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482B1 -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 Google Patents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482B1
KR102192482B1 KR1020197034267A KR20197034267A KR102192482B1 KR 102192482 B1 KR102192482 B1 KR 102192482B1 KR 1020197034267 A KR1020197034267 A KR 1020197034267A KR 20197034267 A KR20197034267 A KR 20197034267A KR 102192482 B1 KR102192482 B1 KR 10219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protective member
tsunami
accommodation spac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호
원덕희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100)의 외관 및 골격은 제 1방호본체(200), 제 2방호본체(300) 및 방호부재(400)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제 1유입구(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된 물이 수용되는 제 1수용공간(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방호본체(300)는 상기 제 1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수용되는 제 2수용공간(310)이 형성된다. 상기 방호부재(400)는 상기 제 2수용공간(3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방호본체(300)의 상부와 평면을 이루며,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 상승에 따라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기립된다. 상기 방호부재(400)의 타측 상단부에는 월파를 저감시키는 반파공 부재(42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제 2유입구(230)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유입구(230)는 상기 제 2수용공간(310)과 연결되어 물이 유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방호부재 및 반파공 부재에 의해 입사되는 파를 회류시키는 것과 동시에, 원호 형상의 방호부재를 통해 물과의 접촉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으므로, 월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본 발명은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일 또는 파랑 발생 시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여 용이하게 침수를 방지 할 수 있고, 월파량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구조로 구성되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이라 함은, 하천이나 해안, 호수나 늪의 물을 일정한 높이와 너비로 막아 홍수로 인한 범람을 방지하고, 폭풍해일이나, 파랑으로 인한 월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토사, 잔디, 돌, 콘크리트 등을 쌓아 올린 토목구조물을 의미한다.
여기서, 가장 대표적인 콘크리트 제방은 설계 시, 그 지점의 범람 때의 수위를 파악하고, 거기에 0.5∼2m의 여유를 더하여 제방 높이로 정하며, 이에 다시 장래의 지반이나 제방의 침해를 고려하여 여유를 더두면서 설치한다.
즉, 이러한 여유높이는 계획 최대 조위를 초과하여 범람할 때, 제방 전면에 토사가 퇴적하여 유수 단면이 부족할때, 지반이 침하되었을 때, 파랑이 생길 때, 곡류부 바깥쪽의 원심력이 발생하여 수면이 상승할 때 등 다양한 경우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 제방은 해안가 등의 주변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제방의 안쪽인 제내지에서 제방의 바깥인 제외지를 볼 수 없도록 가로막혀 있으므로 답답하게 느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8369호 ('호안설치형 가동식 방벽구조물')과 같이 해안가에서 발생하는 파랑이나 해일의 크기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가동식 방벽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가동식 방벽장치들은 방벽의 높이조절 또는 기립을 위한 구조가 유압식 또는 기계식의 액추에이터,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방벽구조는 구조 안정성을 위한 설계상 사선방향으로 설치된 방벽구조보다 높이를 낮춰야 하므로, 범람방지기능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고, 특히, 방벽의 하부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폭풍해일이나 파랑으로 인한 충격을 분산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호부재가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기립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용이하게 침수를 방지 할 수 있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호부재의 형상을 물과의 접촉충격을 감쇄시키기 용이한 구조로 설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월파를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방호부재가 받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에 따르면, 일측면에 복수 개의 제 1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유입구를 통해 일측면으로 유입된 물이 수용되는 제 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 1방호본체; 상기 제 1방호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 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수용되는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 2방호본체; 및 일측이 상기 제 2방호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2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 상승에 따라 기립되는 방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방호본체의 상부에 복수 개의 제 2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유입구는 상기 제 2수용공간과 연결되어 물이 상기 제 2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 2수용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방호부재는 상기 제 2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방호본체의 상부와 평면을 이루며,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이 상기 제 1수용공간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 2수용공간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수용공간에 유입된 물이 상기 제 2수용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1유로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이 상기 제 2유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수용공간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2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제 2수용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2유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유로관 및 상기 제 2유로관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유로관 및 제 2유로관의 하부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호부재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향할수록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이르는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면서 그 단면이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방호부재의 하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호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제 2방호본체의 상부와 수평을 이룰 경우,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와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호부재의 하단부와 면접촉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는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호부재의 타측 상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월파를 저감사키는 반파공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호부재의 타측 상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방호본체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이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방호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제 2방호본체의 상부와 수평을 이룰 경우, 상기 반파공 부재가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호부재의 타측 하단부에는 상기 걸이부재에 걸어져 상기 방호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호부재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제 2방호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유로관 및 상기 제 2유로관의 하부에는 상기 제 2수용공간으로부터 제 1수용공간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에 따르면, 방호부재가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에 따르면, 방호부재 및 반파공 부재에 의해 입사되는 파를 회류시키는 것과 동시에, 원호 형상의 방호부재를 통해 물과의 접촉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으므로, 월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에 따르면, 원상태에서는 방호부재의 하단부가 지지부재와 면접촉하면서 지지되며, 방호부재가 기립된 상태에서는 스토퍼에 의해 방호부재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방호부재의 구조적 안정을 보다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에 따르면,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 1유입구 또는 상부에 형성되는 제 2유입구를 통해 물이 제 2수용공간에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해일은 물론 파랑에 의해서도 방호부재가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에서도 방호부재가 정확하게 작동되어 월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호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100)의 외관 및 골격은 제 1방호본체(200), 제 2방호본체(300) 및 방호부재(40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방호본체(2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방호본체(20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내부에는 제 1수용공간(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수용공간(21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1유입구(220)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제 1유입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유입구(220)는 상기 제 1수용공간(210)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유입구(220)는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일측면 하부와 인접한 위치 및 제 1유로관(240)의 일측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일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유입구(220)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유입구(220)는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일측면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 1유입구(220)는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1유입구(220)를 통해 토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일측면 하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 1유입구(220)에는 메쉬망(2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221)은 상기 제 1유입구(220)를 통해 물을 제외한 토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유입구(220)는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일측면에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가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유입구(220)는 현장의 조위 조건과 파도 등의 환경에 따라 제 1방호본체(200)의 일측면 상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제 2유입구(23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유입구(2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방호본체(300)의 제 2수용공간(310)과 연결된다. 상기 제 2유입구(2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유로관(250)의 일측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유입구(230)를 통해 물이 제 2수용공간(3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유입구(230)의 상부에는 메쉬망(2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231)은 상기 제 2유입구(230)를 통해 물을 제외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상부로 사람이나 차량이 지나다닐 때 상기 제 2유입구(230)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방호본체(200)에는 제 1유로관(240)이 구비된다. 상기 제 1유로관(240)의 일단은 상기 제 1수용공간(210)에 위치되고, 타단은 제 2수용공간(310)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 1유로관(240)의 일단은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상부 내벽으로부터 소정 간격(t)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 1유로관(240)은 상기 제 1수용공간(210)에 유입된 물이 제 2수용공간(31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종의 통로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방호본체(200)에는 제 2유로관(250)이 구비된다. 상기 제 2유로관(250)의 일단은 상기 제 2유입구(2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2수용공간(310)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 2유로관(250)은 상기 제 2유입구(230)를 통해 유입된 물이 제 2수용공간(31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유로관(240) 및 상기 제 2유로관(250)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교차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일측면 또는 상부로 물이 골고루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유로관(240) 및 제 2유로관(250)의 하부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유로관(240) 및 제 2유로관(250)중 어느 방향으로 유입되더라도 제 2수용공간(310)에 물이 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유로관(240) 및 제 2유로관(250)의 하부는 서로 연통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유로관(240) 및 제 2유로관(250)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유로관(240) 및 상기 제 2유로관(250)의 하부에는 체크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V)는 상기 제 2수용공간(310)으로부터 제 1수용공간(210)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V)는 최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 1유입구(220)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크밸브(V)로부터 물이 빠져나갈 때 상기 제 1유입구(220)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안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방호본체(3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방호본체(300)는 상기 제 1방호본체(200)와 동일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방호본체(300)는 상기 제 1방호본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방호본체(300)의 내부에는 제 2수용공간(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수용공간(310)은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수용공간(310)은 아래에서 설명될 방호부재(400)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 2수용공간(310)은 상기 제 1 및 제 2유로관(240,250)의 타측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유로관(240, 250)을 통해 물이 유입되어 상기 제 2수용공간(310)에 수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수용공간(310)의 바닥면에는 지지부재(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방호부재(400)의 하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320)의 상부는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방호부재(400)의 하단부와 면접촉됨으로써 방호부재(400)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부재(320)의 상부에는 충격흡수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330)는 방호부재(400)의 접촉에 의해 받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충격흡수부재(330)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 예를 들어 고무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방호본체(300)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에는 걸이부재(34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부재(340)는 방호부재(400)의 타측 상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방호본체(300)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이부재(340)는 외팔보 형상으로, 일단은 상기 제 2방호본체(300)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방호부재(400)의 타측 상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재(340)는 아래에서 설명될 방호부재(400)의 스토퍼(430)가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이다. 이는 방호부재(400)의 회전 반경을 규제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340)의 상면에는 방호부재(400)의 상단부가 상기 제 2방호본체(300)의 상부와 수평을 이룰 경우, 아래에서 설명될 방호부재(400)의 반파공 부재(420)가 면접촉한다. 이때, 상기 걸이부재(340)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걸이부재(340)는 일정 강도를 가지는 강판 및 상기 강판의 외면을 감싸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6을 참조하면, 상기 걸이부재(340) 사이에는 상기 제2 수용공간 (310)과 연결되는 제3 유입구(235)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3 유입구(235는 평소에는 반파공부재(420)에 의하여 덮여있다가 방호부재(400)가 기립하면 개방되어 물을 제2 수용공간(31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방호본체(300)의 내면, 즉, 방호부재(400)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제 2수용공간(310)의 내부에는 가이드 리브(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350)는 방호부재(400)의 스토퍼(4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리브(350)는 스토퍼(430)의 타단이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rail)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리브(350)는 스토퍼(430)의 회전 반경과 대응되는 형상의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부재(400)는 상기 제 2수용공간(310)에 수용된다. 상기 방호부재(400)의 일측은 상기 제 2수용공간(310)의 일측 상부 가장자리에 힌지핀(P)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 2수용공간(3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방호본체(300)의 상부와 평면을 이루며,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기립한다. 즉, 상기 제 2수용공간(3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수용공간(310)에 수용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 상승에 따라 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방호부재(400)는 별도의 구동부 없이도 부력에 의해 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호부재(400)의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원호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상기 방호부재(400)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향할수록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이르는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면서 그 단면이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물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과 동시에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으므로, 월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방호부재(400)의 상단부가 상기 제 2방호본체(300)의 상부와 수평을 이룰 경우,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재(320)와 면접촉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방호부재(400)가 친수형 덱(deck)으로 사용될 경우, 상기 방호부재(400)의 상부를 지나는 사람 또는 차량 등의 하중에 의해 힘을 받더라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호부재(400)는 부력에 의해 기립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철판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호부재(400)는 경량이면서도 탄성 및 강도가 높은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와 같은 발포수지 플라스틱류 또는 NBR(nitrile-butadiene rubber)과 같은 합성고무 등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부력재가 취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호부재(400)의 내부에는 지지플레이트(4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03)는 상기 방호부재(4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03)는 상기 방호부재(400)의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방호부재(400)의 상부로 지나다니는 사람이나 차량 등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03)는 상기 방호부재(400)의 상단부 내측으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두 개가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403')는 상기 방호부재(400)의 내부에 두 개가 서로 교차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하나는 상기 방호부재(400)의 상단부 내측으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방호부재(400)의 일측 내부으로부터 원호 형상의 타측 중앙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방호부재(400)의 타측을 향해 전달되는 월파의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방호부재(400)의 형상이 외력에 의해 임의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호부재(400)의 타측 상단부에는 반파공 부재(recurved parapet)(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파공 부재(420)는 외팔보 형상으로, 일단은 상기 방호부재(400)의 타측 상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반파공 부재(420)는 월파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반파공 부재(420)는 원호 형상의 방호부재(400)와 함께 입사되는 파를 회류시킴으로써 월파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파공 부재(420)와 상기 방호부재(400) 사이에는 보조 지지대(4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대(421)는 상기 반파공 부재(420)와 함께 입사되는 파를 회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반파공 부재(4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호부재(400)의 타측 하단부에는 스토퍼(430)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430)는 상기 방호부재(400)의 타측 하단부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430)는 복수 개가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토퍼(430)는 하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430)는 상기 방호부재(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340)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으로써, 상기 방호부재(400)의 회전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430)와 상기 방호부재(400) 사이에는 보조 지지대(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대(431)는 상기 스토퍼(430)가 상기 걸이부재(340)에 걸어지는 충격에 의해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안가의 수위가 평상수위, 즉, 위험수위가 아닐 경우에는 방호부재(400)가 상기 제 2방호본체(300)의 제 2수용공간(310) 내에 수납된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제 1수용공간(210)에는 상기 제 1유입구(220)를 통해 물이 유입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가 내륙으로 범람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수위에 점차 도달하게 되면, 더 많은 양의 물이 제 1수용공간(210)으로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제 1유로관(240)을 통해 상기 제 2수용공간(310) 내로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수용공간(310)은 상기 방호부재(400)가 수납될 수 있는 정도의 공간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위가 상승하는 시간보다 제 2수용공간(31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가 더 빨리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일 또는 파랑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 1방호본체(200)의 상측으로 물이 범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유입구(230)를 통해 물이 유입됨으로써, 상기 제 2수용공간(310) 내로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위 상승 뿐만 아니라 해일 또는 파랑이 발생할 경우에도, 제 2유입구(230)를 통해 상기 제 2수용공간(310) 내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방호부재(400)가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도 상기 방호부재(400)가 별도의 구동부 없이도 정확하게 작동됨으로써, 월파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부재(400) 및 반파공 부재(420)에 의해 입사되는 파를 회류시키는 것과 동시에, 원호 형상의 방호부재(400)를 통해 물과의 접촉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으므로, 월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30)가 상기 걸이부재(340)에 걸어져 상기 방호부재(400)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상기 방호부재(400)가 임의로 상기 제 2방호본체(300)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4)

  1. 일측면에 복수 개의 제 1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유입구를 통해 일측면으로 유입된 물이 수용되는 제 1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 1방호본체;
    상기 제 1방호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 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수용되는 제 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 2방호본체; 및
    일측이 상기 제 2방호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2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에 의해 부유하면서 수위 상승에 따라 기립되는 방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방호본체의 상부에 복수 개의 제 2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유입구는 상기 제 2수용공간과 연결되어 물이 상기 제 2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 2수용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방호부재는 상기 제 2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방호본체의 상부와 평면을 이루며,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상기 일측의 반대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호부재의 타측 상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월파를 저감사키는 반파공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호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방호부재의 상단부 내측으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제1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방호부재의 타측 상단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방호본체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에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이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방호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제 2방호본체의 상부와 수평을 이룰 경우, 상기 반파공 부재가 면접촉하며,
    상기 방호부재의 타측 하단부에는 상기 걸이부재에 걸어져 상기 방호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걸이부재 사이에 제 3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3유입구는 상기 제 2수용공간과 연결되어 물이 상기 제 3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 2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 2수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방호부재의 하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방호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제 2방호본체의 상부와 수평을 이룰 경우,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와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2.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 1수용공간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 2수용공간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수용공간에 유입된 물이 상기 제 2수용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1유로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3. 제 2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 2유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수용공간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2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제 2수용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2유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로관 및 상기 제 2유로관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교차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로관 및 제 2유로관의 하부는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부재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향할수록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이르는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면서 그 단면이 부채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부재의 하단부와 면접촉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는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부재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제 2방호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스토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교차되게 구비되는 제2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KR1020197034267A 2019-11-13 2019-11-13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KR102192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5433 WO2021095912A1 (ko) 2019-11-13 2019-11-13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482B1 true KR102192482B1 (ko) 2020-12-17

Family

ID=7408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267A KR102192482B1 (ko) 2019-11-13 2019-11-13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2482B1 (ko)
WO (1) WO202109591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233A (ja) * 2006-03-07 2007-09-20 Kajima Corp 津波対策構造
KR20100077514A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KR101240152B1 (ko) *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CN203878545U (zh) * 2014-06-10 2014-10-15 浙江衢州河口闸门有限公司 一种浮体闸门
KR20190052931A (ko) * 2017-11-09 2019-05-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8242B2 (ja) * 2001-07-18 2010-10-06 株式会社 Fmバルブ製作所 フロート形防水装置
JP2007126945A (ja) * 2005-11-07 2007-05-24 Kobe Steel Ltd 可動壁式堤体
KR101405016B1 (ko) * 2012-11-21 2014-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력식 가동보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233A (ja) * 2006-03-07 2007-09-20 Kajima Corp 津波対策構造
KR20100077514A (ko) * 2008-12-29 2010-07-08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KR101240152B1 (ko) *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CN203878545U (zh) * 2014-06-10 2014-10-15 浙江衢州河口闸门有限公司 一种浮体闸门
KR20190052931A (ko) * 2017-11-09 2019-05-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5912A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5632B2 (en) High water spillway for barrages and similar structures, comprising an integrated device for aerating the downstream body of water
KR20090098554A (ko) 교각 기초 구조물의 세굴방지대
WO2012018651A1 (en) Self-actuating flood guard
US20090169302A1 (en) Hydrostatically operated variable height bulkhead
KR102048026B1 (ko) 방파벽 상단에 설치되는 월파 방지벽
KR101949499B1 (ko) 수력도약을 이용한 해안의 침식 및 모래 유실 방지장치
JP6625911B2 (ja) フラップゲート及びゲート設備
JP2006070536A (ja) 津波・高潮対策用可動式防波堤
KR101306937B1 (ko) 접이식 월류 방지 구조물
JP6496893B1 (ja) 氾濫防止機構を備えた堤防
ZA201102296B (en) Breakwater structure
KR102192482B1 (ko)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JP6166370B2 (ja) 防波壁機能を有する組立式高さ可変型遮断構造物
JP6814318B1 (ja) 自己回転式高潮及び波浪防護壁
KR102375488B1 (ko)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JP7058997B2 (ja) 流入遮断装置
KR102058448B1 (ko) 부유력을 이용한 자동식 월파방지장치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100473937B1 (ko) 저수지의 보 및 제방용 방류관
KR101373030B1 (ko) 부력식 수류저감벽체를 구비한 호안 블록
KR200341022Y1 (ko) 하천 범람 방지를 위한 제방의 배수구조
JP2008115588A (ja) 津波防災構造物
JP5118525B2 (ja) 津波・高潮対策水門
JP2019001469A (ja) 屋外タンク滑動防止方法および構造
KR101050159B1 (ko) 유수에 의한 토사 유출 방지용 유수 지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