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264A -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264A
KR20180110264A KR1020170038603A KR20170038603A KR20180110264A KR 20180110264 A KR20180110264 A KR 20180110264A KR 1020170038603 A KR1020170038603 A KR 1020170038603A KR 20170038603 A KR20170038603 A KR 20170038603A KR 20180110264 A KR20180110264 A KR 2018011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alve
float
pressure reduc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프
이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프, 이경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프
Priority to KR1020170038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0264A/ko
Publication of KR2018011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는,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다면체 구조로서, 물과 접하는 하면부로부터 상면부 측으로 임의 크기와 높이로 요입 형성되는 감압실, 플로트의 상면부 중앙에 형성되는 출구와 감압실을 구획하는 면 중 상기 출구의 위치에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는 입구 그리고 출구와 입구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통로로 구성된 감압홀 및 감압실의 압력 상승 또는 감압실 내에 채워진 물의 수위 상승에 따라 감압홀을 개방시키도록 작동되는 감압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Float for assembly type floating bridge}
본 발명은 플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천이나 호수, 강가 등에 가설되는 조립식 부교(Floating bridge)용 플로트에 관한 것이다.
부교(floating bridge)는 주로 통행을 목적으로 저수지, 호수, 강 등의 수상에 설치된다. 최근의 경우에는 신도시 등이 건설되는 과정에서도 도심에 인공적인 호수 등을 건설하고, 그 수상에 부교 등과 같은 다양한 조경 시설물을 설치하여 시민들로 하여금 더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부교는 수중의 말뚝을 박듯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와 그 지주들 사이를 연결하는 상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판은 지주에 완전히 고정 설치되어 수면 변화에는 상관없이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구성되거나, 지주에 지탱되기는 하되 수면의 변화에 따라서 그 높이가 변하는 형태로 구성되기도 한다.
종래의 부교는, 수중에 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물막이 및 물빼기 공사 등이 요구되는 등 부교 설치에 상당한 인력과 장비가 소요됨은 물론 공기가 길어 단기간 설치가 어렵다. 따라서 설치에 상당히 많은 비용이 들고, 특히 지주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수중 생태계를 파괴하여 수중의 동식물에 악영향을 끼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이에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를 지상에서 일정한 크기로 미리 조립 제작한 후, 크레인 또는 견인선 등의 장비를 동원하여 제작된 부교를 수상으로 이동시키고 적절한 연결수단으로 일정 크기의 플로트 구조체들을 서로 연결하여 부교를 완성하는 조립식 수상 구조물이 제안된 바 있다(하기 선행문헌번호 참조).
종래 조립식 부교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플로트는,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중공의 다면체 구조 또는 단순 스티로폼 재질의 다면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때문에 수위 또는 수면 변동으로 플로트의 하부 측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대한 대응성이 떨어져 수위 또는 수면의 변동이 심할 경우 위아래로 심하게 출렁거리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10363호 (공개일자 2009. 12. 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상 악화 등에 의한 수위 또는 수면 변동으로 물과 접하는 플로트의 하면부 측에 외부 충격이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흡수 또는 감쇄시킬 수 있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다면체 구조의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Float)에 있어서,
물과 접하는 상기 플로트의 하면부로부터 상면부 측으로 임의 크기와 높이로 요입 형성되어 수면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감압실;
상기 플로트의 상면부 중앙에 형성되는 출구와, 상기 감압실을 구획하는 면 중 상기 출구의 위치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는 입구, 그리고 상기 출구와 입구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통로로 구성된 감압홀; 및
상기 감압홀에 설치되며, 상기 감압실의 압력 상승 또는 감압실 내에 채워진 물의 수위 상승에 따라 상기 감압홀을 개방시키도록 작동되어 감압실의 내부압력을 낮추는 감압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압홀 및 감압밸브가 플로트 중앙에 하나 또는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의 둘레에 평면상의 모양이 원 또는 다각형이고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 모양의 밸브 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홀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슬리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감압홀의 출구 측 밸브 시트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밸브 갓과,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감압홀의 입구 측에 배치되는 부구(浮具) 및 상기 밸브 갓과 부구를 연결하며, 상기 감압홀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밸브 축;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감압홀의 입구와 마주하는 부구의 면이 상기 입구를 덮어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 갓이 밸브 시트에 안착된 때 상기 부구가 감압홀의 입구로부터 임의 거리 하향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감압홀의 높이보다 상기 밸브 축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 축 또는 감압홀에는, 상기 감압홀에 대한 밸브 축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고 감압실에 채워진 물이 상기 감압홀을 통과하여 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플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홀과 감압밸브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일부가 겹쳐질 수 있도록 제1 지지구와 제2 지지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구와 제2 지지구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지지되어 감압밸브 상단의 밸브 갓이 상기 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이 상기 감압홀과 감압밸브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로트는 평면 모양이 삼각이상 다각형인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다면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에 의하면, 물과 접하는 하면부에 물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감압실이 형성된다. 또한 감압실 내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거나 수위 변동에 따라 일정 수위의 물이 채워진 경우 감압실을 개방시켜 내부 압력을 낮추는 감압밸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심한 수위 또는 수면 변동으로 물과 접하는 하면부 측에 큰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외부 충격으로 물과 접하는 면에 작용하는 압력 변동이 심하더라도, 상기 공기층에 의한 댐핑 효과와 감압밸브에 의한 압력 조절 기능에 의하여 충격과 압력이 효과적으로 흡수 또는 감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식 부교의 출렁거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로트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로트의 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로트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로트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로트를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로트의 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1)는,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상면이 평평한 다면체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면 모양이 삼각이상 다각형인 다면체로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수지를 고온 환경에서 압축 성형하여 제작되는 다면체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플로트(1)는 물과 접하는 하면부에 물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기층(A)이 형성되도록 하는 감압실(10)이 형성된다. 감압실(10)은 수위 또는 수면 변동에 따라 상기 플로트(1)의 하면부 측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과 그에 따른 압력을 흡수/감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로트의 하면부로부터 상면부 측으로 임의 크기와 높이로 형성되는 요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플로트(1)의 중앙에는 상기 감압실(10)과 통하도록 감압홀(12)이 형성된다. 감압홀(12)은 감압실(10) 내 상기 공기층(A)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거나 수위 변동에 따라 일정 수위의 물이 채워진 경우 내부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큰 외부 충격이나 심한 압력 변동에도 감압실(10) 내 상기 공기층(A)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감압홀(12)은 하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감압홀(12)은 출구(120)와 입구(124) 및 이들을 연결하는 통로(122)로 구성될 수 있다. 출구(120)는 플로트(1)의 상면부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입구(124)는 감압실(10)을 구획하는 면 중 상기 출구(120)의 위치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구(120)와 입구(124)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도록 통로(122)가 직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압홀(12)의 상기 출구(120) 둘레에는 후술하는 감압밸브(14)의 밸브 갓(140)에 대응하여 평면상의 모양이 원 또는 다각형이고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 모양의 밸브 시트(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홀(12)의 통로(122)에는 상기 감압밸브(14)의 밸브 축(142)과의 마찰 및 그에 따른 마모 방지를 위한 내마모성 플라스틱 재질의 슬리브(1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슬리브(13)는 상기 밸브 시트(130)를 포함하도록, 밸브 시트(13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압홀(12)에는 상기 감압밸브(14)가 설치된다. 감압밸브(14)는 수면 또는 수위 변동으로 감압실(10) 내 상기 공기층(A)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거나 수위 변동에 따라 일정 수위의 물이 채워진 경우 감압홀(12)을 개방시키도록 작동되어 내부 압력, 보다 정확하게는 수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층(A)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감압밸브(14)는 감압홀(12)의 개수에 따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 갓(140), 부구(浮具, 144), 밸브 축(142)을 포함한다.
밸브 갓(140)은 감압홀(12)의 상기 밸브 시트(130)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출구(120)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부구(144)는 물에 뜰 수 있는 구조 또는 재질로서 상기 감압홀(12)의 입구(124)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축(142)은 밸브 갓(140)과 부구(144)를 연결하며 감압홀(12)을 따라 직선운동을 한다.
감압홀(12)의 입구(124)와 마주하는 상기 부구(144)의 면(144a)은 상기 입구(124)를 덮어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갓(140)이 밸브 시트(130)에 안착된 때 상기 부구(144)가 감압홀(12)의 입구(124)로부터 임의 거리 하향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감압홀(12)의 높이(H)보다 상기 밸브 축(142)의 길이(L)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플로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상 설치 시 상가 감압실(10)에 의하여 수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기층(A)이 형성되며, 공기층(A)에 의해 댐핑 효과가 발휘된다. 이에 따라, 외부 환경, 예컨대 기상 악화 등에 의한 수위 또는 수면 변동으로 물과 접하는 하면부 측에 큰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압력 변동이 심하게 발생하더라도 이는 효과적으로 흡수 내지 감쇄될 수 있다.
감압실(10)의 공기층(A)에 의한 댐핑 효과와 더불어, 감압밸브(14) 개방에 의한 압력 조절 기능이 발휘된다. 따라서 충격과 압력의 흡수 또는 감쇄와 더불어, 감압실(10)의 압력, 보다 정확하게는 수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층(A)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층(A)의 과도한 압력 상승이 억제되어 플로트(1)가 정상 높이보다 높게 떠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악화에 따른 심한 수위 또는 수면 변동에 따라 상기 공기층(A)의 압력이 중력에 의해 닫힘 상태로 유지되는 감압밸브(14)의 하중보다 커지거나, 급격한 수위 변동으로 감압실(10) 내에 일정 수위(정확하게는 부구 높이)까지 물이 채워지면, 감압밸브(14)가 밀려 올라가 감압홀(12)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공기층(A)의 압력이 하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로트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축(142) 또는 감압홀(12)에는 배플(15)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배플(15)은 밸브 개방 시 감압홀(12)에 대한 밸브 축(142)의 안정적인 직선운동을 가이드한다. 특히 배플(15)에 의하여 밸브 개방 시 감압실(10)에 채워져 있던 물이 상기 감압홀(12)을 통과하여 출구(120) 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로트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같이, 감압홀(12)과 감압밸브(14)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일부가 겹쳐져질 수 있도록 제1 지지구(16)와 제2 지지구(17)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구(16)와 제2 지지구(17)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지지되어 감압밸브(14) 상단의 밸브 갓(140)이 상기 출구(120)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스프링(18)이 설치될 수 있다.
도 6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감압실(1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공기층(A)의 압력이 감압밸브(14)의 자체 하중과 상기 스프링(18)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로 상승하거나, 감압실(10) 내 수위 상승으로 수면과 맞닿은 부구(144)의 부력이 감압밸브(14)의 자체 하중과 상기 스프링(18)의 탄성을 합한 힘보다 클 경우 감압밸브(14)가 개방됨으로써 압력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압력 공기 배출로 공기층(A)의 압력이 정상으로 회복되면, 상기 스프링(18)의 탄성에 의해 감암밸브는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래의 닫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평면에서 봤을 때 일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감압홀(12)과 감압밸브(14)에 교대로 설치된 상기 제1 지지구(16) 및 제2 지지구(17)로 인하여 밸브 개방 시 감압실(10)의 물이 감압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 또한 차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에 의하면, 물과 접하는 하면부에 물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기층을 형성시키는 감압실이 형성된다. 또한 감압실 내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거나 수위 변동에 따라 일정 수위의 물이 채워진 경우 감압실을 개방시켜 내부 압력을 낮추는 감압밸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심한 수위 또는 수면 변동으로 물과 접하는 하면부 측에 큰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외부 충격으로 물과 접하는 면에 작용하는 압력 변동이 심하더라도, 상기 공기층에 의한 댐핑 효과와 감압밸브에 의한 압력 조절 기능에 의하여 충격과 압력이 효과적으로 흡수 또는 감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식 부교의 출렁거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플로트(Float) 10 : 감압실
12 : 감압홀 13 : 슬리브
14 : 감압밸브 15 : 배플
16 : 제1 지지구 17 : 제2 지지구
18 : 스프링 120 : 출구
122 : 통로 124 : 입구
130 : 밸브 시트 140 : 밸브 갓
142 : 밸브 축 144 : 부구
A : 공기층

Claims (9)

  1.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다면체 구조의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Float)에 있어서,
    물과 접하는 상기 플로트(1)의 하면부로부터 상면부 측으로 임의 크기와 높이로 요입 형성되어 수면과의 사이에 공기층(A)이 형성되도록 하는 감압실(10);
    상기 플로트의 상면부 중앙에 형성되는 출구(120)와, 감압실(10)을 구획하는 면 중 상기 출구(120)의 위치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는 입구(124), 그리고 상기 출구(120)와 입구(124)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통로(122)로 구성된 감압홀(12); 및
    상기 감압홀(12)에 설치되며, 상기 감압실(10)의 압력 상승 또는 감압실(10) 내에 채워진 물의 수위 상승에 따라 상기 감압홀(12)을 개방시키도록 작동되어 감압실(10)의 내부압력을 낮추는 감압밸브(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홀(12) 및 감압밸브(14)가 플로트 중앙에 하나 또는 둘 이상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120)의 둘레에 평면상의 모양이 원 또는 다각형이며,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 모양의 밸브 시트(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감압홀(12)에 상기 밸브 시트(130)를 포함하는 슬리브(13)가 설치되며, 슬리브(13)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14)는,
    상기 감압홀(12)의 출구(120) 측 밸브 시트(130)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밸브 갓(140);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감압홀(12)의 입구(124) 측에 배치되는 부구(浮具, 144); 및
    상기 밸브 갓(140)과 부구(144)를 연결하며, 상기 감압홀(12)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밸브 축(142);을 포함하며,
    상기 감압홀(12)의 입구(124)와 마주하는 부구(144)의 면(144a)이 상기 입구(124)를 덮어 폐쇄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갓(140)이 밸브 시트(130)에 안착된 때 상기 부구(144)가 감압홀(12)의 입구(124)로부터 임의 거리 하향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감압홀(12)의 높이(H)보다 상기 밸브 축(142)의 길이(L)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축(142) 또는 감압홀(12)에는, 상기 감압홀(12)에 대한 밸브 축(142)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고 감압실(10)에 채워진 물이 상기 감압홀(12)을 통과하여 출구(120)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플(Baffle, 15)이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홀(12)과 감압밸브(14)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일부가 겹쳐질 수 있도록 제1 지지구(16)와 제2 지지구(17)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구(16)와 제2 지지구(17)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지지되어 감압밸브(14) 상단의 밸브 갓(140)이 상기 출구(120)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1)는 평면 모양이 삼각이상 다각형인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다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KR1020170038603A 2017-03-27 2017-03-27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KR20180110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03A KR20180110264A (ko) 2017-03-27 2017-03-27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03A KR20180110264A (ko) 2017-03-27 2017-03-27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264A true KR20180110264A (ko) 2018-10-10

Family

ID=6387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603A KR20180110264A (ko) 2017-03-27 2017-03-27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02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781A (ko) * 2019-11-19 2021-05-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
WO2023087055A1 (en) * 2021-11-16 2023-05-25 Fsp Holdings Pty Ltd Ponto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781A (ko) * 2019-11-19 2021-05-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부력체
WO2023087055A1 (en) * 2021-11-16 2023-05-25 Fsp Holdings Pty Ltd Ponto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627B1 (ko) 선박용 흔들림 감소장치
JP5175733B2 (ja) ポントゥーン型浮体式構造
KR20100071237A (ko) 부유식 구조물의 블록간 연결장치
KR20120042734A (ko) 에너지 릴리스 부력 액튜에이터
KR102107994B1 (ko) 해상 풍력발전 부유체
US6241425B1 (en) Tethered marine stabilizing system
KR20180110264A (ko)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US3309876A (en) Erosion prevention apparatus
KR101163360B1 (ko) 부유식 방파제
JP6814318B1 (ja) 自己回転式高潮及び波浪防護壁
KR20190052931A (ko)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GB2450875A (en) Flood prevention barrier incorporating a float member
KR101627926B1 (ko) 요동저감형 부유식구조물
KR100642344B1 (ko) 방파제의 선박충돌용 방호구조물
KR102290352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및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시공방법
KR102448003B1 (ko) 소파 및 수평 기능을 가지는 부잔교
KR102630791B1 (ko)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20160073441A (ko) 해안침식 2중 방지형 해안 구조물
KR20140017796A (ko) 부력함
KR102192482B1 (ko)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JP3987830B2 (ja) 浮消波構造体
US20170334530A1 (en) Hybrid fixed/floating marine structures
KR20150086111A (ko) 유공판이 설치된 수로 내장형 케이슨 및 이를 포함하는 항만 구조물
WO2017163691A1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設備
KR101524816B1 (ko) 선박 접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