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568A -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568A
KR20230160568A KR1020220060225A KR20220060225A KR20230160568A KR 20230160568 A KR20230160568 A KR 20230160568A KR 1020220060225 A KR1020220060225 A KR 1020220060225A KR 20220060225 A KR20220060225 A KR 20220060225A KR 20230160568 A KR20230160568 A KR 20230160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ushioning material
connection part
floating structur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렉스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렉스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렉스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2006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568A/ko
Publication of KR2023016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5/00Building or assembling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e.g. semi-submersible platforms, SPAR platforms or wind turbine plat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연결하도록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부유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을 인장 및 압축으로 완충시키는 완충연결부를 포함하며, 완충연결부는, 길이방향 양측이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연결되는 연결대와, 수면에 연직된 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마주보는 양측에는 연결대가 삽입되도록 외부홀이 마련된 외부완충재 및, 수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외부완충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연결대가 삽입되도록 내부홀이 마련된 내부완충재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floating structures}
본 발명은 각종 설비가 마련된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을 상호 연결시키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구조물은 해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계류될 수 있는 것으로, 기능, 구조, 계류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부유식 주물 중에서 해양 구조물은 SEMI(Semi-Submersible), TLP(Tensioned Leg Platform), SPAR,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ding), FSRU 또는 시추용 리그(Rig) 등으로 칭해지는 많은 종류의 구조물이 있다.
최근 들어, 화력발전, 원자력 발전 및 해류발전을 대체할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그 이용에 대한 실질적인 장치의 연구 개발을 진행함에 있어, 이렇게 해수면 위에 떠 있는 해양 구조물 상에 태양광 발전모듈을 포함하는 부유식 풍력발전설비에 대한 관심과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이때,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설비는 발전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해상에 여러 개를 부유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여기서, 복수의 해양 구조물 상에 각각 발전설비를 구비한 상태로 연결장치를 통해 부유식 구조물들을 상호 연결되게 함으로써, 해상에서 안정적인 부유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발전설비가 마련된 복수의 부유식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연결조인트의 양단을 각각 양측에 배치된 부유식 구조물에 각각 힌지로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종래의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부유식 구조물의 움직임에 대한 유동 가능한 방향이 한정됨으로써, 일정 크기 이상의 파랑이 발생시 파손이나 변형에 의한 손상이 발생됨으로 인해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발전설비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의 연결 구조에 대한 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9358호(2013.12.09)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바람이나 파도에 의한 부유식 구조물의 움직임에 대해 부유식 구조물의 유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연결하도록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부유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을 인장 및 압축으로 완충시키는 완충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연결부는, 길이방향 양측이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수면에 연직된 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마주보는 양측에는 연결대가 삽입되도록 외부홀이 마련된 외부완충재 및, 상기 수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완충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연결대가 삽입되도록 내부홀이 마련된 내부완충재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에는 일측에 제1연결홀이 마련된 제1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에는 일측에 제2연결홀이 마련된 제2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대는, 제1연결홀 및 제2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막대, 상기 연결막대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연결막대를 제1브라켓 및 우측브라켓에 결합시키는 결합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은 'ㄷ'자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완충재와 내부완충재는 타원형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완충재는 연결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양측면이 상호 대칭되는 곡면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완충재는 연결대의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양측면이 상호 대칭되는 곡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완충재는 외부완충재의 내측에 배치시, 내부완충재의 외측면과 외부완충재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된 간극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홀은 수면에 연직된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수면 상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각각 연결하고,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에 완충연결부를 구비하는데, 완충연결부의 통 형상을 가지는 외부완충재와 내부완충재가 연결대를 통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연결되는 바, 파랑에 의한 부유구조물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이 외부완충재와 내부완충재의 인장 및 압축을 통해 완충되면서 부유구조물들을 안정적인 연결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제1연결부(100), 제2연결부(200), 완충연결부(300)를 구비하여,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수면 상에 부유되도록 배치된 일측의 부유구조물(10)과 타측의 부유구조물(20)을 연결한다.
상기 제1연결부(100)는 수면 상에서 일측에 부유상태로 배치된 부유구조물(10)에 연결되는 부재이다. 즉, 제1연결부(1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수면 상의 일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10)에 연결되며, 제1연결부(1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이후 설명될 완충연결부(300)의 일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연결부(100)는 직선형의 사각봉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연결부(100)는 내식성 및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1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일측의 부유구조물(10)에 구비된 브라켓(미도시)에 고정되도록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완충연결부(3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연결부(300)의 연결대(310) 일단을 연결할 수 있게 제1브라켓(110)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1브라켓(110)은 제1연결부(100)의 길이방향 타단 외측면 양측에 밀착 배치되도록 'ㄷ'자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브라켓(110)의 상호 마주보는 양측면, 즉 제1연결부(100)에 밀착되는 제1브라켓(110)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제1체결공(11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제1체결공(111)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120) 중 볼트가 제1브라켓(110)에 삽입되게 하며, 이때, 제1연결부(100)의 타단에도 체결부재(120)의 볼트가 삽입되도록 체결공(100a)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브라켓(11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연결부(300)에 마주보는 제1브라켓(110)의 면부에는 완충연결부(300)의 연결대(3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1연결홀(11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제1연결홀(112)은 연결대(310)의 연결막대(311) 길이방향 일단을 삽입되게 하면서 연결막대(311)와 제1브라켓(11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제1연결홀(112)은 수면에 연직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롯 형태로 마련되어, 연결막대(311)가 제1연결부(100)의 제1브라켓(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풍랑에 의한 수직방향 하중을 전달받을 때 수면에 연직된 방향으로의 이동범위가 커지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여 연결막대(311)와 제1연결부(100)의 제1브라켓(110)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100)의 제1브라켓(110) 일측에는 제1연결홀(112)의 둘레로 일측 보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측 보강부는 제1연결홀(112) 둘레로 제1브라켓(110)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서 강도를 보강시켜 풍랑에 의해 연결막대(311)가 제1연결홀(112)에서 유동하면서 제1브라켓(110)과의 충돌시 제1브라켓(110)의 변형이나 파손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되게 한다.
상기 제2연결부(200)는 앞서 설명한 일측의 부유구조물(20)에 마주보도록 수면 상에서 타측에 부유상태로 배치된 부유구조물(20)에 연결되게 부재이다. 즉, 제2연결부(2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수면 상의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20)에 연결되며, 제2연결부(2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완충연결부(300)의 타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2연결부(200)는 직선형의 사각봉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연결부(200)는 내식성 및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연결부(200)의 길이방향 일단은 타측의 부유구조물(20)에 구비된 브라켓(미도시)에 고정되도록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2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완충연결부(300)의 타측,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연결부(300)의 연결대(310) 타단을 연결할 수 있게 제2브라켓(210)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2브라켓(210)은 제2연결부(200)의 길이방향 타단 외측면 양측에 밀착 배치되도록 'ㄷ'자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브라켓(210)의 상호 마주보는 양측면, 즉 제2연결부(200)에 밀착되는 제2브라켓(210)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21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제2체결공(211)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220) 중 볼트가 제2브라켓(210)에 삽입되게 하며, 이때, 제2연결부(200)의 타단에도 체결부재(220)의 볼트가 삽입되도록 체결공(200a)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2브라켓(21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연결부(300)에 마주보는 제2브라켓(210)의 면부에는 완충연결부(300)의 연결대(3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제2연결홀(21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제2연결홀(212)은 연결대(310)의 연결막대(311) 길이방향 타단을 삽입되게 하면서 연결막대(311)와 제2브라켓(21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제2연결홀(212)은 수면에 연직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롯 형태로 마련되어, 연결막대(311)가 제2연결부(200)의 제2브라켓(210)에 연결된 상태에서 풍랑에 의한 수직방향 하중을 전달받을 때 수면에 연직된 방향으로의 이동범위가 커지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여 연결막대(311)와 제2연결부(200)의 제2브라켓(210)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200)의 제2브라켓(210) 일측에는 제2연결홀(212)의 둘레로 타측 보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측 보강부는 제2연결홀(212) 둘레로 제2브라켓(210)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서 강도를 보강시켜 풍랑에 의해 연결막대(311)가 제2연결홀(212)에서 유동하면서 제2브라켓(210)과의 충돌시 제2브라켓(110)의 변형이나 파손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되게 한다.
상기 완충연결부(300)는 수면 상에 부유 상태로 배치된 일측의 부유구조물(10)과 타측의 부유구조물(20)을 상호 연결하고, 풍랑에 의해 가해지는 수평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을 인장 및 압축으로 완충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완충연결부(300)은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 사이에 배치되며, 완충연결부(300)의 일측은 일측의 부유구조물(10)에 구비된 제1연결부(100)의 타단과 연결되고, 완충연결부(300)의 타측은 타측의 부유구조물(20)에 구비된 제2연결부(200)의 타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완충연결부(300)는 연결대(310)와, 외부완충재(320)와, 내부완충재(330)를 포함한다. 이때, 연결대(310)와, 외부완충재(320)와, 내부완충재(330)는 내식성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대(310)와 외부완충재(320) 및 내부완충재(330)는 파랑에 의한 수평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을 전달받아 인장 및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대(310)는 제1연결부(100)의 타단과 제2연결부(200)의 타단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연결대(3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제1연결부(100)의 타단에 결합되고, 연결대(310)의 길이방향 타단은 제2연결부(200)의 타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연결대(310)는 연결막대(311)와, 결합너트(3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막대(311)의 길이방향 양단 외측면에는 각각 결합너트(312)를 체결 가능하게 하는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막대(311)의 길이방향 일단은 제1연결부(100)의 제1브라켓(110)에 형성된 제1연결홀(112)에 삽입상태로 제1브라켓(110)과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결합너트(312)는 연결막대(311)의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제1연결부(100)의 제1브라켓(110) 및 제2연결부(200)의 제2브라켓(210)에 연결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결합너트(312)는 연결막대(311)의 길이방향 양단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에 각각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완충재(320)는 수면을 기준으로 풍랑에 의해 부유구조물(10,20)로 가해지는 수평방향 하중을 인장 및 압축이 이루어지면서 완충되게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외부완충재(320)는 수면에 연직한 방향으로 양측을 개방시킨 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풍랑에 의한 수평방향 하중에 대해 부유구조물(10,20) 사이에서 인장 및 압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외부완충재(320)는 타원형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대(310)의 연결막대(311)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외부완충재(320)의 양측면이 상호 대칭되는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방향 하중에 따른 인장 및 압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완충재(320)의 양측, 보다 상세하게는 제1연결부(100)의 제1브라켓(110) 및 제2연결부(200)의 제2브라켓(210)에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연결대(3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외부홀(321)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홀(321)은 수면에 연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롯 형태를 가지는 형성되어, 수면에 연직한 방향으로 외부완충재(320)의 움직임 가능범위를 증대시켜 풍랑에 의한 외부완충재(320)의 인장 및 압축이 이루어질 때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되게 한다.
상기 내부완충재(330)는 수면을 기준으로 풍랑에 의해 부유구조물(10,20)로 가해지는 연직방향 하중을 인장 및 압축이 이루어지면서 완충되게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내부완충재(320)는 수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양측을 개방시킨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풍랑에 의한 연직방향 하중에 대해 부유구조물(10,20) 사이에서 인장 및 압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내부완충재(330)는 외부완충재(320) 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타원형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대(310)의 연결막대(311)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내부완충재(330)의 양측면이 상호 대칭되는 곡면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완충재(320)의 내측에서 수평방향 하중에 따른 인장 및 압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완충재(330)는 외부완충재(32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바, 외부완충재(320)가 풍랑에 의한 인장 및 압축에 의해 변형시 외부완충재(320)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도 수행하여 외부완충재(320)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내부완충재(330)가 외부완충재(320)의 내측에 배치시, 내부완충재(330)의 외측면과 외부완충재(320)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된 간극공간(300a)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간극공간(300a)은 수면에서 부유구조물(10,20)로 파랑에 의한 수평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이 가해질 때, 내부완충재(330) 및 외부완충재(320)의 인장 및 압축이 각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유연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완충재(330)의 양측,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완충재(320)의 외부홀(321)이 형성된 면부에 마주보는 내부완충재(330)의 양측면에는 연결대(3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내부홀(331)이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홀(331)은 연결대(31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완충재(330)가 외부완충재(320)의 내측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수면에 나란한 수평방향 하중에 대한 인장 및 압축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같이, 내부완충재(330)가 수면에 나란한 수평방향 하중에 의한 인장 및 압축시, 외측에 배치된 외부완충재(320)가 내부완충재(330)의 인장 및 압축이 일정범위 이상으로 발생되더라도 내부완충재(330)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내부완충재(330)의 파손 및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외부완충재(320)의 내측면 및 내부완충재(330)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연성을 가지는 충격흡수층(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층은 외부완충재(320)와 내부완충재(330)의 인장 및 압축시, 외부완충재(320)의 내측면과 내부완충재(330)의 외측면 사이의 접촉시 충격력을 흡수함과 더불어 외부완충재(320)와 내부완충재(330)의 인장 및 압축에 따른 완충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더불어, 내부완충재(330)의 내측에도 연성을 가지는 완충지지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완충지지부재는 외부완충재(320)와 내부완충재(330)의 인장 및 압축시 외부완충재(320)와 내부완충재(330)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외부완충재(320)와 내부완충재(330)의 파손 및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연결부(1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일측의 부유구조물(10)에 연결되고, 제2연결부(200)의 길이방향 일단은 타측의 부유구조물(10)에 연결되며,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의 사이에 완충연결부(300)가 연결상태로 배치된다.
이후, 부유구조물(10,20)에 파랑에 의한 수평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이 가해질 경우, 완충연결부(300)의 인장 및 압축을 통해 수평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부유구조물(10,20)의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즉, 파랑에 의한 수평방향 하중의 경우, 완충연결부(300)의 외부완충재(320)의 수면에 나란한 수평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이 이루어지면서 부유구조물(10,20)들 사이를 완충시켜 파랑으로 발생되는 수평방향 하중에 대해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파랑에 의한 수직방향 하중의 경우, 완충연결부(300)의 내부완충재(330)의 수면에 연직한 수직방향으로 인장 및 압축이 이루어지면서 부유구조물(10,20)들 사이를 완충시켜 파랑으로 발생되는 수직방향 하중에 대해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의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는, 수면 상에서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10,20)에 제1연결부(100) 및 제2연결부(200)를 각각 연결하고,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 사이에 완충연결부(300)를 구비하는데, 완충연결부(300)의 원통 형상을 가지는 외부완충재(320)와 내부완충재(330)가 연결대(310)를 통해 제1연결부(100)와 제2연결부(200)에 연결되게 하는 바, 파랑에 의한 부유구조물(10,20)의 움직임에 따라 수평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이 외부완충재(320)와 내부완충재(330)의 인장 및 압축을 통해 완충되면서 부유구조물(10,20)들을 안정적인 연결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0: 부유구조물 100: 제1연결부
110: 제1브라켓 111: 제1체결공
112: 제1연결홀 200: 타측연결대
210: 제2브라켓 211: 제2체결공
212: 제2연결홀 300: 완충연결부
310: 연결대 311: 연결막대
312: 결합너트 320: 외부완충재
321: 외부홀 330: 내부완충재
331: 내부홀

Claims (7)

  1. 일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타측에 배치된 부유구조물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연결하도록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부유구조물에 가해지는 수평방향 하중 및 수직방향 하중을 인장 및 압축으로 완충시키는 완충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연결부는,
    길이방향 양측이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수면에 연직된 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 마주보는 양측에는 연결대가 삽입되도록 외부홀이 마련된 외부완충재 및,
    상기 수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부완충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연결대가 삽입되도록 내부홀이 마련된 내부완충재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에는 일측에 제1연결홀이 마련된 제1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에는 일측에 제2연결홀이 마련된 제2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대는,
    제1연결홀 및 제2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막대,
    상기 연결막대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연결막대를 제1브라켓 및 우측브라켓에 결합시키는 결합너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은 'ㄷ'자형의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완충재와 내부완충재는 타원형 원통 형상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완충재는 연결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양측면이 상호 대칭되는 곡면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완충재는 연결대의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된 양측면이 상호 대칭되는 곡면형태로 형성된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부완충재는 외부완충재의 내측에 배치시, 내부완충재의 외측면과 외부완충재의 내측면 사이에 이격된 간극공간이 마련된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홀은 수면에 연직된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태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KR1020220060225A 2022-05-17 2022-05-17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KR20230160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25A KR20230160568A (ko) 2022-05-17 2022-05-17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225A KR20230160568A (ko) 2022-05-17 2022-05-17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568A true KR20230160568A (ko) 2023-11-24

Family

ID=8897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225A KR20230160568A (ko) 2022-05-17 2022-05-17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05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4108B2 (ja) ソーラーパネル用のポンツーンのアレイ及びその接続モジュール
US8888411B2 (en) Catenary line dynamic motion suppression
US4453488A (en) Connector for joining structural components
KR101001491B1 (ko) 충격 계류장력 완충장치
US8764346B1 (en) Tension-based tension leg platform
KR102239760B1 (ko) 부유식 해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부력장치
WO2022267624A1 (zh) 浅水域浮式风电系统及其动态缆组件
BRPI0708313A2 (pt) plataforma de perna tensora com colunas inclinadas
CA1272640A (en) Hybrid composite mooring element for deep water offshore structures
KR20230160568A (ko)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KR102277370B1 (ko) 탱크 지지구조 및 선박
KR20090056401A (ko) 부유식 방파제의 에너지 저감 구조
KR102373421B1 (ko) 수상 부유체 연결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수상 부유체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KR200441485Y1 (ko) 해상부유구조물
KR102647112B1 (ko) 프로파일 연결장치
CN220132721U (zh) 一种连接单元、连接组件及混凝土浮箱
KR102640819B1 (ko)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연결 장치
CN218949437U (zh) 一种漂浮式海上光伏发电平台
CN221251645U (zh) 一种张力腿式浮式平台及浮式风电系统
KR102672476B1 (ko) 수상 부유체를 위한 결합기구
KR101444325B1 (ko) 해상구조물 설치용 완충장치
US20040105725A1 (en) Ultra-deepwater tendon systems
KR101924779B1 (ko)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KR102134340B1 (ko)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