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896A -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896A
KR20180003896A KR1020160083643A KR20160083643A KR20180003896A KR 20180003896 A KR20180003896 A KR 20180003896A KR 1020160083643 A KR1020160083643 A KR 1020160083643A KR 20160083643 A KR20160083643 A KR 20160083643A KR 20180003896 A KR20180003896 A KR 20180003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buoy body
foot plate
ca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길
Original Assignee
(주)엠디엔지니어링
코스모아이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엔지니어링, 코스모아이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엠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8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896A/ko
Publication of KR2018000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부력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의 부이몸통을 제작하되, 상기 부이몸통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형성시키고, 그 양측단 모서리 부분에는 발판튜브의 안착이 가능한 장착홈부를 부이몸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시키며, 부이몸통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는 결속로프를 이용하여 발판튜브를 부이몸통과 결속시켜 놓을 수 있는 다수 개의 결속홈부를 형성시킴으로서, 부이몸통과 발판튜브의 결속작업을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착홈부를 제외한 부이몸통의 상단면 자체가 발판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토록 하며, 이를 통하여 발판튜브를 따라 조립되는 발판프레임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키거나 별도의 발판프레임을 조립시키지 않더라도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의 구축작업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기존의 경우보다 한층 더 견고한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단기간에 제작이 가능토록 한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Improved buoy for an aquaculture farm}
본 발명은 소정의 부력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부자(浮子)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PE)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의 부이몸통을 제작하되, 상기 부이몸통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형성시키고, 그 양측단 모서리 부분에는 발판튜브의 안착이 가능한 장착홈부를 부이몸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시키며, 부이몸통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는 결속로프를 이용하여 발판튜브를 부이몸통과 결속시켜 놓을 수 있는 다수 개의 결속홈부를 형성시킴으로서, 부이몸통과 발판튜브의 결속작업을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착홈부를 제외한 부이몸통의 상단면 자체가 발판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토록 한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두리 양식장은 연안해역이나 외해 등의 수역(水域)에 일정 범위만큼 가두리그물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각종 수산생물을 고밀도로 양식하는 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가두리그물의 설치와 수산생물의 관리에 필요한 공간 및 통로를 제공하도록 개략 "田" 형태의 발판구조물을 일차로 제작한 다음, 해당 발판구조물의 하부측에 부자를 연결 설치하는 한편, 발판구조물의 내주면을 따라 가두리그물을 연결시켜 놓은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가두리 양식기법은 가두리그물의 그물코를 통하여 가두리 안팎의 해수가 자유롭게 통과하므로, 해수의 교환 및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수산생물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노폐물이나 여분의 사료찌꺼기 또한 가두리그물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많은 량의 수산생물을 고밀도로 양식하더라도 가두리 내부의 수질이 악화되지 않으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대규모의 양식어업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통상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2열(列)의 메인프레임 하부에 부자를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면을 따라 발판프레임을 가로지게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며, 메인프레임과 발판프레임은 목재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사각 막대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부자로서는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원통형으로 제작된 것이나, 해당 스티로폼의 표면에 수지피복층이 코팅된 것, 또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제작된 것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두리 양식장에 사용되는 기존 부자의 대부분이 단순한 원통 형상을 가짐에 따라, 결속로프를 이용하여 부자의 상부면에 발판 조립용 메인프레임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작업이 다소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부자의 둘레 방향을 따라 로프결속홈을 형성시키더라도 곡면을 이루는 부자의 표면에 막대 형상의 메인프레임을 정확하게 맞대어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작업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가두리 양식장의 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발판 조립용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부자를 연결시키는 작업과 더불어, 메인프레임의 상부면을 따라 발판프레임을 촘촘한 간격으로 조립하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되며, 해당 작업은 부자의 연결작업에 비하여 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는 것이므로,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의 제작비용을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발판구조물의 전체적인 하중 역시 불필요하게 증대되어 육상에서의 제작 후 수상으로의 운반과정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야기시키는 요인이 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발판구조물을 제작하여 가두리 양식장의 시설을 완료시킨 이후에, 설계오차 등의 요인으로 말미암아 발판구조물에 적용된 부력이 지나치게 크게 될 경우, 가두리 양식장의 안정적인 계류(稽留: 앵커와 로프 등을 이용하여 수면상에 떠 있도록 한 상태) 및 작업자의 안전 등을 고려하여 발판구조물에 적용된 부력을 어느 정도 줄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바, 기존의 부자는 이러한 변동상황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가두리 양식장이 시설된 현장에서 메인프레임과 연결된 부자 전체를 낮은 부력의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몇 개의 부자를 떼어내는 방식으로 발판구조물의 부력을 줄여야 하며, 이러한 작업은 부자에 의한 발판의 지지강도 뿐만 아니라 발판구조물의 전체적인 시설강도 및 사용수명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됨은 물론이고, 파랑(波浪) 등에 의한 가두리 양식장의 파손 및 양식대상물의 대량 유실이라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PE)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의 부이몸통을 제작하되, 상기 부이몸통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형성시키고, 그 양측단 모서리 부분에는 발판튜브의 안착이 가능한 장착홈부를 부이몸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시키며, 부이몸통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는 결속로프를 이용하여 발판튜브를 부이몸통과 결속시켜 놓을 수 있는 다수 개의 결속홈부를 형성시킴으로서, 부이몸통과 발판튜브의 결속작업을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착홈부를 제외한 부이몸통의 상단면 자체가 발판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토록 하며, 부이몸통의 상단면 요홈부 내측에 착탈식 마개가 조립되는 주입구를 돌출 형성시킴으로서, 필요시 부이몸통의 내부로 해수 또는 담수를 주입시켜 발판구조물의 부력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량부자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제작되는 부이몸통과, 상기 부이몸통의 상부면 양측단에서 부이몸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발판튜브 안착용 장착홈부와, 상기 발판튜브를 결속로프에 의하여 부이몸통과 결속시켜 놓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이몸통의 둘레 방향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되는 최소 2개 이상의 결속홈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부이몸통은 장착홈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단면 부분이 발판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凸"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몸통과, 상기 상부몸통의 하측에 배치되는 반원형 단면의 하부몸통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통의 개구된 바닥면과 하부몸통의 개구된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접합테두리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결속홈부는 접합테두리를 포함하는 상부몸통과 하부몸통에 걸쳐 대응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몸통의 상단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에는 착탈식 마개가 조립되는 주입구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부이몸통의 상부면 양측단에 형성된 장착홈부상에 메인프레임으로서의 발판튜브를 안정적인 자세로 정확하게 맞대어 놓은 다음, 결속로프를 이용한 부이몸통과 발판튜브의 결속작업을 결속홈부를 따라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장착홈부를 제외한 부이몸통의 상단면이 발판튜브의 상단면과 동일 선상 또는 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방식을 통하여 부이몸통의 평평한 상단면 부분이 결속로프와 함께 미끄럼 방지기능이 부여된 발판을 제공토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로 인하여, 부이몸통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발판튜브를 따라 발판프레임을 조립시키는 방식으로 발판프레임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발판튜브를 따라 발판프레임을 별도로 조립시키지 않더라도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의 구축이 충분히 가능하게 됨으로서, 기존의 경우보다 한층 더 견고한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단기간에 제작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발판구조물의 전체적인 하중을 줄여 육상에서의 제작 후 수상으로의 운반작업 역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부이몸통의 내부로 소정량의 해수 또는 담수를 주입시키는 방식으로 기설치된 발판구조물의 불필요한 구조적 변경, 다시 말해서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몇 개의 부자를 떼어냄에 따라 시설강도와 사용수명을 저하시키는 수준의 변경없이 발판구조물의 자체 부력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낮추어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각종 변동상황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발판구조물의 계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파랑 등에 의한 가두리 양식장의 파손 및 양식대상물의 대량 유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부자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제작되는 부이몸통(1)과, 상기 부이몸통(1)의 상부면 양측단에서 부이몸통(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장착홈부(5)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부이몸통(1)의 둘레 방향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되는 최소 2개 열(列) 이상(도면상 3열)의 결속홈부(6)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부이몸통(1)은 도 2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부(5)를 제외한 나머지 상단면 부분이 평평한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해당 부분이 발판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도록 "凸"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몸통(2)과, 상기 상부몸통(2)의 하측에 배치되는 반원형 단면의 하부몸통(3)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통(2)의 개구된 바닥면과 하부몸통(3)의 개구된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접합테두리(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이몸통(1)을 이루는 상부몸통(2)과 하부몸통(3)의 소재는 가볍고 해수에 대한 내부식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가 적용되더라도 무방하지만,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상부몸통(2)과 하부몸통(3)을 손쉽고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PE) 소재, 예를 들어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각의 결속홈부(6)는 접합테두리(4)를 포함하는 상부몸통(2)과 하부몸통(3)에 걸쳐 대응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열융착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상부몸통(2)과 하부몸통(3)의 접합테두리(4)를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의 수단으로 연결시키는 방식도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접합테두리(4)간의 연결부 사이에 수밀용(水密用) 팩킹, 예를 들어 사각 형태의 밀폐링을 개재시킴으로서, 부이몸통(1)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하나의 상부몸통(2)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치수, 즉 접합테두리(4)를 제외한 내부공간의 부피가 서로 다른 하부몸통(3)을 적용시키게 되면, 다양한 부력을 가지는 부이몸통(1)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상부몸통(2)은 단일 종류로 하고, 하부몸통(3)만을 여러 가지 종류로 하여 부이몸통(1)의 제작에 필요한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하부몸통(3)끼리는 치수별로 서로 포개어 놓을 수 있기 때문에 그 보관에 필요한 부피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상기 부이몸통(1)의 상단면에 착탈식 마개(8)가 조립되는 주입구(7)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서, 필요시 부이몸통(1)의 내부로 소정량의 해수 또는 담수를 부력조정용으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착탈식 마개(8)와 주입구(7)와의 체결부 사이에도 수밀용 밀폐링 등이 개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주입구(7)가 설치되는 부이몸통(1)의 상단면 부분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요홈부(9)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착탈식 마개(8)가 조립된 주입구(7) 부분이 발판의 기능을 제공하는 부이몸통(1)의 상단면을 통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요홈부(9)의 직경(면적)과 깊이는 작업자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부이몸통(1)의 치수를 고려하여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량부자(10)를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을 구축하는 것은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그물의 설치와 수산생물의 관리에 필요한 공간 및 통로를 제공하도록 본 발명의 개량부자(10)를 베이스로 하여 한 쌍의 발판튜브(11)를 교차식으로 연결시키되, 부이몸통(1)의 상부면 양측단에 형성된 장착홈부(5)상에 발판튜브(11)를 각각 맞대어 위치시킨 다음, 부이몸통(1)의 결속홈부(6)를 따라 결속로프(12)를 감아들임으로서 부이몸통(1)과 발판튜브(11)를 견고하게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한 쌍의 발판튜브(11)가 본 발명의 개량부자(10)를 베이스로 하여 개략 "田" 형태로 교차 연결된 발판구조물(13)을 구축할 수 있고, 가두리그물(미도시)은 내측 발판튜브(11)에 의하여 에워싸인 사각형 공간의 내주면상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며, 도면상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발판튜브(11)가 메인프레임으로 적용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사각 파이프 또는 사각 막대 형상의 메인프레임이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발판튜브(11) 즉, 메인프레임 역시 앞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은 폴리에틸렌 소재를 사용함으로서, 부이몸통(1)과 메인프레임의 결속작업 및 메인프레임간의 교차식 연결작업에도 열융착 방식을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이몸통(1)과 메인프레임간의 열융착 작업은 결속로프(12)를 이용한 주된 결속작업 이전의 일차적인 가고정 작업으로 해석하는 것이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개량부자(10)를 이용하여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13)을 구축하게 되면, 부이몸통(1)의 상부면 양측단에 형성된 장착홈부(5)상에 메인프레임으로서의 발판튜브(11)를 안정적인 자세로 정확하게 맞대어 놓은 다음, 결속로프(12)를 이용한 부이몸통(1)과 발판튜브(11)의 결속작업을 결속홈부(6)를 따라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장착홈부(5)를 제외한 부이몸통(1)의 상단면이 발판튜브(11)의 상단면과 동일 선상 또는 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방식을 통하여, 부이몸통(1)의 평평한 상단면 부분이 작업자용 발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토록 할 수 있으며, 부이몸통(1) 상단면의 결속홈부(6)를 따라 감겨진 결속로프(12) 부분이 미끄럼 방지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부이몸통(1)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발판튜브(11)를 따라 발판프레임(미도시)을 조립시키는 방식으로 발판프레임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발판튜브(11)를 따라 발판프레임을 별도로 조립시키지 않더라도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13)의 구축이 충분히 가능하게 됨으로서, 기존의 경우보다 한층 더 견고한 발판구조물(13)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단기간에 제작이 가능하며, 발판구조물(13)의 전체적인 하중을 줄여 육상에서의 제작 후 수상으로의 운반작업 역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주입구(7)를 통하여 부이몸통(1)의 내부로 소정량의 해수 또는 담수를 주입시키는 방식으로 기설치된 발판구조물(13)의 불필요한 구조적 변경, 다시 말해서 발판튜브(11)로부터 몇 개의 부자를 떼어냄에 따라 시설강도와 사용수명을 저하시키는 수준의 변경없이 발판구조물(13)의 자체 부력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낮추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각종 변동상황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발판구조물(13)의 계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파랑 등에 의한 가두리 양식장의 파손 및 양식대상물의 대량 유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 : 부이몸통 2 : 상부몸통 3 : 하부몸통
4 : 접합테두리 5 : 장착홈부 6 : 결속홈부
7 : 주입구 8 : 마개 9 : 요홈부
10 : 개량부자 11 : 발판튜브 12 : 결속로프
13 : 발판구조물

Claims (2)

  1. 소정의 부력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부자에 있어서,
    상기 부자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제작되는 부이몸통(1)과, 상기 부이몸통(1)의 상부면 양측단에서 부이몸통(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발판튜브(11) 안착용 장착홈부(5)와, 상기 발판튜브(11)를 결속로프(12)에 의하여 부이몸통(1)과 결속시켜 놓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이몸통(1)의 둘레 방향에 걸쳐 오목하게 형성되는 최소 2개 이상의 결속홈부(6)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부이몸통(1)은 장착홈부(5)를 제외한 나머지 상단면 부분이 발판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凸"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몸통(2)과, 상기 상부몸통(2)의 하측에 배치되는 반원형 단면의 하부몸통(3)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통(2)의 개구된 바닥면과 하부몸통(3)의 개구된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접합테두리(4)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결속홈부(6)는 접합테두리(4)를 포함하는 상부몸통(2)과 하부몸통(3)에 걸쳐 대응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통(2)의 상단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요홈부(9)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9)에는 착탈식 마개(8)가 조립되는 주입구(7)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KR1020160083643A 2016-07-01 2016-07-01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KR20180003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643A KR20180003896A (ko) 2016-07-01 2016-07-01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643A KR20180003896A (ko) 2016-07-01 2016-07-01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896A true KR20180003896A (ko) 2018-01-10

Family

ID=6099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643A KR20180003896A (ko) 2016-07-01 2016-07-01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89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4593A (zh) * 2018-05-29 2018-10-23 广东联塑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养殖网箱用钢塑支架
KR102135016B1 (ko) * 2019-06-19 2020-07-16 주식회사 데코미테크 단일 부표 및 이들을 연결한 연결 부표
KR20210020415A (ko) * 2019-08-14 2021-02-24 주창혁 양식장용 부유 구조물
KR102247069B1 (ko) 2020-01-23 2021-05-04 신우케미칼 주식회사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
KR102408446B1 (ko) * 2021-12-31 2022-06-10 김홍진 바람저항 저감형 기능성 해조류 양식용 부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4593A (zh) * 2018-05-29 2018-10-23 广东联塑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养殖网箱用钢塑支架
KR102135016B1 (ko) * 2019-06-19 2020-07-16 주식회사 데코미테크 단일 부표 및 이들을 연결한 연결 부표
KR20210020415A (ko) * 2019-08-14 2021-02-24 주창혁 양식장용 부유 구조물
KR102247069B1 (ko) 2020-01-23 2021-05-04 신우케미칼 주식회사 별도의 구조물이 삽입된 형태를 갖는 부자
KR102408446B1 (ko) * 2021-12-31 2022-06-10 김홍진 바람저항 저감형 기능성 해조류 양식용 부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3896A (ko)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KR101471014B1 (ko) 해상 부유구조물용 부력파이프 연결소켓
US7845300B1 (en) Modular floating marine dock
NO20111704A1 (no) Flyteelement og framgangsmate for a tildanne et oppdriftssystem
KR20110090528A (ko) 플로트 및 부속물 조립구조
KR102502935B1 (ko)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KR101387581B1 (ko) 길이 조절식 부자
KR101651819B1 (ko) 다수의 유닛을 연결한 조립식 폰툰
US20210355643A1 (en) Easily-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having artificial fish reef function
KR101040014B1 (ko) 조립형 부구
KR200455681Y1 (ko) 부유체 롤링피칭 제어 브라켓
EP2967005A1 (en) Aquaculture containment pen
CN105830975A (zh) 一种人工构建的海底鱼礁
JP2007001357A (ja) 浮体構造物
KR101913080B1 (ko) 김 양식용 부구
KR200403270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양구조체
KR20150046416A (ko) 개선된 부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05101U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KR20120058475A (ko)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KR102495544B1 (ko) 친환경 김발용 부표시스템
KR101761072B1 (ko) 가두리 양식장용 발판
KR102273223B1 (ko) 조립이 간편한 부력조립체
US9796457B2 (en) Buoyant element
KR20120007987U (ko) 양식장용 플로트
KR102180978B1 (ko) 외해 수중 가두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