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080B1 - 김 양식용 부구 - Google Patents
김 양식용 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3080B1 KR101913080B1 KR1020180068028A KR20180068028A KR101913080B1 KR 101913080 B1 KR101913080 B1 KR 101913080B1 KR 1020180068028 A KR1020180068028 A KR 1020180068028A KR 20180068028 A KR20180068028 A KR 20180068028A KR 101913080 B1 KR101913080 B1 KR 1019130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rope
- nut
- fastening
- fit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 Y02A40/8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의 일종인 김을 양식하는데 사용되는 부구체와 간답대 및 김발연결구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되어 그 결합된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부구체와 간답대, 그리고 부구체에 끼워져 결합된 간답대와 김발연결구가 체결너트에 의해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너트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가 락킹수단에 의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조류의 일종인 김을 양식하는데 사용되는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력을 지니도록 형성된 부구체에 간답대의 양측에 끼워 용이하면서도 긴밀하게 결합하고, 부구체와 결합된 간답대의 끝단부에는 김 양식용 그물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로프가 결속되는 김발연결구를 용이하고 긴밀하게 결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합된 상태가 풀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유지되어 거센 풍랑이나 그물을 뒤집는 과정은 물론 배가 부딪히는 등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김은 밀물 때 잠기고 썰물 때 드러나는 조간대의 상층부에서 자라는 생물로써, 이를 위해 부류식으로 김 양식을 하는 어민들은 부구와 연결된 김발로프를 뒤집어 하루 2회씩 수면 위의 햇볕에 노출되도록 하고 있다.
만약, 김발로프를 뒤집지 않거나 뒤집더라도 수면 위에서 햇볕에 제대로 노출되지 못하게 되면, 잡해조류 및 갯병균 등에 의해 김이 폐사하는 등의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김발로프가 해수면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김발로프를 뒤집었을 때 김발로프에서 자라는 김이 햇볕에 잘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김 양식을 위해서는 수면위에 부상되는 부구와, 이 부구들에 설치되어 부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답대와, 부구 또는 간답대에 설치되는 김발로프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부구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해수면 위에 부상된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는 있었으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부스러지는 문제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부스러진 스티로폼 알갱이를 삼킨 어류들이 폐사하는 문제로 인해 해양생태계가 위협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간답대는 가벼우면서도 쉽게 부러지지 않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나무만을 사용하였으나, 햇볕에 노출 및 바닷물에 잠긴 상태로 있게 되는 대나무의 사용수명을 더 늘리고자 대나무의 외면에 수지 재질의 시트를 씌운 것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나무가 썩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될 때마다 교체해주야 하기 때문에, 간답대의 구매는 물론 재설치 등의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뿐 아니라, 대나무로 이루어진 간답대를 부구에 설치하기 위해서나, 김발로프를 간답대 또는 부구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로프(rope)를 이용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묶어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작업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작업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인건비가 늘어나더라도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함에 따라, 김 양식을 위한 일련의 과정들은 김 양식 어민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게 하는 부분으로 작용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부구 및 간답대를 제조하여 제품의 사용수명이 늘어나도록 하였으며, 부구와 간답대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결합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725072호에는 부력체로 이루어진 부자(이하 '부구'로 기재함)의 일측에 관통삽입구를 구비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거치대에는 결합부에 대해 진퇴되지 않도록 복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관통삽입구에 결속부재를 끼운 상태로 부구와 거치대를 결속하여 상호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김 양식용 그물의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등록특허 기술은 로프 등의 결속부재를 이용해 부구와 거치대를 고정하는 것으로, 작업의 효율성이나 편의성을 개선시키지 못해 여전히 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744479호에는 부구의 일측에 간답대조립홀더를 일체로 형성하고, 간답대의 끝단부에는 상기의 간답대조립홀더에 끼워질 수 있는 수평탄성절개홈과 체결장너트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를 외주면에 형성하여 간답대를 간답대조립홀더에 끼운 상태에서 체결장너트를 이용해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 김양식용 부구체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간답대의 외주면 일측이 절개되어 간답대조립홀더에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구와 간답대의 견고한 결속을 위해 체결장너트를 강하게 결합하는 경우에는 간답대조립홀더의 일측 끝단면과 수평탄성절개홈이 지지되는 부분에 가해지는 강한 압력으로 인해 탄성절개홈과 간답대조립홀더의 결합면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이는 해수면의 출렁임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부구와 간답대의 결합이 느슨해져, 부구와 간답대의 결합면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훼손되는 것은 물론 부구와 간답대가 서로 분리되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볍고 내구성이 강하며 지속적으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부력체를 제조하고, 이러한 부구체를 간답대의 양측에 끼워 체결너트로 용이하게 결합함은 물론 결합된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부구체와 결합된 상태의 간답대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김발연결구 역시 체결너트로 용이하고 긴밀하게 결합하여, 부구체와 간답대는 물론 간답대와 김발연결구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통체 형상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간답대가 끼워지는 간답대끼움부가 나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간답대끼움부의 양 끝단에는 상기 간답대가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내부에 간답대끼움홀이 마련된 부구체고정부가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부구체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부구체고정나사산이 형성된 부구체와, 상기 간답대의 양 끝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내부에는 간답대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부구체를 향하는 측에는 외주면에 연결구고정나사산이 구비된 연결구고정부가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는 연결로프의 양 끝단부가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결속되어 외주면 양측에서 고리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로프결속홀이 관통되게 형성된 김발연결구와, 상기 부구체고정나사산과 연결구고정나사산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부구체와 김발연결구가 간답대에 긴밀히 고정되도록 상기 부구체고정부와 연결구고정부를 간답대 측으로 가압하는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너트가 부구체고정부와 연결구고정부 각각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잠겨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상기 부구체고정부와 연결구고정부 및 체결너트에 형성된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락킹수단은 상기 부구체고정나사산과 연결구고정나사산을 각각 축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만큼 절개시켜 상기 부구체고정부의 끝단과 연결구고정부의 끝단 각각에 복수개로 형성시킨 가압결속부와, 상기 가압결속부의 끝단에 사선을 이루며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걸림편과, 상기 부구체고정나사산과 연결구고정나사산 각각에 상기 체결너트의 결합이 완료되는 시기에 이르렀을 때 상기 걸림편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체결너트의 후미에 돌출되게 형성시킨 락킹돌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김발연결구의 내부에는 상기 간답대삽입홀을 통해 끼워진 간답대의 끝단이 상기 로프결속홀에 이르기 전에 걸려 지지되도록 단턱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김발연결구는 로프결속홀에 끼워져 결속된 연결로프가 김발연결구의 양측에 고리 형상을 이뤄 김 양식용 그물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김발로프와 연결 가능하면서도 상기 연결로프가 김발연결구의 끝단을 벗어나지 않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는 부력을 지니도록 형성된 부구체에 간답대를 끼워 체결너트로 긴밀히 고정되게 결합함으로써 부구체와 간답대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부구체와 결합된 간답대의 끝단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김발연결구 역시 상기의 체결너트를 이용해 긴밀히 고정되게 결합함으로써 간답대와 김발연결구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김발연결구에 결속되는 연결로프에 김 양식용 그물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김발로프를 연결하여 양식을 하는 과정에서, 거센 풍랑이 발생하거나 김 양식용 그물을 뒤집을 때는 물론 배가 부딪히는 등의 이유로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부구체와 간답대 및 김발연결구의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구성품의 유실 방지와 함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체 및 김발연결구에 간답대가 끼워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김발연결구에 결속된 연결로프에 김발로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 (a)는 부구체고정부와 체결너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는 부구체고정부와 체결너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 (a)는 연결구고정부와 체결너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는 연결구고정부와 체결너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발연결구에 끼워진 간답대의 끝단부가 단턱부에 지지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체 및 김발연결구에 간답대가 끼워져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김발연결구에 결속된 연결로프에 김발로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 (a)는 부구체고정부와 체결너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는 부구체고정부와 체결너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것으로, (a)는 연결구고정부와 체결너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는 연결구고정부와 체결너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발연결구에 끼워진 간답대의 끝단부가 단턱부에 지지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10)는 크게 부구체(100), 간답대(200), 김발고정구(300) 및 체결너트(400)로 구성되고, 부구체(100)와 간답대(200)의 견고한 결합 및 간답대(200)와 김발고정구(300)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락킹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부구체(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체 형상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부구체(100)의 일측에는 둘 이상의 간답대(200)가 서로 이격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간답대끼움부(110)가 서로 나열되어 형성되고, 이 간답대끼움부(110)의 양 끝단에는 간답대(200)가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내부에 간답대끼움홀(121)이 마련된 부구체고정부(120)가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이 부구체고정부(12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체결너트(40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부구체고정나사산(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부구체(100)의 외면에는 강도를 향상시키고, 온도나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리브(130)가 종·횡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구체(100)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게 형성하여 열 접착을 통해 일체가 되게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부구체(100) 전체를 분리된 것이 아닌 하나의 통체로 형성시켜 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간답대끼움부(110)는 부구체(100)에 간답대(2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첨부한 도면과 같이 간답대끼움부(110)에 끼워진 간답대(200)가 부구체(100)에 안착된 상태로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간답대끼움부(110)를 부구체(100)의 일측에 관통되게 형성시켜 간답대끼움부(110)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간답대(2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아울러 부구체고정부(120)는 간답대끼움부(110)에서 부구체고정부(120)의 끝단부 쪽으로 갈수록 간답대끼움홀(121)의 내경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하고, 끝단부를 축방향으로 복수개 절개시켜 이 절개된 영역만큼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간답대끼움홀(121)에 간답대(200)를 끼운 후 후술할 체결너트(400)를 결합하기 이전 상태에서도 간답대끼움홀(121)의 끝단부 내주면이 간답대(200)의 외주면에 고루 접촉된 상태에서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너트(400)를 부구체고정부(120)에 결합하였을 때에는 상호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가압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간답대(200)는 수지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간답대(20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Carbon) 성분이 포함된 것일 수 있고, 간답대(200)와 간답대끼움부(110) 및 후술할 김발연결구(300)의 결합면이 밀착되어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외주면에 수지재질의 시트(Sheet)가 피복된 것일 수 있으며, 이때의 시트는 간답대(200)가 간답대끼움홀(121) 및 후술할 간답대삽입홀(310)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띠 형상 또는 나선 형상을 이루도록 피복된 것일 수 있다.
상기의 김발연결구(300)는 부구체(100)와 결합된 간답대(200)의 양 끝단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김발연결구(300)는 김 양식용 그물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김발로프(600)를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10)와 김발로프(600)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발연결구(300)의 내부에는 간답대(200)가 끼워지는 간답대삽입홀(310)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 김발연결구(300)를 간답대(200)의 끝단부에 설치하였을 때 부구체(100)를 향하는 측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체결너트(40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구고정나사산(321)이 구비된 연결구고정부(320)가 형성되며, 김발연결구(300)의 외주면 양측에는 연결로프(L)의 양 끝단부가 김발연결구(300)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결속되도록 로프결속홀(330)이 관통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구고정부(320)는 상기한 부구체고정부(120)와 마찬가지로, 간답대삽입홀(310)의 내경을 연결구고정나사산(321)이 형성된 측의 끝단부 쪽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시키고, 간답대삽입홀(310)의 끝단부를 축방향으로 복수개 절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간답대(200)에 김발연결구(300)를 끼운 후 후술할 체결너트(400)를 결합하기 이전 상태에서도 간답대삽입홀(310)의 끝단부 내주면이 간답대(200)의 외주면에 고루 접촉된 상태로 간답대(200)를 가압하게 되어 김발연결구(300)가 쉽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결구고정부(320)에 체결너트(400)의 체결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상호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연결로프(L)는 로프결속홀(330)을 통해 김발연결구(300)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김발연결구(30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면서 김발연결구(300)의 외주면 양측에서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결속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로프(L)는 상기의 김발로프(600)가 고리 형상을 이루는 부분에 끼워져 김 양식용 부구(10)와 김 양식용 그물이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결로프(L)와 김발로프(600)가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김발연결구(300)는 연결로프(L)가 김발연결구(30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고리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부구체(100)를 향하는 측에 반대되는 측의 끝단을 벗어나지 않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체결너트(400)는 부구체고정나사산(122)과 연결구고정나사산(320)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부구체고정부(120)와 연결구고정부(320)를 각각 간답대(20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부구체(100)와 간답대(200), 그리고 간답대(200)와 김발연결구(300)가 각각 상호 간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체결너트(400)는 부구체(100)와 간답대(200)를 고정시키기 위해 부구체고정나사산(122)에 결합되는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간답대(200)의 끝단부에 끼워지는 김발연결구(300)를 간답대(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김발연결구(300)에 앞서 간답대(200)에 미리 끼워져 연결구고정나사산(320)에 결합되는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고자 체결너트(400)를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로 구분한 것으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해서는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져 결합대상물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부구체고정부(120)와 연결구고정부(320)에는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가 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플랜지(Flange)와 같은 돌출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가 부구체고정부(120)와 연결구고정부(320)에 형성된 경우에는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에도 마찬가지로 돌출부를 형성시켜 체결완료시 접촉면이 증대되어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락킹수단(500)은 서두에 설명하였다시피 부구체(100)와 간답대(200), 그리고 간답대(200)와 김발고정구(300)가 상호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부구체고정부(120), 연결구고정부(320),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 및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 각각에 형성시켜 부구체고정부(120)와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 그리고 연결구고정부(32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가 각각 나사결합된 상태로 잠겨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락킹수단(500)은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를 이용한 나사결합이 완료되면 그 상태로 잠궈지도록 하는 것으로써, 나사결합이 되는 후방에서 잠금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방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락킹수단(500)은 나사결합이 되는 후방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이 체결되는 후미와 부구체고정부(120)의 끝단부, 그리고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이 체결되는 후미와 연결구고정부(320)의 끝단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돌기로 이루어지거나, 부구체고정부(120), 연결구고정부(320),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 및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 각각에 플랜지와 같은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나사결합이 되는 전방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돌출부가 상호 접촉되는 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와 다른 하나에 상기의 돌기가 지지되도록 형성된 지지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락킹수단(500)은 나사결합이 되는 후방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이 체결되는 후미와 부구체고정부(120)의 끝단부, 그리고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이 체결되는 후미와 연결구고정부(320)의 끝단부에 각각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돌기로 이루어지거나, 부구체고정부(120), 연결구고정부(320),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 및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 각각에 플랜지와 같은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나사결합이 되는 전방에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돌출부가 상호 접촉되는 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기와 다른 하나에 상기의 돌기가 지지되도록 형성된 지지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김 양식용 부구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10)는 수지재질로 형성된 것일 뿐 아니라, 부구체(100)의 내부는 속이 빈 통체로 형성하여 부력을 지닐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무게가 가벼움에 따라 바다에 설치하거나 철거할 때에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구체(100) 및 김발연결구(300)가 결합되는 간답대(200) 역시 높은 강도와 탄성을 지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염분에 의한 부식이나 미생물에 의한 부패의 방지는 물론 강한 외력에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10)를 결합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부구체(100)에 형성된 간답대끼움부(110)와 부구체고정부(120)를 통해 간답대(200)를 끼워넣은 후, 부구체고정나사산(122)에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를 결속하면 부구체고정부(120)에 의해 간답대(200)의 외면이 가압되어 부구체(100)와 간답대(2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후 간답대(200)의 양측에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를 끼워넣은 다음에 간답대(200)의 양 끝단부에 연결구고정부(320)가 부구체(100)를 향하도록 김발연결구(300)를 끼워넣고, 연결구고정나사산(321)에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를 결속하면 연결구고정부(320)가 간답대의 외면을 가압한 상태로 간답대(200)와 김발연결구(3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부구체고정부(120)와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는 물론 연결구고정부(32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의 나사결합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락킹수단(500)에 의해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가 결합된 상태로 잠겨 임의로 풀리지 않게 되므로, 부구체(100)와 간답대(200) 그리고 간답대(200)와 김발연결구(30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10)는 부구체(100)와 간답대(200) 및 김발연결구(300)가 상호 끼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끼워진 상태에서는 체결너트(400)에 의한 나사결합을 통해 상호 긴밀한 결합이 가능하며, 체결너트(40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락킹수단(500)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잠겨 체결너트(400)가 임의로 풀리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김 양식용 부구(10)를 조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은 현저히 줄이고, 작업 능률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게다가, 김 양식용 부구(10)를 바다에 설치하고 난 이후 해수면이 출렁일 때나, 김 양식용 그물이 햇볕에 노출되거나 해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반복해서 뒤집을 때는 물론,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부구체(100)와 간답대(200) 결합상태 및 간답대(200)와 김발연결구(300)의 결합상태가 상호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김 양식용 부구(10)의 구성품이 유실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킹수단(500)은 부구체고정나사산(122)이 형성된 부구체고정부(120)의 끝단부와 연결구고정나사산(320)이 형성된 연결구고정부(320)의 끝단에 톱니 형상과 같이 사선을 이루며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걸림편(510)과, 부구체고정나사산(122)과 연결구고정나사산(322) 각각에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의 걸림편(510)에 걸려 지지되도록 체결너트(400)의 후미에 돌출되게 형성시킨 락킹돌기(530)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락킹수단(500)을 걸림편(510)과 락킹돌기(530)으로 구성함에 따라,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가 부구체고정부(120)와 연결구고정부(320)에 결합이 완료되는 시기에 이르렀을 때부터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질때까지 락킹돌기(530)가 복수개의 걸림편(510)에 순차적으로 걸려 고정됨에 따라,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물론 체결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체결이 완료된 상태의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를 부구체고정부(120)와 연결구고정부(3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파이프렌치나 스패너 등과 같은 수공구를 이용해 체결된 상태를 강제로 해제시킬 수 있는데, 이때에는 걸림편(510)에 비해 접촉면적이 좁고 두께가 얇은 락킹돌기(520)가 부러짐에 따라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후에는 새로운 부구체결속체결너트(410)와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를 사용해 다시 체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김발연결구(300)의 내부에는 간답대삽입홀(310)을 통해 끼워진 간답대(200)의 끝단이 상기 로프결속홀(330)에 이르기 전에 걸려 지지되도록 단턱부(34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턱부(340)는 연결구결속체결너트(420)를 연결구고정부(320)에 체결하였을 때 김발연결구(300)에 간답대(200)가 끼워진 부분을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잡아주어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고, 간답대(200)의 끝단부가 김발연결구(300)에 일정한 위치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의 편의성과 함께 제품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간답대(200)와 김발연결구(300)를 결합하고 난 이후 로프결속홀(330)이 간답대(200)에 의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김발연결구(300)에 연결로프(L)를 결속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는 부력을 지니도록 형성된 부구체에 간답대를 끼워 체결너트로 긴밀히 고정되게 결합함으로써 부구체와 간답대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부구체와 결합된 간답대의 끝단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김발연결구 역시 상기의 체결너트를 이용해 긴밀히 고정되게 결합함으로써 간답대와 김발연결구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김발연결구에 결속되는 연결로프에 김 양식용 그물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김발로프를 연결하여 양식을 하는 과정에서, 거센 풍랑이 발생하거나 김 양식용 그물을 뒤집을 때는 물론 배가 부딪히는 등의 이유로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부구체와 간답대 및 김발연결구의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분실된 물품의 재구매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0 : 김 양식용 부구
100 : 부구체 110 : 간답대끼움부
120 : 부구체고정부 121 : 간답대끼움홀
122 : 부구체고정나사산 130 : 보강리브
200 : 간답대
300 : 김발연결구 310 : 간답대삽입홀
320 : 연결구고정부 321 : 연결구고정나사산
330 : 로프결속홀 340 : 단턱부
400 : 체결너트 410 : 부구체결속체결너트
420 : 연결구결속체결너트
500 : 락킹수단 510 : 걸림편
520 : 락킹돌기
600 : 김발로프
100 : 부구체 110 : 간답대끼움부
120 : 부구체고정부 121 : 간답대끼움홀
122 : 부구체고정나사산 130 : 보강리브
200 : 간답대
300 : 김발연결구 310 : 간답대삽입홀
320 : 연결구고정부 321 : 연결구고정나사산
330 : 로프결속홀 340 : 단턱부
400 : 체결너트 410 : 부구체결속체결너트
420 : 연결구결속체결너트
500 : 락킹수단 510 : 걸림편
520 : 락킹돌기
600 : 김발로프
Claims (4)
- 내부가 비어있는 통체 형상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간답대(200)가 끼워지는 간답대끼움부(110)가 나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간답대끼움부(110)의 양 끝단에는 상기 간답대(200)가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내부에 간답대끼움홀(121)이 마련된 부구체고정부(120)가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부구체고정부(120)의 외주면에는 부구체고정나사산(122)이 형성된 부구체(100);
상기 간답대(200)의 양 끝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내부에는 간답대삽입홀(310)이 형성되고, 상기 부구체(100)를 향하는 측에는 외주면에 연결구고정나사산(321)이 구비된 연결구고정부(320)가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는 연결로프(L)의 양 끝단부가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결속되어 외주면 양측에서 고리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로프결속홀(330)이 관통되게 형성된 김발연결구(300);
상기 부구체고정나사산(122)과 연결구고정나사산(320)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부구체(100)와 김발연결구(300)가 간답대(200)에 긴밀히 고정되도록 상기 부구체고정부(120)와 연결구고정부(320)를 간답대(200) 측으로 가압하는 체결너트(400);
상기 체결너트(400)가 부구체고정부(120)와 연결구고정부(320) 각각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잠겨 임의로 풀리지 않도록 상기 부구체고정부(120)와 연결구고정부(320) 및 체결너트(400) 각각에 형성된 락킹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500)은 상기 부구체고정부(120)의 끝단과 연결구고정부(320)의 각각의 끝단에 사선을 이루며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걸림편(510)과, 상기 부구체고정나사산(122)과 연결구고정나사산(320) 각각에 상기 체결너트(40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걸림편(510)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체결너트(400)의 후미에 돌출되게 형성시킨 락킹돌기(5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발연결구(300)의 내부에는 상기 간답대삽입홀(310)을 통해 끼워진 간답대(200)의 끝단이 상기 로프결속홀(330)에 이르기 전에 걸려 지지되도록 단턱부(3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발연결구(300)는 로프결속홀(330)에 끼워져 결속된 연결로프(L)가 김발연결구(300)의 양측에 고리 형상을 이뤄 김 양식용 그물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김발로프(600)와 연결 가능하면서도 상기 연결로프(L)가 김발연결구(300)의 끝단을 벗어나지 않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8028A KR101913080B1 (ko) | 2018-06-14 | 2018-06-14 | 김 양식용 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8028A KR101913080B1 (ko) | 2018-06-14 | 2018-06-14 | 김 양식용 부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3080B1 true KR101913080B1 (ko) | 2018-10-29 |
Family
ID=6410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8028A KR101913080B1 (ko) | 2018-06-14 | 2018-06-14 | 김 양식용 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308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724B1 (ko) * | 2019-05-08 | 2020-07-24 | 주식회사 피닉스 | 김 양식용 부구 |
KR20220140662A (ko) * | 2021-04-10 | 2022-10-18 | 최태현 | 해조류 서식에 적합한 양식용 부표 |
KR102511946B1 (ko) * | 2022-07-19 | 2023-03-17 | 박상현 | 김 양식용 부구 조립체 |
-
2018
- 2018-06-14 KR KR1020180068028A patent/KR10191308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724B1 (ko) * | 2019-05-08 | 2020-07-24 | 주식회사 피닉스 | 김 양식용 부구 |
KR20220140662A (ko) * | 2021-04-10 | 2022-10-18 | 최태현 | 해조류 서식에 적합한 양식용 부표 |
KR102466533B1 (ko) | 2021-04-10 | 2022-11-10 | 최태현 | 해조류 서식에 적합한 양식용 부표 |
KR102511946B1 (ko) * | 2022-07-19 | 2023-03-17 | 박상현 | 김 양식용 부구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3080B1 (ko) | 김 양식용 부구 | |
KR101978460B1 (ko) | 공기 가압식 알루미늄 부자 | |
US5330378A (en) | Float for ropes | |
NO334669B1 (no) | Flyteelement og framgangsmåte for å tildanne et oppdriftssystem | |
KR102137724B1 (ko) | 김 양식용 부구 | |
US11819094B2 (en) | Swivel lock quick release device | |
KR20190029048A (ko) | 김 양식용 부구 | |
KR20180003896A (ko) | 가두리 양식장용 개량부자 | |
KR20200102254A (ko) | 공기출입이 가능한 부표 | |
KR200485988Y1 (ko) | 김 양식용 부구 | |
CN104429891B (zh) | 一种藻基集中投放装置 | |
KR102511946B1 (ko) | 김 양식용 부구 조립체 | |
KR102322875B1 (ko) |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 |
CN216874530U (zh) | 深海组装式网箱的防蚀结构 | |
KR100577282B1 (ko) | 가두리 양식장용 결속장치 | |
CA3063677A1 (en) | Buoy comprising light weight armature for weight transfer | |
CN208434558U (zh) | 海上养殖网箱连接固定的缓冲器 | |
KR20010107332A (ko) | 가두리 양식장의 구조물 설치구조 | |
CN219812911U (zh) | 一种环保型板式海上养殖用塑胶渔排 | |
KR200389768Y1 (ko) | 새로운 형상 구조의 가두리 양식장용 결속장치 | |
KR20200048514A (ko) | 어구 로프에 결합된 부력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착 탈 커플링 시스템 | |
KR20170070674A (ko) | 수심유지용 부력장치 | |
KR102302344B1 (ko) | 결합형 부표 | |
KR20180130283A (ko) | 김 양식용 부표 | |
KR102590044B1 (ko) | 선박 블록용 해수 오염 방지 천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막의 설치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