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959A - 어업용 부이 - Google Patents

어업용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959A
KR20140042959A KR1020120108903A KR20120108903A KR20140042959A KR 20140042959 A KR20140042959 A KR 20140042959A KR 1020120108903 A KR1020120108903 A KR 1020120108903A KR 20120108903 A KR20120108903 A KR 20120108903A KR 20140042959 A KR20140042959 A KR 20140042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shing
end body
locking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366B1 (ko
Inventor
김성원
정창길
Original Assignee
김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원 filed Critical 김성원
Priority to KR1020120108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366B1/ko
Priority to PCT/KR2013/008643 priority patent/WO2014051363A1/ko
Publication of KR2014004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9Hulls constructed of non-magnetic met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업용 부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는 각각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몸체케이스(12,22)와 상기 몸체케이스(12,22)의 내부에 충진된 충진재(14,24)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16)과 체결돌기(26)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장금홈(17)과 잠금리브(27)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리브(27)에는 단부몸체(20)가 메인몸체(10)에의 체결을 위해 회전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안내경사면(28)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잠금면(28')이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의 외면을 둘러서는 연결구(30)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구(30)에는 연결고리(34)가 있어 외부와의 연결을 하게 된다.

Description

어업용 부이{A fishery buoy}
본 발명은 어업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고 내부에 발포재가 채워져 구성되는 어업용 부이에 관한 것이다.
어업용 부이는 수면에 어업을 위한 장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고기를 잡기 위한 구조물이나 통발 등을 수면에 유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어업용 부이는 큰 부력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오래전 부터 사용되던 부이는 소위 말하는 스치로폼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하지만, 스치로폼으로 만들어진 부이는 경도가 떨어져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진 부이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부이는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 부이의 내부공간을 비워두었다. 하지만, 부이에 구멍이 나거나 파손이 되어 내부의 공간에 물이 들어가게 되면 부력을 잃고 수중으로 가라앉아 버려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진 부이의 내부에 스치로폼과 같은 발포재를 채운 부이가 선행기술문헌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 제시된 부이는 내부에 발포재를 채워넣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크기를 크게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부이를 제공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부이는 파도가 높은 곳에서 사용하게 되면 파도에 의해 뒤집혀 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어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006-000492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716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가 단단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져 내충격성이 크고 내부에 부력을 제공하는 발포재가 채워지면서도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게 만들어지는 어업용 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이에서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하고 나머지 손상되지 않은 부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도에 의해 어업용 부이가 영향받는 것을 최소화하여 위치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발포되어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충진재가 충진되어 구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발포되어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충진재가 충진되어 구성되며 일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만들어져 외면에 파도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단부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와 단부몸체의 결합을 위해 상기 메인몸체와 단부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돌부와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와 단부몸체의 서로 접촉되는 면에는 메인몸체와 단부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체결하는 잠금홈과 잠금리브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잠금리브는 상기 단부몸체가 메인몸체에 체결되기 위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하는 안내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경사면과 반대쪽에는 잠금면이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부몸체에서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만들어지는 부분은 원뿔형상으로 된다.
상기 단부몸체에서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은 원기둥형상을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거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단부몸체에서 원기둥형상을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거한 부분은 상기 단부몸체의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와 단부몸체의 외면을 둘러서는 연결구가 장착되는데, 상기 연결구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메인몸체와 단부몸체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는 장착몸체와 상기 장착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고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어업용 부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어업용 부이는 다수개로 분리되어 제작되어 결합되므로 내부에 발포재가 채워지면서도 전체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무게가 무거운 구조물도 수면에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어업용 부이는 다수개로 분리되어 제작되어 있으므로, 일부가 손상되면 그 부분만을 교체하고 나머지 부분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성이 좋고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업용 부이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인데, 그 양단이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좁아지도록 만들어져 외면에 파도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파도가 있더라도 파도안내경사면에 의해 안내되어 어업용 부이가 정확하게 제 자리에서 잘 유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업용 부이는 다수개를 결합하여 만들어지는데,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체결수단이 있어 어업용 부이가 체결된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업용 부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어업용 부이에서 사용되는 연결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어업용 부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어업용 부이는 크게 메인몸체(10)와 상기 메인몸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단부몸체(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몸체(10)의 양단부에 각각 단부몸체(20)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어업용 부이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도 각각 원기둥형상으로 된다. 먼저, 상기 메인몸체(10)는 외관을 원통형상의 몸체케이스(1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케이스(12)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E)과 같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케이스(12)의 내부공간에는 충진재(14)가 채워져 있다. 상기 충진재(14)는 발포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치로폼과 같은 것이 있다. 상기 몸체케이스(12)는 상대적으로 경질이어서 메인몸체(10)의 강도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충진재(14)는 메인몸체(10)에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을 채워서 몸체케이스(12)에 구멍이 나거나 파손되더라도 내부로 물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양측의 원형의 평면 중앙에는 체결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16)의 내면에는 암나사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부몸체(20,20')의 체결돌부(26)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체결공(16)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몸체(10)의 양측의 원형의 평면에는 다수개의 잠금홈(17)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홈(17)은 상기 체결공(16)을 중심으로 지름 방향으로 배치되고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잠금홈(17)의 개수와 배치간격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공(16)이 형성되어 있는 양측의 평면에 인접하게 상기 메인몸체(10)의 외측면 단부에는 핀홈(19)이 형성된다. 상기 핀홈(19)에는 핀(19')이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단부몸체(20')와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기 핀홈(19)과 핀(19')은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양단부에는 단부몸체(20,20')가 설치된다. 상기 단부몸체(20,20')도 역시 몸체케이스(22)의 내부에 충진재(24)가 충진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메인몸체(10)가 몸체케이스(12)와 충진재(14)로 구성된 것과 같다.
상기 단부몸체(20,20')의 형상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대략 원기둥형상이다. 즉, 상기 메인몸체(10)와 결합되는 쪽의 구성은 상기 메인몸체(10)와 같고, 메인몸체(10)와 결합되는 반대쪽은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된다. 즉, 원뿔형상으로 된다. 상기 원뿔형상에 의해 상기 단부몸체(20,20')의 선단에는 파도안내경사면(25)이 형성된다.
상기 파도안내경사면(25)은 어업용 부이가 해상에 떠있을 때, 파도가 오면 파도를 안내하여 파도에 의해 부이가 뒤집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어업용 부이의 양단부에 파도가 부딪혀 충격을 그대로 크게 받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파도를 파도안내경사면(25)이 안내하여 단부몸체(20,20')에 충격력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파도안내경사면(25)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체결돌부(26)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부(26)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체결공(16)에 체결될 수 있도록 원기둥형상이고, 그 외면에 상기 체결공(16)의 암나사부(16')와 결합되는 수나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체결돌부(26)가 있는 상기 단부몸체(20,20')의 일단부 평면에는 상기 잠금홈(17)에 걸어지는 잠금리브(27)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즉, 상기 잠금리브(27)는 상기 잠금홈(17)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잠금리브(27)는 도 2의 상세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횡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된다. 상기 잠금리브(27)에는 단부몸체(20,20')의 일단부 평면에 대해 예각의 경사를 가지는 안내경사면(28)이 있고, 상기 안내경사면(28)과 반대쪽에는 잠금면(28')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면(28')은 상기 단부몸체(20,20')의 일단부 평면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안내경사면(28)은 상기 체결돌부(26)가 상기 체결공(16)에 체결되기 위해 회전되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잠금리브(27)가 상기 잠금홈(17)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잠금면(28')은 일단 상기 잠금홈(17)에 상기 잠금리브(27)가 들어가면 단부몸체(20,20')가 체결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단부몸체(20,20')의 일단부의 평면에 인접해서 상기 단부몸체(20,20')의 외면에는 핀홈(29)이 형성된다. 상기 핀홈(29)은 상기 핀(19')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의 외면을 둘러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구(30)가 장착되는 연결구장착홈(10R,20R)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장착홈(10R,20R)은 소정의 폭과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장착홈(10R,20R)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구(50)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연결구(50)는 링형상의 장착몸체(32)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몸체(32)에 연결고리(34)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고리(34)는 상기 장착몸체(32)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34)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연결고리(34)에 걸리는 부품에 맞춰셔 연결고리(34)의 형상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34)에는 어업용 부이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무게추, 그리고 고기의 어획을 위한 도구나 구조물이 걸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부몸체(120)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부몸체(120)도 역시 몸체케이스(122)의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단부몸체(120)의 구성은 원기둥형상에서 경사지게 잘라내어 파도안내경사면(125)을 형성한 형태이다. 이와 같이 수면과 마주보는 쪽에만 파도안내경사면(125)을 두더라도 파도를 넘어서면서 파도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단부몸체(120)에서 상기 메인몸체(10)에 체결되는 쪽에는 체결돌기(126)가 원기둥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체결돌기(126)의 외면에는 수나사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단부몸체(120)에서 상기 잠금리브나 핀홈 등의 구성은 편의상 도시를 생략했다. 도면부호 120R은 연결구장착홈이다.
다음으로,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부몸체(220)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부몸체(220)도 역시 몸체케이스(222)의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단부몸체(220)의 구성은 원기둥형상에서 경사지게 잘라내어 파도안내경사면(225)을 형성한 형태이다. 이와 같이 수면과 마주보는 쪽에만 파도안내경사면(125)을 두더라도 파도를 넘어서면서 파도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파도안내경사면(125)을 단부몸체(120) 전체에 걸쳐 형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파도안내경사면(225)을 단부몸체(220)의 일부에만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부몸체(220)에서 상기 메인몸체(10)에 체결되는 쪽에는 체결돌기(226)가 원기둥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체결돌기(226)의 외면에는 수나사부(22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단부몸체(220)에서 상기 잠금리브나 핀홈 등의 구성은 편의상 도시를 생략했다. 도면부호 220R은 연결구장착홈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어업용 부이를 조립하고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의 외관을 구성하는 몸체케이스(12,22)는 각각 회전성형에 의해 만들어지고, 그 내부에 충진재(14,24)가 충진된다. 이와 같이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로 나누어 부이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몸체케이스(12,22) 내에 충진재(14,24)를 보다 확실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메인몸체(10)의 양단에 상기 단부몸체(20,20')를 각각 체결한다. 즉, 상기 단부몸체(20,20')의 체결돌부(26)를 상기 메인몸체(10)의 체결공(16)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체결돌부(26)가 상기 체결공(16)의 내부에 회전하면서 삽입된다. 즉, 상기 체결돌부(26)의 수나사부(26')가 상기 체결공(16)의 암나사부(16')에 회전되어 체결된다.
상기 체결돌부(26)가 상기 체결공(16)에 체결되는 마지막 순간에 상기 메인몸체(10)의 상기 잠금홈(17)에 상기 단부몸체(20,20')의 잠금리브(27)가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잠금리브(27)에는 상기 단부몸체(20,20')의 회전방향을 보도록 안내경사면(2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잠금홈(17)에 삽입되기 전에 메인몸체(10)의 외면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잠금리브(27)가 상기 잠금홈(17)에 안착되면 상기 잠금면(28') 때문에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잠금면(28')이 상기 잠금홈(17)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어 해제 방향으로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가 상대 회전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필요하다면 상기 핀홈(19,29)에 핀(19')을 안착시킨다. 상기 핀(19')도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의 결합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10)와 단부몸체(20,20')의 상기 연결구장착홈(10R,20R)에는 상기 연결구(30)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연결구장착홈(10R,20R)내에 안착되어 그 위치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어업용 부이는 바다 등의 수면에 부력에 의해서 뜬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어업용 부이가 바다 등의 수면에서 정해진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추를 달기도 한다. 상기 추는 상기 연결구(30)의 연결고리(34)를 사용한다. 상기 연결고리(34)에 추에 달린 로프를 걸어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34)에는 다른 구조물 등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기를 잡기 위한 구조물을 상기 연결고리(34)를 사용하여 연결함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면에 부력에 의해 떠 있는 어업용 부이에는 파도가 충격을 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은 곡면으로 되어 있어 파도의 충격이 분산되어 전달되고, 특히 상기 메인몸체(10)에서 수면에 떠 있는 부분은 수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파도에 의해 메인몸체(10)가 약간 들어올려지기는 해도 큰 충격이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것은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은 상기 단부몸체(20,20')에 형성된 상기 파도안내경사면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단부몸체(20,20')의 단부에는 파도안내경사면(25)이 형성되어 있어, 파도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됨과 동시에 파도에 의해 단부몸체(20,20')가 약간 들어올려질 수는 있어도 큰 충격이 부이의 길이방향으로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것은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이를 사용중에 메인몸체(10)나 단부몸체(20,20')중 어느 일측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의적으로 총을 쏘아 메인몸체(10)나 단부몸체(20,20')를 맞추는 경우에 총알이 몸체케이스(12,22)를 뚫고 들어가더라도 충진재(14,24)가 있어 외부에서 물이 몸체케이스(12,22)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심하게 파손된 부분은 분리하여 교체하면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부몸체(20)가 파손된 경우에는 상기 단부몸체(20)만을 상기 메인몸체(10)에서 분리해서 다른 것으로 교체한다. 이 때, 상기 핀(19')을 핀홈(19,29)에서 제거하고, 상기 잠금홈(17)에서 잠금리브(27)가 분리될 수 있도록 힘을 가해서 단부몸체(20)와 메인몸체(10) 사이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단부몸체(20)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돌부(26)가 상기 체결공(16)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손상된 단부몸체(20)를 제거하고 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새로운 단부몸체(20)를 다시 메인몸체(10)에 체결하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양단부에 각각 단부몸체(20,20')가 장착되었으나, 하나의 메인몸체(10)에 하나의 단부몸체(20)가 장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부몸체(20)가 하나만 있고 메인몸체(10)의 반대쪽에는 나머지 단부몸체(20')의 모양과 같은 모양이 되게 메인몸체(10)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체 부이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파도안내경사면(25)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위에서도 설명되었듯이, 상기 핀(19')과 핀홈(19,29)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결구(30)도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구(30)를 사용하는 대신에, 부이에 연결되는 구조물이나 부품을 직접 로프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1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외면이 곡면으로 된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오크통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메인몸체(10)에 체결공(16)이 형성되고 단부몸체(20,20')에 체결돌부(26)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은 도시된 실시예와는 반대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메인몸체(10)에 체결돌부(26)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몸체(20,20')에 체결공(19)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잠금홈(17)과 잠금리브(27)도 마찬가지이다.
10: 메인몸체 12: 몸체케이스
14: 충진재 16: 체결공
16': 암나사부 17: 잠금홈
19: 핀홈 19': 핀
20,20': 단부몸체 22: 몸체케이스
24: 충진재 26: 체결돌부
26': 수나사부 27: 장착리브
28: 안내경사면 28': 잠금면
29: 핀홈 30: 연결구
32: 장착몸체 34: 연결고리

Claims (9)

  1. 몸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발포되어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충진재가 충진되어 구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발포되어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충진재가 충진되어 구성되며 일단부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만들어져 외면에 파도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단부몸체를 포함하는 어업용 부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어업용 부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단부몸체의 결합을 위해 상기 메인몸체와 단부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돌부와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는 어업용 부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단부몸체의 서로 접촉되는 면에는 메인몸체와 단부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체결하는 잠금홈과 잠금리브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상기 잠금리브는 상기 단부몸체가 메인몸체에 체결되기 위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하는 안내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경사면과 반대쪽에는 잠금면이 직립되게 형성되는 어업용 부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몸체에서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만들어지는 부분은 원뿔형상으로 되는 어업용 부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몸체에서 횡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부분은 원기둥형상을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거하여 만들어지는 어업용 부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몸체에서 원기둥형상을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거한 부분은 상기 단부몸체의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형성되는 어업용부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단부몸체의 외면을 둘러서는 연결구가 장착되는데, 상기 연결구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어업용 부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메인몸체와 단부몸체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는 장착몸체와 상기 장착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어업용 부이.
KR1020120108903A 2012-09-28 2012-09-28 어업용 부이 KR10144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903A KR101443366B1 (ko) 2012-09-28 2012-09-28 어업용 부이
PCT/KR2013/008643 WO2014051363A1 (ko) 2012-09-28 2013-09-26 어업용 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903A KR101443366B1 (ko) 2012-09-28 2012-09-28 어업용 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959A true KR20140042959A (ko) 2014-04-08
KR101443366B1 KR101443366B1 (ko) 2014-09-30

Family

ID=5038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903A KR101443366B1 (ko) 2012-09-28 2012-09-28 어업용 부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3366B1 (ko)
WO (1) WO2014051363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68B1 (ko) * 2016-03-28 2016-08-12 임기영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조립식 부력체
KR20180101102A (ko) * 2017-03-03 2018-09-12 주형중 복수의 내부 단위 부자를 이용한 부력체
KR20190018286A (ko) * 2017-08-14 2019-02-22 김성규 김 양식망 지지장치
KR102135016B1 (ko) * 2019-06-19 2020-07-16 주식회사 데코미테크 단일 부표 및 이들을 연결한 연결 부표
KR102140992B1 (ko) * 2019-05-29 2020-08-05 (주)공간파크 조립식 부표
KR20230083816A (ko) * 2021-12-03 2023-06-12 서경규 해파리 타입 친환경 부표
WO2023229076A1 (ko) * 2022-05-27 2023-11-30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플랫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079B1 (ko) * 2016-04-08 2016-07-20 권순길 부자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495B2 (ja) * 1995-09-22 2001-09-25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構造物
KR100270932B1 (ko) * 1998-01-15 2000-12-01 배평암 부력 다단계 조절식 부자 및 그 조립밴드와 부력 조절방법
KR200413069Y1 (ko) * 2006-01-20 2006-04-05 이미자 김 양식용 부구
KR20110004023U (ko) * 2009-10-16 2011-04-22 이상화 조립형 부구
KR101018012B1 (ko) * 2010-12-24 2011-03-02 이기문 어구용 부구 및 부구 제작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68B1 (ko) * 2016-03-28 2016-08-12 임기영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조립식 부력체
WO2017171191A1 (ko) * 2016-03-28 2017-10-05 임기영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조립식 부력체
KR20180101102A (ko) * 2017-03-03 2018-09-12 주형중 복수의 내부 단위 부자를 이용한 부력체
KR20190018286A (ko) * 2017-08-14 2019-02-22 김성규 김 양식망 지지장치
KR102140992B1 (ko) * 2019-05-29 2020-08-05 (주)공간파크 조립식 부표
KR102135016B1 (ko) * 2019-06-19 2020-07-16 주식회사 데코미테크 단일 부표 및 이들을 연결한 연결 부표
KR20230083816A (ko) * 2021-12-03 2023-06-12 서경규 해파리 타입 친환경 부표
WO2023229076A1 (ko) * 2022-05-27 2023-11-30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부유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 플랫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363A1 (ko) 2014-04-03
KR101443366B1 (ko)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366B1 (ko) 어업용 부이
KR101471014B1 (ko) 해상 부유구조물용 부력파이프 연결소켓
KR200475806Y1 (ko) 부표
KR102203215B1 (ko)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US20130251457A1 (en) Pipe float
KR101641079B1 (ko) 부자 케이스
EP3668750A1 (en) Deck fitting with removable fixture
KR20200076948A (ko) 양식용 부표
US20150166153A1 (en) Fin and accessory assembly and water craft having the same
KR102170716B1 (ko) 친환경 부자
KR101898132B1 (ko) 부력 조절이 간편한 부력 집합체가 연결된 부표
KR101140922B1 (ko) 접안 시설용 방충 패널
US20120175373A1 (en) Flotation Device for a Container
KR20150003086U (ko) 선박용 닻
US9341235B2 (en) Attachment flange for buoys and marine fenders
KR101722176B1 (ko) 앵커링 장치
KR20130128845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및 그 예인방법
US7895961B2 (en) Anchor protector
KR102633935B1 (ko) 부력구조체
AU2018208771A1 (en) A Shellfish Farm
JP2010035443A (ja) 浮子用緩衝部材
US20190092431A1 (en) Swivel Subsea Anchor System
KR20180002821U (ko) 함몰 고리가 구비된 부구
KR100648092B1 (ko) 해안의 물양장 구축시설 설치구조
US1048671A (en) Bu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