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171Y1 - 조립형 부구 - Google Patents

조립형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171Y1
KR200446171Y1 KR2020090000222U KR20090000222U KR200446171Y1 KR 200446171 Y1 KR200446171 Y1 KR 200446171Y1 KR 2020090000222 U KR2020090000222 U KR 2020090000222U KR 20090000222 U KR20090000222 U KR 20090000222U KR 200446171 Y1 KR200446171 Y1 KR 200446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unit body
divided
float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태
Original Assignee
김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태 filed Critical 김근태
Priority to KR2020090000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2Inflatable buoys with gas gen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having compartments comprising elements which are filled with gas by deployment, e.g. sponge-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부구에 관한 것으로,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전체적인 형상이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면 부구의 형상이 되도록 나누어지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단위 몸체, 복수로 분할된 상기 단위 몸체의 조립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관통된 결합공을 가지는 결합 몸체, 그리고 복수의 상기 단위 몸체가 조립되어 서로 맞닿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복수로 분할된 상기 단위 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몸체는 상기 단위 몸체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공기층이 폐쇄되도록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몸체와 상기 결합 몸체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일체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조립형, 부구, 단위 몸체, 공기층, 결합 몸체

Description

조립형 부구 {Assembling type Buoy}
본 고안은 조립형 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구(浮具)는 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다. 부이 또는 부표(浮標)라고도 한다. 부구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해서 항로를 지시하는 위치에 사용된다. 또한, 부구는 암초, 침몰선 등의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그리고, 부구는 어구(漁具)나 닻 등 물 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아울러, 부구는 일정 범위에 어패류 및 조류 등을 양식하기 위해서 설치된 그물을 고정 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런, 부구는 바다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메어 달 수 있는 기구에 의해 해저의 바닥 또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중량물에 고정된다. 메어 달 수 있는 기구는 체인, 와이어 따위가 사용된다.
부구에는 식별이 가능하도록 용도에 따라 깃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부구에는 전자 신호에 의해 식별이 가능한 각종 송 수신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발광되는 등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부구는 합성 수지를 발포 성형한 발포 수지재로 제작된다. 발포 수지재는 합성 수지의 발포 시에 유입된 기체로 인해 공극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공극을 가진 발포 수지는 물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발포 수지는 내부의 공극에 의해 부력을 가지고 있어 공기가 저장되는 공간이 필요 없다. 또한, 발포 수지가 일부 파손되어도 남은 부분에서 부력이 발생됨에 따라 물속으로 매몰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발포 수지는 공극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 강도가 약하다. 즉, 발포 수지의 외부 충격이 전달되면 발포 수지의 공극 사이에서 충격이 전파되어 쉽게 부서진다. 따라서, 강도가 약한 발포 수지를 이용한 부구는 교체되는 시기가 짧다.
또한, 바다에 떠 있는 발포 수지로 형성된 부구는 파도에 의해서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된다. 발포 수지는 내부에 공극을 가지고 있어 내부 조직의 상호 간에 결속력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부구 측으로 부딪히는 파도는 결속력이 약한 발포 수지를 지속적으로 침식시킨다. 침식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발포 수지는 바다를 오염시킨다. 또한, 침식이 심화된 부구는 부력이 줄어들어 물에 뜰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교체를 자주 해주어야 한다.
최근에는 종래의 부구는 블로우 성형 공법을 이용하여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합성 수지재로 제작되고 있다. 종래의 부구는 합성 수지재료가 블로우 성형기에 의해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로 일체로 제작된다. 일체로 제작된 종래의 부구는 내부에 충진된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진다. 종래의 부구는 발포 수지재 부구와 비교하여 강도가 강하고, 침식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큰 부력을 가지기 어려웠다. 즉, 부구는 일체로 제작됨에 따라 필요 부력에 맞는 공기 충전 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크게 제작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블로우 성형기의 확대로 인해 제작비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구는 부력이 증대되기 위해서 체적을 확대시키도록 생산되기 어려웠다. 체적이 증대된 부구가 생산되기 위해서는 형태가 변형되도록 가열된 합성 수지재가 블로우 성형기에 공급된다. 이렇게, 블로우 성형기에 공급된 합성 수지재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 시켜 내부에 공기를 충진한 상태로 부구가 제작된다. 이때, 부구의 제작되는 체적이 커지면 공기 충진 시에 합성 수지 재료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가열된 합성 수지재가 일부분의 온도가 낮아 지게 되고, 온도가 낮아진 부분에서 고착된다. 즉, 블로우 성형기에 공급된 합성 수지재가 온도가 낮아진 부분에서 형태가 굳어지거나, 성형기에 달라 붙게 되어 정확한 형태로 가공되기 어려웠다.
그리고, 종래의 부구는 부력이 증대되기 위해서 체적이 확대되도록 중량이 큰 합성 수지 재로 제작되어야 하나, 가열된 상태에서 성형되는 합성 수지재의 취급이 어려웠다. 즉, 중량이 큰 합성 수지재가 형태가 변형되도록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블로우 성형기 내에서 공기를 불어 넣어 성형하기가 어려웠다. 체적을 확대시키기 위해서 무거운 중량의 합성 수지 재료가 공급된 상태로 공기를 불어 넣게 된다. 이때, 부구의 변형이 최소화 되도록 신속하게 큰 체적에 도달 할 때까지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부구의 체적과 합성 수지 재료의 중량이 커지 게 되면 일시에 많은 고압의 압축 공기가 필요하게 되고, 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의 크기도 커야 한다.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량과 이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압축 공기가 일시적으로 과하게 공급되면 체적이 증대되는 것이 일정하지 않아 부구의 두께가 달라진다. 또한, 유입구가 너무 크게 되면 공기가 충진된 후에 밀폐 작업이 수행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부구는 정해진 체적 이상으로 크게 제작될 수 없음으로써, 부력을 증대시키기 어려웠다.
아울러, 종래의 부구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일체로 제작되어 있어, 일부 파손에 의해 내부 공기가 유출되면 일시에 부력이 없어진다. 즉, 일체로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가 파손된 부분으로 일시에 배출되고, 배출된 기압의 차에 의해 외부에 물이 유입되어 부력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구의 형태에 따라 복수로 분할된 단위 부력체가 결합되어 하나의 부구로 이루어짐으로써, 성형 비용이 감소되고, 분할된 단위 부력체 중에 하나가 파손되어 부력이 줄어들어도 나머지 부력체로 떠 있음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며, 분할 정도에 따라 부구의 체적을 증대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부력에 알맞은 부구가 제작될 수 있는 조립형 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전체적인 형상이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면 부구의 형상이 되도록 나누어지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단위 몸체, 복수로 분할된 상기 단위 몸체의 조립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관통된 결합공을 가지는 결합 몸체, 그리고 복수의 상기 단위 몸체가 조립되어 서로 맞닿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복수로 분할된 상기 단위 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몸체는 상기 단위 몸체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공기층이 폐쇄되도록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몸체와 상기 결합 몸체는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일체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위 몸체의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는 안쪽에 서로 마주 보는 한 쪽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는 상기 단위 몸체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쪽에 돌출되어 있는 결합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홈은 상기 단위 몸체의 조립되는 안쪽에 상호 삽입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몸체 및 상기 결합 몸체가 일체로 이루어진 합성 수지는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위 몸체 및 상기 결합 몸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 기층을 가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위 몸체 및 상기 결합 몸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와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몸체 및 상기 결합 몸체가 일체로 이루어진 합성 수지는 분해성 플라스틱(degradable plastic)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전체적인 형상을 복수로 분할시켜 내부에 부력을 가지는 단위체가 형성되고, 작은 단위체를 블로우 성형하여 이에 조립으로 큰 부구가 형성됨으로써, 부구가 제작되는 블로우 성형 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위체는 부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작 될 수 있으며, 부구의 분할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단위체가 제작되어 체적이 늘어날 수 있음으로써, 용량이 쉽게 증대되고,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 할 수 있어 범용성을 확대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위체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부구는 복수의 단위체 중에 하나 이상의 단위체가 파손에 의해 부력을 잃어도 다른 단위체에서 부력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전체가 파손되지 않으면 부력이 없어지지 않음에 따라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복수의 단위체가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단위체 별로 교체가 가능하고, 발포 수지와 비교하여 강도가 강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사용 용도와 형태에 따라 합성 수지의 재료 중에 선택하여 성형이 가능하고, 겨울에 강도를 높이거나, 자연 분해되는 합성 수지를 선별하여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100)는 부력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부력부(110)는 부구(100)의 형상에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단위 몸 체(111) 및 공기층(112)을 포함한다. 단위 몸체(111)는 조립되면 부구(100)의 형상이 되도록 복수로 나누어져 분할된 형상을 가진다. 단위 몸체(111)는 분할된 안쪽 면이 서로 맞닿아 부구(100)의 형상이 될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층(112)은 단위 몸체(111)에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층(112)은 공기가 충진되어 있으며, 단위 몸체(1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112)이 형성된 단위 몸체(111)는 물위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가지고 있다. 즉, 복수로 분할된 단위 몸체(111)는 각각 내부에 공기층(112)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단위 몸체(111) 자체가 하나의 부력체가 된다. 단위 몸체(111)는 각각 공기층(112)이 형성된 부력체로써, 분할된 개체가 하나로 조립되어 부구(100)가 된다.
결합부(120)는 단위 몸체(111)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 몸체(121) 및 결합 수단(123)을 포함한다. 결합 몸체(121)는 각 단위 몸체(111)가 조립되는 바깥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 몸체(121)는 각 단위 몸체(111)가 조립되어 접촉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결합 몸체(121)는 전체의 부구(100)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복수로 분할된 각 단위 몸체(111)의 조립되는 바깥 위치에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 몸체(121)는 각 단위 몸체(111)가 조립되어 접촉되는 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단위 몸체(111)의 조립되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 몸체(121)는 분할된 각 단위 몸체(111)의 조립 시에 상호 중첩된다. 결합 몸체(121)에는 결합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공(122)은 각 단위 몸체(111)의 조립에 의해 중첩되는 결합 몸체(121)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 형성된 결합공(122)은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한다.
결합 몸체(121)는 단위 몸체(111)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결합 몸체(121)와 단위 몸체(111)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합성 수지는 폴리에틸렌(LDPE & HDPE), 폴리 프로필렌(PP), 폴리 염화비닐(PVC), 폴리 스타이렌(PS), 폴리에스테르(PET),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ABS)수지 및 나일론(PA) 중에 어느 하나 및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에 의해 선택되어진 군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부구(100)의사용 용도와 설치 장소에 따라 상술된 합성 수지 군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는 분해성 플라스틱(degradable plastic)일 수 있다.
합성 수지는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으로 썩지 않는다. 썩지 않는 합성 수지가 바다에 버려지게 되면 어류, 조류, 그리고 해초의 먹이 사슬을 파괴된다. 또한, 땅에 합성 수지가 매립되면 원활한 공기 소통을 막아 토양을 오염시킨다. 이런, 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는 분해성 플라스틱이 개발되었다. 분해성 플라스틱은 미생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는 광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기간 뒤에는 자연 분해되는 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단위 몸체(111)와 결합 몸체(121)를 일체로 제조하여 폐기 후에도 환경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일체로 형성된 단위 몸체(111)와 결합 몸체(121)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른 블로우 성형은 성형되는 부구(100)에 형태에 따라 복수로 분할되는 단위 몸체(111)의 형태와 크기가 정해진다. 정해진 형태와 크 기에 따라 성형될 수 있는 블로우 성형기를 채택하고, 이에 따른 금형을 설치한다. 설치된 금형의 내부에는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온도로 가열된 합성 수지가 공급된다. 합성 수지가 공급된 후에 공기층(112)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공기를 주입시킨다. 이때, 공기는 단위 몸체(111)의 조립되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 몸체(121)가 형성되는 위치에 주입된다. 공기가 주입되면 가열된 합성 수지가 팽창되어 금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112)이 형성된 단위 몸체(111)가 성형된다. 단위 몸체(111)의 성형을 마치면 공기가 주입된 공기층(112)을 폐쇄시키면서 공기 주입 부분을 바깥 방향으로 돌출 접합시켜 결합 몸체(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단위 몸체(111)와 결합 몸체(121)는 내부에 공기층(112)이 형성되는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공기가 주입되는 위치가 접합 돌출되어 결합 몸체(121)가 형성되도록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단위 몸체(111) 및 결합 몸체(121)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112)을 가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블로우 성형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가 합성 수지로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단위 몸체(111) 및 결합 몸체(121)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PET)와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방족 공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와 혼합되어 내한 강도를 높인다. 폴리에스테르의 열적 특성은 -60˚ C부터 +150˚C까지의 온도에서 변형되지 않고 원형 상태가 보존된다. 그러나, 극한 지방과 빙하 지형에 경우에는 바다의 수온이 -60˚C 이하로 내려 갈 수 있다. 이에, 부구(100)의 변형을 방지하고자, 폴리에스테르에 지방족 공 중합체를 혼합하거나, 폴리에스테르 제작 시에 지방족 공 중합체가 포함되어 있는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내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저하에 따른 부구(100)의 변형이 방지되어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단위 몸체(111)와 결합 몸체(121)를 블로우 성형에 의해 공기층(112)과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단위 몸체(111)와 결합 몸체(121)는 내부에 공기층(112)을 가질 수 있는 모든 성형 방법이 포함된다. 따라서, 공기층(112)과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 몸체(111)와 결합 몸체(121)의 블로우 성형 이외에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결합 수단(123)은 중첩된 결합 몸체(121)의 상호 연통되어 있는 결합공(122)에 삽입되어 있으며, 중첩된 결합 몸체(121)를 상호 결합시키고 있다. 결합 수단(123)은 분할된 각 단위 몸체(111)에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상호 중첩되는 결합 몸체(121)에 형성된 각 결합공(12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결합 몸체(121)는 단위 몸체(111)가 조립되면 부구(100)의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어, 조립 부분에서 상호 중첩된다. 중첩된 결합 몸체(121)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122)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연통된 결합공(122)에 결합 수단(123)을 삽입시켜 중첩된 결합 몸체(121)를 결합시킨다. 따라서, 단위 몸체(111)에 각각 형성된 결합 몸체(121)가 결합 수단(123)으로 결합되어 일체의 부구(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단위 몸체(111)들이 하나의 부구(100)가 될 수 있도록 결합 수단(123)으로 결합시킨다.
여기서, 결합 수단(123)은 결합공(122)에 삽입되어 각 단위 몸체(111)를 결합시킬 수 있는 통상의 모든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통상의 결합 수단(123)에는 볼트, 너트에 의한 결합, 리벳 결합 따위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다른 형상에 따른 조립형 부구의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도 1의 조립형 부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부구(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이런, 형상에 맞도록 복수로 분할되어 있는 단위 몸체(111)가 형성된다. 단위 몸체(111)의 내부에는 공기층(112)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된 단위 몸체(111)가 조립될 때 상호 접촉되는 바깥 방향에는 결합 몸체(1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몸체(121)에는 결합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몸체(121)는 조립되는 각 단위 몸체(111)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 시에 각 결합 몸체(121)가 중첩된다. 중첩된 결합 몸체(121)에 형성된 결합공(122)은 중첩된 위치에서 각각 관통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관통된 각각의 결합공(122)에는 결합 수단(123)이 삽입 결합된다. 결합공(122)에 삽입 결합된 결합 수단(123)은 각각의 단위 몸체(111)를 상호 결합시켜 육면체 형상의 부구(100)가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구(求)형태의 부구와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육면체의 부구는 형상이 상이하나 전체적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블로우 성형을 통해서 부구(100)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실시되는 부구(100)의 형상은 통상의 모든 부구(100)의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면에 기재된 형태 이외의 형태로 변형되어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할 것이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도 6에서 나타낸 부력 몸체(111)의 돌출되어 있는 결합 몸체(121)는 부력 몸체(111)의 바깥 면 전체로 돌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기 설정한 구획 만큼 돌출될 수 있다. 즉, 부력 몸체(111)의 크기와 결합 정도에 따라 돌출되는 결합 몸체(121)는 돌출되는 위치 및 돌출되는 면이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 몸체(121)는 부력 몸체(111)의 바깥 면에 전체 또는 일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성되는 돌출 위치 및 크기는 당업자가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다른 분할 상태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도 7 및 도 8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도 1의 조립형 부구의 다른 분할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조립형 부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부구(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구(求)형상을 가지고 있다. 부구(100)는 전체적인 구 형상이 8등분으로 나뉘어진 단위 몸체(111)가 조립되어 있다. 8등분으로 나누어진 각 단위 몸체(111)의 내부에는 공기층(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에 형성된 4등분된 단위 몸체(111)에는 조립 시에 서로 접촉되는 양측과 하부에 각각 돌출된 결합 몸체(121)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에 형성된 4등분된 단위 몸체(111)에는 조립 시에 서로 접촉되는 양측과 상부에 위치한 단위 몸체(11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 몸체(121)와 접촉되는 상부에 결합 몸체(1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결합 몸체(121)에는 결합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몸체(121)는 8등분된 각 단위 몸체(111)의 조립 시에 결합 몸체(121)가 중첩된다. 중첩된 결합 몸체(121)에 형성된 결합공(122)은 중첩된 위치에서 각각 관통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관통된 각각의 결합공(122)에는 결합 수단(123)이 삽입 결합된다. 결합공(122)에 삽입 결합된 결합 수단(123)은 8등분된 각각의 단위 몸체(111)를 상호 결합시켜 구 형상의 부구(100)가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구형태의 4등분된 단위 몸체(111)와 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내는 8등분된 단위 몸체(111)는 등분된 형태는 상이하나 전체적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블로우 성형을 통해서 제작되는 단위 몸체(111)는 부구(10)의 체적에 따라 분할되는 수량이 변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실시되는 부구(100)는 블로우 성형을 통해서 조립 가능한 수량이라면 그 수량이 한정되지 않고, 분할되는 수량이 변경되어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는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 선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100)는 부력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력부(110)의 일부 구성과 결합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조립형 부구(100)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토록 한다.
단위 몸체(111)는 부구(100)의 형태에 따라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분할된 단위 몸체(111)는 조립에 의해 하나의 부구(100)가 된다. 분할된 단위 몸체(111)는 안쪽으로 모여지면서 조립된다. 분할된 단위 몸체(111) 중에 서로 마주보고 있는 일측에 위치한 단위 몸체(111)의 안쪽에는 결합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분할된 단위 몸체(111) 중에 서로 마주보고 있는 타측에 위치한 단위 몸체(111)의 안쪽으로 결합홈(114)이 삽입되는 위치에 돌출된 결합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 돌기(113)와 결합홈(114)은 분할된 단위 몸체(111)의 조립 시에 안쪽에서 상호 삽입되어 내부가 결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할된 단위 몸체(111)의 조립 시에 단위 몸체(111)의 안쪽에 형성된 결합 돌기(113)와 결합홈(114)이 각각 삽입 결합되어 조립된 단위 몸체(111) 사이에 내부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조립형 부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조립형 부구의 다른 결합 돌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조립형 부구의 다른 분할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립형 부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부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Ⅹ-Ⅹ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구 110 : 부력부
111 : 단위 몸체 112 : 공기층
113 : 결합 돌기 114 : 결합홈
120 : 결합부 121 : 결합 몸체
122 : 결합공 123 : 결합 수단

Claims (6)

  1. 부력을 가지는 부구에 있어서,
    상기 부구의 전체적인 형상이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면 부구의 형상이 되도록 나누어지며, 내부에 공기가 충진된 공기층을 가지는 단위 몸체,
    복수로 분할된 상기 단위 몸체의 조립위치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관통된 결합공을 가지는 결합 몸체, 그리고
    복수의 상기 단위 몸체가 조립되어 서로 맞닿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있으며, 복수로 분할된 상기 단위 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몸체의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는 안쪽에 서로 마주 보는 한 쪽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복수로 분할되어 조립되는 상기 단위 몸체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쪽에 돌출되어 있는 결합 돌기
    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 몸체는 상기 단위 몸체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공기층이 폐쇄되도록 접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홈은 상기 단위 몸체의 조립되는 안쪽으로 상호 삽입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몸체 및 상기 결합 몸체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부에 공기층을 가지는 일체의 폴리에스테르(PET)와 지방족 공 중합체(Aliphatic-Co-Polymer)의 혼합물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공 중합체(PET- Aliphatic-Co-Polymer)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조립형 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090000222U 2009-01-08 2009-01-08 조립형 부구 KR200446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222U KR200446171Y1 (ko) 2009-01-08 2009-01-08 조립형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222U KR200446171Y1 (ko) 2009-01-08 2009-01-08 조립형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71Y1 true KR200446171Y1 (ko) 2009-10-05

Family

ID=4164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222U KR200446171Y1 (ko) 2009-01-08 2009-01-08 조립형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292A (ko) 2018-11-30 2020-06-09 백정호 열융착 고정 부표
KR20200131079A (ko) 2019-05-13 2020-11-23 백정호 열융착 고정 부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683A (ja) * 1996-02-23 1997-09-02 Molten Corp 水上用フロ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28087A (ja) * 1998-10-19 2000-05-09 Japan Aircraft Mfg Co Ltd 水上浮標装置
JP2002347693A (ja) * 2001-05-25 2002-12-04 Molten Corp フロート
KR100795144B1 (ko) * 2007-06-07 2008-01-17 강희태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683A (ja) * 1996-02-23 1997-09-02 Molten Corp 水上用フロ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28087A (ja) * 1998-10-19 2000-05-09 Japan Aircraft Mfg Co Ltd 水上浮標装置
JP2002347693A (ja) * 2001-05-25 2002-12-04 Molten Corp フロート
KR100795144B1 (ko) * 2007-06-07 2008-01-17 강희태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292A (ko) 2018-11-30 2020-06-09 백정호 열융착 고정 부표
KR20200131079A (ko) 2019-05-13 2020-11-23 백정호 열융착 고정 부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642Y1 (ko) 조립형 부구
KR200455698Y1 (ko) 조립형 부구
KR20110004023U (ko) 조립형 부구
US20150296753A1 (en)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KR101743006B1 (ko) 덮개부가 마련된 부표 및 부표 제조 방법
KR20170063467A (ko) 양식용 해수부자
KR200475806Y1 (ko) 부표
KR200446171Y1 (ko) 조립형 부구
KR200389744Y1 (ko) 압축스티로폼이 내장된 바다양식용 부구
KR101357833B1 (ko)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KR20110004990U (ko) 조립형 부구
KR20110004025U (ko) 조립형 부구
KR100934010B1 (ko) 어망용 부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어망용 부구
KR200456731Y1 (ko) 부력 발판
KR101955908B1 (ko) 일체형 양식용 부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일체형 양식용 부자
KR200455504Y1 (ko) 조립형 부구
KR101863517B1 (ko) 수산양식용 부유체
KR102559811B1 (ko) 복층 부력구조를 갖는 부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부구
KR20110004024U (ko) 조립형 부구
KR20110004026U (ko) 조립형 부구
KR19980067833A (ko) 수산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699763B1 (ko) 메인튜브를 감싸도록 각각 다수의 에어포켓을 형성한 분할 외피로 구성한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494636B1 (ko)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KR20150057225A (ko) 타원형 또는 원뿔형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9439A (ko) 엘라스토머 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