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079B1 - 부자 케이스 - Google Patents
부자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1079B1 KR101641079B1 KR1020160043344A KR20160043344A KR101641079B1 KR 101641079 B1 KR101641079 B1 KR 101641079B1 KR 1020160043344 A KR1020160043344 A KR 1020160043344A KR 20160043344 A KR20160043344 A KR 20160043344A KR 101641079 B1 KR101641079 B1 KR 1016410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fixing
- case
- buoyancy material
- rich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s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79 medium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1 medium-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1 block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48 expandable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자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자(浮子)의 양단부를 균일하게 덮어씌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하되, 한 쌍의 몸체가 밀착된 경계부위는 케이스의 중간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물의 하중 압력을 잘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조립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인 부자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재를 덮어씌워 보호하는 부자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의 일단부에서부터 타단부까지 일부를 수용하며, 부력재가 삽입되는 개구부는 몸체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제1몸체;상기 부력재의 타단부에서 일단부까지 부력재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며, 부력재가 삽입되는 개구부는 상기 단턱에 밀착되는 제2몸체;상기 제1몸체의 개구부 둘레면에 외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상기 결합돌기에 대향되는 제2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부;목적하는 상부 구조물과의 고정을 위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며, 일측이 절개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편;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호 간에 인력(引力)이 발생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어느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몸체의 측면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는 상,하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회동바;상기 회동바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구속스프링;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바의 결합공에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편;상기 고정공과 결합공을 통과하여 고정편에 회동바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재를 덮어씌워 보호하는 부자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의 일단부에서부터 타단부까지 일부를 수용하며, 부력재가 삽입되는 개구부는 몸체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제1몸체;상기 부력재의 타단부에서 일단부까지 부력재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며, 부력재가 삽입되는 개구부는 상기 단턱에 밀착되는 제2몸체;상기 제1몸체의 개구부 둘레면에 외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상기 결합돌기에 대향되는 제2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부;목적하는 상부 구조물과의 고정을 위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며, 일측이 절개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편;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호 간에 인력(引力)이 발생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어느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몸체의 측면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는 상,하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회동바;상기 회동바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구속스프링;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바의 결합공에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편;상기 고정공과 결합공을 통과하여 고정편에 회동바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자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자(浮子;충전제)와의 체결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 부자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 부력체는 수상에 부력을 발생하여 구조물을 부유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수상 부력체가 사용되는 일 예로서, 부잔교, 해상가두리양식장, 부유식 해상레저시설, 부유식 해상낚시터, 해상작업선, 해상바지, 부유소파제, 부교, 부유데크, 수상 태양광 발전 등이 있으며, 상기한 부유구조물에 수상 부력체를 설치하여 부상시킨다.
수상 부력체는 부자(浮子) 또는 부표라고 불리우며, 발포폴리스틸렌(Foamed Polyethylens(EPS); 스티로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자의 사용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상 가두리 양식장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김이나 기타 수산물을 양식하기 위해서는 김이 매달리는 지지대를 부자에 결속하여 바다에 띄우고, 이 지지대에 김을 매달아 양식하게 된다.
이러한 양식장용 부자는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4-007804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티로폼으로 성형되고 해수보다 밀도가 작아 해수 표면상에 뜨게 되는 스티로폼 부구 및 스티로폼 부구의 상면에 장착되어 작업 수행을 위한 어구를 해수면에 띄우기 위한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스티로폼만으로 구성된 양식장용 부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는 반면 내구성이 약하고, 해수에 장시간 노출시 가수분해가 심해 파손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국제 환경규약에 따라 국내에서도 스티로폼 부자를 사용한 가두리 양식장의 신설이 금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내부식성과 내파능력 및 친환경성이 매우 우수한, 버트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융착 및 조립이 가능한 폴리에틸렌(PE), 바람직하게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한 케이스를 마련하여 상기 스티로폼 부자를 덮어씌워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스를 이용한 부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46416를 통해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다.
종래의 부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개방부(11)를 구비한 부자 케이스(10)와, 상기 부자 케이스(10) 내에 삽입되는 부력재(미도시) 및 상기 개방부(11)에 대응되는 내측 돌출부(21) 및 상기 내측 돌출부(21)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22)를 구비한 커버 부재(20)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부자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부자 케이스(10)를 개폐하는 커버 부재(20)가 부자 케이스(10)의 일단부에 치우치게 마련됨으로써, 부자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하중 압력으로 인해 커버부재(20)가 부자 케이스(10)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즉, 커버부재(20)와 부자 케이스(10)의 밀착된 경계부위가 부자 케이스(10)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됨에 따라, 부자 케이스 위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약해 커버부재(20)가 부자 케이스(1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구조물의 하중 압력이 고르게 분산되지 못해 부자 부자 케이스(10)가 찌그러지거나 쉽게 손상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부자 케이스(10)의 중공 수용부(11)가 깊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자 케이스(10) 내부에 부력재 삽입시 작업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부자 케이스(10)와 구조물 간에 고정을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구조물 고정 작업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력재의 양단부가 각각 균일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몸체로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몸체가 밀착된 경계라인은 부력재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몸체 위에 설치된 구조물의 하중 압력을 고르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부력재로부터 몸체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부자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재를 덮어씌워 보호하는 부자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의 일단부에서부터 타단부까지 일부를 수용하며, 부력재가 삽입되는 개구부는 몸체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제1몸체;상기 부력재의 타단부에서 일단부까지 부력재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며, 부력재가 삽입되는 개구부는 상기 단턱에 밀착되는 제2몸체;상기 제1몸체의 개구부 둘레면에 외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상기 결합돌기에 대향되는 제2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부;목적하는 상부 구조물과의 고정을 위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며, 일측이 절개된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편;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호 간에 인력(引力)이 발생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어느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몸체의 측면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는 상,하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회동바;상기 회동바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구속스프링;제1몸체와 제2몸체 중 다른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바의 결합공에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편;상기 고정공과 결합공을 통과하여 고정편에 회동바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는, 개구부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개구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열(列)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폐쇄된 단부 면에는 복수의 세로홈부 및 복수의 세로돌부가 연이어 형성되며, 이웃하는 몸체에 밀착될 때, 이웃하는 몸체의 세로홈부 및 세로돌부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의 단부 면과 제2몸체의 단부 면에 형성된 각각의 세로홈부 및 세로돌부 배열은, 서로 어긋나게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웃하는 케이스의 세로홈부와 세로돌부 간에 밀착은 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부자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력재의 양단부를 통해 부력재의 중앙까지 고르게 덮어씌울 수 있도록, 케이스가 한 쌍으로 마련됨으로써, 부력재로부터 케이스가 쉽게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부력재를 덮어씌운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몸체 경계라인이 부력재의 중앙에 위치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하중 압력이 케이스에 작용하더라도 그 하중 압력은 한 쌍의 몸체가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부력재로부터 케이스가 쉽게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부자 케이스의 체결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한 쌍의 몸체가 마주하는 부위에 체결수단을 설치하여 상호 간에 인력이 발생하는 체결력을 통해 체결되도로 구성됨으로써, 한 쌍의 몸체는 체결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한 쌍의 몸체가 서로 맞닿는 단차진 개구부와 몸체에,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몸체가 부력재를 덮어씌웠을 때 상기 결합돌부는 결합홈부에 자동으로 끼움 결합되므로,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기 전, 가조립의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체결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몸체의 둘레에, 상부 구조물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편이 형성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고정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고정편에 형성된 고정공은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됨으로써,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몸체의 둘레에는 복수의 세로홈과 세로돌부가 형성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따른 케이스의 피로도를 줄이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세로홈과 세로돌부가 상부 구조물의 무게 하중에 따른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분산하여 케이스에 전달되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케이스 양면에 형성된 세로홈부와 세로돌부는 이웃하는 세로돌부 및 세로홈부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됨으로써 부자 케이스를 연이어 설치하거나 보관 작업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세로홈부 및 세로돌부는 자력에 의해 서로 밀착될 수 있으므로, 수상에서의 부자 설치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자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자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자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부자 케이스가 서로 밀착되어 수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자케이스의 몸체가 체결되기 전,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자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자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부자 케이스가 서로 밀착되어 수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자케이스의 몸체가 체결되기 전,후를 나타낸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자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부자 케이스는 부력재의 양측을 균일하게 덮어 씌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체결수단을 통해 상호간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한 쌍의 몸체가 맞닿는 경계부위가 부자 케이스의 중앙에 위치됨으로써, 부체 케이스 위에 구조물 설치시 구조물 하중에 의한 압력은 한 쌍의 몸체가 고르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부력재부터 케이스가 쉽게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부자 케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결합돌기(200)와, 결합홈부(300)와, 고정편(400)과, 체결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부력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수상에 설치되는 물품인만큼 방수되는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100)는 내구성이 높고 친환경 특징을 갖는 합성수지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는 저밀도 회전성형 방식을 통해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그의 외면에는 자외선 차단제(UV-8)가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00)는 분리되어 구성된다.
이는, 부력재(F)와 부자 케이스를 일체로 구성하기에는 제작의 어려움 및 제작단가가 높아지므로, 제작의 편의성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부력재(F)와 케이스를 각각 마련한 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몸체(100)는 부력재(F)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고, 각각의 몸체(100) 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재(F)에 대응되는 공간부(S)를 형성한다.
이때, 한 쌍으로 구성된 몸체(100)는 설명의 편의상,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라 한다.
제1몸체(110)는 부력재(F)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부력재(F)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부(S)를 구성하며, 부력재(F)가 공간부(S)로 삽입되는 개구부(111)를 구성한다.
이때, 개구부(111)는 제1몸체(110)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1몸체(110)와 단턱(11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단턱(112)은 후술하는 제2몸체(120)와 밀착되도록 하여,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상호 간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몸체(110)의 폐쇄면(개구부의 반대면)에는 제1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세로홈부(G)와 세로돌부(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100) 위에 고정되는 구조물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고 내구성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세로홈부(G)와 세로돌부(D)는 이웃하는 부자케이스와 맞닿게 설치될 때, 상호 간에 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세로홈부(G)와 세로돌부(D)는 제1몸체(110) 뿐만 아니라, 제2몸체(120)의 폐쇄면에 형성되되,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각각에 형성된 세로홈부(G)와 세로돌부(G)의 위치는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어 맞물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의 내측 단부 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M)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부자 케이스 간에 맞물려 결합되는 과정 또는 부자 케이스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자력에 의해 서로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각 몸체(110,120)의 폐쇄면에 대응되는 내측 단부 면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자석(M)을 탈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부자 케이스를 서로 밀착하여 설치하거나 보관하는 경우 자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으므로 수상에서의 설치 작업이나 보관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자석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고무 자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몸체(120)는 제1몸체(110)와 더불어 부력재(F)를 감싸 보호하며, 부력재(F)의 타단부에서 일단부까지 부력재(F)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부(S)를 구성한다.
제2몸체(120)의 공간부(S)는 제1몸체(110)의 개구부(111)를 덮어씌우도록 형성되며, 제1몸체(110)의 개구부(111)는 제2몸체(120)의 공간부(S)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제2몸체(120)의 단부는 제1몸체(110)의 단턱(112)에 밀착이 된다.
이때, 제2몸체(120)의 단부 면에는 씰링부재(121)가 설치되고 씰링부재(121)에 대응되는 제1몸체(110)의 단턱(112)에는 씰링홈(112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결합되었을 때, 기밀 유지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결합돌기(200)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간에 체결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개구부(1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결합돌기(200)는 제1몸체(110) 개구부(111)의 둘레면으로부터 외향 돌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1)의 둘레면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결합돌기(200)는 복수의 엠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200)는 개구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결합돌기(200)가 2열로 형성된 것을 예로 하였다.
다음으로, 결합홈부(300)는 결합돌기(200)가 결합되는 구성이며, 제2몸체(120)의 공간부(S) 내주면에 형성된다.
결합홈부(300)의 형태는 결합돌기(200)의 형태에 대응된다.
다음으로, 고정편(400)은 부자 케이스 위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며, 몸체(110,120)의 둘레에 형성된다.
고정편(400)에는 상,하 관통된 고정공(410)이 형성된다.
즉, 볼트나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을 고정공(410)에 통과하여 구조물에 고정시킴으로써, 부자 케이스에 구조물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고정공(410)의 일측은 개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수단의 직경이나 크기에 제약을 덜 받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체결수단(500)은 한 쌍의 몸체(110,120)를 서로 체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각각의 몸체(110,120)에 설치된다.
체결수단(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 서로 대향된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부(510)와, 체결공부(510)의 체결공(511)을 통과하여 체결시키는 볼트(520) 및 너트(53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부자 케이스에 부력재(F)를 삽입하여 체결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 중 어느 하나의 공간부(S)에 부력재(F)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를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 중 다른 하나의 공간부(S)에 부력재(F)의 나머지 부위를 삽입시킨다.
이때,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이 된다.
이때, 제1몸체(110)의 개구부(111) 둘레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00)는 제2몸체(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부(300)에 끼움 결합되므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간에 체결력은 강화될 뿐만 아니라, 체결수단에 의한 본조립 전 가조립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씰링부재(121)의 탄성력에 의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서로 대응된 체결공부(510)에 볼트(520)를 통과시키고, 너트(530)를 이용해 조임으로써 볼트(520)와 너트(530)의 체결력에 의해 한 쌍의 몸체(100)는 서로 체결이 되어 본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씰링부재(121)는 압착이 되어 몸체(110,120) 간에 기밀 유지를 극대화시키게 된다.
이로써, 부자 케이스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조립된 부자 케이스 위에, 구조물을 고정하여 수상 구조물을 제작한다
이때, 구조물이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두리 양식장, 해상 레저시설 등을 말한다.
이때, 몸체(100)에 마련된 고정편(400)의 고정공(410)을 이용해 구조물을 부자 케이스에 고정시킴으로서 부자 케이스에 대한 구조물의 고정 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후, 부자 케이스에 고정된 구조물을 수상에 띄움으로써, 수상 구조물의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한 체결수단은 그 구성이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자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체결수단(500)은 한 쌍의 몸체(110,120)를 서로 체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각 몸체(110,120)의 측면에 마련된다.
체결수단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540)와, 구속스프링(550)과, 구속편(560)과, 고정볼트(520) 및 너트(530)를 포함한다.
회동바(540)는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이때, 회동바(540)는 설명의 편의상, 제2몸체(120)에 설치되고, 구속편(560)은 제1몸체(110)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회동바(540)는 제2몸체(120)의 측면으로부터 제1몸체(110)의 측면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그의 단부는 상,하 관통된 형태의 결합공(541)을 형성한다.
그리고, 구속스프링(550)은 회동바(540)의 회동을 탄성지지하며, 회동바(540)의 축에 결합된다.
상기 구속스프링(550)은 회동바(540)가 자유 회전되지 않도록 그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며, 토션스프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속편(560)은 회동바(540)의 결합공(541)에 대응되는 구속공(561)을 형성하며, 제1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구속편(560)은 제1몸체(110)의 측면 상,하에 마련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한 개만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고정볼트(520) 및 너트(530)는 구속편(560)에 대응된 회동바(540)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동바(540)의 단부가 구속편(560)에 대응되어, 구속공(561)과 결합공(541)이 일치되었을 때 고정볼트(520)를 통과시켜 너트(530) 체결함으로써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500)을 통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체결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를 이용해 부력재(F)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덮어씌워 결합시킨다.
이때,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서로 밀착이 되며, 결합돌기(200)와 결합홈부(300)의 끼움 결합을 통해 한 쌍의 몸체(110,120)는 서로 밀착된 상태이다.
또한, 회동바(5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스프링(550)의 탄성력에 의해 제2몸체(120)의 측면에 탄성 지지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회동바(540)를 회동화여 상기 회동바(540)의 단부를 구속편(560)의 구속공(561)에 대응시킨다.
이후, 고정볼트(520) 및 너트(530)를 이용해 회동바(540)를 구속편(560)에 체결시킴으로써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간에 결합은 완료된다.
이후, 조립된 부자케이스를 이용한 일련의 설치 과정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자 케이스는 한 쌍으로 분리하여 구성하되 맞물리는 경계 부위가 부자 케이스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고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 하중에 의한 압력에 의해 부자로부터 케이스가 이탈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스 내 부자 삽입에 대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제1몸체
111 : 개구부 112 : 단턱
112a : 씰링홈 120 : 제2몸체
121 : 씰링부재 200 : 결합돌기
300 : 결합홈부 400 : 고정편
410 : 고정공 500 : 체결수단
510 : 체결공부 511 : 체결공
520 : 고정볼트 530 : 너트
540 : 회동바 541 : 결합공
550 : 구속스프링 560 : 구속편
561 : 구속공 D : 세로돌부
G : 세로홈부 F : 부력재
S : 공간부 M : 자석
111 : 개구부 112 : 단턱
112a : 씰링홈 120 : 제2몸체
121 : 씰링부재 200 : 결합돌기
300 : 결합홈부 400 : 고정편
410 : 고정공 500 : 체결수단
510 : 체결공부 511 : 체결공
520 : 고정볼트 530 : 너트
540 : 회동바 541 : 결합공
550 : 구속스프링 560 : 구속편
561 : 구속공 D : 세로돌부
G : 세로홈부 F : 부력재
S : 공간부 M : 자석
Claims (5)
-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재를 덮어씌워 보호하는 부자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F)의 일단부에서부터 타단부까지 일부를 수용하며, 부력재(F)가 삽입되는 개구부(111)는 몸체(100)와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턱(112)을 형성하는 제1몸체(110);
상기 부력재(F)의 타단부에서 일단부까지 부력재(F)의 나머지 일부를 수용하며, 부력재(F)가 삽입되는 개구부(111)는 상기 단턱(112)에 밀착되는 제2몸체(120);
상기 제1몸체(110)의 개구부(111) 둘레면에 외향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00);
상기 결합돌기(200)에 대향되는 제2몸체(12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200)가 결합되는 결합홈부(300);
목적하는 상부 구조물과의 고정을 위해 상기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의 둘레에 형성되며, 일측이 절개된 고정공(410)이 형성된 고정편(400);
상기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호 간에 인력(引力)이 발생하도록 체결시키는 체결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500)은,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중 어느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몸체의 측면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는 상,하 관통된 결합공(541)이 형성된 회동바(540);상기 회동바(540)의 회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는 구속스프링(550);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 중 다른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바(540)의 결합공(541)에 대응되는 고정공(410)이 형성된 고정편(400);상기 고정공(410)과 결합공(541)을 통과하여 고정편(400)에 회동바(54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20) 및 너트(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200)는,
개구부(11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며, 개구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열(列)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케이스.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의 폐쇄된 단부 면에는 복수의 세로홈부(G) 및 복수의 세로돌부(D)가 연이어 형성되며,
이웃하는 몸체에 밀착될 때, 이웃하는 몸체의 세로홈부(G) 및 세로돌부(D)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110)의 단부 면과 제2몸체(120)의 단부 면에 형성된 각각의 세로홈부(G) 및 세로돌부(D) 배열은, 서로 어긋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케이스.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하는 케이스의 세로홈부(G)와 세로돌부(D) 간에 밀착은 자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 케이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3344A KR101641079B1 (ko) | 2016-04-08 | 2016-04-08 | 부자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3344A KR101641079B1 (ko) | 2016-04-08 | 2016-04-08 | 부자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1079B1 true KR101641079B1 (ko) | 2016-07-20 |
Family
ID=5668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3344A KR101641079B1 (ko) | 2016-04-08 | 2016-04-08 | 부자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1079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9739B1 (ko) * | 2020-06-02 | 2021-01-07 | 주식회사 포리폼 |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17950A (ko) * | 2019-08-09 | 2021-02-17 | 송예주 | 친환경 부표 |
KR102222259B1 (ko) * | 2020-06-29 | 2021-03-03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별도의 연결장치가 없는 부유체 및 그 연결방법 |
KR20230022728A (ko) | 2021-08-09 | 2023-02-16 | 최재은 | 밴드형 정치망 부자 커버 |
KR102649740B1 (ko) * | 2023-09-26 | 2024-03-20 | 주식회사 태성공영 | 플로팅 구조를 이용한 해조장 |
KR102712481B1 (ko) * | 2023-12-20 | 2024-10-02 | 베스트에프에이 주식회사 | 용량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알루미늄 부구의 제작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7755Y1 (ko) * | 2009-09-30 | 2010-02-16 | 서현석 | 플로우트 |
KR20140078040A (ko) | 2012-12-14 | 2014-06-25 | 이희정 | 폐스티로폼을 활용한 기능성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1443366B1 (ko) * | 2012-09-28 | 2014-09-30 | 김성원 | 어업용 부이 |
KR20150046416A (ko) | 2013-10-21 | 2015-04-30 | 김용운 | 개선된 부자 및 그 제조 방법 |
KR20150002632U (ko) * | 2013-12-27 | 2015-07-0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해양 자켓구조물과 부력탱크의 결합구조 |
-
2016
- 2016-04-08 KR KR1020160043344A patent/KR1016410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7755Y1 (ko) * | 2009-09-30 | 2010-02-16 | 서현석 | 플로우트 |
KR101443366B1 (ko) * | 2012-09-28 | 2014-09-30 | 김성원 | 어업용 부이 |
KR20140078040A (ko) | 2012-12-14 | 2014-06-25 | 이희정 | 폐스티로폼을 활용한 기능성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046416A (ko) | 2013-10-21 | 2015-04-30 | 김용운 | 개선된 부자 및 그 제조 방법 |
KR20150002632U (ko) * | 2013-12-27 | 2015-07-0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해양 자켓구조물과 부력탱크의 결합구조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7950A (ko) * | 2019-08-09 | 2021-02-17 | 송예주 | 친환경 부표 |
KR102445488B1 (ko) | 2019-08-09 | 2022-10-11 | 주식회사 서광 | 친환경 부표 |
KR102199739B1 (ko) * | 2020-06-02 | 2021-01-07 | 주식회사 포리폼 |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KR102222259B1 (ko) * | 2020-06-29 | 2021-03-03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별도의 연결장치가 없는 부유체 및 그 연결방법 |
WO2022004992A1 (ko) * | 2020-06-29 | 2022-01-06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별도의 연결장치가 없는 부유체 및 그 연결방법 |
KR20230022728A (ko) | 2021-08-09 | 2023-02-16 | 최재은 | 밴드형 정치망 부자 커버 |
KR102649740B1 (ko) * | 2023-09-26 | 2024-03-20 | 주식회사 태성공영 | 플로팅 구조를 이용한 해조장 |
KR102712481B1 (ko) * | 2023-12-20 | 2024-10-02 | 베스트에프에이 주식회사 | 용량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알루미늄 부구의 제작방법 |
KR102712477B1 (ko) | 2023-12-20 | 2024-10-02 | 베스트에프에이 주식회사 | 용량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알루미늄 부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1079B1 (ko) | 부자 케이스 | |
KR101443366B1 (ko) | 어업용 부이 | |
US20150296753A1 (en) |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 |
KR20150090677A (ko) | 수상 부력체 | |
KR102495544B1 (ko) | 친환경 김발용 부표시스템 | |
KR102454395B1 (ko) | 부표 | |
KR20110090528A (ko) | 플로트 및 부속물 조립구조 | |
KR101734527B1 (ko) |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 |
KR102105174B1 (ko) | 가스 주입식 친환경 부표 | |
US5467727A (en) | Pile mooring device for boats | |
KR20180003896A (ko) |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 |
KR200485988Y1 (ko) | 김 양식용 부구 | |
KR102058656B1 (ko) | 부구 | |
KR101913080B1 (ko) | 김 양식용 부구 | |
KR20120037544A (ko) | 논슬립 패널이 부착된 조립식 폰툰 | |
KR20150046416A (ko) | 개선된 부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715289B1 (ko) | 부력 집합체를 구비한 부이 | |
KR101477004B1 (ko) | 부력 증가용 부구 | |
KR102313442B1 (ko) | 금속 부자 | |
KR102094615B1 (ko) | 수산 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 |
KR20140117776A (ko) |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 |
KR102334356B1 (ko) | 패류 양식을 위한 친환경 목재 부자 | |
FR3030188A1 (fr) | Habitat aquatique artificiel, systeme d'habitat aqua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 |
KR20170029142A (ko) | 조립식 부력체 | |
KR102471121B1 (ko) | 수상용 부유 조립체의 부유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