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467A - 양식용 해수부자 - Google Patents

양식용 해수부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467A
KR20170063467A KR1020170061995A KR20170061995A KR20170063467A KR 20170063467 A KR20170063467 A KR 20170063467A KR 1020170061995 A KR1020170061995 A KR 1020170061995A KR 20170061995 A KR20170061995 A KR 20170061995A KR 20170063467 A KR20170063467 A KR 20170063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aling member
ring
aquaculture
engag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봉
Original Assignee
신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봉 filed Critical 신기봉
Priority to KR102017006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3467A/ko
Publication of KR20170063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용 해수부자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양식용 부자의 파손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강도 및 내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부자』에 의하면;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반구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개방 단부를 따라 제1결합돌기(12)가 단차지게 마련되고 일측에 제1고리(11)가 돌출 형성된 제1본체(10)와; 상기 제1본체(10)와 마주보게 대칭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반구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개방 단부를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12)와 요철결합방식으로 맞물림될 수 있도록 제2결합돌기(22)가 단차지게 마련되고 일측에 제2고리(21)가 형성된 제2본체(20)와; 상기 제1본체(10)의 제1결합돌기(12)와 상기 제2본체(20)의 제2결합돌기(22)의 맞물림 부위 외부에서 융착되어 상기 제1본체(10)와 상기 제2본체(20)의 개방 단부를 시일링 결합하는 시일링부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식용 해수부자{FLOAT FOR FARMING}
본 발명은 바다 양식장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양식용 해수부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로폼 등으로 인한 바다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양식용 해수부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해역의 양식어민들이 미역, 김 또는 굴 등의 양식어망을 바다 위에 띄우거나 가두리 양식장 등에서 어망을 일정한 위치에 부상시키기 위해 부력을 갖는 양식용 부자(浮子)가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양식용 부자(1) 스티로폼으로 제작되며, 여기에는 바다의 해수면 아래에 그물(3)을 일정한 높이로 부상시키기 위해 로프(2)가 연결된다. 이러한 양식용 부자(1)는 스티로폼 단일재질로 된 원형이고, 이의 외면에는 파손을 방지하고자 두꺼운 비닐을 덧씌웠다.
이러한 스티로폼이 주재료인 종래 양식용 부자(1)는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내구성이 약하고 해수에 장시간 노출시 가수분해가 심하여 쉽게 파손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스티로폼 부자(1)는 외면에 덧씌운 비닐이 어선과의 충돌 등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찢어지므로 내부의 스티로폼 역시 쉽게 부서진다. 이로 인해 종래 양식용 부자(1)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부서진 스티로폼 조각들이 연안해역을 떠다녀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등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식용 부자의 파손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강도 및 내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양식용 해수부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반구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개방 단부를 따라 제1결합돌기가 단차지게 마련되고 일측에 제1고리가 돌출 형성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와 마주보게 대칭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반구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개방 단부를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와 요철결합방식으로 맞물림될 수 있도록 제2결합돌기가 단차지게 마련되고 일측에 제2고리가 형성된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2본체의 제2결합돌기의 맞물림 부위 외부에서 융착되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개방 단부를 시일링 결합하는 시일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내벽에 강성 보강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비드형 돌기부가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부자에 의하면; 제1본체와 제2본체가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통해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해양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내부가 비어 있는 반구 형상의 제1본체와 제2본체의 맞물림 부위를 시일링부재를 통해 시일링 결합함으로써 충분한 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부자에 의하면; 제1본체와 제2본체의 내벽에 형성된 비드형 돌기부로 인해 강성이 보강되어 해수부자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양식용 부자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부자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의 따른 양식용 해수부자의 내부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본체와 제2본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부자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제1고리(11)가 형성되며 중공의 반구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진 제1본체(10)와, 이 제1본체(10)와 마주보게 대칭되도록 중공의 반구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일측에 제2고리(21)가 형성된 제2본체(20)와, 제1본체(10)와 제2본체(20)를 상호 시일링 결합하기 위한 시일링부재(30)로 대별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1본체(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반구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이의 개방 단부를 따라서는 제1결합돌기(12)가 단차지게 마련된다. 제1본체(10)의 내벽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비드형 돌기부(13)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본체(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고리(11)는 해수에 잠겨 있는 그물을 로프를 통해 걸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본체(20) 역시 제1본체(10)와 마주보게 대칭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반구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이의 개방 단부를 따라서는 제1결합돌기(12)와 요철결합방식으로 맞물림될 수 있도록 제2결합돌기(22)가 단차지게 마련된다. 또한, 제2본체(20)의 내벽에도 강성 보강을 위해 비드형 돌기부(23)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본체(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2고리(21)는 그물을 걸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본체(10)와 제2본체(20)는 합성수지를 통해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데; 가공성이 우수한 폴레에틸렌(PE;polyethylene), 내약품성 특히 알칼리에 강한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뛰어난 성형성과 2차 가공성을 갖는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경도와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사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시일링부재(30)는 제1본체(10)의 제1결합돌기(12)와 제2본체(20)의 제2결합돌기(22)의 맞물림 부위 외부에서 인서트 사출기술을 통해 융착되어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개방 단부를 상호 시일링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시일링부재(30)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부자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로 사출 성형된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개방 단부를 상호 맞물림 결합한다. 즉, 인서트 사출금형 내부에서 제1본체(10)의 제1결합돌기(12)와 제2본체(20)의 제2결합돌기(22)를 요철결합방식으로 맞물림 결합시킨다.
그리고 인서트 사출금형을 통해 제1본체(10) 제1결합돌기(12)와 제2본체(20) 제2결합돌기(22)의 맞물림 부위 외곽을 따라 제1,2본체(10)(20)와 동일한 재료를 용착시켜 시일링부재(30,도 3참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시일링부재(30)를 통해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개방 단부가 시일링 결합되어, 내부가 텅 빈 양식용 해수부자가 제작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해수부자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가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통해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해양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맞물림 부위를 시일링부재(30)를 통해 시일링 결합함으로써 충분한 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내벽에 형성된 비드형 돌기부(13)(23)로 인해 강성이 보강되어 해수부자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제1본체 11..제1고리
12..제1결합돌기 13..비드형 돌기부
20..제2본체 21..제2고리
22..제2결합돌기 23..비드형 돌기부
30..시일링부재

Claims (2)

  1.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반구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개방 단부를 따라 제1결합돌기(12)가 단차지게 마련되고 일측에 제1고리(11)가 돌출 형성된 제1본체(10)와;
    상기 제1본체(10)와 마주보게 대칭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반구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개방 단부를 따라 상기 제1결합돌기(12)와 요철결합방식으로 맞물림될 수 있도록 제2결합돌기(22)가 단차지게 마련되고 일측에 제2고리(21)가 형성된 제2본체(20)와;
    상기 제1본체(10)의 제1결합돌기(12)와 상기 제2본체(20)의 제2결합돌기(22)의 맞물림 부위 외부에서 융착되어 상기 제1본체(10)와 상기 제2본체(20)의 개방 단부를 시일링 결합하는 시일링부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해수부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10)와 상기 제2본체(20)의 내벽에는 강성 보강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비드형 돌기부(13,23)가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용 해수부자.
KR1020170061995A 2017-05-19 2017-05-19 양식용 해수부자 KR20170063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995A KR20170063467A (ko) 2017-05-19 2017-05-19 양식용 해수부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995A KR20170063467A (ko) 2017-05-19 2017-05-19 양식용 해수부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467A true KR20170063467A (ko) 2017-06-08

Family

ID=5922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995A KR20170063467A (ko) 2017-05-19 2017-05-19 양식용 해수부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346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1641A (zh) * 2018-04-25 2018-09-18 姜贵安 一种充气漂浮球
CN108770746A (zh) * 2018-05-16 2018-11-09 福鼎市万乘机械有限公司 一种玻璃钢浮球
WO2019035538A1 (ko) * 2017-08-14 2019-02-21 (주) 중앙테크 중공 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중공 사출 성형품
KR20190102430A (ko) 2018-02-26 2019-09-04 최정화 콤팩트형 양식용 부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5935A (ko) *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국제화학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KR102094615B1 (ko) * 2018-10-31 2020-03-31 아주와이어(주) 수산 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20220045304A (ko) 2020-10-05 2022-04-12 최정화 외부충격에 강한 양식용 부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38A1 (ko) * 2017-08-14 2019-02-21 (주) 중앙테크 중공 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중공 사출 성형품
JP2020506099A (ja) * 2017-08-14 2020-02-27 ジュン、アン、テ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Joong Ang Tech Co., Ltd 中空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中空射出成形品
KR20190102430A (ko) 2018-02-26 2019-09-04 최정화 콤팩트형 양식용 부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541641A (zh) * 2018-04-25 2018-09-18 姜贵安 一种充气漂浮球
CN108770746A (zh) * 2018-05-16 2018-11-09 福鼎市万乘机械有限公司 一种玻璃钢浮球
KR20200005935A (ko) *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국제화학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KR102094615B1 (ko) * 2018-10-31 2020-03-31 아주와이어(주) 수산 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20220045304A (ko) 2020-10-05 2022-04-12 최정화 외부충격에 강한 양식용 부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3467A (ko) 양식용 해수부자
US20150296753A1 (en)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KR20170063032A (ko) 친환경 부표
KR101792551B1 (ko) 내부압을 가지는 어구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5973U (ko) 부표
KR20190051717A (ko) 부표 결합구조
KR200464504Y1 (ko) 어구용 부구
KR101715289B1 (ko) 부력 집합체를 구비한 부이
KR102319912B1 (ko) 친환경 종이 부표
KR200455698Y1 (ko) 조립형 부구
KR20150052567A (ko) 2중 벽관으로 구성된 부구 및 제조방법
KR20110004023U (ko) 조립형 부구
KR101018012B1 (ko) 어구용 부구 및 부구 제작방법
KR102313442B1 (ko) 금속 부자
KR20180107993A (ko) 이중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구
KR101349367B1 (ko) 재활용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KR200401804Y1 (ko) 양식 어망용 부구
KR20220101788A (ko)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KR200317819Y1 (ko) 양식 어망용 부구
KR200446171Y1 (ko) 조립형 부구
KR20110004025U (ko) 조립형 부구
KR100874467B1 (ko) 인공어초
KR200464000Y1 (ko) 양식장용 부구
KR20190000769U (ko) 이중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구
KR20070081985A (ko) 외피가 스테인리스 재질로 만들어진 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