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174B1 -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174B1
KR101980174B1 KR1020170152962A KR20170152962A KR101980174B1 KR 101980174 B1 KR101980174 B1 KR 101980174B1 KR 1020170152962 A KR1020170152962 A KR 1020170152962A KR 20170152962 A KR20170152962 A KR 20170152962A KR 101980174 B1 KR101980174 B1 KR 101980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nnection
connecting rod
reinforcing portion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규
Original Assignee
오토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일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ㄷ'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좌측브라켓이 형성된 좌측연결대, 일단이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ㄷ'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우측브라켓이 형성된 우측연결대, 좌측연결대와 우측연결대를 연결하도록 일단은 좌측브라켓에 삽입 배치되고, 타단은 우측브라켓에 삽입 배치하며, 연성을 가지는 유동흡수연결대, 좌측브라켓 및 우측브라켓에 각각 설치하며, 유동흡수연결대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좌측브라켓 및 우측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전연결부재에 연결되도록 유동흡수연결대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유동흡수연결대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대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floating structures}
본 발명은 각종 설비가 마련된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을 상호 연결상태로 부유되게 하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구조물은 해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계류될 수 있는 것으로, 기능, 구조, 계류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부유식 주물 중에서 해양 구조물은 SEMI(Semi-Submersible), TLP(Tensioned Leg Platform), SPAR,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ding), FSRU 또는 시추용 리그(Rig) 등으로 칭해지는 많은 종류의 구조물이 있다.
최근 들어, 화력발전, 원자력 발전 및 해류발전을 대체할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그 이용에 대한 실질적인 장치의 연구 개발을 진행함에 있어, 이렇게 해수면 위에 떠 있는 해양 구조물 상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설치하는 부유식 태양광 발전설비나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부유식 풍력발전설비에 대한 관심과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이때,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설비는 발전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해상에 여러 개를 부유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여기서, 복수의 해양 구조물 상에 각각 발전설비를 설치한 상태로 연결장치를 통해 부유식 구조물들을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해상에서 안정적인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발전설비가 마련된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연결조인트의 양단을 각각 양측에 배치된 부유식 구조물에 각각 힌지로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종래의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부유식 구조물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없음과 더불어 부유식 구조물의 유동이 가능한 방향이 한정됨으로써, 일정 크기 이상의 파도가 발생시 파손됨으로 인해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발전설비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의 연결 구조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9358호(2013.12.09)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바람이나 파도에 의한 부유식 구조물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흡수함과 더불어 부유식 구조물의 유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단이 일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ㄷ'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좌측브라켓이 형성된 좌측연결대, 일단이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ㄷ'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우측브라켓이 형성된 우측연결대, 상기 좌측연결대와 상기 우측연결대를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좌측브라켓에 삽입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브라켓에 삽입 배치하며, 연성을 가지는 유동흡수연결대, 상기 좌측브라켓 및 상기 우측브라켓에 각각 설치하며, 상기 유동흡수연결대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상기 좌측브라켓 및 상기 우측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회전연결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유동흡수연결대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상기 유동흡수연결대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대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좌측브라켓의 마주보는 양측면부 및 상기 우측브라켓의 마주보는 양측면부에는 각각 핀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흡수연결대의 일단 및 타단에는 상기 강도보강대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관통한 상태로 상기 핀삽입공에 연결되는 연결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상기 핀삽입공을 통해 상기 연결슬롯에 삽입 설치하는 연결핀, 상기 연결핀의 양단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핀이 상기 좌측브라켓 및 상기 우측브라켓에 연결 결합되게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슬롯은 상기 유동흡수연결대의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와 상기 좌측브라켓 외측면 사이 및, 상기 고정너트와 상기 우측브라켓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핀에 삽입 설치하는 탄성흡수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도보강대는, 일단이 상기 회전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좌측브라켓에 연결되는 좌측보강부, 일단이 상기 회전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우측브라켓에 연결되는 우측보강부, 상기 좌측보강부의 타단 및 상기 우측보강부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는 연결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보강부 및 상기 우측보강부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연결보강부는, 상기 좌측보강부 및 상기 우측보강부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좌측연결대 및 우측연결대를 설치하고, 좌측연결대와 우측연결대를 연결하도록 내측에 강도보강대가 마련된 유동흡수연결대를 회전연결부재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바, 파도나 바람에 의한 부유구조물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방향 회전 및 수직방향의 유동을 통해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좌측연결대(100), 우측연결대(200), 유동흡수연결대(300), 회전연결부재(400), 강도보강대(500)를 구비한 상태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일측의 부유구조물(10)과 타측의 부유구조물(20)을 연결되게 한다.
상기 좌측연결대(100)는 일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10)에 연결되게 결합하는 봉 부재이다. 즉, 상기 좌측연결대(1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일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10)에 연결하며, 상기 좌측연결대(1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이후 설명될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좌측연결대(1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을 이후 설명될 회전연결부재(400)로 연결 설치되게 하는 좌측브라켓(110)을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좌측브라켓(110)은 유동흡수연결대(300)를 상하측의 개방된 부분으로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ㄷ'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브라켓(110)의 상호 마주보는 양측면부, 즉 상기 좌측브라켓(1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핀삽입공(11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핀삽입공(111)은 회전연결부재(400)의 연결핀(410)을 삽입되게 한다.
상기 우측연결대(200)는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20)에 연결되게 결합하는 봉 부재이다. 즉, 상기 우측연결대(2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20)에 연결하며, 상기 우측연결대(2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이후 설명될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우측연결대(2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타단을 이후 설명될 회전연결부재(400)로 연결 설치되게 하는 우측브라켓(210)을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우측브라켓(210)은 유동흡수연결대(300)를 상하측의 개방된 부분으로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ㄷ'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브라켓(210)의 상호 마주보는 양측면부, 즉 상기 우측브라켓(2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핀삽입공(21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핀삽입공(211)은 회전연결부재(400)의 연결핀(410)을 삽입되게 한다.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는 상기 좌측연결대(100)와 상기 우측연결대(200) 사이를 연결하여,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10,20)을 연결한 상태에서 파도 및 바람에 의한 부유구조물(10,20)의 유동을 흡수한다. 이러한,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좌측연결대(100)의 좌측브라켓(110)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회전연결부재(400)를 통해 상기 좌측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우측연결대(200)의 우측브라켓(210)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회전연결부재(400)를 통해 상기 우측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는 상기 해상에서 부유구조물(10,20)의 유동에 따른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대응되게 변형되면서 유동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는 연성 및 탄성을 가지면서 부식에 강한 합성수지나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는 사각 봉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 테두리 부분 및 타단 테두리 부분은 상기 좌측브라켓(110) 및 상기 우측브라켓(210) 상에서 모서리 부분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라운드처리된 회전단부(3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단부(320)는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위치 변경에 따른 유동시,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양단이 상기 좌측브라켓(110) 내측 및 상기 우측브라켓(210) 내측에서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에는 상기 좌측브라켓(110)의 핀삽입공(111) 및 상기 우측브라켓(210)의 핀삽입공(211)에 각각 연결되도록 연결슬롯(310)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슬롯(310)은 이후 설명될 강도보강대(500)의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도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연결부재(400)의 연결핀(410)이 상기 핀삽입공(111,211)을 통해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 및 강도보강대(500)와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연결슬롯(310)은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가 회전연결부재(400)에 의해 상기 좌측브라켓(110) 및 상기 우측브라켓(2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수평방향 유동시, 상기 연결슬롯(310)의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바,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유동시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전연결부재(400)는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을 상기 좌측브라켓(110) 및 상기 우측브라켓(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한다. 즉, 상기 회전연결부재(400)는 상기 좌측연결대(100)의 좌측브라켓(110)과 상기 우측연결대(200)의 우측브라켓(210)에 각각 설치하며,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좌측브라켓(110) 내측에 삽입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하고,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우측브라켓(210) 내측에 삽입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연결부재(400)는 연결핀(410), 고정너트(42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핀(410)은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을 상기 좌측브라켓(110) 및 우측브라켓(210)에 연결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연결핀(410)은 상기 핀삽입공(111,211)을 통해 상기 연결슬롯(310)에 삽입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좌측브라켓(110) 및 우측브라켓(210)에 연결상태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 유지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핀(41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고정너트(420)를 나사 결합되게 할 수 있도록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420)는 상기 핀삽입공(111,211)을 통해 상기 연결슬롯(310)에 삽입되게 설치한 연결핀(410)을 상기 좌측브라켓(110) 및 상기 우측브라켓(2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너트(420)는 상기 연결핀(410)의 길이방향 양단의 나사부에 결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에는, 상기 고정너트(420)와 상기 좌측브라켓(110) 외측면 사이, 및 상기 고정너트(420)와 상기 우측브라켓(110)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핀(410) 외측에 삽입되게 탄성흡수부재(4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흡수부재(430)는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유동시, 수평방향에 대한 유동력을 탄성복원력을 통해 흡수함으로써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흡수부재(430)는 스프링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나 고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강도보강대(500)는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좌측연결대(100)와 상기 우측연결대(200)의 연결 강도를 보강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강도보강대(500)는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부유구조물(10,20)을 끊김없이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인장력을 보강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강도보강대(500)는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상기 강도보강대(5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좌측브라켓(110)의 핀삽입공(111)에 체결된 상기 회전연결부재(400)에 연결되고, 상기 강도보강대(5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우측브라켓(210)의 핀삽입공(211)에 체결된 상기 회전연결부재(4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강도보강대(500)는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강도보다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력이 우수한 금속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강도보강대(500)는 좌측보강부(510), 우측보강부(520), 연결보강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보강부(510)는 상기 좌측연결대(100)의 좌측브라켓(11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좌측보강부(5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좌측브라켓(110)에 체결된 상기 회전연결부재(400)의 연결핀(4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좌측보강부(51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연결핀(410)을 삽입상태로 연결되게 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의 연결슬롯(310)에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삽입슬롯(51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우측보강부(520)는 상기 우측연결대(200)의 우측브라켓(21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우측보강부(5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우측브라켓(210)에 체결된 상기 회전연결부재(400)의 연결핀(4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우측보강부(52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연결핀(410)을 삽입상태로 연결되게 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타단의 연결슬롯(310)에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삽입슬롯(52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연결보강부(530)는 상기 좌측보강부(510)와 상기 우측보강부(520) 사이를 연결한다. 즉, 상기 연결보강부(53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좌측보강부(510)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하고, 상기 연결보강부(53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우측보강부(520)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좌측보강부(510) 및 상기 우측보강부(520)는 동일한 두께 및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보강부(530)는 상기 좌측보강부(510) 및 상기 우측보강부(520)보다 얇은 두께 및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연결보강부(530)가 상기 좌측보강부(510) 및 상기 우측보강부(520)보다 낮은 강도를 가지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움직임 발생시,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변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안정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하며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에는, 상기 좌측브라켓(110)과 상기 우측브라켓(210)와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 및 상기 회전연결부재(400)를 감싸도록 하는 보호케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보호케이스는 통 형상을 가지며, 양단을 각각 상기 좌측연결대(100) 일측 및 상기 우측연결대(200)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하며,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이나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은, 상기 보호케이스가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상태로 상기 좌측연결대(100) 및 상기 우측연결대(200)를 연결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움직임시 상기 보호케이스도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유동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 발전설비가 마련된 상태로 부유하도록 배치된 상기 부유구조물(10,20)에 각각 상기 좌측연결대(100)의 길이방향 일단 및 상기 우측연결대(200)의 길이방향 일단을 연결 결합한다.
그러면, 파도 및 바람에 의한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길이방향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좌측브라켓(110)과 상기 우측브라켓(210) 상에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의 자체 연성을 통한 수평방향으로 휘어짐을 통해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수평방향 움직임에 대해 유동하면서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는 자체 연성을 통한 수직방향으로 휘어짐을 통해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수직방향 움직임에 대해 유동하면서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부재(400)의 연결핀(410)에 탄성흡수부재(430)가 구비될 경우,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수직방향 움직임에 대해 상기 탄성흡수부재(430)가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로 전달되는 힘을 일부 흡수함으로써,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의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상기 부유구조물(10,20)에 상기 좌측연결대(100) 및 상기 우측연결대(200)를 설치하고, 상기 좌측연결대(100)와 상기 우측연결대(200)를 연결하도록 내측에 상기 강도보강대(500)가 마련된 상기 유동흡수연결대(300)를 상기 회전연결부재(400)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바, 파도나 바람에 의한 상기 부유구조물(10,20)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방향 회전 및 수직방향의 유동을 통해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0: 부유구조물 100: 좌측연결대
110: 좌측브라켓 111,211: 핀삽입공
200: 우측연결대 210: 우측브라켓
300: 유동흡수연결대 310: 연결슬롯
400: 회전연결부재 410: 연결핀
420: 고정너트 430: 탄성흡수부재
500: 강도보강대 510: 좌측보강부
520: 우측보강부 530: 연결보강부

Claims (5)

  1. 일단이 일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ㄷ'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좌측브라켓이 형성된 좌측연결대와;
    일단이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ㄷ'자형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우측브라켓이 형성된 우측연결대와;
    상기 좌측연결대와 상기 우측연결대를 연결하도록 일단은 상기 좌측브라켓에 삽입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브라켓에 삽입 배치하며, 연성을 가지는 유동흡수연결대와;
    상기 좌측브라켓 및 상기 우측브라켓에 각각 설치하며, 상기 유동흡수연결대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상기 좌측브라켓 및 상기 우측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재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회전연결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유동흡수연결대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상기 유동흡수연결대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대; 및
    양단을 각각 상기 좌측연결대 일측 및 상기 우측연결대 일측에 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좌측브라켓과 상기 우측브라켓과 상기 유동흡수연결대 및 상기 회전연결부재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보호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강도보강대는, 일단이 상기 회전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좌측브라켓에 연결되는 좌측보강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우측브라켓에 연결되는 우측보강부 및, 상기 좌측보강부의 타단 및 상기 우측보강부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는 연결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구조물의 움직임 발생시, 상기 유동흡수연결대의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변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부유구조물의 안정적인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좌측보강부 및 상기 우측보강부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보강부는, 상기 좌측보강부 및 상기 우측보강부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상기 보호케이스는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브라켓의 마주보는 양측면부 및 상기 우측브라켓의 마주보는 양측면부에는 각각 핀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흡수연결대의 일단 및 타단에는 상기 강도보강대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관통한 상태로 상기 핀삽입공에 연결되는 연결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상기 핀삽입공을 통해 상기 연결슬롯에 삽입 설치하는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의 양단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핀이 상기 좌측브라켓 및 상기 우측브라켓에 연결 결합되게 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슬롯은 상기 유동흡수연결대의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와 상기 좌측브라켓 외측면 사이 및, 상기 고정너트와 상기 우측브라켓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핀에 삽입 설치하는 탄성흡수부재를 더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5. 삭제
KR1020170152962A 2017-11-16 2017-11-16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KR101980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962A KR101980174B1 (ko) 2017-11-16 2017-11-16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962A KR101980174B1 (ko) 2017-11-16 2017-11-16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174B1 true KR101980174B1 (ko) 2019-05-20

Family

ID=6667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962A KR101980174B1 (ko) 2017-11-16 2017-11-16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1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326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수상 부유 단위태양광발전장치 연결구
WO2021217348A1 (zh) * 2020-04-27 2021-11-04 深圳大学 水上漂浮设备
KR20220006233A (ko) * 2020-07-08 2022-01-17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모듈형 바지의 모듈간 체결장치
KR102373421B1 (ko) * 2021-08-03 2022-03-11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수상 부유체 연결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수상 부유체
KR20220076106A (ko) * 2020-11-30 2022-06-08 권오근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연결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WO2022245298A3 (en) * 2021-05-21 2023-01-05 Keppel Fels Ltd A coupling system for connecting floating modules for nearshore development
KR102608885B1 (ko) * 2022-07-15 2023-12-01 주식회사 한스마린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025U (ko) * 2009-10-16 2011-04-22 이상화 조립형 부구
KR20150094043A (ko) * 2014-02-10 2015-08-19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025U (ko) * 2009-10-16 2011-04-22 이상화 조립형 부구
KR20150094043A (ko) * 2014-02-10 2015-08-19 동신산업(주) 조립식 폰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326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수상 부유 단위태양광발전장치 연결구
KR102365336B1 (ko) * 2019-12-10 2022-02-21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수상 부유 단위태양광발전장치 연결구
WO2021217348A1 (zh) * 2020-04-27 2021-11-04 深圳大学 水上漂浮设备
KR20220006233A (ko) * 2020-07-08 2022-01-17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모듈형 바지의 모듈간 체결장치
KR102364581B1 (ko) * 2020-07-08 2022-02-18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모듈형 바지의 모듈간 체결장치
KR20220076106A (ko) * 2020-11-30 2022-06-08 권오근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연결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KR102415411B1 (ko) * 2020-11-30 2022-06-30 주식회사 금호테크닉스 폴리우레탄 재질로 된 연결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WO2022245298A3 (en) * 2021-05-21 2023-01-05 Keppel Fels Ltd A coupling system for connecting floating modules for nearshore development
KR102373421B1 (ko) * 2021-08-03 2022-03-11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수상 부유체 연결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수상 부유체
KR102608885B1 (ko) * 2022-07-15 2023-12-01 주식회사 한스마린 연결 유닛,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174B1 (ko)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EP2042682B1 (en) Flexible hang-off arrangement for a catenary riser
US5553976A (en) Fluid riser between seabed and floating vessel
US11492773B2 (en) Method for vibration damping of and vibration damper assembly for semi-submerged or submerged structure
US7877994B2 (en) Wave energy converter (WEC) with heave plates
KR101927602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DK3004519T3 (en) PIPE COMPONENTS AND PROCEDURES FOR MANUFACTURING
BRPI0610281A2 (pt) dispositivo de transferência de fluido entre dois suportes flutuantes
KR102132647B1 (ko) 수상 설치용 태양광 패널 지지체
KR20110041481A (ko) 수류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부유식 발전설비를 계류하기 위한 시스템
KR20210102670A (ko)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US4391554A (en) Mooring system bearing for a tensioned leg platform
KR102145730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설비용 부유 장치
US20080245286A1 (en) Articulated floating structure
US20080295912A1 (en) Bend stiffener
KR101336647B1 (ko) 부력체 고정장치를 갖는 부유식 태양전지판의 지지구조물
KR20210117902A (ko) 무천공 태양광발전 수상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73421B1 (ko) 수상 부유체 연결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수상 부유체
KR102293141B1 (ko) 수상 부유 시설물용 부력체
US20160273278A1 (en) Bend stiffener
KR101536241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구조물
KR101647898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
US4068479A (en) Float tether terminator
BRPI0602675B1 (pt) Equipamento atenuador de movimentos de dutos suspensos
KR20230160568A (ko)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