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935B1 - 부력구조체 - Google Patents

부력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935B1
KR102633935B1 KR1020220186572A KR20220186572A KR102633935B1 KR 102633935 B1 KR102633935 B1 KR 102633935B1 KR 1020220186572 A KR1020220186572 A KR 1020220186572A KR 20220186572 A KR20220186572 A KR 20220186572A KR 102633935 B1 KR102633935 B1 KR 10263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buoyancy
coupled
lock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부석
김민규
김길륜
김민상
Original Assignee
김부석
김민규
김길륜
김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부석, 김민규, 김길륜, 김민상 filed Critical 김부석
Priority to KR102022018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부력체(110);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대칭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력체(130);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 사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50);를 마련하여 스티리폼에 비하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중량물의 부력구조체에 헬륨가스를 주입하여 부력구조체의 비중을 감소시킬 수 있고, 비중이 감소된 부력구조체가 수면에 안정적으로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제한되는 스티로폼을 대체하는 부력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고,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부력구조체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로프결속구에 다수의 밧줄 또는 로프를 결속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넓은 양식장에 설치되는 부표의 수량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부력구조체{Buoyancy structure}
본 발명은 부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의 수면에 설치되는 부력구조체에 다수의 줄을 결속시켜 줌으로써 적은 수의 부표에 의해서도 넓은 양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 파도 등에 의해 부표의 일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장기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부력을 이용하여 각종 수산물 양식에 필요한 시설이나 부교 등의 부상 시설물을 물 위에 띄우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며, 통상 스티로폼으로 성형한 원통형의 스티로폼의 외주면에 마대를 감아 끈으로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부표는 각종 어선이나 어구들 등을 해수 중에 원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위치시켜 설치하는 위치설정 기능과 어구 등이 설치된 장소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식별기능과 더불어, 양식장에 설치하여 양식로프, 양식망 등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부표는 스티로폼을 구체 또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 바 또는 로프등과 결속시켜 사용하였으나, 환경문제를 유발한다는 연구결과와 재질의 특성상 파도나 기타 외력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어 망실되고, 이와 같이 망실된 부표가 해양쓰레기로 잔존하게 되는 문제로 인하여 제도적으로 스티로폼 부표의 사용이 금지되고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부표가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스티로폼으로 제작되는 부표는 재질이 연약하고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조류나 파도, 작업선 등의 외부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쉽게 부스러지고, 강한 자외선에 의해 조직이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며, 파손된 스티로폼이 수면 위로 부유하여 심각한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티로폼 재질의 밀도가 낮고 표면이 거칠어서 각종 해조류 및 패류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기 쉽고 스티로폼 내부에 수분이 침투되어 시간이 갈수록 부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는 직경에 비하여 높이가 더 높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반구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하는 탑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하향 돌출시켜 어구 연결을 위한 연결홀을 가지는 후육부를 포함하는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에 있어서, 상기 탑부의 중앙부에는 부표로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는 공기출입부를 구성하되, 공기출입부를 구성하는 가이드는 탑부와 인서트 성형되어 유지되는 원통형상의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의 외경부에 탑부와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게 형성하는 하부결합림 및 상부결합림과, 상기 가이드바디의 내경부 하측에 공기선택구를 유지하게 형성하는 안치턱과, 상기 안치턱의 상부에 단속캡을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하는 암나사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에 결합 및 분리되어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선택구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선택구바디와, 상기 선택구바디의 상부에 안치턱에 걸림되게 형성하는 걸림플랜지와, 상기 선택구바디의 하측에 가이드바디 하단과 걸림되게 형성하는 탈락방지림과, 상기 선택구바디의 축중심방으로 공기주입을 위하여 형성하는 노즐공과, 상기 선택구바디의 하단에 노즐공과 연결되어 공기주입시에는 확장되었다가 공기주입이 멈춰지면 부표 내부의 공기압력과 더불어 공기선택구의 탄성에 의하여 밀착되어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주입슬롯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선택구가 가이드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하는 단속캡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캡바디와, 상기 캡바디의 외경부에 가이드바디의 암나사와 결합될 수 있게 형성하는 수나사와, 상기 캡바디에 나사결합을 위한 도구사용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도구사용홈과, 캡바디의 상단에 탑부에 형성되는 플랜지홈에 걸림될 수 있게 형성하는 차단플랜지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종방향으로는 부표를 보관하거나 적재할 때 구르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름방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홀의 직 하방 양측에 어구와 연결할 때 강한 힘에 견딜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하는 보강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구름방지면의 상부에 야광 또는 축광기능을 가지는 식별표시를 구성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는 내부에 복수의 수용공간 및 복수의 리브가 형성된 반원형의 제1, 2 반제품이 융착된 발포체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에 각각 장착된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에 장착되어 공기의 주입을 안내하는 공기주입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은 상기 공기주입안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수용공간 내면에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하고, 상기 공기주입안내부는 상기 에어백의 일측에 장착된 공기주입안내부재와, 상기 공기주입안내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공기주입핀이 삽입되어 에어백 내부로 공기의 주입을 안내하고, 상기 공기주입핀이 분리되면 자체 탄력으로 복원되어 상기 공기주입핀이 차지하던 공간을 폐쇄하여 에어백 내부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공기주입안내캡 및 상기 공기주입안내부재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입핀의 삽입에 의하여 펼쳐지면서 상기 공기주입안내부재의 타단을 개방하며, 상기 공기주입핀이 분리되면, 상기 에어백 내부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절곡되어 공기주입안내부재의 타단을 폐쇄하는 공기배출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20-0102254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061209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889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다의 수면에 설치되는 부표구조체에 다수개의 줄을 연결하여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표에 결속되는 다수의 줄을 결속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영역의 양식장에 소수개의 부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 부력체를 클립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부표를 간단하게 제조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구조체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부력체(110);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대칭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력체(130);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 사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부력체(11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부력본체(111);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일측을 따라 상기 하부부력체(13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록킹후크(112);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타측을 따라 상기 하부부력체(13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걸림구(11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록킹후크(112)는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본체(113)와, 상기 후크본체(11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하부록킹후크(132)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걸림구(115)에는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걸림돌기(134)가 록킹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1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부력체(110)에는 상기 하부부력체(1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력구조체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헬륨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헬륨가스주입구(1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부력체(13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력본체(131);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일측을 따라 상기 상부부력체(11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록킹후크(132);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타측을 따라 상기 상부부력체(11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걸림구(135);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록킹후크(132)는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본체(133)와, 상기 후크본체(13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력체(110)의 상부록킹후크(112)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걸림구(135)에는 상기 상부부력체(110)의 걸림돌기(114)가 록킹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13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길이 방향에는 상기 부력구조체에 다수의 로프를 결속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양측에 로프결속구(120, 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구조체에 의하면, 스티리폼에 비하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중량물의 부력구조체에 헬륨가스를 주입하여 부력구조체의 비중을 감소시킬 수 있고, 비중이 감소된 부력구조체가 수면에 안정적으로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제한되는 스티로폼을 대체하는 부력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고,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부력구조체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로프결속구에 다수의 밧줄 또는 로프를 결속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넓은 양식장에 설치되는 부표의 수량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도시한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대칭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력체(130)와,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 사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구조체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상부부력체(110)와 하부부력체(130) 및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하부부력체(130)의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부력체(11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부력본체(111)와,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일측을 따라 상기 하부부력체(13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록킹후크(112)와,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타측을 따라 상기 하부부력체(13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걸림구(11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록킹후크(112)는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본체(113)와, 상기 후크본체(11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하부록킹후크(132)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걸림구(115)에는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걸림돌기(134)가 록킹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116)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력체(110)의 상부부력본체(111)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내측에는 헬륨가스 등이 채워질 수 있게 내부공간부(111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력체(111)의 일측에는 상부록킹후크(1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록킹후크(112)는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본체(113)와 상기 후크본체(113)가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돌기(114)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타측에는 상부걸림구(1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걸림구(115)에는 후크본체(133)가 끼워질 수 있게 결합구멍(116)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에는 내부공간부(111a)에 헬륨가스를 주입할 수 있게 헬륨가스주입구(117)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력체(110)에는 상기 하부부력체(1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력구조체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헬륨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헬륨가스주입구(1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일측면에는 제1 측면록킹후크(118)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타측면에는 제1 측면걸림구(119)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양측에는 각각 양식어장의 로프 또는 밧줄 등을 결속해 둘 수 있도록 로프결속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력본체(131)와 마주하는 면에는 밀폐부재(150)인 오링을 결합시킬 수 있게 오링홈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력체(13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력본체(131)와,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일측을 따라 상기 상부부력체(11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록킹후크(132)와,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타측을 따라 상기 상부부력체(11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걸림구(135)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록킹후크(132)는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본체(133)와, 상기 후크본체(13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력체(110)의 상부록킹후크(112)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걸림구(135)에는 상기 상부부력체(110)의 걸림돌기(114)가 록킹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136)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부력본체(131)는 상부부력본체(111)와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내측에는 내측공간부(131a)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일측에는 상부부력본체(111)의 상부걸림구(115)에 대응되는 하부록킹후크(13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록킹후크(132)는 후크본체(133)와 걸림돌기(13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타측에는 상부부력본체(111)의 상부록킹후크(112)에 대응되는 하부걸림구(135)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걸림구(135)에는 상부부력본체(111)의 상부록킹후크(112)가 결합되게 걸림구멍(136)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일측면에는 제2 측면록킹후크(138)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타측면에는 제2 측면걸림구(139)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양측에는 로프 또는 밧줄 등을 결속시킬 수 있게 로프결속구(140)가 형성되고, 상부부력본체(111)와 마주하는 면에는 밀폐부재(150)인 오링을 결합시킬 수 있게 오링홈부(141)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길이 방향에는 상기 부력구조체에 다수의 로프를 결속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양측에 로프결속구(120, 140)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150)는 오링홈부(121, 141)에 끼워져 부력구조체의 외부로부터 바닷물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부공간부(111a, 131a)에 채워진 헬륨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부표구조체는 바다에 장기간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게 상부부력체(110)와 하부부력체(130)를 일정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부력구조체는 수면에 부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양식어장 등의 중량물에 의해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 경우가 있어 어민들이 플라스틱 부력구조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한편 스티로폼 등의 부력구조체는 수면에 가라앉지 않고서 사용할 수 있으나, 파도 또는 파랑 등에 의해 스티로폼이 파손되는 경우가 잦고, 근래에는 환경오염 등의 주범으로 인식되어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부력구조체를 법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부력구조체는 장기간 사용할 수 잇점은 있으나, 수면으로부터 가라앉을 뿐만 아니라 스티로폼의 중량에 비하여 과도한 중량을 가지므로, 바다의 수면 아래로 가라앉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부력구조체가 수면에 장기간 부유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헬륨가스를 주입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에는 헬륭가스주입구(1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가의 헬륨가스를 주입하게 된다.
이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부력구조체의 비중을 감소시켜 부력구조체가 수면에 안정적으로 떠 있는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하부부력체(130)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부력체(110)의 상부록킹후크(112)는 하부부력체(130)의 하부걸림구(135)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상부부력체(110)의 상부걸림구(115)에는 하부부력체(130)의 하부록킹후크(132)의 후크본체(133)와 걸림돌기(134)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부력체(110)의 오림홈부(121)와 하부부력체(130)의 오링홈부(141)에는 오링 등의 밀폐부재(150)를 끼운 상태에서 상부부력체(110)와 하부부력체(130)를 조립함에 따라 오링 등의 밀폐부재(150)에 의해 부력구조체의 내부와 외부가 밀폐된 상태로 차단된다.
이에 상기 내부공간부(111a, 131a)에 채워진 헬륨가스는 스티로폼에 비하여 중량물인 플라스틱 재질의 부력구조체를 수면에 안정적으로 떠 있을 수 있게 비중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부력구조체 내부에 헬륨가스를 채워줌으로써, 스티로폼에 비해 중량물인 플라스틱 부력구조체가 수면에 안정적으로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로프결속구(120, 140)에는 양식어장 등을 지지하는 밧줄 또는 로프 등을 끼워 결속할 수 있은 뿐만 아니라 로프결속구(120, 140)의 갯수를 다수개로 형성하여 하나의 부력구조체에 다수의 로프 등을 결속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상부부력체 111: 상부부력본체
112: 상부록킹후크 113: 후크본체
114: 걸림돌기 115: 상부걸림구
116: 결합구멍 117: 헬륨가스주입구
118: 제1 측면록킹후크 119: 제1 측면걸림구
120: 로프결속구 121: 오링홈부
130: 하부부력체 131 하부부력본체
132: 하부록킹후크 133: 후크본체
134: 걸림돌기 135: 하부걸림구
136: 결합구멍 138: 제2 측면록킹후크
139: 제2 측면걸림구 140: 로프결속구
141: 오링홈부
150: 밀폐부재

Claims (5)

  1.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부력체(110);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대칭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력체(130);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 사이에 결합되는 밀폐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부력체(110)에는 헬륨가스를 주입할 수 있게 헬륨가스주입구(117)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헬륨가스주입구(117)를 통해 부력구조체 내부에 채워진 헬륨가스는 상기 부력구조체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부력을 가지며, 중량물인 상기 부력구조체가 수면에 부유될 수 있게 비중을 감소시키며,
    상기 상부부력체(11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부력본체(111);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일측을 따라 상기 하부부력체(13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록킹후크(112);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의 타측을 따라 상기 하부부력체(13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걸림구(11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록킹후크(112)는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본체(113)와, 상기 후크본체(11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하부록킹후크(132)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걸림구(115)에는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걸림돌기(134)가 록킹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11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부력체(13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력본체(131);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일측을 따라 상기 상부부력체(11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록킹후크(132);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타측을 따라 상기 상부부력체(110)가 결합될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걸림구(135);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록킹후크(132)는 단면상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본체(133)와, 상기 후크본체(13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력체(110)의 상부록킹후크(112)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걸림구(135)에는 상기 상부부력체(110)의 걸림돌기(114)가 록킹된 상태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136);으로 이루어지며,
    마주하게 되는 상기 상부부력본체(111)와 상기 하부부력본체(131)의 단부 내측에는 상기 밀폐부재(15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오링홈부(121, 14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길이 방향에는 상기 부력구조체에 다수의 로프를 결속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부력체(110)와 상기 하부부력체(130)의 양측에 로프결속구(120, 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86572A 2022-12-28 2022-12-28 부력구조체 KR10263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572A KR102633935B1 (ko) 2022-12-28 2022-12-28 부력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572A KR102633935B1 (ko) 2022-12-28 2022-12-28 부력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935B1 true KR102633935B1 (ko) 2024-02-07

Family

ID=8987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572A KR102633935B1 (ko) 2022-12-28 2022-12-28 부력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93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803Y1 (ko) * 2003-07-14 2003-10-01 이원도 헬륨가스를 주입한 부자
KR100615435B1 (ko) * 2004-08-11 2006-08-29 박승호 어패류 양식용 개량부자
KR20160088990A (ko) 2015-01-16 2016-07-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부표
KR20190051717A (ko) * 2017-11-07 2019-05-15 김민상 부표 결합구조
KR20190061209A (ko) 2017-11-27 2019-06-05 (주)경인이피에스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2254A (ko) 2019-02-21 2020-08-31 이지운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KR102280800B1 (ko) * 2021-02-10 2021-07-22 주식회사 알루부이 친환경 알루미늄 부구
KR20220101788A (ko) * 2021-01-12 2022-07-19 조영주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803Y1 (ko) * 2003-07-14 2003-10-01 이원도 헬륨가스를 주입한 부자
KR100615435B1 (ko) * 2004-08-11 2006-08-29 박승호 어패류 양식용 개량부자
KR20160088990A (ko) 2015-01-16 2016-07-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부표
KR20190051717A (ko) * 2017-11-07 2019-05-15 김민상 부표 결합구조
KR20190061209A (ko) 2017-11-27 2019-06-05 (주)경인이피에스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02254A (ko) 2019-02-21 2020-08-31 이지운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KR20220101788A (ko) * 2021-01-12 2022-07-19 조영주 조립식 중공형 합성수지재 부구
KR102280800B1 (ko) * 2021-02-10 2021-07-22 주식회사 알루부이 친환경 알루미늄 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77614A (en) Buoy for mooring vessels
US5634421A (en) Watercraft mooring apparatus
US20150296753A1 (en)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KR102203215B1 (ko)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US3435793A (en) Portable submarine tanks
KR200456642Y1 (ko) 조립형 부구
KR100575877B1 (ko)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KR20140042959A (ko) 어업용 부이
KR102633935B1 (ko) 부력구조체
KR102220967B1 (ko)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2410877B1 (ko) 김 양식용 부구와 이를 이용한 김발지지유닛
EP4138548B1 (en) A variable buoyancy structure for aquaculture
JP4983003B2 (ja) 可撓性ブイ
KR101867569B1 (ko) 다공성 폼이 내장된 부력체
KR200455698Y1 (ko) 조립형 부구
KR20200076948A (ko) 양식용 부표
KR200491793Y1 (ko) 부표
KR200487098Y1 (ko) 부표
KR101194572B1 (ko) 내벽면 손상 방지를 위한 체인 락커
JP4826215B2 (ja) 可撓性ブイ
KR20110004990U (ko) 조립형 부구
CA2054391A1 (en) Floatation device
KR200494012Y1 (ko) 오일펜스 부력재 및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KR200317819Y1 (ko) 양식 어망용 부구
KR20110004025U (ko) 조립형 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