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642Y1 - 조립형 부구 - Google Patents
조립형 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6642Y1 KR200456642Y1 KR2020090000225U KR20090000225U KR200456642Y1 KR 200456642 Y1 KR200456642 Y1 KR 200456642Y1 KR 2020090000225 U KR2020090000225 U KR 2020090000225U KR 20090000225 U KR20090000225 U KR 20090000225U KR 200456642 Y1 KR200456642 Y1 KR 20045664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body
- buoyancy
- divided
- assembled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2—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722—Block-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부구에 관한 것으로,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전체적인 형상이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면 부구의 형상이 되도록 나누어지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일측으로 조립 시에 접촉되는 안쪽에 결합홈을 가지는 부력 몸체, 상기 부력 몸체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타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 돌기, 그리고 복수로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면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홈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에는 단면적이 확대되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안쪽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홈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력 몸체는 내부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된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조립, 부구, 연결 장치, 공기층, 부력 몸체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형 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구(浮具)는 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다. 부이 또는 부표(浮標)라고도 한다. 부구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해서 항로를 지시하는 위치에 사용된다. 또한, 부구는 암초, 침몰선 등의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그리고, 부구는 어구(漁具)나 닻 등 물 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아울러, 부구는 일정 범위에 어류, 폐류 및 조류 등을 양식하기 위해서 설치된 그물을 고정 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런, 부구는 바다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메어 달 수 있는 기구에 의해 해저의 바닥 또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중량물에 고정된다. 메어 달 수 있는 기구는 체인, 와이어 따위가 사용된다.
부구에는 식별이 가능하도록 용도에 따라 깃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부구에는 전자 신호에 의해 식별이 가능한 각종 송 수신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발광되는 등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부구는 합성 수지를 발포 성형한 발포 수지재로 제작된다. 발포 수지재는 합성 수지의 발포 시에 유입된 기체로 인해 공극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공극을 가진 발포 수지는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발포 수지는 내부의 공극에 의해 부력을 가지고 있어 공기가 저장되는 공간이 필요 없다. 또한, 발포 수지가 일부 파손되어도 남은 부분에서 부력이 발생됨에 따라 물속으로 매몰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발포 수지는 공극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강도가 약하다. 즉, 발포 수지의 외부 충격이 전달되면 발포 수지의 공극 사이에서 충격이 전파되어 쉽게 부서진다. 따라서, 강도가 약한 발포 수지를 이용한 부구는 교체되는 시기가 짧다.
또한, 바다에 떠 있는 발포 수지로 형성된 부구는 파도에 의해서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된다. 발포 수지는 내부에 공극을 가지고 있어 내부 조직의 상호 간에 결속력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부구 측으로 부딪히는 파도는 결속력이 약한 발포 수지를 지속적으로 침식시킨다. 침식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발포 수지는 바다를 오염시킨다. 또한, 침식이 심화된 부구는 부력이 줄어들어 물에 뜰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교체를 자주 해주어야 한다.
최근에는 종래의 부구는 블로우 성형 공법을 이용하여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합성 수지재로 제작되고 있다. 종래의 부구는 합성수지재료가 블로우 성형기에 의해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일체로 제작된다. 일체로 제작된 종래의 부구는 내부에 충진된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진다. 종래의 부구는 발포 수지재 부구와 비교하여 강도가 강하고, 침식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큰 부력을 가지기 어려웠다. 즉, 부구는 일체로 제작됨에 따라 필요 부력에 맞는 공기 충전 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크게 제작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블로우 성형기의 확대로 인해 제작비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구는 부력이 증대되기 위해서 체적을 확대시키도록 생산되기 어려웠다. 체적이 증대된 부구가 생산되기 위해서는 형태가 변형되도록 가열된 합성수지재가 블로우 성형기에 공급된다. 이렇게, 블로우 성형기에 공급된 합성수지재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 시켜 내부에 공기를 충진한 상태로 부구가 제작된다. 이때, 부구의 제작되는 체적이 커지면 공기 충진 시에 합성수지 재료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가열된 합성 수지재가 일부분의 온도가 낮아 지게 되고, 온도가 낮아진 부분에서 고착된다. 즉, 블로우 성형기에 공급된 합성 수지재가 온도가 낮아진 부분에서 형태가 굳어지거나, 성형기에 달라 붙게 되어 정확한 형태로 가공되기 어려웠다.
그리고, 종래의 부구는 부력이 증대되기 위해서 체적이 확대되도록 중량이 큰 합성수지 재로 제작되어야 하나, 가열된 상태에서 성형되는 합성수지재의 취급이 어려웠다. 즉, 중량이 큰 합성 수지재가 형태가 변형되도록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블로우 성형기 내에서 공기를 불어 넣어 성형하기가 어려웠다. 체적을 확대시키기 위해서 무거운 중량의 합성 수지 재료가 공급된 상태로 공기를 불어 넣게 된다. 이때, 부구의 변형이 최소화 되도록 신속하게 큰 체적에 도달 할 때까지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부구의 체적과 합성수지 재료의 중량이 커지 게 되면 일시에 많은 고압의 압축 공기가 필요하게 되고, 이를 유입하는 유입구의 크기도 커야 한다.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량과 이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압축 공기가 일시적으로 과하게 공급되면 체적이 증대되는 것이 일정하지 않아 부구의 두께가 달라진다. 또한, 유입구가 너무 크게 되면 공기가 충진된 후에 밀폐 작업이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부구는 정해진 체적 이상으로 크게 제작될 수 없음으로써, 부력을 증대시키기 어려웠다.
아울러, 종래의 부구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일체로 제작되어 있어, 일부 파손에 의해 내부 공기가 유출되면 일시에 부력이 없어진다. 즉, 일체로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가 파손된 부분으로 일시에 배출되고, 배출된 기압의 차에 의해 외부에 물이 유입되어 부력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력의 크기에 따라 상호 결합되는 작은 단위의 부력체를 결합시키고, 결합된 부력체의 외곽면이 연결된 상태로 보강됨으로써, 작은 부력체의 조합에 의해 전체 부구가 형성되어 성형 비용이 감소되고, 분할된 부력 부력체 중에 하나가 파손되어 부력이 줄어들어도 나머지 부력체로 떠 있음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며, 작은 부력체의 결합 수량에 따라 부구의 체적을 증대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부력에 알맞은 부구가 제작될 수 있는 조립형 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전체적인 형상이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면 부구의 형상이 되도록 나누어지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일측으로 조립 시에 접촉되는 안쪽에 결합홈을 가지는 부력 몸체, 상기 부력 몸체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타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 돌기, 그리고 복수로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면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홈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에는 단면적이 확대되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안쪽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홈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력 몸체는 내부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된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복수로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면 위치에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 고정공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고정공에서 연결 장치가 삽입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로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의 바깥 면에는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면에 설치되는 연결 장치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부력 몸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의 각 면에 배치되어 상기 부력 몸체 를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파이프,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부구의 각 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로 일체로 고정시키는 파이프 연결 수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파이프는 복수의 상기 부력 몸체가 연결된 상태에서 결속이 유지되기 위해 상기 파이프 연결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결 장치는 상기 부력 몸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면에 배치되어 상기 부력 몸체를 연결시키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수의 상기 부력 몸체가 연결된 상기 연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 수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와이어는 복수의 상기 부력 몸체가 연결된 상태에서 결속이 유지되기 위해서 긴장된 상태로 상기 고정 장치로 고정 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부력 몸체가 일체로 이루어진 합성 수지는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 몸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 몸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와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 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력 몸체가 일체로 이루어진 합성 수지는 분해성 플라스틱(degradable plastic)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부력체를 블로우 성형하여 이에 조립으로 큰 부구가 형성됨으로써, 부구가 제작되는 블로우 성형 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력체는 부력의 용량에 따른 수량이 연결되고, 연결된 부력체의 외곽이 보강되어 부구가 됨으로써, 연결된 부력체의 수량에 따라 부력의 용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 할 수 있어 범용성을 확대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부력체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부구는 복수의 부력체 중에 하나 이상의 부력체가 파손에 의해 부력을 잃어도 다른 부력체에서 부력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전체가 파손되지 않으면 부력이 없어지지 않음에 따라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복수의 부력체가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부력체 별로 교체가 가능하고, 발포 수지와 비교하여 강도가 강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사용 용도와 형태에 따라 합성 수지의 재료 중에 선택하여 성형이 가능하고, 겨울에 강도를 높이거나, 자연 분해되 는 합성 수지를 선별하여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부력을 가지는 부력체가 조립되어 하나의 부구가 형성되고, 부구의 외곽면이 보강으로 인해서 외부에 충격에 대항하는 대항력이 증대되어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100)는 부력부(110) 및 연결 장치(120)를 포함한다. 부력부(110)는기 설정된 부력의 용량에 따라 복수로 조립되는 부력 몸체(111), 결합 돌기(113), 그리고 고정 돌기(115)를 포함한다. 부력 몸체(111)는 하나의 부구(100)가 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부력 몸체(111)의 내부에는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112)을 가 지고 있다. 공기층(112)은 외부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부력 몸체(111)는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112)에 의해 부력을 가진다. 부력을 가지는 부력 몸체(111)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되는 용량이 결정되면 이에 따른 수량의 부력 몸체(111)가 조립된다. 부력 몸체(111)는 단위 체적에 따른 부력의 용량이 정해져 있다. 정해진 부력의 용량을 가지는 부력 몸체(111)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부력 용량에 적합하도록 복수의 수량으로 상호 조립된다. 따라서, 부력 몸체(111)는 조립에 의해 부력의 용량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의 도면에 나타낸 부력 몸체(111)는 대략 6 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부력 몸체(111)는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호 결합되는 다른 형상으로 변형 또는 개량된 부력 몸체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
부력 몸체(111)는 공기층(112)이 내부에 형성된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부력 몸체(111)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합성 수지는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부구(100)의 사용 용도와 설치 장소에 따라 상술된 합성 수지 군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는 분해성 플라스틱(degradable plastic)일 수 있다.
합성 수지는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으로 썩지 않는다. 썩지 않는 합성 수지 가 바다에 버려지게 되면 어류, 조류, 그리고 해초의 먹이 사슬을 파괴된다. 또한, 땅에 합성 수지가 매립되면 원활한 공기 소통을 막아 토양을 오염시킨다. 이런, 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는 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었다. 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는 광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기간 뒤에는 자연 분해되는 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공기층(112)을 가지는 부력 몸체(111)를 일체로 제조하여 폐기 후에도 환경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일체로 형성된 부력 몸체(111)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블로우 성형은 성형되는 부구(100)에 형태에 따라 복수로 분할되는 부력 몸체(111)의 형태와 크기가 정해진다. 정해진 형태와 크기에 따라 성형될 수 있는 블로우 성형기를 채택하고, 이에 따른 금형을 설치한다. 설치된 금형의 내부에는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온도로 가열된 합성 수지가 공급된다. 합성 수지가 공급된 후에 공기층(112)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공기를 주입시킨다. 공기가 주입되면 가열된 합성 수지가 팽창되어 금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112)이 형성된 부력 몸체(111)가 성형된다. 부력 몸체(111)의 성형을 마치면 공기가 주입된 공기층(112)을 폐쇄시킨다. 따라서, 부력 몸체(111)는 내부에 공기층(112)이 형성되는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부력 몸체(111)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112)을 가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블로우 성형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가 합성 수지로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부력 몸체(111)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PET)와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방족 공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와 혼합되어 내한 강도를 높인다. 폴리에스테르의 열적 특성은 -60˚C부터 +150˚C까지의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고 원형 상태가 보존된다. 그러나, 극한 지방과 빙하 지형에 경우에는 바다의 수온이 -60˚C 이하로 내려 갈 수 있다. 이에, 부구(100)의 변형을 방지하고자, 폴리에스테르에 지방족 공 중합체를 혼합하거나, 폴리에스테르 제작 시에 지방족 공 중합체가 포함되어 있는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내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저하에 따른 부구(100)의 변형이 방지되어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부력 몸체(111)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공기층(112)과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부력 몸체(111)는 내부에 공기층(112)을 가질 수 있는 모든 성형 방법이 포함된다. 따라서, 공기층(112)과 일체로 형성되는 부력 몸체(111)의 블로우 성형 이외에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부력 몸체(111)의 상호 결합되는 일측면에는 결합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14)에는 안쪽으로 결합홈(114)의 단면적이 확대되는 홈경사부(114a)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113)는 부력 몸체(111)의 상호 결합되는 타측면에 돌출되어 있다. 결합 돌기는 결합홈(114)에 삽입되어 부력 몸체(111)가 상호 결합된다. 결합 돌기(113)에는 결합홈(114) 방향인 돌출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경사부(113a)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113)가 결합홈(114)에 삽입되면 경사부(113a)와 홈경사부(114a)는 상호 접촉된다. 삽입된 경사부(113a)와 홈경사부(114a)는 결합 돌기(113)가 결합홈(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즉, 결합 돌기(113)가 결합홈(114)에 삽입되면 삽입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경사부(113a)와 홈경사부(114a)가 측면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호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부력 몸체(111)에 각각 형성된 결합 돌기(113)가 결합홈(114)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고정 돌기(115)는 복수의 부력 몸체(111)의 조립 후 외곽면이 되는 바깥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 돌기(115)는 조립된 부력 몸체(111)가 외곽면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 돌기(115)는 조립되는 부력 몸체(111)에 위치에 따라 돌출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조립 시 내부에 위치하는 부력 몸체(111)에는 돌출되지 않는다. 즉, 고정 돌기(115)는 조립 후에 외곽면에 위치하는 부력 몸체(111)에 선택적으로 돌출된다. 고정 돌기(115)의 중앙에는 고정공(116)이 관통되어 있다. 고정 돌기(115)는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고정공(116)에는 연결 장치(120)가 삽입된다. 외곽면에 위치한 복수의 부력 몸체(111)에 구비된 고정 돌기(115)는 고정공(116)에 연결 장치(120)가 삽입되어 각각 연결 고정된다. 따라서,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에 위치한 고정 돌기(115)가 연결 장치(120)로 연결됨으로써,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결속력이 강화된다.
연결 장치(120)는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을 이루는 각 면에 배치되는 연결 파이프(121) 및 파이프 연결 수단(122)을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121)는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을 이루는 각 면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파이프(121)는 고정공(116)에 삽입되어 있다. 연결 파이프(121)는 부력 몸체(111)의 조립 후에 외곽을 이루는 각면에 위치하고 있는 고정공(116)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연결 파이프(121)는외곽을 이루는 각 면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 돌기(115)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파이프(121)는 복수로 결합되어 있는 부력 몸체(111)의 외곽을 이루는 각 면에 설치되어 외곽면에 위치한 부력 몸체(111)를 연결시킨다.
파이프 연결 수단(122)은 연결 파이프(121)를 연결하고 있다. 파이프 연결 수단(122)은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을 이루는 각 면에 배치된 연결 파이프(121)가 일체가 되도록 연결시킨다. 파이프 연결 수단(122)은 각 면에 배치된 연결 파이프(121)를 연결시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연결 파이프(121)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파이프 연결 수단(122)으로 연결된 연결 파이프(121)는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에서 강도가 향상되어 부구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파이프 연결 수단(122)은 연결 파이프(121)를 연결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이 포함된다. 파이프를 연결하는 수단에는 용접, 관이음, 그리고 나사 이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파이프 연결 수단(122)은 연결 파이프(121)가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또한, 다른 연결 장치(120)가 사용되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100)는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도 1의 조립형 부구에 다른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연결 장치(120)는 연결 와이어(123) 및 와이어 고정 수단(12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와이어(123)는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을 감싸고 있다. 연결 와이어(123)는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을 감싸고 있어 부력 몸체(111)의 결속력이 보강된다. 연결 와이어(123)는 고정공(116)에 삽입되어 있다. 연결 와이어(123)는 부력 몸체(111)의 조립 후에 외곽면으로 위치하고 있는 고정공(116)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연결 와이어(123)는 외곽면에 위치한 복수의 고정 돌기(115)가 연결되도록 감싸고 있다. 따라서, 연결 와이어(123)는 복수로 결합되어 있는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을 연결시킨다.
와이어 고정 수단(124)은 연결 와이어(123)를 고정시킨다. 와이어 고정 수단(124)은 연결 와이어(123)에 삽입되어 있다. 연결 와이어(123)는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을 감싸고 있으며, 긴장 상태가 되도록 당겨진다. 당겨진 연결 와이어(123)에 삽입된 와이어 고정 수단(124)은 연결 와이어(123)의 긴장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조립된 부력 몸체(111)가 결속되도록 연결 와이어(123)를 고정시킨다. 조립된 부력 몸체(111)를 감싸고 있는 연결 와이어(123)는 당겨져 긴장 상태가 유지되면서 와이어 고정 수단(124)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긴장된 연결 와이어(123)는 조립된 부력 몸체(111)에 설치되어 결속력이 강화된다.
여기서, 와이어 고정 수단(124)은 연결 와이어(123)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포함된다.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수단에는 나사 고정, 용접 고정, 그리고 와이어 고정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와이어 고정 수단(124)은 연결 와이어(123)가 고정되는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100)는 부력부(110) 및 연결 장치(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력부(110)의 일부 구성과 연결 장치(1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조립형 부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부력 몸체(111)의 조립되는 외곽면에는 고정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117)은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117)은 조립 시 외곽면으로 위치하는 부력 몸체(111)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 시 내부에 위치하는 부력 몸체(111)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고정홈(117)은 조립 후에 외곽면에 위치하는 부력 몸체(111)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고정홈(117)에는 연결 파이프(121)가 삽입되어 있다. 연결 파이프(121)는외곽을 이루는 각면에 위치한 고정홈(117)에 삽입되어 있다. 고정홈(117)에 삽입된 연결 파이프(121)는파이프 연결 수단(122)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파이프(121)가 고정 홈(117)에 삽입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되어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이 보강된다.
또한, 다른 연결 장치가 사용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도 5의 조립형 부구에 다른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고정홈(117)에는 연결 와이어(123)가 삽입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123)는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에 형성된 고정홈(117)에 삽입되어 있으며,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 전체를 감싸고 있다. 조립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 전체를 감싸고 있는 연결 와이어(123)는 긴장 상태가 유지되도록 일측으로 당겨진다. 일측으로 당겨진 연결 와이어(123)에는 와이어 고정 수단(124)이 삽입되어 있다. 긴장 상태가 유지되는 연결 와이어(123)는 와이어 고정 수단(124)이 삽입되어 있다. 연결 와이어(123)는 긴장 상태가 유지되면서 와이어 고정 수단(124)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호 결합된 부력 몸체(111)의 외곽면에 긴장 상태로 고정된 연결 와이어(123)가 배치되어 있어 부력 몸체(111) 상호간의 결속력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조립형 부구에 다른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형 부구에 다른 연결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구 110 : 부력부
111 : 부력 몸체 112 : 공기층
113 : 결합 돌기 113a : 경사부
114 : 결합홈 114a : 홈경사부
115 : 고정 돌기 116 : 고정공
117 : 고정홈 120 : 연결 장치
121 : 연결 파이프 122 : 파이프 연결 수단
123 : 연결 와이어 124 : 와이어 고정 수단
Claims (9)
-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상기 부구의 전체적인 형상이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면 부구의 형상이 되도록 나누어지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일측으로 조립 시에 접촉되는 안쪽에 결합홈을 가지는 부력 몸체,상기 부력 몸체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타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 돌기, 그리고복수로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면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되,상기 연결 장치는상기 부력 몸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의 각 면에 배치되어 상기 부력 몸체를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파이프, 및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부구의 각 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파이프를 연결한 상태로 일체로 고정시키는 파이프 연결 수단를 포함하며,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홈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에는 단면적이 확대되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안쪽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홈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부력 몸체는 내부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된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상기 연결 파이프는 복수의 상기 부력 몸체가 연결된 상태에서 결속이 유지되기 위해 상기 파이프 연결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는조립형 부구.
-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상기 부구의 전체적인 형상이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면 부구의 형상이 되도록 나누어지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일측으로 조립 시에 접촉되는 안쪽에 결합홈을 가지는 부력 몸체,상기 부력 몸체의 서로 마주보고 있는 타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 돌기, 그리고복수로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면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되,상기 연결 장치는상기 부력 몸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면에 배치되어 상기 부력 몸체를 연결시키는 연결 와이어, 및상기 연결 와이어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수의 상기 부력 몸체가 연결된 상기 연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 수단를 포함하며,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홈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에는 단면적이 확대되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안쪽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홈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상기 부력 몸체는 내부에 상기 공기층이 형성된 일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상기 연결 와이어는 복수의 상기 부력 몸체가 연결된 상태에서 결속이 유지되기 위해서 긴장된 상태로 상기 고정 장치로 고정 될 수 있는조립형 부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복수로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곽면 위치에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 고정공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를 더 구비하며,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고정공에서 연결 장치가 삽입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는조립형 부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복수로 분할된 상기 부력 몸체의 바깥 면에는 상기 부력 몸체가 조립된 상기 부구의 외면에 설치되는 연결 장치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조립형 부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부력 몸체가 일체로 이루어진 합성 수지는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부력 몸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부력 몸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와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부력 몸체가 일체로 이루어진 합성 수지는 분해성 플라스틱(degradable plastic)인 조립형 부구.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0225U KR200456642Y1 (ko) | 2009-01-08 | 2009-01-08 | 조립형 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0225U KR200456642Y1 (ko) | 2009-01-08 | 2009-01-08 | 조립형 부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7305U KR20100007305U (ko) | 2010-07-16 |
KR200456642Y1 true KR200456642Y1 (ko) | 2011-11-09 |
Family
ID=4445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0225U KR200456642Y1 (ko) | 2009-01-08 | 2009-01-08 | 조립형 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6642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1422B1 (ko) | 2013-10-10 | 2015-11-2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유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부유구조물 |
KR101934895B1 (ko) * | 2016-09-21 | 2019-01-03 | 조진택 |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
KR102034669B1 (ko) * | 2018-11-16 | 2019-10-21 | 김영근 | 부표 및 부표의 블로우 성형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3222Y1 (ko) * | 2010-04-21 | 2011-04-12 | 주종대 | 조립식 부잔교 |
KR101500283B1 (ko) * | 2014-10-02 | 2015-03-06 | 동주씨테크주식회사 |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
KR102107175B1 (ko) * | 2018-11-02 | 2020-05-06 | 주식회사 코부이테크 | 단위부력체를 이용한 부유구조물 |
KR102228573B1 (ko) * | 2018-12-21 | 2021-03-16 | 김영근 | 주입부와 밀폐부가 구비된 부표 |
KR102630863B1 (ko) * | 2022-02-04 | 2024-01-29 | (주)블루웨이 | 단위 부력체 및 단위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 조립방법 |
CN117945050B (zh) * | 2024-03-27 | 2024-06-18 | 山西迎才物流设备科技有限公司 | 一种仓库码垛运输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70365A (en) | 1982-03-17 | 1984-09-11 | Builders Concrete, Inc. | Concrete marine float having utility distribution system |
KR200435836Y1 (ko) | 2006-09-18 | 2007-02-23 | 신호근 | 양식장용 플로트의 결합구조 |
-
2009
- 2009-01-08 KR KR2020090000225U patent/KR20045664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70365A (en) | 1982-03-17 | 1984-09-11 | Builders Concrete, Inc. | Concrete marine float having utility distribution system |
KR200435836Y1 (ko) | 2006-09-18 | 2007-02-23 | 신호근 | 양식장용 플로트의 결합구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1422B1 (ko) | 2013-10-10 | 2015-11-24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유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부유구조물 |
KR101934895B1 (ko) * | 2016-09-21 | 2019-01-03 | 조진택 | 강재 프레임을 이용한 부유체 |
KR102034669B1 (ko) * | 2018-11-16 | 2019-10-21 | 김영근 | 부표 및 부표의 블로우 성형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7305U (ko) | 2010-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6642Y1 (ko) | 조립형 부구 | |
KR200455698Y1 (ko) | 조립형 부구 | |
KR20110004023U (ko) | 조립형 부구 | |
US20150296753A1 (en) |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 |
KR102392219B1 (ko) | 부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57833B1 (ko) |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 |
KR20110004990U (ko) | 조립형 부구 | |
KR200446171Y1 (ko) | 조립형 부구 | |
KR20110004025U (ko) | 조립형 부구 | |
KR20200050142A (ko) |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 |
KR200456731Y1 (ko) | 부력 발판 | |
KR200455504Y1 (ko) | 조립형 부구 | |
KR101863517B1 (ko) | 수산양식용 부유체 | |
KR101018012B1 (ko) | 어구용 부구 및 부구 제작방법 | |
KR20210115833A (ko) | 김 양식용 부구와 이를 이용한 김발지지유닛 | |
KR200207971Y1 (ko) | 어구용 부표 | |
KR20110004024U (ko) | 조립형 부구 | |
KR19980067833A (ko) | 수산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10004026U (ko) | 조립형 부구 | |
KR20150057225A (ko) | 타원형 또는 원뿔형 부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99763B1 (ko) | 메인튜브를 감싸도록 각각 다수의 에어포켓을 형성한 분할 외피로 구성한 부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37208B1 (ko) |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494636B1 (ko) |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 |
KR101883184B1 (ko) | 내경 중공형 부표의 에어 주입과 외경 보강구조 | |
KR20090109439A (ko) | 엘라스토머 부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