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025U - 조립형 부구 - Google Patents

조립형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025U
KR20110004025U KR2020090013529U KR20090013529U KR20110004025U KR 20110004025 U KR20110004025 U KR 20110004025U KR 2020090013529 U KR2020090013529 U KR 2020090013529U KR 20090013529 U KR20090013529 U KR 20090013529U KR 20110004025 U KR20110004025 U KR 201100040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unit body
groove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이상화
(주)에스이에이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화, (주)에스이에이그린 filed Critical 이상화
Priority to KR2020090013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4025U/ko
Publication of KR20110004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0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2Inflatable buoys with gas gen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부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기 조립형 부구는,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의 바깥면에,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가지며, 상기 부력부의 다른 바깥 둘레면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홈을 가지는 단위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지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몸체, 상기 단위몸체와 결합몸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고정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삽입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됨으로써 완성되는, 조립형 부구이다.
조립형, 부구, 단위몸체, 결합, 결합몸체, 체결수단, 고정수단, 고정몸체

Description

조립형 부구 {Assembling type Buoy}
본 고안은 조립형 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구(浮具)는 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다. 부이 또는 부표(浮標)라고도 한다. 부구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해서 항로를 지시하는 위치에 사용된다. 또한, 부구는 암초, 침몰선 등의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그리고, 부구는 어구(漁具)나 닻 등 물 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아울러, 부구는 일정 범위에 어류, 폐류 및 조류 등을 양식하기 위해서 설치된 그물을 고정 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런 부구는 바다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메어 달 수 있는 기구에 의해 해저의 바닥 또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중량물에 고정된다. 메어 달 수 있는 기구는 체인, 와이어 따위가 사용된다.
부구에는 식별이 가능하도록 용도에 따라 깃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부구에는 전자 신호에 의해 식별이 가능한 각종 송 수신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발광되는 등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부구는 합성 수지를 발포 성형한 발포 수지재로 제작된다. 발포 수지재는 합성 수지의 발포 시에 유입된 기체로 인해 공극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공극을 가진 발포 수지는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발포 수지는 내부의 공극에 의해 부력을 가지고 있어 공기가 저장되는 공간이 필요 없다. 또한, 발포 수지가 일부 파손되어도 남은 부분에서 부력이 발생됨에 따라 물속으로 매몰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발포 수지는 공극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강도가 약하다. 즉, 발포 수지의 외부 충격이 전달되면 발포 수지의 공극 사이에서 충격이 전파되어 쉽게 부서진다. 따라서, 강도가 약한 발포 수지를 이용한 부구는 교체되는 시기가 짧다.
또한, 바다에 떠 있는 발포 수지로 형성된 부구는 파도에 의해서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된다. 발포 수지는 내부에 공극을 가지고 있어 내부 조직의 상호 간에 결속력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부구 측으로 부딪히는 파도는 결속력이 약한 발포 수지를 지속적으로 침식시킨다. 침식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발포 수지는 바다를 오염시킨다. 또한, 침식이 심화된 부구는 부력이 줄어들어 물에 뜰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교체를 자주 해주어야 한다.
최근에는 종래의 부구는 블로우 성형 공법을 이용하여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합성 수지재로 제작되고 있다. 종래의 부구는 합성수지재료가 블로우 성형기에 의해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일체로 제작된다. 일체로 제작된 종래의 부구는 내부에 충진된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진다. 종래의 부구는 발포 수지재 부구와 비교하여 강도가 강하고, 침식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큰 부력을 가지기 어려웠다. 즉, 부구는 일체로 제작됨에 따라 큰 부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필요 부력에 맞는 공기 충전 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크게 일체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블로우 성형기의 확대로 인해 제작비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구는 부력이 증대되기 위해서 체적을 확대시키도록 생산되기 어려웠다. 체적이 증대된 부구가 생산되기 위해서는 형태가 변형되도록 가열된 합성수지재가 블로우 성형기에 공급된다. 이렇게, 블로우 성형기에 공급된 합성수지재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 시켜 내부에 공기를 충진한 상태로 부구가 제작된다. 이때, 부구의 제작되는 체적이 커지면 공기 충진 시에 합성수지 재료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가열된 합성 수지재가 일부분의 온도가 낮아 지게 되고, 온도가 낮아진 부분에서 고착된다. 즉, 블로우 성형기에 공급된 합성 수지재가 온도가 낮아진 부분에서 형태가 굳어지거나, 성형기에 달라 붙게 되어 정확한 형태로 가공되기 어려웠다.
그리고, 종래의 부구는 부력이 증대되기 위해서 체적이 확대되도록 중량이 큰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야 하나, 가열된 상태에서 성형되는 합성수지재의 취급이 어려웠다. 즉, 중량이 큰 합성 수지재가 형태가 변형되도록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블로우 성형기 내에서 공기를 불어 넣어 성형하기가 어려웠다. 체적을 확대시키기 위해서 무거운 중량의 합성 수지 재료가 공급된 상태로 공기를 불어 넣게 된다. 이때, 부구의 변형이 최소화 되도록 신속하게 큰 체적에 도달 할 때까지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부구의 체적과 합성수지 재료의 중량이 커지게 되면 일시에 많은 고압의 압축 공기가 필요하게 되고, 이를 유입하는 유입구의 크기도 커야 한다.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량과 이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압축 공기가 일시적으로 과하게 공급되면 체적이 증대되는 것이 일정하지 않아 부구의 두께가 달라진다. 또한, 유입구가 너무 크게 되면 공기가 충진된 후에 밀폐 작업이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부구는 정해진 체적 이상으로 크게 제작될 수 없음으로써, 부력을 증대시키기 어려웠다.
아울러, 종래의 부구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일체로 제작되어 있어, 일부 파손에 의해 내부 공기가 유출되면 일시에 부력이 없어진다. 즉, 일체로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가 파손된 부분으로 일시에 배출되고, 배출된 기압의 차에 의해 외부에 물이 유입되어 부력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큰 부력을 얻기 위한 큰 부구를 생산하는 데에는 고가의 경제적 부담 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하고, 다수의 단위몸체 상호간을 고정수단을 통하여 고정함으로써 하나의 조립형 부구가 완성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부력의 크기에 맞게 부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부구가 사용되어지는 곳의 필요에 맞게 증대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조립형 부구가 제작될 수 있고, 특히 큰 부력을 원할 때 사용되어질 큰 부구를 생산하기 위한 성형이 본 고안을 통해 원하는 큰 크기의 부구가 형성되므로써 성형비용이 감소되고, 결합몸체에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단위몸체들 중에 하나가 파손되어 부력이 줄어들어도 나머지 단위몸체들이 결합몸체에 체결수단과 고정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부력체로 떠 있기 때문에 부구로서의 기능이 유지 보완될 수 있어 안정성이 있으며, 파손된 단위몸체에 대하여만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성 면에서도 효율적이며, 다수의 단위몸체를 고정수단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에 따라 부력을 받는 부력체간에 고정수단을 통한 균형적인 부력 안배를 함으로써 부구의 기능수행에 효과적이며,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고정수단에 단위몸체가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부구의 기능수행을 원활히 하고, 고정수단에 의해 단위몸체가 받는 부력을 일정하게 안배할 수 있게 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형 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의 바깥면에는,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가지며, 상기 부력부의 다른 바깥 둘레면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홈을 가지는 단위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지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몸체, 상기 단위몸체와 결합몸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고정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삽입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되므로써 완성되는 조립형 부구이다.
또한,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상세하게는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 바깥면에는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가지면서 상기 결합돌기는 결합돌기결합공을 가지며, 상기 부력부의 다른 바깥면 둘레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을 가지는 단위몸체,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지는 결합홈을 가지면서 상기 결합홈에는 결합홈결합공을 가진 결합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에 있는 결합돌기결합공과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있는 결합홈결합공을, 공기를 폐쇄하면서 너트와 연결되어 상기 단위몸체와 상기 결합몸체를 체결하는 볼트, 그리고 상기 볼트와 연결되면서 상기 단위몸체와 상기 결합몸체를 체결하는 너트,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고정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삽입된 후, 볼트가 상기 결합돌기에 있는 결합돌기결합공과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있는 결합홈결합공을 공기를 폐쇄하며 너트와 결합하면서,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되므로써 완성되고, 상기 단위몸체 및 결합몸체는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형 부구는,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 바깥면에는,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가지면서, 상기 부력부의 다른 바깥 둘레 면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을 가지는 단위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지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 바깥 둘레면에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홈 내벽에는 체결홈을 포함하여, 상기 체결돌기가 공기를 폐쇄하면서 체결홈에 체결되는, 요철(凹凸)로 구성된 체결수단,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고정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에 삽입되면서, 단위몸체의 결합돌기 바깥둘레에 있는 체결돌기가 결합몸체의 결합홈 내벽에 있는 체결홈과 공기를 폐쇄하며 체결되어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되므로써 완성되고, 상기 단위몸체와 결합몸체는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조립형 부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형 부구는 ,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내부에 공기층으로 충진된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 바깥면에는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가지면서, 상기 부력부의 다른 바깥 둘레면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을 가지는 단위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지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 바깥 둘레면에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홈 내벽에는 나사홈을 포함하여, 상기 나사산이 공기를 폐쇄하면서 나사홈과 체결되는, 나사산과 나사홈으로 구성된 체결수단,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체결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에 삽입되면서, 단위몸체의 결합돌기 바깥 둘레면에 있는 나사산이 결합몸체의 결합홈 내벽에 있는 나사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체결되어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되므로써 완성되고, 상기 단위몸체 및 결합몸체는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되는 단위몸체의 개수만큼 공간이 있고, 고정단위몸체결합돌기를 갖는 횡단위고정몸체와, 고정단위몸체결합홈을 갖는 종단위고정몸체, 그리고 상기 횡단위고정몸체와 종단위고정몸체를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횡단위고정몸체와 종단위고정몸체를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되어 완성되는 고정몸체로서, 상기 고정몸체를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밀착함으로써 완성되고, 횡단위고정몸체와 종단위고정몸체가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 루어진, 조립형 부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되는 단위몸체의 개수만큼 공간을 형성하면서, 종단위고정몸체와 횡단위몸체가 일체로 구성된 고정몸체로서, 상기 고정몸체를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밀착함으로써 완성되고, 상기 고정몸체가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단위몸체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조여주는 와이어조임볼트, 상기 와이어조임볼트에 연결되는 와이어조임너트로 구성된 고정수단으로써,상기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와이어가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연결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연결시키고, 상기 와이어의 양 끝이 상기 와이어조임너트와 와이어조임볼트로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임볼트와 와이어조임너트를 조임으로 고정되는 고정수단인, 조립형 부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단위몸체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망사, 상기 와이어를 조여주는 망조임볼트, 상기 망조임볼트에 연결되는 망조임너트로 구성된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수단을 이루는 망사가 이웃한 단위몸체를 감싸고, 와이어가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연결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연결시키고, 상기 와이어의 양 끝이 상기 망조임너트와 망조임볼트로 삽입되고, 상기 망조임볼트와 망조임너트를 조임으로 고정되는 고정수단인, 조립형 부구일 수 있다.
한편, 조립형 부구를 구성하는, 상기 단위 몸체 및 상기 결합 몸체를 이루는 합성 수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 의 혼합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일 수 있다.
한편,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고정몸체를 이루는 합성수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몸체와 결합몸체를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은 와이어, 쐐기 등의일체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단위몸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이웃한 단위 몸체 상호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일체의 고정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를 이루는 합성수지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여 부력부를 갖는 결합몸체 및 고정몸체일 수 있으며, 상기 결합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를 이루는 재질로서 합성수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와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 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몸체 및 결합몸체, 그리고 고정몸체를 이루는 재질은 분해성 플라스틱(degradable plastic)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전체적인 기능이 작은 크기의 부력체의 역할을 하는 단위몸체의 복수개가 결합몸체를 통하여 결합하여 큰 부구가 형성됨으로써, 큰 부구가 필요한 곳에서 단일의 큰 부구의 기능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단위몸체의 결합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부구가 제작되어, 용량이 쉽게 조절될 수 있고,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 할 수 있어 범용성을 확대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큰 부구의 제작이 필요할 때 블로우 성형 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던 작은 크기의 부구가 태풍 등으로 인해 연안에 적층되어있어 환경적인 문제가 있었는데, 본 고안을 통해 부력체의 기능이 있는 작은 크기의 폐부구를 재활용하여 결합몸체에 결합하여 조립형 부구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환경적인 면에서도 재활용을 통한 생산비감소, 생태계 보존 등의 큰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위몸체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는 복수의 단위몸체 중에 하나 이상의 단위몸체가 파손에 의해 부력을 잃어도 다른 단위몸체가 부력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전체가 파손되지 않으면 부력이 없어지지 않음에 따라 안정 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복수의 단위몸체가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단위체 별로 교체가 가능하고, 발포 수지와 비교하여 강도가 강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단위몸체 상호간을 고정수단이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에 따라 부력을 받는 단위몸체간에도 고정수단 통한 균형적인 부력 안배가 이루어지므로 부구의 기능수행에 효과적이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사용 용도와 형태에 따라 합성 수지의 재료 중에 선택하여 성형이 가능하고, 겨울에 강도를 높이거나, 자연 분해되는 합성 수지를 선별하여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형 부구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3 중 어느 한 도면에 있어서 다른 고정몸체를 나타내는 결합고정몸체의 분해 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 5는 도1의 조립형 부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900)는 단위몸체(100), 결합몸체(200),체결수단(300),고정수단으로서 고정몸체(40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고로 하여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단위몸체(100)는 내부에 공기층(110)으로 충진된 부력부(120)와 단위몸체의 바깥면에 결합돌기(130)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몸체의 다른 바깥 둘레면에 고정몸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150)을 가지는 단위몸체, 결합돌기는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230)에 밀폐되면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으며, 결합돌기에는 결합돌기 둘레면의 상부로부터 직선방향으로 내부를 통과하여 둘레면의 하부로 관통하는 결합돌기결합공(140)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결합돌기결합공의 직경은 체결수단인 볼트(310)의 직경과 맞물려 너트(320)와 체결되면서 공기층이 밀폐되는 크기의 직경을 갖는다. 결합몸체는 결합홈(230)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결합홈의 외벽 상부로부터 직선방향으로 결합홈을 통과는 상부결합홈결합공(241)과 결합홈의 내벽에서 외벽 하부로 관통하는 하부결합홈결합공(242)을 갖고 있다. 상기 결합돌기(130)가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230)에 공기가 밀폐되면서 삽입되고, 체결수단인 체결볼트(310)가 상부결합홈결합공(241)으로부터 결합돌기결합공(140)과 하부결합홈결합공(242) 을 통과하여 체결수단인 체결너트(320)와 연결되면서 공기를 폐쇄하며 조립되면서 단위몸체와 결합몸체가 체결수단(30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150)에 결합되는 고정몸체는(400), 고정되어질 단위몸체의 개수에 맞게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150)에 고정될 수 있는 틀 형상으로 일체를 이루어 있고, 상기 고정몸체(400)를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150) 방향으로 외력을 통해 밀어 줌으로써, 고정몸체(400)가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150)의 공기를 폐쇄하면서 밀착되어 이웃한 단위몸체 상호간을 고정시킨다.
결합 몸체(200)와 단위 몸체(100) 및 고정몸체(400)는 일체(一體)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서로 독립적인 구성요소이다. 단위 몸체(100)와 결합몸체(200) 및 고정몸체(400)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합성 수지는 일체의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조립형 부구(900)의 사용 용도와 설치 장소에 따라 상술된 합성 수지 군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는 분해성 플라스틱(degradable plastic)일 수 있다.
합성 수지는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으로 썩지 않는다. 썩지 않는 합성 수지가 바다에 버려지게 되면 어류, 조류, 그리고 해초의 먹이 사슬을 파괴된다. 또 한, 땅에 합성 수지가 매립되면 원활한 공기 소통을 막아 토양을 오염시킨다. 이런, 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는 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었다. 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는 광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기간 뒤에는 자연 분해되는 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단위 몸체(100)와 결합 몸체(200) 및 고정몸체(400)는 폐기 후에도 환경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단위 몸체(100)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블로우 성형은 성형되는 단위몸체(100)에 형태에 따라 정해진다. 정해진 형태와 크기에 따라 성형될 수 있는 블로우 성형기를 채택하고, 이에 따른 금형을 설치한다. 설치된 금형의 내부에는 고정홈(150)이 형성될 수 있는 모양을 갖고, 상기 금형의 내부에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온도로 가열된 합성 수지가 공급된다. 합성 수지가 공급된 후에 공기층(110)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공기를 주입시킨다. 이때, 공기는 단위 몸체(100)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0)가 형성되는 위치에 주입된다. 공기가 주입되면 가열된 합성 수지가 팽창되어 금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110)이 형성된 부력부(120)가 성형된다. 단위 몸체(100)의 성형을 마치면 공기가 주입된 공기층(110)을 폐쇄시키면서 공기 주입 부분을 바깥 방향으로 돌출 접합시켜 결합돌기(130)가 형성된다. 따라서, 단위 몸체(100)는 공기가 주입되는 위치가 접합 돌출되어 결합돌기(130)가 형성되고, 금형의 구조에 의해 고정홈(150)을 갖도록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130)의 바깥 상부에서 공기 층(110)을 통과되지 않으면서 내부를 관통하여 바깥 하부로 결합돌기결합공(140)을 일반 드릴도구 등에 의해 체결수단인 볼트(310)의 크기에 맞게 결합돌기결합공(1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몸체를 금형을 통해 성형할 때, 결합돌기(130)에 결합돌기결합공(140)이 형성되도록 제작하여 블로우 성형 방법을 사용하고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단위몸체를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결합몸체(200) 및 고정몸체(400)는 금형을 통하여 블로우 성형을 하지 않는 방법으로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게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금형을 통한 성형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가 합성 수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는 일체의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방족 공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와 혼합되어 내한 강도를 높인다.
결합몸체의 금형을 제작할 시에는 원하는 크기의 부구에 맞게 결합시킬 단위몸체(100)의 개수를 결정하고, 그 개수에 맞는 결합돌기(13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230)을 가진 결합몸체(200)의 금형을 제작하되,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230)은 돌출형으로 성형될 수 있게 금형을 제작하고, 이 금형을 통해 성형되는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볼트의 직경에 맞는 드릴로 결합홈 상부에서 결합홈을 통과하여 상부결합 홈결합공(241)을 형성하고, 결합홈 내부에서 결합홈 외부의 하부로 관통하는 하부결합홈결합공(24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형 제작시 결합홈(230)에 상부결합홈결합공(241)과 하부결합홈결합공(242)이 형성될 수 있도록 금형을 제작하여 상기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결합몸체(200)을 제작할 수 도 있다.
또한, 고정몸체의 제작에 있어서, 고정되어질 단위몸체의 개수에 맞게, 그리고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공기를 밀폐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시킬 선택된 금형을 제작하여, 상기 금형에 상기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일체로 형성된 고정몸체를 성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3 중 어느 한 도면에 있어서, 결합 몸체(200) 및 고정몸체(400)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며, 이 때 결합몸체 및 고정몸체(400)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도록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블로우 성형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일체의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방족 공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와 혼합되어 내한 강도를 높인다. 폴리에스테르의 열적 특성은 -60˚C부터 +150˚C까지의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고 원형 상태가 보존된다. 극한 지방과 빙하 지형에 경우에는 바다 의 수온이 -60˚C 이하로 내려 갈 수 있다. 이에, 조립형 부구(900)의 변형을 방지하고자, 폴리에스테르에 지방족 공 중합체를 혼합하거나, 폴리에스테르 제작 시에 지방족 공 중합체가 포함되어 있는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내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저하에 따른 조립형 부구(900)의 변형이 방지되어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위 몸체(100)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공기층(110)을 갖는 형태를 가지면서 결합돌기와 고정홈(150)이 형성되게 성형되고, 결합 몸체(200)는 단위 몸체(100)가 삽입되는 결합홈(230)을 가질 수 있는 모든 성형 방법이 포함되며, 결합몸체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기 위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130)는 결합몸체(200)의 결합홈(230)에 삽입되는데, 이 때 단위몸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결합몸체가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단위몸체의 결합홈에 삽입하는 형태도 포함된다. 즉, 이러한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쌍방 치환을 통한 이용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형성되는 단위 몸체(100)와 결합 몸체(200)는 각각 블로우 성형 이외에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체결수단(300)은 단위 몸체(100)를 결합몸체(200)에 체결시키는 체결볼트(310)와 체결너트(320)를 하나의 예시로 하고 있으나, 상기 체결수단은 요철(凹凸)에 의한 체결수단, 나사산과 나사홈에 의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일체의 체결수단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체결수단의 재질은 일체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 다.
도 4를 참고하여, 단위고정몸체(440)가 고정수단(430)을 통해 완성되는 결합고정몸체(400)를 살펴본다. 도 4에는 도1 내지 도 3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내고 있는 일체를 이루는 고정몸체(400)와는 달리, 단위고정몸체의 상호결합에 의한 결합고정몸체(450)를 설정하여, 도1 내지 도 3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내고 있는 고정몸체(400)와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 3 중 어느하나에 있어서의 고정몸체(400)와 도4의 결합고정몸체(450)는 본 발명에서의 고정수단의 예시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3 중 어느 한 도면에 있어서 또 다른 고정몸체를 나타내는 결합고정몸체의 분해 사시도 이다.
상세하게는, 도 4에서의 고정몸체는 일체로 성형되는 고정몸체가 아닌, 단위고정몸체(440)를 고정볼트(431)와 고정너트(432)를 통해 조립되어 완성되는 결합고정몸체(450)를 나타내는, 또 다른 고정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결합고정몸체(450)는, 고정몸체결합홈(411)을 가지면서 상기 고정몸체결합홈에는 고정몸체결합홈결합공(412)을 갖는 종단위고정몸체(410)와, 고정몸체결합돌기(421)를 가지면서 상기 고정몸체결합돌기에는 고정몸체결합돌기결합공(422)을 가지는 횡단위고정몸체(420)가 상기 고정몸체결합홈에 있는 고정몸체결합공(412)과 상기 고정몸체결합돌기에 있는 고정몸체결합돌기결합공(422)을 볼트(431)가 공기를 폐쇄하며 너트(432)와 체결되므로써 고정수단(430)인 고정볼트(431)와 고정너트(432)을 통해 완성되는 결합고정몸체(450)이다. 상기 결합고정몸체는 상술한 조립단계를 거처,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150)에 고정홈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고정홈의 공기를 폐쇄하면서 고정되어, 이웃하는 단위몸체를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조립형 부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결합몸체(200)에 결합되어 있는 단위몸체(100)는 각 단위몸체의 개수에 맞게,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몸체(400)에 의하여 고정되어 완성되는 조립형 부구를 나타낸다.
도 6는 도 1 내지 도5 중 어느 한 도면에 있어서의, 다른 하나의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른 하나의 고정수단을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단위몸체(100)는 결합몸체(200)에 체결수단(300)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되어 있고, 또 다른 고정수단(460)에 의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되는 완성되는 조립형 부구(900)의 일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고정수단(460)은 단위몸체에 형성된 고정홈(150)에 고정되어 이웃한 단위몸체를 연결하는 와이어(461), 조임볼트(462)와 조임너트(46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볼트(462)와 조임너트(463)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461)를 조임볼트와(462) 조임너트(463)를 통해 조여줌으로써 구성된 고정수단(460)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6 중 어느 한 도면에 있어서의 고정수단의 또 다른 하나의고정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단위몸체(100)는 결합몸체(200)에 체결수단(300)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되어 있고, 또 다른 고정수단(470)에 의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되는 조립형 부구를 나타낸다. 여기서, 고정수단(470)은 단위몸체에 형성된 고정홈(150)에 고정되어 이웃한 단위몸체를 연결하는 와이어(471), 상기 와이어(471)와 연결되어 있는 망사(472), 상기 와이어(471)를 조여주는 조임볼트(473)와 조임너트(47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볼트(473)와 조임너트(474)를 통과하는 와이어(471)을 조임볼트(473)와 조임너트(474)를 통해 조여 주므로써, 상기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470)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고정수단 이외에, 이웃하는 단위몸체 상호간을 고정시키는 여러가지 고정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형 부구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3 중 어느 한 도면에 있어서 다른 고정몸체를 나타내는 결합고정몸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조립형 부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는 도 1 내지 도5 중 어느 한 도면에 있어서의 고정수단의 다른 하나의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1 내지 도6 중 어느 한 도면에 있어서의 고정수단의 또 다른 하나의고정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위몸체 110 : 공기층
120 : 부력부 130 : 결합돌기
140 : 결합돌기결합공 150 : 고정홈
200 : 결합몸체 230 : 결합홈
240 : 결합홈결합공 241 : 상부결합홈결합공
242 : 하부결합홈결합공 300 : 체결수단
310 : 체결볼트 320 : 체결너트
400 : 고정수단 410 : 종단위고정몸체
411 : 고정몸체결합홈 412 : 고정몸체결합홈결합공
420 : 횡단위고정몸체 421 : 고정몸체결합돌기
422 : 고정몸체결합돌기결합공 430 : 고정몸체체결수단
431 : 고정몸체볼트 432 : 고정몸체너트
440 : 단위고정몸체 450 : 고정몸체
460 : 와이어고정수단 461 : 와이어
462 : 와이어고정볼트 463 : 와이어고정너트
470 : 망고정수단 471 : 망와이어
472 : 망사 473 : 망고정볼트
474 : 망고정너트 900 : 조립형 부구

Claims (11)

  1.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의 바깥면에는,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가지며, 상기 부력부의 다른 바깥 둘레면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홈을 가지는 단위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지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몸체,
    상기 단위몸체와 결합몸체를 체결하는 체결수단,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고정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삽입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되므로써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2.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 바깥면에는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가지면서 상기 결합돌기는 결합돌기결합공을 가지며, 상기 부력부의 다른 바깥면 둘레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을 가지는 단위몸체,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지는 결합홈을 가지면서 상기 결합홈에는 결합홈결합공을 가진 결합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에 있는 결합돌기결합공과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있는 결합홈결합공을, 공기를 폐쇄하면서 너트와 연결되어 상기 단위몸체와 상기 결합몸체를 체결하는 볼트,
    그리고 상기 볼트와 연결되면서 상기 단위몸체와 상기 결합몸체를 체결하는 너트,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고정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삽입된 후, 볼트가 상기 결합돌기에 있는 결합돌기결합공과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있는 결합홈결합공을 공기를 폐쇄하며 너트와 결합하면서,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되므로써 완성되고,
    상기 단위몸체 및 결합몸체는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3.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 바깥면에는,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가지면서, 상기 부력부의 다른 바깥 둘레 면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을 가지는 단위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지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 바깥 둘레면에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홈 내벽에는 체결홈을 포함하여, 상기 체결돌기가 공기를 폐쇄하면서 체결홈에 체결되는, 요철(凹凸)로 구성된 체결수단,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고정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에 삽입되면서, 단위몸체의 결합돌기 바깥둘레에 있는 체결돌기가 결합몸체의 결합홈 내벽에 있는 체결홈과 공기를 폐쇄하며 체결되어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되므로써 완 성되고,
    상기 단위몸체와 결합몸체는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4.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층으로 충진된 부력부와 상기 부력부 바깥면에는 결합몸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가지면서, 상기 부력부의 다른 바깥 둘레면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을 가지는 단위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지는, 결합홈을 가진 결합몸체,
    상기 단위몸체의 결합돌기 바깥 둘레면에는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몸체의 결합홈 내벽에는 나사홈을 포함하여, 상기 나사산이 공기를 폐쇄하면서 나사홈과 체결되는, 나사산과 나사홈으로 구성된 체결수단,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체결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결합돌기가 결합몸체에 있는 결합홈에 삽입되면서, 단위몸체의 결합돌기 바깥 둘레면에 있는 나사산이 결합몸체의 결합홈 내벽에 있는 나사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체결되어 단위몸체가 결합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상기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이웃한 단위몸체가 고정되므로써 완성되고,
    상기 단위몸체 및 결합몸체는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되는 단위몸체의 개수만큼 공간이 있고, 고정단위몸체결합돌기를 갖는 횡단위고정몸체와, 고정단위몸체결합홈을 갖는 종단위고정몸체, 그리고 상기 횡단위고정몸체와 종단위고정몸체를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횡단위고정몸체와 종단위고정몸체를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되어 완성되는 고정몸체로서,
    상기 고정몸체를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밀착함으로써 완성되고, 횡단위고정몸체와 종단위고정몸체가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되는 단위몸체의 개수만큼 공간을 형성하면서, 종단위고정몸체와 횡단위몸체가 일체로 구성된 고정몸체로서,
    상기 고정몸체를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공기를 폐쇄하며 밀착함으로써 완성되고, 상기 고정몸체가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단위몸체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조여주는 와이어조임볼트, 상기 와이어조임볼트에 연결되는 와이어조임너트로 구성된 고정수단으로써,
    상기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와이어가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연결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연결시키고, 상기 와이어의 양 끝이 상기 와이어조임너트와 와이어조임볼트로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조임볼트와 와이어조임너트를 조임으로 고정되는 고정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단위몸체의 고정홈에 고정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망사, 상기 와이어를 조여주는 망조임볼트, 상기 망조임볼트에 연결되는 망조임너트로 구성된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수단을 이루는 망사가 이웃한 단위몸체를 감싸고, 와이어가 단위몸체에 있는 고정홈에 연결되면서 이웃한 단위몸체를 연결시키고, 상기 와이어의 양 끝이 상기 망조임너트와 망조임볼트로 삽입되고, 상기 망조임볼트와 망조임너트를 조임으로 고정되는 고정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9.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몸체 및 상기 결합 몸체를 이루는 합성 수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10. 제5항에 있어서,
    횡단위고정몸체와 종단위고정몸체를 이루는 합성수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조립형 부구.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구.
KR2020090013529U 2009-10-16 2009-10-16 조립형 부구 KR201100040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529U KR20110004025U (ko) 2009-10-16 2009-10-16 조립형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529U KR20110004025U (ko) 2009-10-16 2009-10-16 조립형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025U true KR20110004025U (ko) 2011-04-22

Family

ID=4420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529U KR20110004025U (ko) 2009-10-16 2009-10-16 조립형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402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174B1 (ko) * 2017-11-16 2019-05-20 오토렉스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KR20210041883A (ko) *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부력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174B1 (ko) * 2017-11-16 2019-05-20 오토렉스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KR20210041883A (ko) *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부력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642Y1 (ko) 조립형 부구
US20150296753A1 (en)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KR101155877B1 (ko)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KR20170063032A (ko) 친환경 부표
KR200455698Y1 (ko) 조립형 부구
KR101743006B1 (ko) 덮개부가 마련된 부표 및 부표 제조 방법
KR20110004023U (ko) 조립형 부구
KR20200131079A (ko) 열융착 고정 부표
KR20170063467A (ko) 양식용 해수부자
KR200475806Y1 (ko) 부표
KR20110004990U (ko) 조립형 부구
KR20110004025U (ko) 조립형 부구
KR200446171Y1 (ko) 조립형 부구
KR200456731Y1 (ko) 부력 발판
KR101955908B1 (ko) 일체형 양식용 부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일체형 양식용 부자
KR20200050142A (ko)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0455504Y1 (ko) 조립형 부구
KR100833714B1 (ko) 해역 경계 표시 마크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18012B1 (ko) 어구용 부구 및 부구 제작방법
KR20110004024U (ko) 조립형 부구
KR20110004026U (ko) 조립형 부구
KR101863517B1 (ko) 수산양식용 부유체
KR20110053305A (ko) 해상활동용 부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442B1 (ko) 금속 부자
KR101883184B1 (ko) 내경 중공형 부표의 에어 주입과 외경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