돌려 놓이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여, 세로 연결 유닛(1240)이 세로 상태로 배치된다고 하면, 도 12 또는 도 15에 도시된 본 연결 유닛(1100)은 가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세로 U자 링크부재(1250)는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 구조부(1210)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연결되되, 세로 연결 유닛(1240)이 세로 상태로 삽입 가능하게 세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면, 세로 U자 링크부재(1250)는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되, 개구된 부분이 상하 방향(예를 들어, 도 15 기준 12시-6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세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로 U자 링크부재(1250)는 세로 연결 유닛(1240)이 세로 상태로 삽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세로 U자 링크부재(1250)가 세로 상태로 배치된 것이라 한다면, 도 12에 도시된 U자 링크부재(1220)는 가로 상태로 배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세로 연결 유닛(1240)과 세로 U자 링크부재(1250)에 의해, U자 링크부재(1220)가 장착 구조부(12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 U자 링크부재(1250)가 장착 구조부(12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세로 U자 링크부재(1250)에 세로 연결 유닛(1240)이 삽입되어 배치되며, 이러한 세로 연결 유닛(1240)에 대해 U자 링크부재(12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자 링크부재(1220)가 장착 구조부(1210)에 대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U자 링크부재(1220)는 가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세로 연결 유닛(1240) 및 세로 U자 링크부재(1250)는 주잔교의 가장 외측에 설치되는 보조잔교를 연결할 때 이용될 수 있으며, 세로 연결 유닛(1240) 및 세로 U자 링크부재(1250)에 의해 U자 링크부재(1220)가 장착 구조부(12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보조잔교가 주잔교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면서, 파도에 의한 직접적인 횡 방향 응력 발생 시 보다 유연하게 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장착 구조부가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한편, 예를 들어,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1200)의 장착 구조부(1210)는 T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1300)은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으로 오픈된 외측 슬롯 구조(133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프레임(1300)의 외측은, 도 16 기준 9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측 슬롯 구조(1330)는 사이드 프레임(13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외측 슬롯 구조(1330)의 오픈된 입구의 폭은 내부에 형성된 홈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도 16 기준 12시-6시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외측 슬롯 구조(1330)는 사이드 프레임(1300)에 대해 외측 슬롯 구조(1330)의 폭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1210)는 외측 슬롯 구조(1330)에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구조부(1210)는 T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장착 구조부(1210)는 T형 부재(1213) 및 슬롯 삽입 부재(1214)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 삽입 부재(1214)는 외측 슬롯 구조(1330)에 대해 끼워지는 부재(슬롯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레일 결합되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 삽입 부재(1214)는 T형 부재(1213)에 대해 볼트 체결된 볼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T형 부재(1213)에 대해 슬롯 삽입 부재(1214)를 결합시키고, 슬롯 삽입 부재(1214)를 외측 슬롯 구조(1330)에 삽입시켜 끼우며, T형 부재(1213)가 사이드 프레임(1300)에 직접 체결된 형태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프레임(1300)에 볼트 체결로 직접 체결된 형태로 구비된 장착 구조부(1210)는 클립 형태로 체결된 장착 구조부(1210)에 비해 강력하게 연결(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T형 부재(1213)의 상측 수평 연장 부재는 사이드 프레임(1300)의 상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견고함을 더해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7을 참조하면, T형 부재(1213)의 상측 수평 연장 부재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1300)을 갖는 폰툰 유닛(1400)을 포함하는 부잔교(이하 '본 부잔교'라 함)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부잔교는 전술한 본 연결 유닛(1100) 및 본 연결 구조체(1200)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본 연결 유닛(1100) 및 본 연결 구조체(120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부잔교는 본 연결 구조체(1200)가 사이드 프레임(1300)에 설치된 폰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부잔교는 사이드 프레임(1300)이 설치된 폰툰 유닛, 및 본 연결 구조체(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폰툰 유닛은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은 본 연결 유닛(11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부잔교는, 일측 폰툰 유닛(1400)과 타측 폰툰 유닛(1500) 사이를 본 연결 유닛(1100)으로 연결하여 주잔교를 설치하고, 주잔교의 측면에 설치된 사이드 프레임(1300)에 대해 본 연결 구조체(1200)를 연결하며, 보조잔교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보조잔교는 사이드 프레임(1300)에 장착 구조부(1210)를 장착(설치)하고, 장착 구조부(1210)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연결되는 U자 링크부재(1220) 및 U자 링크부재(1220)에 일측 부분이 삽입되는 본 연결 유닛(1100)의 타측(도 12 기준 9시 방향 측)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부유체
100: 몸체부
110: 충진재 주입용 홀
120: 공기 포켓 형성용 홈
121: 공기 포켓 공간
200: 마개유닛
210: 마개부재
211: 마개 구멍
220: 마개 결합부재
300: 돌출부
20: 데크
1000: 부잔교
1100: 연결 유닛
1110: 탄성 블록
1111: 상측 홈
1112: 하측 홈
1120: 제1 판재부
1121: 제1 상부 판재
1122: 제1 하부 판재
1123: 제1 일측 홀
1124: 제1 타측 홀
1130: 제2 판재부
1131: 제2 상부 판재
1132: 제2 하부 판재
1133: 제2 일측 홀
1134: 제2 타측 홀
1200: 연결 구조체
1210: 장착 구조부
1211: 하향 걸림 구조
1212: 상부 홀
1213: T형 부재
1214: 슬롯 삽입 부재
1220: U자 링크부재
1230: 고정 유닛
1240: 세로 연결 유닛
1250: 세로 U자 링크부재
1300: 사이드 프레임
1310: 상향 걸림 구조
1320: 상부 슬롯 구조
1330: 외측 슬롯 구조
1400: 일측 폰툰 유닛
1500: 타측 폰툰 유닛

Claims (6)

  1. 부유체에 있어서,
    부력을 갖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가 외부와 통하도록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각각을 폐쇄하도록 제공되는 복수의 마개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마개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되, 상하 방향으로 마개 구멍이 형성된 마개부재; 및
    상기 마개 구멍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마개 구멍에 결합되는 마개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 구멍과 상기 마개 결합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기 마개 구멍과 상기 마개 결합부재 사이에 상기 중공부 내부의 기체가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갭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의 충진재 주입용 홀 중 어느 하나의 하단 둘레를 따라 공기 포켓 형성용 홈이 상향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포켓 형성용 홈은, 상기 부유체가 적어도 일부 물에 잠기도록 수상 배치되었을 때, 외부 공기가 수중에서 머무르거나, 상기 중공부로부터 유출된 기체 중 적어도 일부가 머무를 수 있는 공기 포켓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향 함몰되며,
    상기 마개 구멍과 상기 마개 결합부재는, 상기 중공부 내부의 압력, 온도 및 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따라, 상기 공기 포켓 공간에 머무르는 기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갭을 통해 상기 중공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인, 부유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결합부재는,
    상기 마개 구멍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수나사형 결합 부재로서,
    상기 중공부 내부의 압력과 상기 중공부 하측의 외부의 압력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되면, 상기 압력차에 의해 상기 마개 구멍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면서, 수나사면과 암나사면 사이에 상기 갭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인, 부유체.
  6. 부유체를 포함하는 부잔교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항에 따른 부유체; 및
    상기 복수 개의 부유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데크,
    를 포함하는, 부잔교.
KR1020220093196A 2022-07-27 2022-07-27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102630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196A KR102630791B1 (ko) 2022-07-27 2022-07-27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196A KR102630791B1 (ko) 2022-07-27 2022-07-27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791B1 true KR102630791B1 (ko) 2024-01-29

Family

ID=8971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196A KR102630791B1 (ko) 2022-07-27 2022-07-27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7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696A (ko) * 2011-01-28 2011-11-17 (주)제이씨 수상 산책로
KR20200102254A (ko) * 2019-02-21 2020-08-31 이지운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KR20210062474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696A (ko) * 2011-01-28 2011-11-17 (주)제이씨 수상 산책로
KR20200102254A (ko) * 2019-02-21 2020-08-31 이지운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KR20210062474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41B2 (en) Wave-attenuating system
KR100977015B1 (ko) 콘크리트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조립체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KR101252422B1 (ko) 조립식 폰툰
KR10216725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용 파일 가이드
KR101254488B1 (ko) 케이슨
KR20150043668A (ko) 푼툰을 이용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005500B1 (ko)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2630791B1 (ko)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101579546B1 (ko) 해상구조체의 선박충돌 방호구조물
KR102110426B1 (ko)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1311166B1 (ko)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US20090304448A1 (en) A floating pontoon body to be tied together with at least another pontoon body
KR102608885B1 (ko)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KR20180110264A (ko)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JP6684459B1 (ja) 構造物の補強梁、補強工法、及び構造物
EP0097181A1 (en) Floating walkway
KR102448003B1 (ko) 소파 및 수평 기능을 가지는 부잔교
KR100921438B1 (ko) 부유식 저장시설
KR200441485Y1 (ko) 해상부유구조물
KR20190130223A (ko) 부유식 구조물
KR102368917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방파제
KR102361308B1 (ko) 부유식 콘크리트 단위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