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724B1 - 김 양식용 부구 - Google Patents

김 양식용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724B1
KR102137724B1 KR1020190053489A KR20190053489A KR102137724B1 KR 102137724 B1 KR102137724 B1 KR 102137724B1 KR 1020190053489 A KR1020190053489 A KR 1020190053489A KR 20190053489 A KR20190053489 A KR 20190053489A KR 102137724 B1 KR102137724 B1 KR 102137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stitial
net
interrogator
rope
l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닉스
Priority to KR102019005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의 일종인 김을 양식하는데 사용하기 위해서, 부력을 지니도록 형성된 부구체의 양측에 간답대를 끼워 상호 간에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김 양식용 그물이 부구체에 걸려 손상되거나 부구체에 의해 제대로 번식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구체의 외면에 미생물이나 오염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가 비어있는 통체 형상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막대 형상의 간답대(200)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내부에 간답대끼움홀(111)이 마련된 간답대끼움부(110)를 형성시켜 된 부구체(100)와, 상기 간답대끼움부(110)의 상측을 덮도록 상기 부구체(100)의 일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김 양식이 이루어지는 동안 김 양식용 그물이 상기 부구체(1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간답대끼움부(1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그물걸림방지구(300)와, 상기 간답대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어 김 양식용 그물의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김발로프를 긴밀히 고정시키는 김발연결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 양식용 부구{FLOAT FOR LAVER FARMING}
본 발명은 해조류의 일종인 김을 양식하는데 사용되는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력을 지니도록 형성된 부구체의 양측에 간답대를 끼워 상호 간에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김 양식용 그물이 부구체에 걸려 손상되거나 부구체에 의해 제대로 번식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구체의 외면에 미생물이나 오염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김은 밀물 때 잠기고 썰물 때 드러나는 조간대의 상층부에서 자라는 생물로써, 이를 위해 부류식으로 김 양식을 하는 어민들은 부구와 연결된 김발로프를 뒤집어 하루 2회씩 수면 위의 햇볕에 노출되도록 하고 있다.
만약, 김발로프를 뒤집지 않거나 뒤집더라도 수면 위에서 햇볕에 제대로 노출되지 못하게 되면, 잡해조류 및 갯병균 등에 의해 김이 폐사하는 등의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김발로프가 해수면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김발로프를 뒤집었을 때 김발로프에서 자라는 김이 햇볕에 잘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김 양식을 위해서는 수면위에 부상되는 부구와, 이 부구들에 설치되어 부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답대와, 부구 또는 간답대에 설치되는 김발로프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부구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해수면 위에 부상된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는 있었으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부스러지는 문제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부스러진 스티로폼 알갱이를 삼킨 어류들이 폐사하는 문제로 인해 해양생태계가 위협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간답대는 가벼우면서도 쉽게 부러지지 않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나무만을 사용하였으나, 햇볕에 노출 및 바닷물에 잠긴 상태로 있게 되는 대나무의 사용수명을 더 늘리고자 대나무의 외면에 수지 재질의 시트를 씌운 것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나무가 썩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될 때마다 교체해주야 하기 때문에, 간답대의 구매는 물론 재설치 등의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뿐 아니라, 대나무로 이루어진 간답대를 부구에 설치하기 위해서나, 김발로프를 간답대 또는 부구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로프(rope)를 이용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묶어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작업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작업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인건비가 늘어나더라도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함에 따라, 김 양식을 위한 일련의 과정들은 김 양식 어민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게 하는 부분으로 작용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부구 및 간답대를 제조하여 제품의 사용수명이 늘어나도록 하였으며, 부구와 간답대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결합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725072호에는 부력체로 이루어진 부자(이하 '부구'로 기재함)의 일측에 관통삽입구를 구비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거치대에는 결합부에 대해 진퇴되지 않도록 복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관통삽입구에 결속부재를 끼운 상태로 부구와 거치대를 결속하여 상호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김 양식용 그물의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등록특허 기술은 로프 등의 결속부재를 이용해 부구와 거치대를 고정하는 것으로, 작업의 효율성이나 편의성을 개선시키지 못해 여전히 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744479호에는 부구의 일측에 간답대조립홀더를 일체로 형성하고, 간답대의 끝단부에는 상기의 간답대조립홀더에 끼워질 수 있는 수평탄성절개홈과 체결장너트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를 외주면에 형성하여 간답대를 간답대조립홀더에 끼운 상태에서 체결장너트를 이용해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 김양식용 부구체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간답대의 외주면 일측이 절개되어 간답대조립홀더에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부구와 간답대의 견고한 결속을 위해 체결장너트를 강하게 결합하는 경우에는 간답대조립홀더의 일측 끝단면과 수평탄성절개홈이 지지되는 부분에 가해지는 강한 압력으로 인해 탄성절개홈과 간답대조립홀더의 결합면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이는 해수면의 출렁임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부구와 간답대의 결합이 느슨해져, 부구와 간답대의 결합면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훼손되는 것은 물론 부구와 간답대가 서로 분리되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지는 원인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지재질로 형성된 대부분의 부구는 간답대가 끼워지는 부분을 외면을 돌출되게 형성시키거나 또는 관통되게 형성시킨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간답대가 끼워지는 부분을 부구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 경우에는 이 부구의 돌출된 부분 또는 간답대와 부구의 결합부위에 김 양식용 그물이 걸려 찢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김 양식용 그물의 보수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투자되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간답대가 끼워지는 부분을 부구에 관통되게 형성시킨 경우에는 김 양식용 그물이 부구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해수의 흐름에 의해 김 양식용 그물과 부구의 표면이 마찰됨에 따라 해당 접촉부위에 김이 번식하지 못하는 문제에 마찰이 발생하여 양식용 김의 생산성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725072호(2017.04.04.등록, 김 양식용 그물의 지지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744479호(2017.06.01.등록, 김양식용 부구체 결합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구체의 무게는 경량화시키는 반면 내구성은 증대시키고 표면에는 미생물이나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며, 부구체에는 간답대를 용이하게 끼워 결합하면서도 상호 견고한 결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구체는 물론 부구체와 간답대의 결합부위에 김 양식용 그물이 걸려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구체와 김 양식용 그물의 접촉부위를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김 양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김 양식용 그물의 양 측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김발로프를 부구체에 결속된 간답대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김 양식용 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통체 형상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막대 형상의 간답대(200)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내부에 간답대끼움홀(111)이 마련된 간답대끼움부(110)를 형성시켜 된 부구체(100)와, 상기 간답대끼움부(1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부구체(100)의 일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김 양식이 이루어지는 동안 김 양식용 그물이 상기 부구체(100)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간답대끼움부(1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그물걸림방지구(300)와, 상기 간답대(200)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어 김 양식용 그물의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김발로프(600)가 연결로프(50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김발연결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답대끼움부(110)는 상기 부구체(100)의 일측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간답대(20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벌어지면서 상호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상기 간답대(200)가 끼워지는 방향을 따라 개구홀(112)을 형성시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물걸림방지구(300)는 양 끝단부에 결속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부구체(100)에는 상기 결속돌기(310)가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상기 결속돌기(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속홈(12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김발연결구(400)는, 상기 간답대(200)가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 간답대삽입홀(410)과, 상기 간답대(200)의 끝단부에 끼워져 체결너트(450)에 의해 결속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구결속부(420)와, 상기 연결구결속부(420)에 축방향으로 하나 이상 절개시켜 형성된 절개부(430)와, 상기 연결구결속부(420)의 후방에 연결로프(500)의 양 끝단부가 내부에 끼워져 결속되도록 로프결속홀(441)이 양측에 형성된 로프결속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로프결속부(440)는 상기 김발연결구(400)의 두께보다 굵은 두께로 형성시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구체(100)는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열융착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외표면은 매끄럽게 형성되며, 내표면에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는 부력체의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시켜 미생물이나 이물질의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구체에 간답대를 끼워 용이하고 결속시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김 양식의 효율성 및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구체에 김 양식용 그물이 걸리거나 접촉된 상태로 양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답대의 양 끝단부와 김 양식용 그물에 연결된 김발로프가 상호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김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은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체에 간답대가 끼워져 결합되는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답대끼움부에 그물걸림방지구가 결합되는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물걸림방지구가 부구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발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발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발연결구에 결속된 연결로프에 김발로프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는 크게 부구체(100), 간답대(200), 그물걸림방지구(300) 및 김발연결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부구체(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체 형상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측에는 막대형상의 간답대(200)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내부에 간답대끼움홀(111)이 마련된 간답대끼움부(110)가 형성된다.
이때의 부구체(100)는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열융착시켜 일체로 형성시키되, 외표면은 매끄럽게 하여 미생물이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표면에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복수개의 보강리브(130)를 형성시켜 해수의 온도 및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간답대끼움부(110)는 부구체(100)에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부구체(100)에 관통되게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이와는 달리 부구체(100)에 함몰되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간답대끼움부(110)는 부구체(100)에 돌출 또는 함몰되게 형성된 경우, 간답대(200)가 끼워지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개가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답대끼움부(110)는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구체(100)의 일측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되, 간답대(200)가 끼워지는 방향을 따라 개구홀(112)을 형성시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간답대끼움부(110)를 부구체(100)의 외표면에 돌출되게 형성시킨 이유는, 간답대끼움부(110)의 외표면이 후술할 그물걸림방지구(300)의 내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어, 그물걸림방지구(300)의 강도와 결합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간답대끼움부(110)에 개구홀(112)을 형성시킨 이유는, 간답대끼움부(110)가 간답대(20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벌어지면서 간답대끼움홀(111)의 내주면이 간답대(20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호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 뿐만 아니라, 간답대(200)의 외경이 간답대끼움홀(111)의 내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더라도 상호 간에 끼움 결합이 가능해짐에 따라 직경 편차에 의한 불량 제품 발생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하나의 부구체(100) 마다 하나의 간답대(200)가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설치의 안정성 증대와 파손 및 변형의 방지를 위해서는 하나의 부구체(100) 마다 두 개의 간답대(200)가 쌍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답대끼움부(110)는 첨부한 도면과 같이 하나의 부구체(100)에 두 개의 간답대(200)가 쌍을 이루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간답대(20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는 두 개의 간답대끼움부(110)가 부구체(100)의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으로써, 이를 통해 하나의 부구체(100)에는 총 네 개의 간답대끼움부(110)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의 간답대(200)는 수지재질로 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Carbon) 성분이 함유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간답대(200)의 외주면에 수지재질의 시트(Sheet)를 피복시켜, 간답대(200)를 간답대끼움홀(111)에 끼워 설치하였을 때 각각의 결합면 즉, 간답대(200)의 외주면과 간답대끼움홀(111)의 내주면이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간답대(200)에 시트를 피복시킬 경우에는 띠 형상 또는 나선 형상을 이루도록 피복하여,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그물걸림방지구(300)는 간답대끼움부(1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부구체(100)의 일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그물걸림방지구(300)는 김 양식이 이루어지는 동안 김 양식용 그물이 부구체(100)의 외표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김 양식용 그물이 간답대끼움부(1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그물걸림방지구(300)는 외표면과 단부면을 매끄럽게 형성하고, 부구체(100)와 접촉되는 면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게 설치하여, 김 양식용 그물이 간답대끼움부(110) 뿐만 아니라 그물걸림방지구(300)에 걸려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물걸림방지구(300)는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끝단부에 결속돌기(310)를 형성시켜 된 것이고, 이러한 결속돌기(310)는 간답대끼움부(110)를 덮어 마감하도록 설치하였을 때 부구체(100)에 형성시킨 결속홈(120)에 수용시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그물걸림방지구(300)에 김 양식용 그물이 걸려 끊어지는 등의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그물걸림방지구(300)가 부구체(100)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그물걸림방지구(300)와 부구체(100)가 결속돌기(310) 및 결속홈(120)을 통해 설치된 경우에는, 결속돌기(310)와 결속홈(120)이 상호 억지 끼움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물걸림방지구(300)가 부구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속돌기(310)와 결속홈(120)의 결합부위에 접착제를 별도로 도포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그물걸림방지구(300)에는 별도의 체결부재(350)를 이용해 그물걸림방지구(300)와 간답대끼움부(110)가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결속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350)는 삽입되는 끝단부가 그물걸림방지구(300)와 간답대끼움부(110)는 물론 간답대(200)에 이르도록 설치하여, 그물걸림방지구(300)와 간답대끼움부(110) 및 간답대(200)가 상호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물걸림방지구(300)와 간답대끼움부(110)가 체결부재(350)를 통해 견고하게 결속시켰을 때 체결부재(350)가 외부에 노출된 경우에는, 그 체결부재(350)의 노출된 부분에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의 그물걸림방지구(300)에 체결부재결속홀(320)을 형성시켜 체결부재(350)로 고정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재(35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물걸림방지구(300)와 간답대끼움부(110)의 결합면 및 그물걸림방지구(300)와 부구체(100)의 결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간에 견고하게 접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김발연결구(400)는 간답대(200)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어 김 양식용 그물의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김발로프(600)가 연결로프(50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결국 김발연결구(4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10)와 김발로프(600)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김 양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발연결구(400)는 간답대삽입홀(410), 연결구결속부(420), 절개부(430) 및 로프결속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간답대삽입홀(410)은 내부에 간답대(2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 것이고, 연결구결속부(420)는 간답대(200)의 끝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체결너트(450)와 나사결합되어 긴밀하게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부구체(100)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측의 끝단부 외주면에 나사산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절개부(430)는 연결구결속부(420)에 축방향으로 하나 이상을 상호 이격되게 절개시켜 형성된 것이고, 로프결속부(440)는 연결구결속부(420) 후방에 연결로프(500)의 양 끝단부가 간답대삽입홀(410)에 끼워져 결속될 수 있도록 김발연결구(400)의 양측에 로프결속홀(441)이 관통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결속부(440)는 김발연결구(400)에 일정 두께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도록 로프결속부(440)를 제외한 김발연결구(400)의 두께보다 굵은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로프결속부(440)를 김발연결구(400)보다 두껍게 형성시킨 이유는, 해수의 이동이나 김 양식용 그물을 뒤집는 과정에서 김발로프(600)에 가해지는 장력이 연결로프(500)에 전달되더라도, 이 연결로프(500)에 가해지는 힘이 전달되는 로프결속부(44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로프결속부(440)의 두께를 김발연결구(400)보다 두껍게 형성시킴으로써, 김 양식용 그물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10)에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안정적으로 양식용 김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김 양식용 부구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구체(100)에 형성된 간답대끼움홀(111)에 간답대(200)를 끼워 하나의 부구체(100)에 두 개의 간답대(200)가 설치되되, 이 두 개의 간답대(200)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구체는 수지재질로 형성된 것일 뿐 아니라, 부구체(100)의 내부는 속이 빈 통체로 이루어져 부력을 지닐 수 있도록 형성된 것임에 따라 무게가 가벼워 바다에 설치하거나 철거할 때에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구체(100)의 표면은 매끄럽게 형성하여 김 양식이 이루어지는 동안 미생물이나 이물질이 부구체(10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생물이나 이물질이 부착되어 부구체(100)의 무게가 증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미생물에 의해 구체(100)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어 부구체(10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관리의 편의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부구체의 내표면에는 보강리브(130)를 형성하여 강도가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해수의 온도 변화에 의한 변형은 물론 김 양식용 그물을 뒤집거나 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상기의 부구체(100)와 결합되는 간답대(200) 역시 높은 강도와 탄성을 지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염분에 의한 부식이나 미생물에 의한 부패의 방지는 물론 강한 외력에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간답대끼움부(120)에 개구홀(112)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답대(200)와 간답대끼움홀(111)이 서로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직경 편차에 의한 불량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부구체(100)에 간답대(200)를 설치한 이후에는, 간답대끼움부(110)의 외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그물걸림방지구(300)를 설치한다.
이러한 그물걸림방지구(300)는 부구체(100)의 외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부구체와 김 양식용 그물이 접촉된 상태로 김 양식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간답대끼움부(110)에 김 양식용 그물이 걸려 끊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양식용 김의 생산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여 양식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간답대끼움부(120)에 개구홀(112)이 형성된 경우에는, 이 개구홀(112)을 포함한 간답대끼움부(120) 전체가 그물걸림방지구(300)에 덮여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김 양식용 그물이 개구홀(112)에 걸려 끊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그물걸림방지구(300)의 양 끝단부에 결속돌기(310)를 형성시켜 부구체(100)에 형성된 결속홈(120)에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한 경우에는, 그물걸림방지구(300)의 결합면이 부구체(100)의 외표면에 들뜨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김 양식용 그물이 그물걸림방지구(300)의 끝단부에 걸려 끊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부구체(100)에 간답대(200)를 설치하고, 간답대끼움부(120)에 그물걸림방지구(300)를 설치한 이후에는, 부구체(100)에 설치된 간답대(200)의 양 끝단부에 김발연결구(400)를 끼워 체결너트(450)로 견고하게 결속하고, 로프결속홀(441)에 연결로프(500)를 끼워 결속한다.
여기서 연결로프(500)는 간답대(200)에 김발연결구(400)를 설치하기에 앞서, 로프결속부(440)의 양측으로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로프결속홀(441)에 끼워 결속시키고 난 이후에 김발연결구(400)를 간답대(200)의 양 끝단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김발연결구(400)는 간답대(200)의 양 끝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절개부(430)에 의해 고정되어 임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체결너트(450)와 연결구결속부(420)의 결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김발연결구(400)가 간답대(200)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로프결속부(440)는 김발연결구(400)의 외주면에 일정 두께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도록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해수의 이동 및 김 양식용 그물을 뒤집는 과정에서 김발로프(600)에 가해진 힘이 연결로프(500)를 통해 로프결속부(440)에 전해지더라도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지니게 되어, 파손 및 변형에 의한 유지보수에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부구는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고, 상호간에 견고한 결속상태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국 김 양식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양식용 김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0 : 김 양식용 부구
100 : 부구체 110 : 간답대끼움부
111 : 간답대끼움홀 112 : 개구홀
120 : 결속홈
200 : 간답대
300 : 그물걸림방지구 310 : 결속돌기
320 : 체결부재결속홀 350 : 체결부재
400 : 김발연결구 410 : 간답대삽입홀
420 : 연결구결속부 430 : 절개부
440 : 로프결속부 441 : 로프결속홀
450 : 체결너트
500 : 연결로프
600 : 김발로프

Claims (5)

  1. 내부가 비어있는 통체 형상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부력을 지니도록 형성되고, 막대 형상의 간답대(200)가 설치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간답대끼움홀(111)과 그 간답대끼움홀(111)의 일측에 상기 간답대(200)의 설치방향을 따라 개구되도록 형성된 개구홀(112)을 포함하는 간답대끼움부(110)가 일측 표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부구체(100);
    상기 부구체(100)와 간답대끼움부(110)에 밀착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간답대끼움부(110)의 외면을 감싸 상기 개구홀(112)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김 양식이 이루어지는 동안 김 양식용 그물이 상기 부구체(100)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김 양식용 그물이 걸리지 않도록 형성된 그물걸림방지구(300);
    상기 간답대(200)의 양 끝단부에 설치되어 김 양식용 그물의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김발로프(600)가 연결로프(50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김발연결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그물걸림방지구(300)는 하단부에 결속돌기(31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부구체(100)는 상기 결속돌기(3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그물걸림방지구(300)가 고정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결속돌기(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속홈(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발연결구(400)는,
    상기 간답대(200)가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 간답대삽입홀(410)과,
    상기 간답대(200)의 끝단부에 끼워져 체결너트(450)에 의해 결속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구결속부(420)와,
    상기 연결구결속부(420)에 축방향으로 하나 이상 절개시켜 형성된 절개부(430)와,
    상기 연결구결속부(420)의 후방에 연결로프(500)의 양 끝단부가 내부에 끼워져 결속되도록 로프결속홀(441)이 양측에 형성된 로프결속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체(100)는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열융착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외표면은 매끄럽게 형성되며, 내표면에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부구.
KR1020190053489A 2019-05-08 2019-05-08 김 양식용 부구 KR102137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489A KR102137724B1 (ko) 2019-05-08 2019-05-08 김 양식용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489A KR102137724B1 (ko) 2019-05-08 2019-05-08 김 양식용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724B1 true KR102137724B1 (ko) 2020-07-24

Family

ID=7189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489A KR102137724B1 (ko) 2019-05-08 2019-05-08 김 양식용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7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875B1 (ko) * 2021-05-12 2021-11-05 최혜선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KR20220140662A (ko) * 2021-04-10 2022-10-18 최태현 해조류 서식에 적합한 양식용 부표
KR102495544B1 (ko) * 2022-10-17 2023-02-06 최혜선 친환경 김발용 부표시스템
KR102541881B1 (ko) * 2023-02-04 2023-06-13 최혜선 간답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김발부표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72B1 (ko) 2016-03-31 2017-04-10 이정구 김 양식용 그물의 지지장치
KR101744479B1 (ko) 2016-12-08 2017-06-08 죽산에스피주식회사 김양식용 부구체 결합구조
KR101789797B1 (ko) * 2017-02-22 2017-10-25 주식회사 코부이테크 양식용 친환경 부자
KR101913080B1 (ko) * 2018-06-14 2018-10-29 최오영 김 양식용 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72B1 (ko) 2016-03-31 2017-04-10 이정구 김 양식용 그물의 지지장치
KR101744479B1 (ko) 2016-12-08 2017-06-08 죽산에스피주식회사 김양식용 부구체 결합구조
KR101789797B1 (ko) * 2017-02-22 2017-10-25 주식회사 코부이테크 양식용 친환경 부자
KR101913080B1 (ko) * 2018-06-14 2018-10-29 최오영 김 양식용 부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662A (ko) * 2021-04-10 2022-10-18 최태현 해조류 서식에 적합한 양식용 부표
KR102466533B1 (ko) 2021-04-10 2022-11-10 최태현 해조류 서식에 적합한 양식용 부표
KR102322875B1 (ko) * 2021-05-12 2021-11-05 최혜선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KR102495544B1 (ko) * 2022-10-17 2023-02-06 최혜선 친환경 김발용 부표시스템
KR102541881B1 (ko) * 2023-02-04 2023-06-13 최혜선 간답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김발부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724B1 (ko) 김 양식용 부구
US8468974B2 (en) Aquaculture cage screen
US20170215390A1 (en) Floatation Device for an Aquaculture Basket
NO334669B1 (no) Flyteelement og framgangsmåte for å tildanne et oppdriftssystem
KR101913080B1 (ko) 김 양식용 부구
KR20190029048A (ko) 김 양식용 부구
KR101895581B1 (ko)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KR101789797B1 (ko) 양식용 친환경 부자
US6269582B1 (en) Artificial weed line
KR101885209B1 (ko) 부상 조립체
KR20120007987U (ko) 양식장용 플로트
KR102322875B1 (ko)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ES2811828T3 (es) Hábitat acuático artificial, sistema de hábitat acuátic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KR102077278B1 (ko) 친환경 모조 주머니
KR20160068023A (ko) 목재 채움 하이브리드 어초
CN109717119B (zh) 网箱养殖自动投喂装置
KR101988427B1 (ko) 김 양식용 부표
CN205455366U (zh) 一种带海浪空压泵的人工鱼礁
KR200495235Y1 (ko) 양식로프 고정구
KR200252846Y1 (ko) 가두리 양식장의 경계망 틀
AU2021273553B2 (en) Removeable aquatic basket and float system and method
KR200179359Y1 (ko) 가두리양식장용 부구
RU43735U1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аквакультуры
KR102371847B1 (ko)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KR200315467Y1 (ko) 양식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