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144B1 -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 - Google Patents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144B1
KR100795144B1 KR1020070055631A KR20070055631A KR100795144B1 KR 100795144 B1 KR100795144 B1 KR 100795144B1 KR 1020070055631 A KR1020070055631 A KR 1020070055631A KR 20070055631 A KR20070055631 A KR 20070055631A KR 100795144 B1 KR100795144 B1 KR 100795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rubber
fishing
air
mixe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태
Original Assignee
강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태 filed Critical 강희태
Priority to KR102007005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원은 그물이나 각종 어구들을 해수 중에 소정 깊이로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부표는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로 제공되어 플라스틱 재질의 견고함과 고무재질의 유연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재질의 부표가 제공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공기를 빼고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공기량을 조절,주입함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어구나 그물망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어종의 이동습성에 따른 맞춤식 어업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부표는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어 파도나 풍랑 등의 외부 충격을 유연하게 흡수하는 구조로 제공되고 부표 표면으로는 다수 개의 보강살을 갖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인 구조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원의 공기주입형 부표를 이용하여 조업하는 경우에, 공기량을 조절주입하는 수단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그물망의 높, 낮이를 임의대로 조절하며 어종의 이동습성에 따른 맞춤식 어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편리하게 어업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어구용 부표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어구용 부표, 원형부표, 부력조절, 어구

Description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buoy for sea fishing}
도 1 :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제공되는 종래의 부표 예시도.
도 2 : 본원에서 제공되는 부표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3 : 도 2 부표제품의 공기유입구 부분의 확대도.
도 4 : 본원에서 제공되는 샘플제품(직경 50 ㎝ 규격) 사진도.
도 5 : 도 4 샘플제품에서 바람을 빼고 접은 상태의 사진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상부본체 2 : 하부본체
3 : 원통형 몸통 4 : 결합부
5 : 플라스틱 부표 10 : 본원 부표
11 : 공기유입구 12 : 차단캡 외연부
13 : 차단캡 15 : 보강 돌기부
본원은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이나 각종 어구 및 기타 대상물을 해수 중에 소정 깊이로 위치시키거나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공기주입식 어구용 부표에 관한 것이다.
어구용 부표는 각종 어선이나 어구들을 해수 중에 원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위치시켜 설치하는 위치설정 기능과, 상기 어구들이 설치된 장소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표시기능을 함께 겸하고 있다.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어구용 부표는 대부분 스티로폼으로 제작되어 각종 어구들을 해수 중에 일정한 깊이로 위치시키도록 하여 설치하였으며, 스티로폼 부표는 자체의 부력으로 해수면 상에 흰색이 노출되거나 또는 스티로폼 표면에 빨강색이나 노란색 등의 특정 색을 도포하여 각종 어구들이 설치된 장소를 표시하도록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스티로폼으로 제작되는 부표는 파도나 풍랑에 의해 쉽게 마모되거나 부서져서 자주 교체를 해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고 그에 따라 부표를 자주 구입 및 교환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이 심각했으며, 기타 스티로폼이 갖는 문제점으로 부피가 커서 운반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 부피의 크기에 비하여 부력성능이 저조한 문제점, 오랜 시간 사용시 수압에 의하여 부피가 줄어들며, 부력이 낮아지는 문제점, 작업현장에 설치시 물이 스며들면 무게가 무거워져 작업시 능률이 떨어지고 힘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 스티로폼의 사용기간은 작업여건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적게는 7-8일 길어야 15일 정도로 수명이 짧아 실용적이지 못하고 부표 설치비용이 과다 지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스티로폼 부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공기주입식 부표가 부분적으로 제안되었는 바, 예를 들어 실용신안 출원번호 1998-20262호에 개시된 기술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종래의 공기 주입식 부표는 상면으로 반구형의 상부본체(1)와 반구형의 하부본체(2)를 각각 마련하고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몸통(3)에 각각 상부본체(1)와 하부본체(2)를 맞대어 결합부(4, 4')를 이루고 결합부를 열융착기로 융착시켜 결합시키고 그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어 부표로 사용한 플라스틱제 부표(5)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부본체(1)와 하부본체(2)에 각각 몸통(3)을 결합시킨 후 열융착시키는 구성은 상, 하부본체(1,2)에 몸통(3)을 열융착기로 융착시켜야 하는 어려운 공정이 추가되어 제조비용 코스트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옴은 물론, 이미 육지에서 만들어진 부피가 큰 부표를 배로 옮겨 바다에 설치해야 하므로 운송에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부표에서 상·하부본체를 연결하는 방수시트로 타포린 재질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어선이 어업활동을 하는 중에 부표와 어선이 부딪히거나 갈고리 등을 이용하여 어구나 양식물을 건져 올릴 때 갈고리와 부딪히게 되면 타포린은 쉽게 찢겨져서 부표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플라스틱 재질의 부표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부표의 부피를 축소하기가 어려워서 운반이나 설치시에 어려움을 겪을 뿐 아니라 파도가 심할 때에는 어업활동 작업 시 선체를 가격하거나 사람의 안면을 강타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부표의 파손이나 신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위험성을 갖는 구조였다.
또한, 종래의 스티로폼 재질의 부표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되는 부표는 사용 중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무게 및 부피가 커서 사용중인 해상에서 육지로 이송하기까지 과정에서 배 운항이 이루어져야 함으로 해상운송 도중 과도한 기름을 소비해야 되는 문제점으로 사용자들을 해상오염이 되는 줄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바다에 무단투기 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재활용 가능한 재료임에도 회수하지 못한 상태에서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고, 부표가 부서지거나 파손되어 부표 부스러기가 해수면 상을 덮어 해양 미관을 크게 해칠 뿐만 아니라 해수오염을 일으키는 심각한 원인물질로 분류되어 사용규제가 검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스티로폴제품이나 플라스틱제품으로 제공되는 부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자동차타이어 등 고무튜브를 부표로 사용하고자 시도되기도 하였으나, 어선이 어업활동을 하는 중에 부표와 어선이 부딪히거나 갈고리로 어구나 양식물을 건져 올릴 때 갈고리나 어구 등과 부딪히게 되면 풍선처럼 부풀어 있는 고무튜브는 쉽게 구멍이 발생하거나 큰 물고기가 물어뜯거나 지느러미 등으로 타격하는 경우에도 쉽게 구멍이 발생하거나 파손되어 사용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원의 부표제품은 종래의 스치로폼의 부표제품의 문제점, 타포린 방수시트 부표제품의 문제점, 상·하부본체와 동일한 프라스틱재질의 몸통과 연결대를 맞대어 열융착시켜 사용하는 플라스틱제 부표제품의 문제점, 고무튜브를 사용하는 경 우의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해수의 파도와 풍랑 또는 다른 어구류와 충돌 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고무재질이 갖는 탄성과 유연성의 특성을 살려주는 혼합재질을 부표재질로 사용하고, 어선이 어업활동을 하는 중에 부표와 어선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부표가 유연성을 갖는 원형이나 타원형, 원기둥형 등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상기의 기술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 본원의 부표는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로 제공되어 플라스틱 재질의 견고함과 고무재질의 유연성을 갖는 부표로 제공되고, 부표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공기를 빼고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대량 운반이 가능하게 하고, 또한 부표는 내구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부표 표면으로 보강돌기부를 갖고 파도나 풍랑 등에 외부 충격을 흡수하면서 흔들림이 적은 구조로 제공되며, 부표 내부 공기주입량을 조절하여 그물망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어종의 이동습성에 따른 맞춤식 어업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만약의 경우 부표에 구멍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반 타이어 땜질기술을 이용하여 구멍을 쉽게 매울 수 있어 반영구적인 사용도 가능하며, 크게 파손되는 경우에는 교체하여 적은 부피가 되도록 접어서 바다에 무단투기하지 않고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어구용 부표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부표의 조성물은 고무 내지는 열가소성 수지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 다. 고무는 폴리부타디엔, 부다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이 포함되며, 열가소성수지는 PP(Ploypropylene), PA(Polyamide), PPA(Polyphethal Amide), PC(Polycarbonate), PBT(Polybuthylene Terephathalate), PPE (Polyphemylene Ether), PE(Polyethylene), PVC(Polyvinyl Chloride), EVA(Ethylene Vinyl Acetate), PS(Polyester)수지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표의 혼합비율은 큰 제한을 두지 않고,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고무의 함량을 열경화성 수지보다 많은 량을 첨가하는 것이 유리한바 본 발명의 부표 재질의 인장강도는 가능한한 450 kg/㎠ 이상 되어야 유리하고, 굴곡강도는 500 kg/㎠ 이상 유지되어야 목적하는 부표로서의 성능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고무와 합성수지의 특성을 살려 플라스틱의 강인함과 견고성, 고무의 유연성과 탄성력을 조화시키기 위한 기술은 이미 다수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아미드를 기재로 하는 한쪽의 성형용 재료와 다른 쪽의 카르복실기 함유 고무와의 화학적 복합체의 제조방법으로 일본특허 공개(평) 2-150439호 공보기재에는 고무와 플라스틱의 계면에서 아미드 결합의 형성에 의해 접착제 없이 강한 접착성을 달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특허 공개(평) 3-138144호 공보에는 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성형체와 가황 고무 성형체가 결합된 복합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평) 7-11013호 공보에는 가황고무와 폴리아미드와의 복 합체의 새로운 제조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바, 이 방법은 특정한 구조식을 갖는 실란 화합물을 표준적인 시판 고무에 배합함으로써, 통상의 고무와 폴리아미드가 강하게 결합된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적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는 시안화비닐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는바,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로서, PAN(폴리아크릴로니트릴), AS수지(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고무 변성 AS수지(고무 변성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고무 변성 AS 수지에서의 고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아크릴고무고무, 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고무 변성 AS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을 함유하는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고무를 함유하는 AAS 수지(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염소화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ACS 수지(아크릴로니트릴-염소화폴리에틸렌-스티렌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을 함유하는 AES 수지(아크릴로니트릴-EPDM-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AXS 수지(아크릴로니트릴-EVA-스티렌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고무 변성 AS 수지는 고무 성분에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이 그라프트 중합한 그라프트 중합체인 경우가 많은바,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시안화비닐 함유량은 예를 들면, 수지 전체의 1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중량%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AS 수지에서 시안화비닐 함유량은 예를 들면,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중량% 정도이며, 고무 변성 AS 수지에서의 고무 성분의 함유량은 5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정도, 시안화비닐 함유량은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는 연화 온도가 140℃ 이하이므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높은 연화 온도를 갖는 고분자를 블랜드하여, 소정의 열변형 온도를 갖는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해도 좋으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계통으로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계통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C2-6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C2-6알킬렌나프탈레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폴리카르보네이트 계통으로 비스페놀 A형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이, 폴리아세탈 계통으로 폴리옥시메틸렌호모폴리머, 옥시메틸렌 단위를 갖는 코폴리머,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파이드 등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케톤 등의 수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수지 조성물은 ABS 수지 등의 고무 변성 AS 수지와 상기 높은 연화 온도를 갖는 고분자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여도 좋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ABS 수지 등의 고무 변성 AS 수지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고분자와의 폴리머 알로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폴리머 알로이에서 고연화 온도 고분자의 비율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중량부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해도 좋다.
높은 열변형 온도를 얻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 또는 그 조성물(폴리머 알로이 등)에 필러를 첨가할 수도 있으며, 필러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비닐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위스카 등의 섬유상 충전제, 실리카, 마이카, 탈크, 크레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본블랙 등의 분립상 충전제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러한 필러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러의 첨가량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중량부(예를 들면 10 내지 50 중량부)정도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가황제, 가황 활성화제, 조제 등의 조합에 의해 고무 조성물을 저온에서 가황할 수 있는 경우 고무의 가황 과정에서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부가 다소 변형되어도 실용상 지장이 없는 경우, 연화 온도가 낮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그 조성물을 사용해도 좋으며, 또 고무 조성물을 미리 가황하고 그 가황 성형체에 대하여 열가소성 수지 또는 그 조성물을 용융 상태에서 주입하여 접촉시키는 경우 등에도 연화 온도가 낮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그의 조성물에는 수지 성형부의 요구 성능에 따라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자외선 방지제, 가소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등을 첨가해도 좋다.
고무는 시안화비닐, 특히 아크릴로니트릴을 코모노머로 하는 고무는 시안회비닐을 코모노머로 하는 고무이면 특별히 제안은 없으며, 구체적으로 고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수첨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아크릴로니트릴-이소프렌고무, 아크릴로니트릴-이소프렌-부타디엔고무,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로 구성된 아크릴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고무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등의 카르복실기 또는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에 의해 카르복실화되어 있어도 좋고, 디비닐벤젠 등에 의해 부분 가교되어 있어도 좋으며, 다른 고무 성분으로 EPDM 고무, 폴리부타디엔 고무 등이나 또는 수지(폴리염화비닐 등)와의 블랜드물이어도 좋으며 또한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비닐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어도 좋다.
바람직한 고무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카르복실화 NBR, 고무 성분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와의 폴리머 블랜드 등이 포함되고, 고무의 시안화비닐 함량이 많을수록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부에 대한 결합이 강해지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시안화비닐 함량은 예를 들면 고무 전체의 10 중량% 이상, 예를 들면 10 내지 60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이다.
고무는 가황 가능하므로 그 때문에 통상 이러한 고무는 가황제, 가황촉진제, 연화제, 충전제 등을 배합한 고무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가황제로서는 유황 및 유황 함유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가 있다.
유기 과산화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2,5-디메틸-2,5-비스-(제3-부틸퍼옥사이드)-헥산, 디쿠밀퍼옥사이드, 4,4-디-제3-부틸퍼옥시-n-부틸발레라이트, 1,1-디-제3-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비스-(제3-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벤젠 등을 들 수 있고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일산화납 등을 예시 할 수 있다.
이러한 가황제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정도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고, 가황 촉진제 또는 활성제는 가황제의 종류에 따라 유황 또는 유황 함유 화합물을 가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벤조티아졸류, 크산토겐류, 티오우레아류, 디티오카르바밀술펜아미드류, 구아니딘류, 티우람류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가황 촉진제 또는 활성제의 배합량은 요구되는 고무 물성, 가황 속도, 가황 제와의 조합 등에 의해 선택할 수 잇으면 예를들면,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예를 들면 0.5 내지 4 중량부)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연화제로서는 일반적인 석유계 프로세스유로 파라핀유, 나프텐유, 방향족유를 사용할 수 있고, 또 프탈산에스테르, 세바신산에스테르, 아디핀산에스테르, 인산에스테르 등의 저분자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밖에 각종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염소화폴리스티렌 등도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충전재로서는 고무 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물질, 예를 들면 카본블랙, 규산, 규산염, 탄산칼슘, 산화아연,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탈크, 카올린 등을 사용할 수 있는바, 충전재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요구되는 고무의 물성에 따라 고 무 100 중량부 에 대하여 10 내지 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중량부,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그밖에 고무 조성물의 성형부의 요구 성능에 따라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오존 열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활제, 착색제 등을 첨가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무, 가황제, 가황 촉진제, 연화제, 충전제, 그밖의 첨가제는 통상의 고무 조성물의 혼련과 같은 방법으로 블랜드할 수 있는바, 일반적으로는 고무와 충전재, 연화제를 니더 또는 롤로 혼련한 후, 얻어진 조성물에 롤을 사용하여 저온에서 가황제, 가황 촉진제 또는 활성제 등을 혼련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부표를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블로우 몰딩(blow molding)과 같은 몰딩공정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블로우 몰딩의 제조공정은 미국특허 제6,261,400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본원의 부표를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로 제공하여 플라스틱 재질의 견고함과 고무재질의 유연성과 내구성을 갖는 부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의 기재 기술 및 종래기술이 얼마든지 제한을 두지 않고 이용될 수 있는바,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고무의 함량을 열경화성 수지보다 많은 량을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부표 재질의 인장강도는 가능한 한 450 kg/㎠ 이상 되어야 유리하고, 굴곡강도는 500 kg/㎠ 이상 유지되어야 본원에서 목적하는 부표로서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표 재질의 인장강도가 450 kg/㎠ 이상, 굴곡강도가 500 kg/㎠ 이상을 갖는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은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할 것이 다.
또한, 상기 부표로서의 요구특성을 만족시키는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은 부표에 색상(color)을 주어 식별이 용이하게 하며, 야광색소를 첨가하여 야간에도 타 선박의 이동시 쉽게 식별하여 어망이 프로펠러에 감김을 방지하는 등의 선박사고를 방지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표의 직경은 20cm ~ 200cm 까지 규격을 다양화시켜 어종과 어구법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원기둥 형태 등으로 유연성을 부여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하 본원에서 인장강도 450 kg/㎠ 이상이 유지되고, 굴곡강도가 500 kg/㎠ 이상 유지되는 혼합재질을 얻은 실시예를 제시하고 본원에서 제공되는 원형부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혼합재질 제조 실시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분말 60 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분말을 40 중량부를 롤이나 다른 혼합장치에 의해 충분히 블랜딩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갖고 이 때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100~150 ℃로 가열하면서 1차 원료물을 충분히 혼합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상기 원료물에 가황처리에 필요한 약품으로 상화아연(ZnO) 5중량부, 스테아린산(Stearic acid) 1.5 중량부, 가교제로 DINP(Diisononyl Phthalate) 1.0 중량부를 넣고, 150~170 ℃에서 가황 처리하여 가황된 시트편을 만들어 인장강도와 굴곡강도 실험을 하고자 하였는바, 시트편으로 가로 100㎜ * 세로 100㎜ * 두께 1.2㎜의 시트편1과, 가로 100㎜ * 세로 100㎜ * 두께 1.5㎜의 시트편2를 만들어 실험하 고자 하였는바, 시트편1의 실험에서 인장강도 시험은 ASTM D638방법으로 실시한 결과 인장강도 440 kg/㎠ 를 얻었으며, 굴곡강도 실험은 ASTM D790 방법으로 실시한 결과 굴곡강도 480 kg/㎠ 를 얻어서 본원이 목적하는 부표재질로서 부족함을 알 수 있었고, 시트편2인 가로 100㎜ * 세로 100㎜ * 두께 1.5㎜의 시트편에서는 같은 방법의 인장강도 시험결과 인장강도 452 kg/㎠ 를 얻었으며, 같은 방법의 굴곡강도 실험에서 굴곡강도 514 kg/㎠ 를 얻어서 본원에서 요구하는 수치 이상의 재질을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부표두께가 1.5 ㎜ 이상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상기에 열거한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 중에서 선택되는 물질은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물이 부표로서 기능하도록 부표 재질의 인장강도가 450 kg/㎠ 이상되고, 굴곡강도가 500 kg/㎠ 이상 유지되는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두께 1.5 ㎜ 이상에서 더 높은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10 ㎜ 까지 얼마든지 강도를 높여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부표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선행기술에서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제공되는 종래의 부표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공기 주입식 부표는 상면으로 반구형의 상부본체(1)와 반구형의 하부본체(2)를 각각 마련하고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몸통(3)에 각각 상부본체(1)와 하부본체(2)를 맞대어 결합부(4, 4')를 이루고 결합부를 열융착기로 열융착시켜 결합시키고 그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어 부표로 사용한 플라스틱제 부표(5)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원형부표의 일 실시예 제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3는 도 2 부표제품의 공기유입구 부분의 확대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바, 본원에서 제공되는 부표(10)는 그 직경이 20cm 에서부터 200cm 정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부표가 수중에서 격심한 충격에도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부표 단면 두께가 1.5~10㎜ 범위를 두께를 갖고 그 표면으로 다수개의 보강돌기부(15)를 갖는 구조로 제공되고,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11)와 공기방출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캡(13)을 갖는 구조로 제공된다.
도 3은 본원 부표제품의 공기유입구 부분의 확대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바, 차단캡(13)의 저부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고, 부표의 공기유입구(11) 안쪽의 차단캡 외연부(12)에는 얇은 고무튜부 등이 차단캡(13)을 감싸주면서 일단 공기유입구로부터 부표내에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있다.
도 4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원형부표의 한 실시양태로 제공된 직경 50 ㎝ 규격의 샘플제품의 사진을 나타내고 있고, 도 5에서는 도 4 샘플제품의 공기를 빼고 부표제품을 접어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부표는 도 5의 사진과 같이 얼마든지 부피를 줄여서 많은 양의 부표를 접은 상태로 운반할 수 있고 그 직경이 20cm 에서부터 200cm 정도에 이르기까지, 부표의 강도를 높이기 원하는 경우 단면 두께를 1.5㎜에서 10 ㎜ 범위까지 얼마든지 두껍게 하여 강도를 높인 제품을 다양한 규격으로 제공될 수 있어서 종래와 같이 부표를 운반하기 위해 수차례 해상을 왕복하거나 또는 배에 부 표를 산더미처럼 쌓고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본원의 부표는 작은 부피에 비하여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여 고 부력 성능을 제공함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그물망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어종의 이동습성에 따른 맞춤식 어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원의 부표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바람을 빼서 보관하여 대량 운반이 가능하게 됨으로 종래에 해상에서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제품으로 제공되는 부표를 운반하기 위해 수차례 해상을 왕복하거나 또는 배에 산더미처럼 쌓인 부표를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본원의 부표는 작은 부피에 비하여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여 고 부력 성능을 제공함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그물망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어종의 이동습성에 따른 맞춤식 어업이 가능하게 되며, 본원의 부표가 원형으로 제공됨으로 파도나 풍랑 등에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유선형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만약의 경우 부표에 구멍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땜빵이 가능하며 크게 파손되는 경우 교체하여 적은 무게와 부피가 되도록 접어서 바다에 무단투기하지 않고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환경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부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Claims (4)

  1. 그물이나 각종 어구들을 해수 중에 소정 깊이로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공기 주입형 어구용 부표에 있어서,
    어구용 부표가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로 제공되되, 혼합재질의 인장강도가 450 kg/㎠ 이상이고, 굴곡강도가 500 kg/㎠ 이상 유지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혼합재질의 부표가 제공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공기를 빼고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 시에는 공기량을 조절, 주입함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어구나 그물망의 높, 낮이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형 어구용 부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로 제공되는 부표가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원기둥 형태 중에서 선택되고, 부표 표면으로는 보강돌기부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높인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형 어구용 부표.
  3. 삭제
  4. 공기주입형 부표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어로조업 방법에 있어서,
    어구용 부표가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재질로 제공되고, 혼합재질의 인장강도가 450 kg/㎠ 이상이고, 굴곡강도가 500 kg/㎠ 이상 유지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혼합재질로 부표를 만들어서 공기량을 조절, 주입함으로 부력을 조절하며 어종의 이동습성에 따른 맞춤식 어업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 조업방법.
KR1020070055631A 2007-06-07 2007-06-07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 KR100795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631A KR100795144B1 (ko) 2007-06-07 2007-06-07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631A KR100795144B1 (ko) 2007-06-07 2007-06-07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144B1 true KR100795144B1 (ko) 2008-01-17

Family

ID=3921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631A KR100795144B1 (ko) 2007-06-07 2007-06-07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144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71Y1 (ko) * 2009-01-08 2009-10-05 김근태 조립형 부구
KR200446214Y1 (ko) 2009-04-14 2009-10-08 강희태 내장형 노즐삽입부를 갖는 해태양식 및 어구용 부표
KR200482482Y1 (ko) 2016-08-05 2017-02-15 주식회사 레코 에어셀 부표
KR20170001016U (ko) 2015-09-09 2017-03-17 황인균 내압성 향상을 위한 보강 구조를 갖는 부표
KR101762315B1 (ko) * 2016-07-25 2017-07-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중 공기층 구조의 부력장치
KR101768453B1 (ko) * 2015-10-21 2017-08-17 이진복 고리타입 및 구멍타입 겸용 봉돌
KR101880486B1 (ko) 2017-11-30 2018-07-20 세인스틸 주식회사 공기압 조절형 에어 튜브를 내장한 부표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1914760B1 (ko) * 2016-09-22 2018-11-02 강기문 에어셀시트를 내장한 부구 제조방법
KR20190021585A (ko) 2017-08-23 2019-03-06 주영테크 주식회사 어구용 부표의 부력을 조절하는 잠수식 가두리 양식장
KR20200050142A (ko) 2018-11-01 2020-05-11 주영테크 주식회사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200065292A (ko) 2018-11-30 2020-06-09 백정호 열융착 고정 부표
KR20200077917A (ko) * 2018-12-21 2020-07-01 김영근 주입부와 밀폐부가 구비된 부표
KR20200131079A (ko) 2019-05-13 2020-11-23 백정호 열융착 고정 부표
KR102194091B1 (ko) 2020-07-02 2020-12-23 (주)케이엔씨 친환경 부력부표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122U (ko) * 1998-10-19 1999-01-25 박창식 어구용 부표
KR19990039807U (ko) * 1998-04-20 1999-11-15 현태섭 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807U (ko) * 1998-04-20 1999-11-15 현태섭 부구
KR19990004122U (ko) * 1998-10-19 1999-01-25 박창식 어구용 부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71Y1 (ko) * 2009-01-08 2009-10-05 김근태 조립형 부구
KR200446214Y1 (ko) 2009-04-14 2009-10-08 강희태 내장형 노즐삽입부를 갖는 해태양식 및 어구용 부표
KR20170001016U (ko) 2015-09-09 2017-03-17 황인균 내압성 향상을 위한 보강 구조를 갖는 부표
KR101768453B1 (ko) * 2015-10-21 2017-08-17 이진복 고리타입 및 구멍타입 겸용 봉돌
KR101762315B1 (ko) * 2016-07-25 2017-07-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중 공기층 구조의 부력장치
CN107646767A (zh) * 2016-07-25 2018-02-02 韩国海洋科学技术院 具有多层空气结构的浮力装置
KR200482482Y1 (ko) 2016-08-05 2017-02-15 주식회사 레코 에어셀 부표
KR101914760B1 (ko) * 2016-09-22 2018-11-02 강기문 에어셀시트를 내장한 부구 제조방법
KR20190021585A (ko) 2017-08-23 2019-03-06 주영테크 주식회사 어구용 부표의 부력을 조절하는 잠수식 가두리 양식장
KR101880486B1 (ko) 2017-11-30 2018-07-20 세인스틸 주식회사 공기압 조절형 에어 튜브를 내장한 부표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200050142A (ko) 2018-11-01 2020-05-11 주영테크 주식회사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200065292A (ko) 2018-11-30 2020-06-09 백정호 열융착 고정 부표
KR20200077917A (ko) * 2018-12-21 2020-07-01 김영근 주입부와 밀폐부가 구비된 부표
KR102228573B1 (ko) * 2018-12-21 2021-03-16 김영근 주입부와 밀폐부가 구비된 부표
KR20200131079A (ko) 2019-05-13 2020-11-23 백정호 열융착 고정 부표
KR102194091B1 (ko) 2020-07-02 2020-12-23 (주)케이엔씨 친환경 부력부표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144B1 (ko) 공기주입형 어구용 부표
US6576342B1 (en) Multilayered article including a vulcanized elastomer associated directly with a thermoplastic
KR20150020572A (ko) 고무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가류 고무 제품 및 호스
JPH07195622A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に接着した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ゴムアロイ
US10239293B2 (en) Composite part
KR200456642Y1 (ko) 조립형 부구
KR20150099745A (ko) 복합체
JP5044912B2 (ja) ゴム組成物
KR102026113B1 (ko) 콤팩트형 양식용 부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1088B1 (ko) 부력기능과 내구성이 강화된 양식용 부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식용 부자
KR20130005538A (ko) 어업용 부자
ES2728976T3 (es) Material compuesto
KR101955908B1 (ko) 일체형 양식용 부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일체형 양식용 부자
CN108410075A (zh) 一种氯化聚乙烯橡胶组合新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455698Y1 (ko) 조립형 부구
JP645445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3622470B2 (ja) ポリアミド繊維強化ゴム組成物とその製造法
CN104975733B (zh) 清洁装置
GB2279361A (en) Air bag housing pad cover and production thereof
KR200207971Y1 (ko) 어구용 부표
KR20110004990U (ko) 조립형 부구
CN1164839A (zh) 复合部件及其制造方法
US5325623A (en) Material for making marine structure
KR101883184B1 (ko) 내경 중공형 부표의 에어 주입과 외경 보강구조
KR101991077B1 (ko) 에어백을 구비한 친환경 부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