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209B1 - 부상 조립체 - Google Patents

부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209B1
KR101885209B1 KR1020160137337A KR20160137337A KR101885209B1 KR 101885209 B1 KR101885209 B1 KR 101885209B1 KR 1020160137337 A KR1020160137337 A KR 1020160137337A KR 20160137337 A KR20160137337 A KR 20160137337A KR 101885209 B1 KR101885209 B1 KR 101885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hole
main plate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923A (ko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riority to KR102016013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2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부상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정길이의 연결로프를 통과시키는 연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연결공의 외측에 복수개의 제1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수면에 부유되는 본체판 ; 상기 제1고정공을 통하여 본체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주입구와, 상기 복수개의 제1고정공마다 형성되는 제1주입구고정부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걸림고정되는 네크플랜지 및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일정량의 기체가 채워지는 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갖추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상 조립체{a Floating Assembly}
본 발명은 수면에 부상되는 부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사용 후 폐기되는 페트병을 재활용하여 환경친화적이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면 아래에 잠기는 수평로프와 수면에 부상되는 부력체 사이를 연결하는 로프재가 부력체의 회전에 기인하여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자(浮子) 또는 부이(Bouy)와 같은 부상 구조물은 인근해역에 양식장을 설치하기 위하여 그물이나 줄과 같은 양식구조물을 원통 형상의 몸체에 매달아 해상에 띄워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양식장의 그물을 설치하고, 표시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부상 구조물은 대부분이 폴리스티렌 폼(Polystyrene foam: 이하 ″스치로폼″이라 한다.)과 폴리에틸렌 발포수지 재질로 제조되는데, 그 중 스치로폼 재질의 부상구조물은 가볍고 부력이 매우 강하며, 부식성이 없고 제조단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된다.
또한, 구조면에서도 부력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해당하는 속이 비어 있는 것과, 강도의 보강 측면에서 중심부에 해당하는 속이 비어 있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와 같은 스치로폼 재질의 부상 구조물은 인장강도가 약하여 파도나 바람에 의하여 충격을 받거나 해상에 떠다니는 각종 부상물체와 충돌하였을 경우 쉽게 파손되고, 스치로폼 재질 자체가 기공이 크고 많기 때문에 해수에서 약 1년 정도 사용하게 되면 해수의 응집으로 부력이 저하되어 부상 조립체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스치로폼 재질의 부이가 파손되어 생성된 스치로폼 파편과 같은 부산물들이 해상에서 부상하면서 인근해역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부상 구조물은 부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부피가 커지게 되는데 큰 부력을 갖는 부상 구조물의 부피가 커서 설치위치로 운송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또한, 해저(海底)에 햇빛을 차단함에 따라 해저에서 성장하는 동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방해하는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등 그 피해가 크기 때문에 사용을 규제하고 있으나, 가격이 저렴하고 대체가능한 제품이 없이 현재까지도 계속 사용하고 있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0035054호(2001.5.7)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0097520호(2006.9.14)에는 수지를 사출가교 발포시키거나 액화목재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부상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상 구조물은 부상체를 별도로 제작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절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바다 양식장에서는 해수면에 부유되는 부상 구조물의 부력체가 일정길이의 연결로프인 수직로프를 매개로 하여 수면 아래에 일정깊이 잠기는 수평로프와 연결되어 구속되고, 상기 수평로프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어구와 같은 잠수구조물을 수면 아래에 잠수시켜 굴, 전복, 미역, 멍게와 같은 양식대상물 양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잠수구조물과 더불어 수평로프가 수면 아래에 잠겨진 상태에서 수면에 부유되는 부력체는 바람이나 파도, 조류와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부력체와 수평로프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로프는 부력체의 회전과 더불어 회전되면서 수면아래에서 꼬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는 수직로프의 상단이나 상기 수평로프와 연결되는 수직로프의 하단에는 로프 꼬임에 기인하는 응력이 집중되어 단선되거나 사용수명을 저하시키게 되고, 수직로프의 단선시에는 부력체 및 잠수구조물을 모두 유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부력체와 더불어 수직로프가 회전되어 로프재의 선꼬임을 유발하게 되면서 수평로프에 매달려 있는 잠수구조물을 상하로 유동하거나 흔들 수 있기 때문에 잠수구조물에서 서식하게 되는 대상물의 서식조건을 열악하게 하여 성장속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하나의 부력체 마다 2개 이상의 수직로프를 연결하여 부력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으나 작업자가 수면상에 부상되는 부력체와 수평로프사이를 2개의 수직로프로 연결하는 작업시 작업시간 및 로프사용량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 후 폐기되는 페트병을 재활용하여 환경친화적이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면 아래에 잠기는 수평로프와 수면에 부상되는 부력체 사이를 연결하는 로프재가 부력체의 회전에 기인하여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상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정길이의 연결로프를 통과시키는 연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연결공의 외측에 복수개의 제1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수면에 부유되는 본체판 ; 상기 제1고정공을 통하여 본체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주입구와, 상기 복수개의 제1고정공마다 형성되는 제1주입구고정부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걸림고정되는 네크플랜지 및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일정량의 기체가 채워지는 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갖추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 ; 를 포함하는 부상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정길이의 연결로프를 통과시키는 연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연결공의 외측에 복수개의 제2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수면에 부유되는 본체판 ; 상기 제2고정공을 통하여 본체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주입구와, 상기 복수개의 제2고정공마다 대응배치되는 제2주입구고정부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걸림고정되는 네크플랜지 및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일정량의 기체가 채워지는 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용기를 갖추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발생원 ; 을 포함하는 부상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공은 상기 네크플랜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주입구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공의 내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슬릿과, 서로 인접하는 제1슬릿들사이에 형성되는 제1탄성판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탄성판의 자유단은 상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슬릿에는 집중응력을 분산시키는 확장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고정공은 상기 네크플랜지의 외경크기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주입구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공과 대응하여 상기 네크플랜지의 외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크기로 관통형성되는 원형공의 내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슬릿과, 서로 인접하는 제2슬릿들사이에 제2탄성판을 형성하는 고정판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탄성판의 자유단은 상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슬릿에는 집중응력을 분산시키는 확장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판은 상기 연결공을 중앙에 관통형성한 수평판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연결공을 상부꼭지점으로 하여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져 외부면이 하향 경사지는 원추형 판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연결공을 하부꼭지점으로 하여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져 외부면이 상향 경사지는 다른 원추형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원추형 판체는 경사진 외부면에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계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판은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수심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은 상기 연결공이 형성되는 본체판의 하부면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일체형 관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연결공에 단부가 나사결합되거나 끼움조립되는 조립형 관체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로프는 수면 아래에 잠기는 수평로프 또는 수면 아래에 잠기는 잠수구조물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는 일정길이의 로프재이며, 상기 연결로프는 상기 연결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추어 상기 연결공에 걸림배치되는 걸림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스토퍼를 관통하는 연결로프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묶음매듭과 상기 걸림스토퍼사이에 상부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중간에 형성된 중간 묶음매듭에 걸림배치되고, 상기 중앙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는 하부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판의 하부에 정렬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위치고정하는 용기고정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용기고정부는 상기 본체판의 하부에 정렬배치된 복수개의 용기본체를 에워싸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부재를 포함하거나 상기 연결공과 대응하여 상기 연결로프가 통과하거나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중공관의 하부단이 결합되는 결합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용기본체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용기고정공을 관통형성한 판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고정공과 제1주입구고정부는 상기 본체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된 중공원통체의 내부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된 중공원통체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고정공과 제2주입구고정부는 상기 본체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된 중공원통체의 내부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된 중공원통체의 내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체판의 제1고정공에 형성되는 제1주입구고정부 또는 본체판의 제2고정공마다 대응배치되는 제2주입구고정부에 의해서 부력용기의 주입구를 탄력적으로 걸림고정함으로써 본체판에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조립하여 부상조립체를 완성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폐기되는 용기를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이며, 부식 및 파손에 의한 오염발생원을 방지하여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2) 부력부에 의해서 수면에 부상되는 본체판이 수면 아래에 잠기게 되는 수평로프 또는 잠수구조물과 본체판의 연결공이나 이로부터 연장되는 중공관을 통과하는 연결로프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파도, 조류 및 바람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한 부력구조물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락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로프의 꼬임을 방지하여 꼬이는 로프재의 피로하중에 의한 단선을 방지하고, 연결로프의 단선에 의한 부상조립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부상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a 와 도 13b 는 본 발명의 제3,4실시예에 따른 부상조립체의 원추형 판체에 계단부를 적용한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상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면에 안정적으로 부유되면서 어구와 같은 잠수구조물이 매달려 수면 아래에 잠기는 수평로프(2) 또는 수면 아래에 잠기는 잠수구조물과 연결되어 수면에 부상된 상태에서 바람, 파도, 조류와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서 로프재의 꼬임이 없도록 자유로운 자체회전을 허락하도록 본체판(110) 및 부력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판(110)은 일정길이의 연결로프(5)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부면 연결공(116)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연결공(116)을 중심으로 하여 그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고정공(112)을 관통형성하여 수면에 부유되는 일정두께의 수평판체(111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판(110)은 수면에 부상되는 부력을 갖도록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몸체내부에 공기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판(110)은 대략 원형의 수평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 수평판체 또는 사각형 수평판체와 같은 다각형 수평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판(110)은 상기 연결공(116)으로부터 수심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일정길이의 중공관(116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공관(116a)은 상기 연결공이 형성되는 본체판의 하부면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일체형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연결공(116)에 단부가 나사결합되거나 끼움조립되는 조립형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관(116a)은 외부요인에 의한 상기 본체판(110)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로프(2) 또는 잠수구조물과 연결되는 연결로프(5)가 하부로 통과할 수 있는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중공관(116a)은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판(110)의 연결공(116)을 통과하는 연결로프(5)는 상기 연결공(116)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추어 상기 연결공에 걸림배치되는 대략 원형의 걸림스토퍼(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스토퍼(5a)의 몸체중앙에 관통형성된 중앙공을 관통하는 연결로프(5)의 상단에는 상부 묶음매듭(5b)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스토퍼(5a)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상부묶음매듭(5b)과 걸림스토퍼(5a)사이에는 상기 연결로프가 끼워지는 상부와셔(5c)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상부 묶음매듭(5b)이 걸림스토퍼(5a)에 형성된 중앙공을 통하여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로프(5)는 수면에 부유된 본체판의 상하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길이중간에 형성된 중간 묶음매듭(5e)에 걸림배치되고, 상기 연결공(116)이나 중공관(116a)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는 하부와셔(5d)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연결로프를 따라 하강되는 본체판(110)은 상기 연결공이나 이로부터 연장된 중공관(116a)의 하부단이 하부와셔(5d)에 접하여 간섭되면서 상기 본체판(110)의 하강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로프(5)의 상단은 상기 상부 묶음매듭(5b)에 걸리어 이동이 제한되는 걸림스토퍼(5a)가 상기 연결공이 형성되는 본체판의 상부면에 접해지면서 구속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5)는 부력부(120)와 조립되어 수면에 부상되는 본체판(110)과 수면에 잠기는 잠수구조물이 매달리게 되는 수평로프(2)와의 사이를 직간접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본체판(110)과 수면 아래에 잠기는 잠수구조물을 서로 직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로프(2)는 상기 본체판(110)의 중공관(116a)내에 배치됨으로써 바람, 조류 및 파도와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서 상기 수평로프를 중심으로 하여 본체판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수평로프는 본체판과 직접적으로 묶음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스토퍼와 본체판간의 접촉에 의해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본체판의 회전을 허락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로프(5)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력부(120)는 상기 본체판(110)의 하부에 위치고정되도록 조립되어 본체판(110)과 더불어 수면에 부상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용기(120a)는 상기 본체판(110)에 관통형성된 제1고정공(112)을 상향 통과하여 상부로 노출되는 주입구(122)를 상단에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제1고정공(112)마다 형성되는 제1주입구고정부(113)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걸림고정되는 네크플랜지(123)를 네크부에 갖추고, 상기 주입구(122)를 통하여 일정량의 기체가 채워지는 용기본체(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입구(122)는 외부면에 수나사부를 갖추어 상기 용기본체(124)에 채워진 기체를 밀봉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한 마개부재(121)와 나사결합되어 밀봉처리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주입구에 압입되는 별도의 마개부재에 의해서 밀봉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개부재(121)에는 밀봉상태에서 용기본체(124)내에 기체를 주입하여 공급하거나 보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용기(120a)는 공기와 같은 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122)와 주입된 기체가 채워지는 용기본체사이에 상기 주입구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단면상을 갖는 네크부를 포함하는바, 이러한 네크부에는 상기 주입구(122)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용기본체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추어 상기 제1고정부에의해서 탄력적으로 걸림연결되는 대략 링형상의 네크플랜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체가 채워져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용기(120a)는 1회용으로 버려지는 플라스틱 용기인 PET병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력용기(120a)의 네크플랜지(123)가 걸림연결되는 제1주입구고정부(113)는 상기 제1고정공(112)의 내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슬릿(113b)과, 서로 인접하는 제1슬릿(113b)들사이에 형성되는 제1탄성판(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탄성판(113a)의 자유단부는 상기 네크플랜지와의 걸림연결시 상기 부력용기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네크플랜지를 형성하는 네크부의 외부면이 상기 제1고정공(112)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상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판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슬릿(113b)의 단부에는 상기 본체판(110)에 절개 형성된 제1슬릿의 단부에 집중되는 응력에 의한 본체판의 찢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중응력을 분산시키는 대략 원형의 확장절개부(113c)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공(112)의 내경크기는 상기 네크플랜지(123)의 외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제1슬릿(113b)들사이에 형성되는 제1탄성판(113a)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고정공(112)을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네크플랜지(123)와의 간섭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탄성변형된 제1탄성판(113a)의 자유단부가 원상태로 탄력복원되어 상기 네크플랜지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접해지면서 상기 부력용기의 상단인 주입구를 본체판의 제1고정공(112)으로부터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공(112)과 제1주입구고정부(113)는 상기 본체판(110)의 평면상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용기(120a) 상단부의 고정위치를 본체판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판(1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된 중공원통체의 내부 천정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용기(120a)의 상단부의 고정위치를 본체판(110)보다 높은 상부에 형성하거나 상기 본체판(1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된 중공원통체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용기(120a)의 상단부의 고정위치를 본체판(110) 보다 낮은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판(110)에 관통형성된 제1고정공(112)에 형성되는 제1주입구고정부(113)에 의해서 주입구가 본체판에 위치고정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는 용기고정부(130)에 의해서 수평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판(110)의 직하부에 수직하게 정렬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용기고정부(130)는 상기 수평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판(110)의 직하부에 수직하게 정렬배치된 복수개의 용기본체(124)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에워싸 고정하는 일정길이의 밴드부재(131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밴드부재(131a)는 상기 본체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동심원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 중 내측에 배치되는 부력용기를 동시에 에워싸 고정하는 내측 밴드부재와, 그 외측에 배치되는 다른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동시에 에워싸 고정하는 외측 밴드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부재(131a)는 일정폭을 갖는 띠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와 같은 결속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밴드부재(131a)에 의해서 감싸져 고정되는 부력부는 서로 인접하는 용기본체들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고정부(130)는 상기 연결공(116)과 대응하여 상기 연결로프(5)가 통과하거나 상기 연결공(116)으로부터 일정길이 하향 연장되는 중공관(116a)의 하단부단이 대응결합되는 결합공(133)을 몸체 중앙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용기본체(124)의 하단이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용기고정공(132)을 관통형성한 판체(1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용기(120a)의 주입구(122)는 상기 본체판(110)의 제1고정공(112)과 더불어 본체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주입구고정부(113)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걸림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부력용기의 용기본체(124)는 상기 본체판의 직하부에 수직한 상태로 정렬배치되도록 밴드부재와 같은 용기고정부(130)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상 조립체(100a)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판(110) 및 부력부(120)를 포함하는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본체판(110)은 상부면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연결공(116)을 중심으로 하여 그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2고정공(114)을 관통형성하여 수면에 부상되는 일정두께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력부(120)는 상기 본체판(110)의 하부에 위치고정되도록 조립되어 본체판(110)과 더불어 수면에 부상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를 포함하는바, 상기 부력용기(120a)는 상기 복수개의 제2고정공(114)마다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주입구고정부(115)에 의해서 네크플랜지(123)가 탄력적으로 걸림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고정공(114)은 상기 부력용기의 주입구(122)를 밀봉하는 마개부재(121)와 더불어 네크플랜지(123)가 간섭없이 통과하도록 상기 네크플랜지(123)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내경크기로 상기 본체판(110)에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용기(120a)의 네크플랜지(123)가 걸림연결되는 제2주입구고정부(115)는 상기 제2고정공(114)과 대응하여 관통형성되는 원형공(115d)의 내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슬릿(115b)과, 서로 인접하는 제2슬릿(115b)들사이에 형성되는 제2탄성판(115a)을 포함하여 상기 제2고정공의 직상부에 적층배치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고정판체(115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탄성판(115a)의 자유단부는 상기 네크플랜지와의 걸림연결시 상기 부력용기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네크플랜지를 형성하는 네크부의 외부면이 상기 제2고정공(114)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상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고정공을 형성하는 본체판(110)과 상기 제2슬릿을 형성하는 고정판체(115b)사이에는 제2탄성판에 의해서 네크플랜지가 걸림연결되는 부력용기를 탄력적으로 상향지지하여 제2고정공에 가일층 밀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중공형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2슬릿(115b)의 단부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슬릿(115b)에 집중되는 응력에 의한 본체판의 찢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중응력을 분산시키는 대략 원형의 확장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공(114)의 내경은 상기 네크플랜지(123)의 외경크기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원형공(115d)의 내경크기는 상기 네크플랜지(123)의 외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비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제2슬릿(115b)사이에 형성되는 제2탄성판(115a)의 자유단부는 상기 본체판(110)의 제2고정공(114)과 상기 고정판체(115c)의 원형공(115d)을 연속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네크플랜지(123)와의 간섭에 의해서 탄성변형되고, 탄성변형된 제2탄성판(115a)의 자유단부가 탄력복원되면서 상기 네크플랜지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접하여 부력용기를 상부로 탄력지지함과 도이에 상기 본체판의 제2고정공(114)에 부력용기의 네크부를 밀착시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주입구고정부(115)는 상기 본체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부력용기의 주입구를 본체판에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제2고정공의 직상부에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고정공을 관통형성한 본체판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외측테두리가 고정되는 일체형 판체로 이루어지거나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공(114)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판(110)의 평면상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용기(120a) 상단부의 고정위치를 본체판에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판(1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된 중공원통체의 내부 천정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용기(120a)의 상단부의 고정위치를 본체판(110)의 상부에 형성하거나 상기 본체판(11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된 중공원통체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용기(120a)의 상단부의 고정위치를 본체판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판(110)에 관통형성된 제2고정공(114)에 대응배치되는 제2주입구고정부(115)에 의해서 주입구가 본체판에 위치고정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기고정부(130)의 밴드부재에 의해서 수평판체로 이루어지는 본체판(110)의 직하부에 수직하게 정렬배치된 상태에서 일체화되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부상 조립체(100b)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판(110) 및 부력부(120)를 포함하는바, 제1,2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본체판(110)은 상부면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연결공(116)을 상부꼭지점으로 하여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면서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외부면을 갖는 일정두께의 원추형 판체(1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추형 판체(111b)에는 복수개의 제1고정공(112)을 경사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여 제1주입구고정부(113)를 구비하거나 경사진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제2고정공(114)마다 제2주입구고정부(115)를 대응배치하여 상기 부력용기의 주입구를 위치고정할 수 있다.
상기 부력부(120)는 외측단이 하부로 벌어지는 원추형 판체(111b)로 이루어지는 본체판(110)의 하부에 위치고정되도록 조립되어 본체판(110)과 더불어 수면에 부상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를 포함하여 부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로 벌어지는 원추형 판체(111b)로 이루어지는 본체판(110)의 하부에 정렬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는 상기 연결공(116)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측으로 하부단이 향하여 모아지도록 1차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추형 판체(111b)의 하부에 경사지게 정렬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는 상기 용기고정부의 밴드부재(131a)에 의해서 동심원으로 감싸져 묶음고정됨으로써 경사상태에서 대략 수직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밴드부재(131a)에 의해 부력용기의 고정시 상기 제1,2주입구 고정부(113,115)의 제1,2탄성판은 상기 부력용기의 경사상태를 수직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부상 조립체(100c)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및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판(110) 및 부력부(120)를 포함하는바, 제1,2및 3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본체판(110)은 상부면 중앙영역에 관통형성된 연결공(116)을 하부꼭지점으로 하여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커지면서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지는 외부면을 갖는 일정두께의 원추형 판체(11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추형 판체(111c)에는 복수개의 제1고정공(112)을 경사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여 제1주입구고정부(113)를 구비하거나 경사진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제2고정공(114)마다 제2주입구고정부(115)를 대응배치하여 상기 부력용기의 주입구를 위치고정할 수 있다.
상기 부력부(120)는 외측단이 상부로 벌어지는 원추형 판체(111c)로 이루어지는 본체판(110)의 하부에 위치고정되도록 조립되어 본체판(110)과 더불어 수면에 부상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를 포함하여 부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로 벌어지는 원추형 판체(111c)로 이루어지는 본체판(110)의 하부에 정렬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는 상기 연결공(116)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측으로부터 하부단이 멀어지도록 1차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추형 판체(111b)의 하부에 경사지게 정렬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는 상기 용기고정부의 밴드부재(131a)에 의해서 동심원으로 감싸져 묶음고정됨으로써 경사상태에서 대략 수직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밴드부재(131a)에 의해 부력용기의 고정시 상기 제1,2주입구 고정부(113,115)의 제1,2탄성판은 상기 부력용기의 경사상태를 수직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다.
한편, 외측단이 하부로 벌어지는 단면상을 갖는 원추형 판체(111b)는 도 13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판(110)의 직하부에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를 수직하게 정열배치하고, 상기 용기고정부(130)에 의한 용기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수평면(117a)과 수직면(117b)을 갖는 계단부(117)를 하향 경사진 외부면에 형성하여 구비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계단부(117)의 수평면(117a)에는 상기 제1고정공(112)과 이에 형성되는 제1주입구고정부(113)를 구비하거나 제2고정공(114)마다 대응배치하는 제2주입구고정부(115)를 구비하여 상기 부력용기의 주입구를 위치고정함으로써 하부로 벌어지는 단면상을 갖는 원추형 판체(111b)의 하부에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를 수직하게 정열배치한 다음 용기고정부에 의해서 확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측단이 상부로 벌어지는 단면상을 갖는 다른 원추형 판체(111c)는 도 1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판(110)의 직하부에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를 수직하게 정열배치하고, 상기 용기고정부(130)에 의한 용기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다른 수평면(118a)과 다른 수직면(118b)을 갖는 다른 계단부(118)를 상향 경사진 외부면에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단부(118)의 수평면(118a)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1고정공(112)과 이에 형성되는 제1주입구고정부(113)를 구비하거나 제2고정공(114)마다 대응배치하는 제2주입구고정부(115)를 구비하여 상기 부력용기의 주입구를 위치고정함으로써 상부로 벌어지는 단면상을 갖는 원추형 판체(111c)의 하부에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를 수직하게 정열배치한다 용기고정부에 의해서 확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계단부(117,118)는 상기 연결공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항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부력용기 고정위치마다 일대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부상조립체(100,100a,100b,100c)는 수평판체(111a), 원추형 판체(111b,111c)로 이루어지는 본체판(110)의 직하부에 정열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를 갖추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를 포함하여 수면에 부상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는 수평판체(111a), 원추형 판체(111b,111c)에 관통형성되는 제1고정공(112)에 형성되는 제1주입구고정부(113)에 의해서 상기 본체판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주입구가 통과하면서 네크플랜지가 하부이탈이 곤란하도록 탄력적으로 걸림고정되어 본체판의 하부에 정열배치되거나 수평판체(111a), 원추형 판체(111b,111c)에 관통형성되는 제2고정공(114)마다 대응배치되는 제2주입구고정부(115)에 의해서 상기 본체판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주입구가 통과하면서 네크플랜지가 하부이탈이 곤란하도록 탄력적으로 걸림고정되어 본체판의 하부에 정열배치됨으로써 작업자는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본체판에 결합하여 조립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제조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판(110)의 하부에 정렬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120a)는 밴드부재 또는 판체로 이루어지는 용기고정부(130)에 의해서 2차 위치고정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일체화하여 개별적인 용기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줄여 안정적인 부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판과의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보장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판의 연결공을 통과하거나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중공관을 통하여 통과하는 연결로프(5)의 상단은 걸림스토퍼에 의해서 본체판의 중앙에 걸림연결되고, 상기 연결로프(5)의 하단은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수평로프(2)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잠수구조물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한 구성을 갖는 부상조립체(100,100a,100b,100c)는 파도, 조류 및 바람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서 수면에서 회전되더라도 상기 본체판과 수평로프사이 또는 상기 본체판과 잠수구조물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로프(5)는 상기 본체판에 관통형성된 연결공이나 이로부터 연장된 중공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본체판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락하게 되면서 자체적으로 꼬이지 않게 되어 연결로프의 꼬임시 발생하는 피로하중에 기인하는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상기 부상조립체의 부상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본체판
111a : 수평판체
111b,111c : 원추형 판체
112 : 제1고정공
113 : 제1주입구고정부
113a : 제1탄성판
113b : 제1슬릿
114 : 제2고정공
115 : 제2주입구고정부
115a : 제1탄성판
115b : 제2슬릿
116 : 연결공
116a : 중공관
117,118 : 계단부
120 : 부력부
120a : 부력용기
121 : 마개부재
122 : 주입구
123 : 네크플랜지
124 : 용기본체
130 : 용기본체부
132,132b,132c : 용기고정공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일정길이의 연결로프를 통과시키는 연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연결공의 외측에 복수개의 제1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수면에 부유되는 본체판 ;
    상기 제1고정공을 통하여 본체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주입구와, 상기 복수개의 제1고정공마다 형성되는 제1주입구고정부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걸림고정되는 네크플랜지 및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일정량의 기체가 채워지는 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갖추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공은 상기 네크플랜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주입구고정부는 상기 제1고정공의 내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슬릿과, 서로 인접하는 제1슬릿들사이에 형성되는 제1탄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판의 자유단은 상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에는 집중응력을 분산시키는 확장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6. 일정길이의 연결로프를 통과시키는 연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연결공의 외측에 복수개의 제2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수면에 부유되는 본체판 ;
    상기 제2고정공을 통하여 본체판의 상부로 노출되는 주입구와, 상기 복수개의 제2고정공마다 대응배치되는 제2주입구고정부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걸림고정되는 네크플랜지 및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일정량의 기체가 채워지는 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용기를 갖추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발생원 ; 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공은 상기 네크플랜지의 외경크기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주입구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공과 대응하여 상기 네크플랜지의 외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크기로 관통형성되는 원형공의 내측테두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슬릿과, 서로 인접하는 제2슬릿들사이에 제2탄성판을 형성하는 고정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판의 자유단은 상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릿에는 집중응력을 분산시키는 확장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상기 연결공을 중앙에 관통형성한 수평판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연결공을 상부꼭지점으로 하여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져 외부면이 하향 경사지는 원추형 판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연결공을 하부꼭지점으로 하여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져 외부면이 상향 경사지는 다른 원추형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판체는 경사진 외부면에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11.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은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수심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관은 상기 연결공이 형성되는 본체판의 하부면으로부터 직하부로 연장되는 일체형 관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연결공에 단부가 나사결합되거나 끼움조립되는 조립형 관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12.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프는 수면 아래에 잠기는 수평로프 또는 수면 아래에 잠기는 잠수구조물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는 일정길이의 로프재이며,
    상기 연결로프는 상기 연결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추어 상기 연결공에 걸림배치되는 걸림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스토퍼를 관통하는 연결로프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묶음매듭과 상기 걸림스토퍼사이에 상부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프의 길이중간에 형성된 중간 묶음매듭에 걸림배치되고, 상기 연결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는 하부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15.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의 하부에 정렬배치되는 복수개의 부력용기를 위치고정하는 용기고정부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용기고정부는 상기 본체판의 하부에 정렬배치된 복수개의 용기본체를 에워싸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부재를 포함하거나 상기 연결공과 대응하여 상기 연결로프가 통과하거나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중공관의 하부단이 결합되는 결합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용기본체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용기고정공을 관통형성한 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공과 제1주입구고정부는 상기 본체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된 중공원통체의 내부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된 중공원통체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공과 제2주입구고정부는 상기 본체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된 중공원통체의 내부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판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된 중공원통체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조립체.
KR1020160137337A 2016-10-21 2016-10-21 부상 조립체 KR101885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337A KR101885209B1 (ko) 2016-10-21 2016-10-21 부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337A KR101885209B1 (ko) 2016-10-21 2016-10-21 부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23A KR20180043923A (ko) 2018-05-02
KR101885209B1 true KR101885209B1 (ko) 2018-09-11

Family

ID=6218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337A KR101885209B1 (ko) 2016-10-21 2016-10-21 부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0197A (zh) * 2019-04-25 2019-08-23 袁治平 一种农业水产品养殖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577A (zh) * 2018-12-07 2019-03-19 大连海英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工程监测浮标及防护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282B1 (ko) * 2011-07-13 2011-10-10 김주리 어구용 회전식 부구
KR101361280B1 (ko) * 2012-12-07 2014-02-13 강흥묵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KR101431635B1 (ko) 2012-07-27 2014-08-21 박기태 양식장용 부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334Y2 (ja) * 1993-02-09 1995-09-27 太陽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海洋フロ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282B1 (ko) * 2011-07-13 2011-10-10 김주리 어구용 회전식 부구
KR101431635B1 (ko) 2012-07-27 2014-08-21 박기태 양식장용 부이
KR101361280B1 (ko) * 2012-12-07 2014-02-13 강흥묵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0197A (zh) * 2019-04-25 2019-08-23 袁治平 一种农业水产品养殖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23A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280B1 (ko)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KR101918116B1 (ko) 수상용 부상조립체
KR101885209B1 (ko) 부상 조립체
KR102190799B1 (ko) 다기능성 어초블록
KR102137724B1 (ko) 김 양식용 부구
KR101999071B1 (ko) 동합금을 이용한 전복 가두리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5544B1 (ko) 친환경 김발용 부표시스템
CA2690681C (en) Floatation collar for protecting and positioning a sensor package
KR101947319B1 (ko)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JP2022542995A (ja) 外洋水産養殖用魚囲い
KR101895581B1 (ko)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KR101817205B1 (ko) 해중림 조성용 부유식 인공어초 시스템
KR102170716B1 (ko) 친환경 부자
AU2019202589B2 (en) Coupling provided with a coupling body for securing an enclosure in a fish pen to a buoyancy body
KR20140114485A (ko) 전복 가두리 양식장
KR101349367B1 (ko) 재활용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JP2007000039A (ja) 牡蠣筏
CN112568117B (zh) 一种用于海洋牧场建设的浮式藻礁
KR20170110454A (ko) 부상 구조물
KR101613850B1 (ko) 전복 양식용 일렬식 가두리 양식장
KR100281365B1 (ko)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CN106106302A (zh) 海水养殖筏式支架及其使用方法
KR200422708Y1 (ko) 인공 어초
KR20170070674A (ko) 수심유지용 부력장치
KR20230146939A (ko) 김 양식용 부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