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931A -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931A
KR20190052931A KR1020170148802A KR20170148802A KR20190052931A KR 20190052931 A KR20190052931 A KR 20190052931A KR 1020170148802 A KR1020170148802 A KR 1020170148802A KR 20170148802 A KR20170148802 A KR 20170148802A KR 20190052931 A KR20190052931 A KR 2019005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rrier member
water
guide groove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448B1 (ko
Inventor
원덕희
서지혜
박우선
김승준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4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4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하부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수용시키기 위한 수용부가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설정된 부유력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상승에 따라 기립되는 방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편리한 사용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방벽부재의 구조적 안정을 기대할 수 있고, 조망환경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AUTOMATIC WAVE OVERTOPPING PREVENTION DEVICE USING BUOYANCY}
본 발명은 연안에서의 월파를 방지하는 방벽구조물이 부유력에 의해 자동으로 틸팅되면서 기립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편리한 사용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방벽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을 기대할 수 있고, 조망환경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이라 함은, 하천이나 해안, 호수나 늪의 물을 일정한 높이와 너비로 막아 홍수로 인한 범람을 방지하고, 폭풍해일이나 파랑으로 인한 월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토사, 잔디, 돌, 콘크리트 등을 쌓아 올린 토목구조물을 의미한다.
여기서, 가장 대표적인 콘크리트 제방은 설계 시, 그 지점의 홍수 때의 수위(계획 홍수위)를 파악하고, 거기에 0.5∼2m의 여유를 더하여 제방 높이로 정하며, 이에 다시 장래의 지반이나 제방의 침해를 고려하여 여유를 더 두면서 설치한다.
즉, 이러한 여유높이는 계획 홍수위를 초과하여 범람할 때, 제방 전면에 토사가 퇴적하여 유수 단면이 부족할 때, 지반이 침하되었을 때, 파랑이 생길 때, 곡류부 바깥쪽의 원심력이 발생하여 수면이 상승할 때 등 다양한 경우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 제방은 전체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므로, 하천주변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제방의 안쪽인 제내지에서 제방의 바깥인 제외지를 볼 수 없도록 커다란 제방이 가로막혀 있어 하천주변에서 생활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제방의 높이로 인하여 답답하게 느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평상시에는 해저면 또는 격납함에 수납되어 있다가 폭풍해일이 발생되면 연직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거나 사선방향으로 기립되면서 해일의 진입을 경감하도록 설치된 다양한 가동식 방벽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가동식 방벽장치들은 방벽의 높이조절 또는 기립을 위한 구조가 유압식 또는 기계식의 액추에이터,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연직방향으로 설치된 방벽구조는 구조 안정성을 위한 설계상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방벽구조보다 높이를 낮춰야 하므로, 범람방지기능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고, 너비를 늘리게 되면 높이를 어느 정도 높일 수 있으나, 이는 곧 전체적인 부피를 크게 만들어야 하는 것이므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연직방향으로 설치된 방벽구조는 응력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폭풍해일이나 파랑으로 인한 충격을 분산시키기가 어렵다는 취약점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5184호(발명의 명칭: 수해 방지용 제방 구조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연안에서의 월파를 방지하는 방벽구조물이 부유력에 의해 자동으로 틸팅되면서 기립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편리한 사용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방벽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을 기대할 수 있고, 조망환경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위상승에 대응하여 방벽구조물의 높이가 함께 높아지는 구성을 통해 수위변화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범람방지기능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방벽구조물의 형상을 물과의 접촉충격을 감쇄시키기 용이한 구조로 설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월파를 방지할 수 있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월파의 위험성을 알리면서 방벽구조물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차단구조물이 부유력을 이용하여 방벽구조물의 기립동작과 연동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경제적으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고, 방벽구조물과 차단구조물이 연안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면서 일체로 동작되도록 구성하여 연안규모에 제한을 받지 않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는, 일측 하부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수용시키기 위한 수용부가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설정된 부유력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상승에 따라 기립되는 방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방벽부재는, 상기 본체의 단위 개수에 대응하여 상호 맞물리는 제1 날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벽부재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할수록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이르는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면서, 그 단면이 V자를 이루는 쐐기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벽부재는, 상기 타단에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물과의 접촉충격을 감쇄시키는 충격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벽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단부와 수평을 이룰 경우, 하단부 일부가 상기 본체의 수용부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벽부재는, 타단이 상기 본체의 수용부 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벽부재는, 상단부가 콘크리트(concret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타측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가이드 홈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가이드 홈으로 분배하는 분배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월파방지장치는, 설정된 부유력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 홈으로 분배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상승에 따라 상기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벽부재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접근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접근차단부재는, 상기 본체의 단위 개수에 대응하여 상호 맞물리는 제2 날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는, 연안에서의 월파를 방지하는 방벽부재가 부유력에 의해 자동으로 틸팅되면서 기립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편리한 사용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방벽부재의 구조적 안정을 기대할 수 있고, 조망환경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위상승에 대응하여 방벽부재의 높이가 함께 높아지는 구성을 통해 수위변화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범람방지기능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방벽부재의 형상을 물과의 접촉충격을 감쇄시키기 용이한 구조로 설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월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월파의 위험성을 알리면서 방벽부재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접근차단부재가 부유력을 이용하여 방벽부재의 기립동작과 연동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경제적으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고, 방벽부재와 접근차단부재가 연안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면서 일체로 동작되도록 구성하여 연안규모에 제한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월파방지장치의 방벽부재 및 접근차단부재가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3은 상기 월파방지장치의 본체가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복수 배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상기 월파방지장치의 제1 날개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따른 상기 월파방지장치의 제2 날개부를 나타낸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월파방지장치의 방벽부재 및 접근차단부재가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며, 도 3은 상기 월파방지장치의 본체가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복수 배치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상기 월파방지장치의 제1 날개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따른 상기 월파방지장치의 제2 날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는(100)는 본체(110), 방벽부재(120) 및 접근차단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연안에 설치되어 후술될 모든 부품을 고정하고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골격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구(111), 수용부(112), 가이드 홈(113) 및 분배구(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는 후술될 수용부(112)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로, 상기 본체(1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112)는 상술한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수용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상기 본체(110)의 일부분에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1)와 연통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단부가 개방된 형태이나, 후술되는 방벽부재(120)의 일부분을 수용하면서 상기 방벽부재(1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13)은 후술될 접근차단부재(13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10)의 타측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구(114)는 상술한 수용부(112)에 수용된 물을 상기 가이드 홈(113)으로 분배하기 위한 통로로서, 상기 수용부(112)와 가이드 홈(113)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홈(113) 및 분배구(114)의 작용 및 기능은 상기 접근차단부재(130)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방벽부재(120)는 도 2의 (a)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유입구(111)를 기준으로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상기 수용부(112)에 일부분이 수용되어 지지되면서 사람의 접근이 가능한 친수형 덱(deck)으로 사용되다가, 도 2의 (b)와 같이, 수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경우,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상기 수용부(112)에 수용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상승에 따라 기립되어 월파차단용 제방으로 사용되는 플레이트 구조체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10)와 일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설정된 부유력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벽부재(12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할수록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이르는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면서, 그 단면이 V자를 이루는 쐐기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상기 방벽부재(120)의 타단은 상기 두께만큼의 벽체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벽체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방벽부재(120)의 타단은 물과 직접적으로 충돌하게 되는데, 이때,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만곡지게 형성된 충격감쇄부(122)를 통해 물과의 접촉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벽부재(120)는 경량이면서도 탄성 및 강도가 높은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와 같은 발포수지 플라스틱류 또는 NBR(nitrile-butadiene rubber)과 같은 합성고무 등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부력재가 취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벽부재(120)의 상단부는 비교적 강성의 콘크리트(concret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방벽부재(120)의 상단부가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와 수평을 이룰 경우, 상기 방벽부재(120)의 하단부 일부는 상기 본체(110)의 수용부(112)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방벽부재(120)는 친수형 덱(deck)으로 사용될 경우, 사람들의 하중에도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지지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방벽부재(120)의 타단은 상기 본체(110)의 수용부(112) 측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수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경우, 이러한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유입구(111)와 별도로 물이 상기 수용부(112)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방벽부재(120)는 본체(110)의 단위 개수에 대응하여 서로 연접하는 양측에 제1 날개부(12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부(121)는 상이한 높이를 갖는 한 쌍의 제1 날개(121a, 121b)로 이루어져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배치구조에서 상기 제1 날개(121a, 121b)가 연속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벽부재(120)가 틸팅될 경우, 다른 나머지의 방벽부재(120)가 일체로 틸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날개(121a, 121b)는 본체(110)의 타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방벽부재(120)의 틸팅동작(기립동작)에 간섭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방벽부재(12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날개(121a, 121b) 간의 접촉면에는 수밀성을 위해 고무소재의 패드(부호 미표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접근차단부재(130)는 월파의 위험성을 알리면서 상기 방벽부재(120)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된 부유력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가이드 홈(113)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홈(113)으로 분배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상승에 따라 상기 본체(110)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벽부재(120)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접근차단부재(130)는 도 2의 (a)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유입구(111)를 기준으로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상기 가이드 홈(113)에 수용되어 있다가, 도 2의 (b)와 같이, 상기 분배구(114)를 통해 상기 가이드 홈(113)으로 물이 분배될 경우, 상기 가이드 홈(113)을 따라 연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접근차단부재(130)는 그 부유력에 의해 상기 방벽부재(120)의 기립동작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근차단부재(130)의 하부는 상술한 방벽부재(120)의 소재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근차단부재(130)의 상부는 펜스(fence)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접근차단부재(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가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복수개 나란히 배치되는 실시예(도 3 내지 도 5 참조)에서, 상기 본체(110)의 단위 개수에 대응하여 서로 연접하는 양측에 제2 날개부(13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부(131)는 상이한 높이를 갖는 한 쌍의 제2 날개(131a, 131b)로 이루어져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배치구조에서 상기 제2 날개(131a, 131b)가 연속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근차단부재(130)가 승강될 경우, 다른 나머지의 접근차단부재(130)가 일체로 승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월파방지장치(100)는 본체(110)와 상기 방벽부재(120) 간의 힌지 결합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방벽부재(120)를 가압 고정하는 제1 스토퍼(미도시)를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방벽부재(120)의 기립정도를 설정된 각도로 제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월파방지장치(100)는 가이드 홈(113)에 설치되어 상기 접근차단부재(130)를 가압 고정하는 제2 스토퍼(미도시)를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접근차단부재(130)의 돌출정도를 설정된 높이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100)는, 연안에서의 월파를 방지하는 방벽부재(120)가 부유력에 의해 자동으로 틸팅되면서 기립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편리한 사용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방벽부재(120)의 구조적 안정을 기대할 수 있고, 조망환경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위상승에 대응하여 방벽부재(120)의 높이가 함께 높아지는 구성을 통해 수위변화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범람방지기능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방벽부재(120)의 형상을 물과의 접촉충격을 감쇄시키기 용이한 구조로 설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월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월파의 위험성을 알리면서 방벽부재(120)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접근차단부재(130)가 부유력을 이용하여 방벽부재(120)의 기립동작과 연동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경제적으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고, 방벽부재(120)와 접근차단부재(130)가 연안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면서 일체로 동작되도록 구성하여 연안규모에 제한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월파방지장치 110 : 본체
111 : 유입구 112 : 수용부
113 : 가이드 홈 114 : 분배구
120 : 방벽부재 121 : 제1 날개부
122 : 충격감쇄부 130 : 접근차단부재
131 : 제2 날개부

Claims (9)

  1. 일측 하부에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수용시키기 위한 수용부가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설정된 부유력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상승에 따라 기립되는 방벽부재를 포함하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방벽부재는,
    상기 본체의 단위 개수에 대응하여 상호 맞물리는 제1 날개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재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향할수록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이르는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면서, 그 단면이 V자를 이루는 쐐기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재는,
    상기 타단에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물과의 접촉충격을 감쇄시키는 충격감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단부와 수평을 이룰 경우, 하단부 일부가 상기 본체의 수용부 저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재는,
    타단이 상기 본체의 수용부 측면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재는,
    상단부가 콘크리트(concrete)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타측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가이드 홈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을 상기 가이드 홈으로 분배하는 분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월파방지장치는,
    설정된 부유력을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 홈으로 분배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상승에 따라 상기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방벽부재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접근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단위 모듈로 구성되어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접근차단부재는,
    상기 본체의 단위 개수에 대응하여 상호 맞물리는 제2 날개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KR1020170148802A 2017-11-09 2017-11-09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KR102058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02A KR102058448B1 (ko) 2017-11-09 2017-11-09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02A KR102058448B1 (ko) 2017-11-09 2017-11-09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31A true KR20190052931A (ko) 2019-05-17
KR102058448B1 KR102058448B1 (ko) 2020-01-22

Family

ID=6667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02A KR102058448B1 (ko) 2017-11-09 2017-11-09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482B1 (ko) * 2019-11-13 2020-12-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CN113373864A (zh) * 2021-05-26 2021-09-10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消落带水土保持的防浪涌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84Y1 (ko) 2004-10-12 2005-03-11 신성산건 주식회사 수해방지용 제방 구조물
KR20070049054A (ko) * 2005-11-07 2007-05-10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가동벽식 둑체
JP2007239233A (ja) * 2006-03-07 2007-09-20 Kajima Corp 津波対策構造
KR20140065128A (ko) * 2012-11-21 2014-05-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력식 가동보 구조물
CN203878545U (zh) * 2014-06-10 2014-10-15 浙江衢州河口闸门有限公司 一种浮体闸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84Y1 (ko) 2004-10-12 2005-03-11 신성산건 주식회사 수해방지용 제방 구조물
KR20070049054A (ko) * 2005-11-07 2007-05-10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가동벽식 둑체
JP2007239233A (ja) * 2006-03-07 2007-09-20 Kajima Corp 津波対策構造
KR20140065128A (ko) * 2012-11-21 2014-05-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력식 가동보 구조물
CN203878545U (zh) * 2014-06-10 2014-10-15 浙江衢州河口闸门有限公司 一种浮体闸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482B1 (ko) * 2019-11-13 2020-12-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WO2021095912A1 (ko) * 2019-11-13 2021-05-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CN113373864A (zh) * 2021-05-26 2021-09-10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消落带水土保持的防浪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448B1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310B2 (en) Hydrostatically operated variable height bulkhead
US5032038A (en) Overflow spillway for dams, weirs and similar structures
JP4866308B2 (ja) 透過型海域制御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190052931A (ko)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JP5664888B1 (ja) 増水時に上昇する堤防
CA2224915A1 (en) Wave suppression system
US10895051B2 (en) Wave barrier, barrier assembly, flood barrier, and method
JP6007388B2 (ja) 流体力低減構造及び流体力低減構造の構築方法
KR100964121B1 (ko) 공기주입식 방파제 파라핏
JP5067703B1 (ja) 海上浮揚式消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海波減衰システム
KR101673473B1 (ko) 해안침식 2중 방지형 해안 구조물
JP6814318B1 (ja) 自己回転式高潮及び波浪防護壁
KR102395681B1 (ko) 소파 기능과 횡동요 방지 기능을 갖는 부잔교
KR20180110264A (ko) 조립식 부교용 플로트
KR102375488B1 (ko)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KR102192482B1 (ko)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US9422684B2 (en) Beach erosion mitigation device
US9850633B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dampening tsunami waves
KR102290352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및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시공방법
JP5274440B2 (ja) 漂流物防止装置
GB2456878A (en) Automatic flood barrier system
CN204690672U (zh) 设有螺旋桨片的堤坝护岸装置
CN204662348U (zh) 堤坝护岸装置
JP2014025219A (ja) 防波構造物
KR102513898B1 (ko) 월파 저감용 소파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