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885B1 -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 Google Patents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885B1
KR102608885B1 KR1020220087675A KR20220087675A KR102608885B1 KR 102608885 B1 KR102608885 B1 KR 102608885B1 KR 1020220087675 A KR1020220087675 A KR 1020220087675A KR 20220087675 A KR20220087675 A KR 20220087675A KR 102608885 B1 KR102608885 B1 KR 102608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nection
pontoon
plate portion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마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마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마린
Priority to KR102022008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서, 부잔교에서 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유닛에 있어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은, 탄성 거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탄성 블록; 및 상기 탄성 블록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일측 폰툰 유닛과 상기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판재부 및 제2 판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판재부 및 상기 제2 판재부 각각은, 면 법선 방향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 상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판재 및 하부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재부와 상기 제2 판재부는 상기 연결 방향 일측으로 상기 일측 폰툰 유닛과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결 방향 타측으로 상기 타측 폰툰 유닛과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CONNECTION UNIT, CONNECTION STRUCTURE, AND FLOATING BRIDGE CONTAINING THIS}
본원은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 또는 호수의 해안인근이나 수역 내에 일정한 이동로나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잔교 등과 같은 부유해상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며, 이러한 부유해상구조물은 부유교량(floating bridge), 부유 도크(floating dock), 요트계류장, 부두 선착장, 마리나, 해상플랜트, 접안 부잔교, 수상 낚시터, 수상공원 조성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부잔교는 폰툰을 여러 개 연결하게 만들어지는데, 폰툰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 부재가 필요하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인 '부유식 수상 구조물용 완충장치'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0045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부잔교의 연결을 위해 철재 와이어를 고무완충재에 관통시키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설치하였는데, 이러한 연결 방식은 연결 부위에 유연성을 주어 파도 등과 같은 외력 발생 시 함께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부잔교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였으나, 와이어 연결로 인한 상하 방향으로의 유연한 연결로 인해 수면 위에서의 흔들림이 발생하고, 부잔교 위에서 사람들의 이동 및 다양한 기타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흔들림으로 인하여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재를 탄성 재료가 감싼 형태로써 간단한 조립으로 양쪽의 부잔교를 견고(강력)하게 연결해주면서도 연결부위에 충격이 발생할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연결 부재,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부잔교에서 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유닛에 있어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은, 탄성 거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탄성 블록; 및 상기 탄성 블록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일측 폰툰 유닛과 상기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판재부 및 제2 판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판재부 및 상기 제2 판재부 각각은, 면 법선 방향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 상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판재 및 하부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재부와 상기 제2 판재부는 상기 연결 방향 일측으로 상기 일측 폰툰 유닛과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결 방향 타측으로 상기 타측 폰툰 유닛과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유닛에는, 상기 연결 방향 일측에 상기 일측 폰툰 유닛과 연결 시 이용되도록, 제1 일측 홀이 상기 탄성 블록과 상기 제1 판재부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제2 일측 홀이 상기 탄성 블록과 상기 제2 판재부를 관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 방향 타측에 상기 타측 폰툰 유닛과 연결 시 이용되도록, 제1 타측 홀이 상기 탄성 블록과 상기 제1 판재부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제2 타측 홀이 상기 탄성 블록과 상기 제2 판재부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 간격은, 상기 연결 유닛에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상기 상부 판재와 상기 하부 판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상기 연결 유닛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상기 탄성 블록의 상하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 간격은, 상기 연결 유닛에 수직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상기 제1 판재부와 상기 제2 판재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상기 연결 유닛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상기 탄성 블록의 좌우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블록은 상기 일측 폰툰 유닛과 상기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여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상측 홈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하측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홈 및 상기 하측 홈의 형성에 의해, 상기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 각도 범위가 상기 상측 홈 및 상기 하측 홈의 미형성시와 대비하여 더 확장되고, 상기 상측 홈 및 상기 하측 홈의 함몰 깊이는, 상기 일측 폰툰 유닛 및 상기 타측 폰툰 유닛이 배치되는 수상 환경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구조체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구조부;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장착 구조부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연결되는 U자 링크부재; 상기 U자 링크부재의 개구된 부분에 일측 부분이 삽입되게 배치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 및 상기 연결 유닛에 형성된 홀 및 이에 대응하여 상기 U자 링크부재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연결 유닛을 상기 U자 링크부재에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하측에 일부가 상향 돌출된 상향 걸림 구조 및 상측에 상향 오픈된 상부 슬롯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장착 구조부는, 상기 상향 걸림 구조에 걸림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하향 걸림 구조 및 상기 상향 걸림 구조에 상기 하향 걸림 구조가 걸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슬롯 구조 상에 위치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이동 완료시 상기 상부 슬롯 구조와 연결되도록 통하는 상부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구조체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에 대응하는 구성이되 세로 상태로 배치되는 세로 연결 유닛; 및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장착 구조부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연결되되, 상기 세로 연결 유닛이 세로 상태로 삽입 가능하게 세로로 배치되는 세로 U자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로 연결 유닛과 상기 세로 U자 링크부재에 의해, 상기 U자 링크부재가 상기 장착 구조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으로 오픈된 외측 슬롯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장착 구조부는, 상기 외측 슬롯 구조에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을 갖는 폰툰 유닛을 포함하는 부잔교에 있어서, 부잔교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폰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 탄성 블록을 포함함으로써, 연결 부위에 충격이 발생할 시 탄성 블록이 충격을 흡수해 부잔교를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 제1 판재부 및 제2 판재부를 포함함으로써, 제1 판재부와 제2 판재부가 연결 방향 일측으로 일측 폰툰 유닛과 연결되고, 연결 방향 타측으로 타측 폰툰 유닛에 연결되어 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제1 판재부 및 제2 판재부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상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판재 및 하부 판재를 포함함으로써, 연결 유닛에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상부 판재와 하부 판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연결 유닛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탄성 블록의 상하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제1 판재부 및 제2 판재부는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좌우 간격은 연결 유닛에 수직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제1 판재부와 제2 판재부의 간섭을 방지하며 연결 유닛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탄성 블록의 좌우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은 상면에 하측으로 함몰된 상측 홈이 형성되고, 하면에 상측으로 함몰된 하측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측 홈 및 하측 홈의 형성에 의해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 각도 범위가 상측 홈 및 하측 홈의 미형성시와 대비하여 더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하측에 일부가 상향 돌출된 상향 걸림 구조 및 상측에 상향 오픈된 상부 슬롯 구조를 갖는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구조부를 포함함으로써, 장착 구조부의 하향 걸림 구조가 사이드 프레임의 상향 걸림 구조에 걸림 체결된 상태에서 장착 구조부의 상부 홀이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 슬롯 구조 상에 위치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이동 완료 시 상부 홀이 상부 슬롯 구조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보다 간편하게 장착 구조부를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세로 연결 유닛 및 세로 U자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세로 연결 유닛과 세로 U자 링크부재에 의해 U자 링크부재가 장착 구조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파도에 의한 직접적인 횡 방향 응력 발생 시 보다 유연하게 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으로 오픈된 외측 슬롯 구조를 갖는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구조부를 포함함으로써, 장착 구조부가 외측 슬롯 구조에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사이드 프레임에 직접 체결되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 부잔교에서 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연결에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측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장착 구조부가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 U자 링크부재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평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세로 연결 유닛 및 세로 U자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장착 구조부가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하 '본 연결 유닛'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 부잔교에서 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연결에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00)은 부잔교에서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 사이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00)은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을 서로 연결해주며, 그 사이에 완충제 역할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사시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개략적인 개념도(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00)은 탄성 블록(110),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를 포함한다.
탄성 블록(110)은 탄성 거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블록(110)의 탄성 재료는 고무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블록(110)은 탄성을 갖는 다양한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블록(110)은, 본 연결 유닛(100)이 일측 폰툰 유닛(400) 및 타측 폰툰 유닛(500) 사이를 연결하여 사용될 때, 연결 부위에 충격이 발생할 시 발생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탄성 블록(110)은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 사이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연결 방향(예를 들어, 도 1 기준 3시-9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성 블록(110)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는 탄성 블록(110)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연결 방향은 10시-4시 방향이며, 횡 방향은 2시-8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는 스테인레스 스틸 바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본 연결 유닛(100)은 스테인레스 스틸 바를 고무가 감싼 형태로, 스테인레스로 보강한 고무블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00)은 탄성 블록(110)이 형성될 평면상의 윤곽에 대응하는 공간을 갖는 몰드에 탄성 재료를 충진하고,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를 배치한 뒤, 남은 공간에 탄성 재료를 충진한 다음 열과 압력을 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의 좌우 간격은, 연결 유닛(100)에 수직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제1 판재부(120)와 제2 판재부(13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연결 유닛(100)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탄성 블록(110)의 좌우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00)은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의 좌우 간격에 대하여 탄성 블록(110)의 탄성 재료가 개재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결 유닛(100)이 수직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제1 판재부(120)와 제2 판재부(130)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굽힘에 대한 완충 역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판재부(120)와 제2 판재부(130)는 연결 방향 일측으로 일측 폰툰 유닛(400)과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연결 방향 타측으로 타측 폰툰 유닛(500)과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는 연결 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되되, 탄성 블록(110)의 내부에 배치 가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는 연결 방향 일측(예를 들어, 도 1 기준 9시 방향)으로는 일측 폰툰 유닛(400)과 연결되며, 연결 방향 타측(예를 들어, 도 1 기준 3시 방향)으로는 타측 폰툰 유닛(500)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00)에는 연결 방향 일측(도 1 기준,9시 방향)에 일측 폰툰 유닛(400)과 연결 시 이용되도록, 제1 일측 홀(123)이 탄성 블록(110)과 제1 판재부(120)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제2 일측 홀(133)이 탄성 블록(110)과 제2 판재부(130)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일측 홀(123) 및 제2 일측 홀(133)은, 본 연결 유닛(100)이 일측 폰툰 유닛(400)에 연결될 때,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볼트의 나사부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일측 홀(123) 및 제2 일측 홀(133)은, 본 연결 유닛(100)이 일측 폰툰 유닛(400)에 연결되는 방식에 대응하여 홀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00)에는 연결 방향 타측(도 1 기준, 3시 방향)에 타측 폰툰 유닛(500)과 연결 시 이용되도록, 제1 타측 홀(124)이 탄성 블록(110)과 제1 판재부(120)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제2 타측 홀(134)이 탄성 블록(110)과 제2 판재부(120)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측 홀(124) 및 제2 타측 홀(134)은, 본 연결 유닛(100)이 타측 폰툰 유닛(500)에 연결될 때,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볼트의 나사부가 통과 가능한 크기로 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타측 홀(124) 및 제2 타측 홀(134)은, 본 연결 유닛(100)이 타측 폰툰 유닛(500)에 연결되는 방식에 대응하여 홀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일측 홀(123), 제1 타측 홀(124), 제2 일측 홀(133) 및 제2 타측 홀(134)은, 본 연결 유닛(100)의 제작에 사용되는 몰드에 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홀 형성용 부재를 구비하여 본 연결 유닛(100) 제작 시 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연결 유닛(100)이 제작된 후, 제1 일측 홀(123), 제1 타측 홀(124), 제2 일측 홀(133) 및 제2 타측 홀(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힘을 가하여 홀을 형성(펀칭)시킬 수 있다. 다만, 홀 형성 방식 및 그에 사용되는 장비 또는 부재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00)은 후술하는 U자 링크 부재(220)를 통해 일측 폰툰 유닛(400) 및 타측 폰툰 유닛(500)에 대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연결 유닛(110)의 제1 일측 홀(123) 및 제2 일측 홀(133)이 일측 폰툰 유닛(400)에 설치된 U자 링크 부재(220)에 대해 연결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타측 홀(124) 및 제2 타측 홀(134)이 타측 폰툰 유닛(500)에 설치된 U자 링크 부재(220)에 대해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 결합은 볼트-너트 결합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 각각은, 면 법선 방향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 상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판재(121, 131) 및 하부 판재(122,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면 법선 방향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은 12시-6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판재부(120)는 제1 상부 판재(121) 및 제1 하부 판재(122)를 포함하며, 제2 판재부(130)는 제2 상부 판재(131) 및 제2 하부 판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00)은 탄성 블록(110)이 형성될 평면상의 윤곽에 대응하는 공간을 갖는 몰드에 탄성 재료를 충진하고, 제1 하부 판재(122) 및 제2 하부 판재(132)를 배치한 뒤, 탄성 재료를 충진하고, 그 위에 제1 상부 판재(121) 및 제2 상부 판재(131)를 배치한 뒤, 탄성 재료를 다시 충진하여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판재(121, 131) 및 하부 판재(122, 132)의 상하 간격은, 본 연결 유닛(100)에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상부 판재(121, 131)와 하부 판재(122, 132)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본 연결 유닛(100)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탄성 블록(110)의 상하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본 연결 유닛(100)은 상부 판재(121, 131) 및 하부 판재(122, 132)의 상하 간격에 대하여 탄성 블록(110)의 탄성 재료가 개재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결 유닛(100)이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도리 때, 상부 판재(121, 131)와 하부 판재(122, 132)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굽힘에 대한 완충 역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00)은 탄성 블록(110)의 탄성 재료와 상부 판재(121, 131) 및 하부 판재(122,132)가 번갈아가며 겹겹이 적층되는 샌드위치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다 오랜 기간 유지되는 견고한 힌지 연결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성 블록(110)은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 사이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여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상측 홈(11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하측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 사이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는 상측 홈(111) 및 하측 홈(112)은 파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발생될 때,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며 서로에 대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측 홈(111) 및 하측 홈(112)의 형성에 의해,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 각도 범위가 상측 홈(111) 및 하측 홈(112)의 미형성시와 대비하여 더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횡 방향 축은2시-8시 방향에 대응하는 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은, 본 연결 유닛(100)이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 사이에 연결되어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이 파도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할 때, 예를 들어, 일측 폰툰 유닛(400)이 타측 폰툰 유닛(500)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고, 타측 폰툰 유닛(500)이 일측 폰툰 유닛(400)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여 본 연결 유닛(100)에 발생한 굽힘일 수 있다.
또한, 상측 홈(111) 및 하측 홈(112)이 형성된 본 연결 유닛(100)은 부잔교가 수면 상에 위치해 파도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 등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 시에 발생하는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이 상측 홈(111) 및 하측 홈(112)의 미형성시와 대비하여 더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탄성 블록(110)의 상측 홈(111) 및 하측 홈(112)은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 사이의 이격 간격(좌우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 사이의 이격 간격(좌우 간격)에 대응하는 상측 홈(111) 및 하측 홈(112)은 파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발생될 때,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가 서로에 대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 폰툰 유닛(400) 및 타측 폰툰 유닛(500)이 파고가 높은 곳에 배치될 때, 상측 홈(111) 및 하측 홈(112)은, 이에 따른 수상 환경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깊은 함몰 깊이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견고하게 대응하도록 얕은 함몰 깊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측 홈(111) 및 하측 홈(112)의 함몰 깊이는, 일측 폰툰 유닛(400) 및 타측 폰툰 유닛(500)이 배치되는 수상 환경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연결 유닛(100)은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를 탄성 블록(110)이 감싼 형태로써 간단한 조립으로 양쪽의 부잔교(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를 강력하게 연결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00)은 후술하는 U자 링크 부재(220)를 통해 일측 폰툰 유닛(400) 및 타측 폰툰 유닛(5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본 연결 유닛(100)은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양쪽에 2개씩 배치되어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이 3m이고 길이가 100m인 부잔교가 필요할 때, 폭이 3m이고 길이가 10~12m인 부잔교 폰툰을 약 10개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폭이 3m이고 길이가 10~12m인 알루미늄 프레임 하부에 2.6mX2.3m의 콘크리트 부력체를 4~5개 볼트 접합하여 제작한 부잔교 폰툰을 10~12개 연결할 때, 본 연결 유닛(100)을 통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이하 '본 연결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장착 구조부가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200)는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구조체(200)는 보조 잔교를 주잔교에 연결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300)은 하측에 일부가 상향 돌출된 상향 걸림 구조(31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향 걸림 구조(310)는 사이드 프레임(3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외측(예를 들면, 도 4 기준 9시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이 상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300)은 상측에 상향 오픈된 상부 슬롯 구조(32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300)의 상부 슬롯 구조(320)는 사이드 프레임(3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부 슬롯 구조(320)의 오픈된 입구의 폭은 내부에 형성된 홈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도 4 기준 3시-9시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200)는 본 연결 유닛(100), 장착 구조부(210), U자 링크부재(220), 고정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210)는 사이드 프레임(3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210)는 상향 걸림 구조(310)에 걸림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하향 걸림 구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 걸림 구조(211)는 장착 구조부(2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향 걸림 구조(310)의 돌출된 형태에 걸림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하향 걸림 구조(211)는 하측에 위치하는 연장된 끝단이 하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210)는 상향 걸림 구조(310)에 하향 걸림 구조(211)가 걸림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 슬롯 구조(320) 상에 위치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이동 완료 시 상부 슬롯 구조(320)와 연결되도록 통하는 상부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장착 구조부(210)의 하향 걸림 구조(211)를 상향 걸림 구조(310)에 걸림 체결시키고, 사이드 프레임(300)의 상부에 장착 구조부(210)의 상부가 얹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장착 구조부(210)의 상부 홀(212)과 사이드 프레임(300)의 상부 슬롯 구조(320)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하여 이동 완료 시 상부 홀(212)과 상부 슬롯 구조(320)가 연결되도록 볼트-너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210)는 C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210)는 내측에 발생되는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에 대하여 저항하고 이에 대해 보강하기 위해 내측에 보강부재(예를 들면 수직보강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장착 구조부(210)는 부잔교에 충돌 발생 시 충격을 흡수하여 부잔교를 보호하는 펜더(fender)가 사이드 프레임(300)에 설치한 상태로 장착 구조부(2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보강판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장착 구조부(210)는 보조잔교의 폭 또는 파일 가이드 연결부의 폭에 대응하는 폭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장착 구조부(210)의 상부 홀(212)은 상부면에 대하여 장착 구조부(210)의 폭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210)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구조부(210)는 펜더가 설치된 주잔교를 한꺼번에 포함하도록 클립처럼 끼운 뒤에 볼트 접합하여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장착 구조부(210)는 기설치된 펜더 위에 그대로 씌우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지 않으며, 추후 필요에 따라 보조잔교를 이동설치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200)의 U자 링크부재(220)는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 구조부(210)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자 링크부재(220)는 개구된 부분이 도 4 기준 9시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누운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자 링크부재(220)는 장착 구조부(210)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볼트-너트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200)의 본 연결 유닛(100)은 U자 링크부재(220)의 개구된 부분에 일측 부분이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00)은 U자 링크부재(220)의 개구된 부분에 본 연결 유닛(100)이 삽입되되, 연결 방향 일측(도 4 기준 3시 방향)으로 삽입되어 본 연결 유닛(100)의 제1 판재부(120)의 일측 및 제2 판재부(130)의 일측이 U자 링크부재(220)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00)의 타측 부분은 외측으로 이웃하는 다른 폰툰 유닛(예를 들어, 보조잔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200)의 고정 유닛(230)은 본 연결 유닛(100)에 형성된 홀 및 이에 대응하여 U자 링크부재(220)에 형성된 홀을 통해 본 연결 유닛(100)을 U자 링크부재(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00)에 형성된 홀은 제1 일측 홀(123) 및 제2 일측 홀(133)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자 링크부재(220)에 본 연결 유닛(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본 연결 유닛(100)의 제1 일측 홀(123) 및 제2 일측 홀(133)과 U자 링크부재(220)에 형성된 홀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유닛(230)이 본 연결 유닛(100)에 형성된 홀과 U자 링크부재(22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본 연결 유닛(100)을 U자 링크부재(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230)은 나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트와 너트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연결 유닛(100)은 타측이 다른 폰툰 유닛과 연결되도록, 제1 타측 홀(124) 및 제2 타측 홀(134)이 다른 폰툰 유닛(예를 들면, 보조잔교)에 배치된 U자 링크부재(220)에 형성된 홀에 대해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고정 유닛(230)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 U자 링크부재 및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평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U자 링크부재(220)는 부잔교와 보조잔교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양쪽에 배치되어 부잔교와 보조잔교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잔교와 보조잔교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은, 도 6 기준 3시-9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U자 링크부재(220)는, 하나의 U자 링크부재(220)의 개구된 부분에 대해 2개의 본 연결 유닛(100)이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U자 링크부재(22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plan view)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자 링크부재(220)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어 연결된 부분(도 6 기준 6시 방향)이 개구된 부분(도 6 기준 12시 방향)보다 긴 길이(9시-3시 방향으로의 폭)를 갖도록 구비되며, 개구된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에 대응하게 본 연결 유닛(100)이 배치되고, 연결된 부분에 대해 본 연결 유닛(10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은 고정 유닛(230)을 이용해 장착 구조부(21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다리꼴 형상을 통해 구조적 강성(수평 방향으로의 휨에 대한 구조적 저항성)이 보다 보강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세로 연결 유닛 및 세로 U자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200)는 세로 연결 유닛(240) 및 세로 U자 링크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 연결 유닛(240)은 본 연결 유닛(100)에 대응하는 구성이되, 세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세로 연결 유닛(240)의 세로 상태는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의 일측 및 타측 방향은 유지되되, 제1 판재부(120) 및 제2 판재부(130)의 좌우 간격이 상하 방향(도 7 기준 12시-6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돌려 놓이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여, 세로 연결 유닛(240)이 세로 상태로 배치된다고 하면,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본 연결 유닛(100)은 가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세로 U자 링크부재(250)는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 구조부(210)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연결되되, 세로 연결 유닛(240)이 세로 상태로 삽입 가능하게 세로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세로 U자 링크부재(250)는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되, 개구된 부분이 상하 방향(예를 들어, 도 7 기준 12시-6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세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로 U자 링크부재(250)는 세로 연결 유닛(240)이 세로 상태로 삽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세로 U자 링크부재(250)가 세로 상태로 배치된 것이라 한다면, 도 4에 도시된 U자 링크부재(220)는 가로 상태로 배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세로 연결 유닛(240)과 세로 U자 링크부재(250)에 의해, U자 링크부재(220)가 장착 구조부(2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 U자 링크부재(250)가 장착 구조부(2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세로 U자 링크부재(250)에 세로 연결 유닛(240)이 삽입되어 배치되며, 이러한 세로 연결 유닛(240)에 대해 U자 링크부재(2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자 링크부재(220)가 장착 구조부(210)에 대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U자 링크부재(220)는 가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세로 연결 유닛(240) 및 세로 U자 링크부재(250)는 주잔교의 가장 외측에 설치되는 보조잔교를 연결할 때 이용될 수 있으며, 세로 연결 유닛(240) 및 세로 U자 링크부재(250)에 의해 U자 링크부재(220)가 장착 구조부(2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보조잔교가 주잔교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면서, 파도에 의한 직접적인 횡 방향 응력 발생 시 보다 유연하게 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장착 구조부가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장착 구조부의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한편,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연결 구조체(200)의 장착 구조부(210)는 T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300)은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으로 오픈된 외측 슬롯 구조(330)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프레임(300)의 외측은, 도 8 기준 9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측 슬롯 구조(330)는 사이드 프레임(30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외측 슬롯 구조(330)의 오픈된 입구의 폭은 내부에 형성된 홈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도 8 기준 12시-6시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외측 슬롯 구조(330)는 사이드 프레임(300)에 대해 외측 슬롯 구조(330)의 폭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장착 구조부(210)는 외측 슬롯 구조(330)에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구조부(210)는 T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장착 구조부(210)는 T형 부재(213) 및 슬롯 삽입 부재(214)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 삽입 부재(214)는 외측 슬롯 구조(330)에 대해 끼워지는 부재(슬롯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레일 결합되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 삽입 부재(214)는 T형 부재(213)에 대해 볼트 체결된 볼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T형 부재(213)에 대해 슬롯 삽입 부재(214)를 결합시키고, 슬롯 삽입 부재(214)를 외측 슬롯 구조(330)에 삽입시켜 끼우며, T형 부재(213)가 사이드 프레임(300)에 직접 체결된 형태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프레임(300)에 볼트 체결로 직접 체결된 형태로 구비된 장착 구조부(210)는 클립 형태로 체결된 장착 구조부(210)에 비해 강력하게 연결(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T형 부재(213)의 상측 수평 연장 부재는 사이드 프레임(300)의 상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견고함을 더해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T형 부재(213)의 상측 수평 연장 부재의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프레임(300)을 갖는 폰툰 유닛(400)을 포함하는 부잔교(이하 '본 부잔교'라 함)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부잔교는 전술한 본 연결 유닛(100) 및 본 연결 구조체(200)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본 연결 유닛(100) 및 본 연결 구조체(20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부잔교는 본 연결 구조체(200)가 사이드 프레임(300)에 설치된 폰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부잔교는 사이드 프레임(300)이 설치된 폰툰 유닛, 및 본 연결 구조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폰툰 유닛은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은 본 연결 유닛(1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부잔교는, 일측 폰툰 유닛(400)과 타측 폰툰 유닛(500) 사이를 본 연결 유닛(100)으로 연결하여 주잔교를 설치하고, 주잔교의 측면에 설치된 사이드 프레임(300)에 대해 본 연결 구조체(200)를 연결하며, 보조잔교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보조잔교는 사이드 프레임(300)에 장착 구조부(210)를 장착(설치)하고, 장착 구조부(210)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연결되는 U자 링크부재(220) 및 U자 링크부재(220)에 일측 부분이 삽입되는 본 연결 유닛(100)의 타측(도 4 기준 9시 방향 측)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부잔교
100: 연결 유닛
110: 탄성 블록
111: 상측 홈
112: 하측 홈
120: 제1 판재부
121: 제1 상부 판재
122: 제1 하부 판재
123: 제1 일측 홀
124: 제1 타측 홀
130: 제2 판재부
131: 제2 상부 판재
132: 제2 하부 판재
133: 제2 일측 홀
134: 제2 타측 홀
200: 연결 구조체
210: 장착 구조부
211: 하향 걸림 구조
212: 상부 홀
213: T형 부재
214: 슬롯 삽입 부재
220: U자 링크부재
230: 고정 유닛
240: 세로 연결 유닛
250: 세로 U자 링크부재
300: 사이드 프레임
310: 상향 걸림 구조
320: 상부 슬롯 구조
330: 외측 슬롯 구조
400: 일측 폰툰 유닛
500: 타측 폰툰 유닛

Claims (10)

  1. 부잔교에서 일측 폰툰 유닛과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 유닛에 있어서,
    탄성 거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료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탄성 블록; 및
    상기 탄성 블록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일측 폰툰 유닛과 상기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연결 방향에 직교하는 횡 방향으로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판재부 및 제2 판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판재부 및 상기 제2 판재부 각각은, 면 법선 방향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으로 상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 판재 및 하부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재부와 상기 제2 판재부는 상기 연결 방향 일측으로 상기 일측 폰툰 유닛과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결 방향 타측으로 상기 타측 폰툰 유닛과 연결 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결 유닛에는,
    상기 연결 방향 일측에, 상기 일측 폰툰 유닛과 연결 시 이용되도록, 제1 일측 홀이 상기 탄성 블록과 상기 제1 판재부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제2 일측 홀이 상기 탄성 블록과 상기 제2 판재부를 관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 방향 타측에, 상기 타측 폰툰 유닛과 연결 시 이용되도록, 제1 타측 홀이 상기 탄성 블록과 상기 제1 판재부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제2 타측 홀이 상기 탄성 블록과 상기 제2 판재부를 관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하 간격은, 상기 연결 유닛에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상기 상부 판재와 상기 하부 판재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상기 연결 유닛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상기 탄성 블록의 상하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인, 연결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간격은, 상기 연결 유닛에 수직 축에 대한 굽힘이 발생될 때, 상기 제1 판재부와 상기 제2 판재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며 상기 연결 유닛이 구부러지게 하는 완충 역할이 상기 탄성 블록의 좌우 간격 부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는 것인, 연결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록은 상기 일측 폰툰 유닛과 상기 타측 폰툰 유닛 사이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여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상측 홈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하측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홈 및 상기 하측 홈의 형성에 의해, 상기 횡 방향 축에 대한 굽힘 각도 범위가 상기 상측 홈 및 상기 하측 홈의 미형성시와 대비하여 더 확장되고,
    상기 상측 홈 및 상기 하측 홈의 함몰 깊이는, 상기 일측 폰툰 유닛 및 상기 타측 폰툰 유닛이 배치되는 수상 환경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인, 연결 유닛.
  6. 제1항에 따른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폰툰 유닛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연결 구조체로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구조부;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장착 구조부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연결되는 U자 링크부재;
    상기 U자 링크부재의 개구된 부분에 일측 부분이 삽입되게 배치되는 상기 연결 유닛; 및
    상기 연결 유닛에 형성된 홀 및 이에 대응하여 상기 U자 링크부재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연결 유닛을 상기 U자 링크부재에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연결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하측에 일부가 상향 돌출된 상향 걸림 구조 및 상측에 상향 오픈된 상부 슬롯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장착 구조부는,
    상기 상향 걸림 구조에 걸림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하향 걸림 구조 및 상기 상향 걸림 구조에 상기 하향 걸림 구조가 걸림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슬롯 구조 상에 위치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이동 완료시 상기 상부 슬롯 구조와 연결되도록 통하는 상부 홀이 형성되는 것인, 연결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체는,
    상기 연결 유닛이 가로 상태로 배치되는 구성이라 보았을 때, 상기 연결 유닛에 대응하는 구성이되 세로 상태로 배치되는 세로 연결 유닛; 및
    개구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장착 구조부의 측면에 누운 상태로 연결되되, 상기 세로 연결 유닛이 세로 상태로 삽입 가능하게 세로로 배치되는 세로 U자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로 연결 유닛과 상기 세로 U자 링크부재에 의해, 상기 U자 링크부재가 상기 장착 구조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연결 구조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측으로 오픈된 외측 슬롯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장착 구조부는, 상기 외측 슬롯 구조에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인, 연결 구조체.
  10. 사이드 프레임을 갖는 폰툰 유닛을 포함하는 부잔교에 있어서,
    제6항에 따른 연결 구조체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폰툰 유닛을 포함하는 부잔교.
KR1020220087675A 2022-07-15 2022-07-15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KR102608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75A KR102608885B1 (ko) 2022-07-15 2022-07-15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75A KR102608885B1 (ko) 2022-07-15 2022-07-15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885B1 true KR102608885B1 (ko) 2023-12-01

Family

ID=8912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675A KR102608885B1 (ko) 2022-07-15 2022-07-15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8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1583A (ja) * 2012-06-20 2014-01-09 Nodakku Kk 浮体構造物
KR101980174B1 (ko) * 2017-11-16 2019-05-20 오토렉스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1583A (ja) * 2012-06-20 2014-01-09 Nodakku Kk 浮体構造物
KR101980174B1 (ko) * 2017-11-16 2019-05-20 오토렉스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453A (en) Floating dock system
US20050271470A1 (en) Wave-attenuating system
US8251002B2 (en) Pontoon-type floating structure
KR102162463B1 (ko) 부유식 방파제 시스템
RU2603172C2 (ru) Плавучая морская платформа и центральная открытая килевая пластина
US4696603A (en) Compliant offshore platform
KR10216725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용 파일 가이드
US5707172A (en) Floating wave attenuators
KR102166382B1 (ko)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
US20020067957A1 (en) Floating concrete dock s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254488B1 (ko) 케이슨
KR102608885B1 (ko)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US4642000A (en) Anchoring system for concrete floating pier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GB1564103A (en) Breakwater
US20090304448A1 (en) A floating pontoon body to be tied together with at least another pontoon body
CN113005986A (zh) 一种新型多功能组合体系海工结构
JP2012513337A (ja) ロールオン/ロールオフ船舶の荷揚げおよび荷下ろしのための結合ブリッジ
KR102309460B1 (ko) 항만 플랜트 및 항만 플랜트에 플로팅 바디를 계류시키기 위한 방법
CA2751792A1 (en) Tide self tuning modular wharf resilient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476912B1 (ko) 친환경 모듈조립식 방충재
JP7413074B2 (ja) 浮体連結装置および浮体運搬方法
KR102630791B1 (ko)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CN115071892B (zh) 一种沉管运输船的支墩及沉管运输船
KR101744083B1 (ko) 인터로킹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 및 기 시공된 상치 콘크리트 구조물을 인터로킹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