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799B1 - 다기능성 어초블록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어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799B1
KR102190799B1 KR1020180117514A KR20180117514A KR102190799B1 KR 102190799 B1 KR102190799 B1 KR 102190799B1 KR 1020180117514 A KR1020180117514 A KR 1020180117514A KR 20180117514 A KR20180117514 A KR 20180117514A KR 102190799 B1 KR102190799 B1 KR 10219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jaw
protruding jaw
protruding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994A (ko
Inventor
김기연
임우남
이상수
우승명
Original Assignee
상록엔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록엔비텍(주) filed Critical 상록엔비텍(주)
Priority to KR102018011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799B1/ko
Priority to PCT/KR2018/012244 priority patent/WO2019160217A1/ko
Publication of KR2020003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에 설치되어 파랑에너지를 감소시키고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해양 생물의 생태환경을 조성하는 다기능성 어초블록의 일종으로, 몸체, 상기 몸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다리, 상기 다리를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돌출턱 및 상기 다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턱 사이에 구비된 제2돌출턱을 포함한다.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돌출턱과 다리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제2돌출턱에 의해 어초블록 자체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파도의 비산 효과가 우수하고 표면적을 넓혀 해조류의 정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돌출턱과 제2돌출턱에 의해 하중의 분산을 꾀할 수 있으며, 다리의 이음부를 보강함으로써 자체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어초블록을 상호 연결하고 식생로프 등을 결합하여 하나의 생태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머리부를 통해 몸체를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시켜 어류 및 해양 동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성 어초블록{MULTI FUNCTIONAL FISH BREEDING REEF BLOCK}
본 발명은 다기능성 어초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에 적재되어 파랑에너지 감소, 모래의 유실 방지 및 해양 생물의 생태환경 조성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기능성 어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해로부터 항내로 진입하는 파랑은 기본적으로 방파제를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방파제의 천단고를 넘어 월파하는 파랑은 천단고를 높임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방파제는 외해의 파랑을 소파하고 내해로의 월파를 방지하고, 내해의 정온을 유지하여 정박해 있는 선박의 안전을 도모하고 항내의 수역 및 항만 시설물을 파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해양구조물로서, 수심과 기초지반 또는 파도의 성질이나 크기에 따라 경사식, 직립식 등 여러 가지 방식의 방파제 구조가 있다.
방파제의 역할을 수행하는 콘크리트블록으로 소파블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소파블록은 외해에서 내습하는 파랑을 효과적으로 소파하여 해안에 인접한 시설물을 보호하고 시공이 편리한 구조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해양 동식물과 공존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구조의 개발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소파블록, 잠재어초, 어초블록, 생태블록 등의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조건과 환경 및 형상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 달라질 수 있다. 콘크리트 블록의 표면은 통상적으로 매끈하기 때문에 낚시꾼들의 낙상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문제가 있다. 또한, 자중의 증가와 너울성 파도의 증대에 따라 콘크리트블록의 경사부, 즉 취약점이 파괴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된다. 이러한 구조물의 파괴는 국내외 논문에 따르면 자중체가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에서 발생되며, 구조물의 자중과 적재되면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전단파괴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콘크리트블록은 해양에 설치된 상태에서 파랑에너지에 의해 수중에서 유동됨에 따라 파괴되기도 하는데, 파랑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동시에 자체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구조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문헌 000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43252호(공개일:2014.12.16.) (문헌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74383호(등록일:2016.11.03.) (문헌 0003)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86811호(등록일:2017.10.11.) (문헌 0004)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036538호(공개일:2016.04.04.) (문헌 0005)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8037호(등록일:2005.10.04.)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 시 다리를 연결하는 이음부를 보강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인터락킹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적재와 적재 후 유동을 방지하는 어초블록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해조류 등의 해양 식물과 어류 등 해양 동물의 정착 및 생장을 원활하게 하여 해양 생물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는 친환경 어초블록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어초블록는 몸체, 몸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다리, 다리를 서로 연결하면서 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돌출턱 및 다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제1돌출턱 사이에 구비된 제2돌출턱을 포함한다.
또한, 다리는, 육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표면에 모서리각을 갖고, 몸체에서 단부의 방향으로 점차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다리의 단부에 구비되며 다리의 둘레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각머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각머리부는 다리의 표면과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돌출턱 또는 제2돌출턱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침강된 제1식생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침강된 제2식생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식생홈은, 몸체의 중앙에 구비되며 다리의 표면과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몸체에는 다리가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돌출턱에는 다리가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를 보강하는 보강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돌출턱과 제2돌출턱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돌출턱은 서로 이격 구비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제2돌출턱은 각각 제1돌출턱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괴거동에 따른 취약부인 다리의 이음부가 제1돌출턱에 의해 보강되어 자체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1돌출턱과 제2돌출턱을 통해 파랑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블록가 적재되었을 때 서로 맞물려 인터락킹구조가 용이하다.
또한, 제1돌출턱과 제2돌출턱에 의해 어초블록 표면에서 발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의 외측으로 돌출된 머리부를 통해 다수의 어초블록 적재가 용이하며 본체를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시킴에 따라 본체가 모래 등에 의해 생태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식생홈 또는 제2식생홈에 제올라이트 등의 첨가제를 삽입시키기 용이하며 이를 통해 해양 생물의 원활한 서식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나 보강리브를 통해 다리 이음부의 보강이 더욱 증가되며, 제1돌출턱과 제2돌출턱이 서로 연결되어 다리에 작용하는 하중을 길이방향과 둘레방향으로 분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어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턱, 제2돌출턱 및 보강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턱과 제2돌출턱의 형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와 제2식생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고정구와 식생로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어초블록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어초블록의 구조해석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어초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어초블록은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다리(200)를 갖고, 테트라포드(TETRAPOD)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 및 다리(200)는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리(200)를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다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돌출턱(300) 및 상기 다리(2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턱(300) 사이에 구비된 제2돌출턱(400)을 포함한다.
제1돌출턱(300)은 상기 다리(200) 각각에 다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인접한 다리(200)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1돌출턱(300)은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다리(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돌출턱(300)은 하나의 다리(200)에 3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턱(300)은 상기 몸체(100) 또는 다리(200)의 제작 시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200)와의 사이에 철근 등이 배근되어 상기 제1돌출턱(300)과 다리(200)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돌출턱(300)의 단면은 사각 형상이 바람직하나 삼각,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턱(300), 제2돌출턱(400) 및 보강부(120)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턱(300)은 양 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된 상기 제1돌출턱(300)은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턱(300)의 양 측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되, 완만한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양 측면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면이 사다리꼴인 경우보다 더욱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돌출턱(400) 또는 보강부(120)의 경우에도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턱(300)과 제2돌출턱(400)의 형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턱(300)은 제1내측턱(310)과 제1외측턱(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턱(310)은 다리(200)의 표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외측턱(320)은 상기 제1내측턱(310)의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내측턱(310)과 제1외측턱(320)의 단면적 또는 단면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측턱(310)과 제1외측턱(320)은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내측턱(310)은 상기 제1외측턱(320)보다 단면적이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내측턱(310)과 제1외측턱(32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를 통해 어초블록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해조류 등 해양식물의 정착지 조성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내측턱(310)과 제1외측턱(320) 사이 단차 형성지점에는 식생줄 등이 추가로 결합되거나 제올라이트 등이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내측턱(310)은 상기 제1외측턱(320)보다 단면적이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내측턱(310)과 제1외측턱(32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의 형성지점에는 식생줄 등이 추가로 결합되거나 제올라이트 등이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턱(300)에는 상기 제1돌출턱(300)을 가로지르도록 내측으로 침강된 걸림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어초블록을 와이어 등으로 인양 또는 이동 시 와이어 등이 걸리는 부분으로, 상기 와이어가 상기 걸림홈에 걸렸을 때 상기 제1돌출턱(300)에 의해 와이어가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홈을 통해 안정적인 이동 및 적재가 가능하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다리(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턱(300)에는 보강리브(340)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340)는 상기 다리(200)가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의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턱(300)과 다리(200)의 이음부를 보강한다. 즉, 상기 보강리브(34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돌출턱(300)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턱(300)의 단면증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돌출턱(400)은 상기 제1돌출턱(300) 사이에 상기 다리(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다리(200)의 표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턱(400)은 하나의 다리(200)에 3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다리(200)는 상기 제1돌출턱(300)에 의해 3분할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돌출턱(400)은 상기 3분할된 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턱(400)은 상기 다리(200)의 제작 시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200)와의 사이에 철근 등이 배근되어 상기 제2돌출턱(400)과 다리(200)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돌출턱(400)의 단면은 사각 형상이 바람직하나 삼각,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돌출턱(400)은 제2내측턱(410)(미도시)과 제2외측턱(420)(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턱(410)과 제2외측턱(420)은 상술한 제1내측턱(310)과 제2내측턱(410)에 각각 대응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내측턱(410)과 제2외측턱(420)의 단면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제2내측턱(410)과 제2외측턱(42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턱(300)과 상기 제2돌출턱(40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턱(400)은 상기 제1돌출턱(300)과 인접한 제1돌출턱(3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출턱(400)은 서로 이격 구비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돌출턱(400)은 각각 상기 제1돌출턱(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제1돌출턱(300)은 양 측에 각각 제2돌출턱(40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다리(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돌출턱(300)과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제2돌출턱(400)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어초블록에 가해지는 하중을 더욱 원활하게 분산시킨다. 즉, 상기 제1돌출턱(3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상기 제2돌출턱(400)의 축방향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2돌출턱(4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상기 제1돌출턱(300)의 축방향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돌출턱(300)과 제2돌출턱(400)의 구조 상 각자 취약한 수직방향의 하중을 서로 보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돌출턱(400)은 인접한 제1돌출턱(300)의 단부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단부에서 파손되기 쉬운 제1돌출턱(300)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턱(300)과 제2돌출턱(400)이 구비된 본 발명은 다리(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돌출턱(300)과 다리(20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된 제2돌출턱(400)이 다리(200)의 길이방향과 둘레방향이 각각 보강되는 동시에 파랑에너지의 감소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어초블록이 다수 거치되었을 때 어초블록의 표면에서 제1돌출턱(300)과 제2돌출턱(400)이 발판 역할을 수행하여 낙상사고를 방지하며, 다수 적재된 어초블록 간의 제1돌출턱(300)과 제2돌출턱(400)이 서로 맞물려 인터락킹(interlocking) 구조를 이루므로 수중에서 유동을 방지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돌출턱(300) 또는 제2돌출턱(400)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침강된 제1식생홈(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식생홈(330)은 상기 제1돌출턱(300)에 상기 다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제2돌출턱(400)에 상기 다리(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식생홈(330)은 상기 제1돌출턱(300) 또는 제2돌출턱(400) 제작 시 거푸집의 형상을 변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식생홈(330)이 구비된 본 발명에서는 해조류 등이 모서리 위치에서부터 착생되는 특성을 반영하여 상기 제1돌출턱(300) 또는 제2돌출턱(400)의 돌출구조에 따라 해조류 등의 정착 및 생장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1돌출턱(300) 또는 제2돌출턱(400)에 구비되는 제1식생홈(330)은 복수일 수 있다. 상기 제1식생홈(330)이 상기 제1돌출턱(300)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식생홈(330)은 상기 다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통되면서 상기 다리(20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다리(200)의 둘레방향으로 연통되면서 상기 다리(2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식생홈(330)이 상기 제2돌출턱(400)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돌출턱(300)에 구비되는 경우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복수로 구성된 제1식생홈(330)은 제1돌출턱(300) 또는 제2돌출턱(400)의 표면적을 더욱 넓힌다.
본 발명의 다리(200)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몸체(100)부에서 다리(200)의 단부 방향으로 점차 둘레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200)는, 육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표면에 모서리각을 갖고, 상기 몸체(100)에서 단부의 방향으로 점차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다리(200)의 표면에 모서리각이 형성됨에 따라 모서리 위치부터 생장하는 해조류 등의 정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다리(200)의 단면이나 표면은 상술한 예 이외에도 삼각, 사각, 오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리(200)의 단부에는 상기 제1돌출턱(30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다리(200)의 단부에 적재되는 다른 어초블록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500)와 제2식생홈(11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리(20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다리(200)의 둘레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머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500)는 상기 다리(200)의 단부에서 상기 다리(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다리(200)의 제작 시 함께 제작되어 상기 다리(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500)는, 예를 들어 상기 다리(200)의 단부보다 둘레가 큰 원통 형상으로, 상기 다리(200)의 단부에서 상기 머리부(500)의 일측까지 일정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머리부(500)는 상단이 상기 다리(200)의 단부 둘레보다 큰 원판형상이고, 상기 원판형상과 상기 다리(200)의 단부는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연결된다. 상기 머리부(500)의 상단은 상부에 적재되는 어초블록의 안정성을 위하여 평평하거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상기 머리부(500)는 다각면체 형상으로 상기 머리부(500)의 중앙 수평단면적이 상기 머리부(500)의 일단 수평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위와 같은 형상을 갖는 머리부(500)의 상단은 평평하거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머리부(500)는 상기 다리(200)의 표면과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다리(200)의 표면과 상기 머리부(500)가 둔각을 이룸에 따라 상기 머리부(500)와 다리(200)의 연결위치에서 하중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리(200)의 단부 또는 머리부(500)의 단부 면에는 중공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210)에는 어류 등의 유인제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인, 질산, 아미노산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나 참나무 등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00)에는 보강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20)는 상기 다리(200)의 이음부에 구비되며 상기 다리(200)의 이음부에서 몸체(100)의 단면증대 효과를 갖는다.
상기 보강부(120)는 도 1을 참고하면, 판 또는 막대 형상으로 양 단부가 상기 제1돌출턱(30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중의 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돌출턱(300)과 돌출되는 높이가 같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침강된 제2식생홈(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식생홈(110)은 상기 몸체(10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100)의 내측으로 침강되어 유입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함에 따라 어류, 어패류, 갑각류 또는 연체동물 등의 서식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식생홈(110)은 내측 면이 평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200)의 표면에서 단계적으로 각도가 변하면서 침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리(200)의 표면에서부터 상기 내측 면까지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다리(200)의 표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완만하게 침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식생홈(110)은 상기 몸체(100)의 중앙에서부터 상기 다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침강될 수 있으며 상기 침강 깊이는 상기 몸체(100)에서 다리(200)의 방향으로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예 이외에도 상기 제2식생홈(110)은 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문어 등 빛을 싫어하는 습성을 가진 동물의 서식지 역할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절곡면을 갖는 ㄱ, ㄴ, ㄷ, ㄹ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식생홈(330) 또는 제2식생홈(110)에는 어류 등의 유인제, 영양 물질, 식생줄 등이 삽입될 수 있으며, 제올라이트(zeolite) 또는 제올라이트 함유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의 규산알루미늄 수화물인 광물로서 불포화 탄화수소나 극성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성질을 통해 해양 식물의 포자 등의 번식을 더욱 활발히 한다. 또한 해양 생물의 생장을 더욱 활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또는 제올라이트 함유물질은 클리놉틸로라이트(clinoptilolite), 아날심(analcime), 체바자이트(chabazite), 모오데나이트(mordenite), 에리오나이트(erionite), 휼란다이트(heulandite), 필립사이트(phillipsite), 페리언라이트(ferrienrite)가 각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클리놉틸로라이트(clinoptilolite), 모오데나이트(mordenit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프고정구(600)와 식생로프(700)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어초블록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00), 다리(200), 제1돌출턱(300) 또는 제2돌출턱(400)에는 로프고정구(600)가 연결 또는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로프고정구(600)에는 식생로프(7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프고정구(600)는 어초블록의 제작과정에서 콘크리트 등의 타설 시 미리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켜 상기 몸체(100), 다리(200), 제1돌출턱(300) 또는 제2돌출턱(400)과 일체화 시킬 수 있고, 상기 어초블록의 제작 후 관입공을 형성한 후 상기 관입공에 관입시킬 수 있다.
상기 로프고정구(600)는 상기 식생로프(700)를 어초블록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로프고정구(600) 전부 또는 일부에는 끈 등을 연결 가능한 연결구(6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610)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어초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상기 연결구(610)에는 식생로프(700)나 별도의 와이어 등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구(610)를 통해 연결된 식생로프(700)나 와이어는 다수의 어초블록을 서로 연결시키며, 서로 연결된 다수의 어초블록 간에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610)에 식생로프(700)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식생로프(700)에 해조류 등이 정착됨에 따라 다수의 어초블록이 서로 연계하여 광범위한 해조류 서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식생로프(700) 사이에는 어류 등의 이동통로가 형성되므로 생태조성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로프고정구(600)의 삽입 위치는 다양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프고정구(600)는 복수로, 상기 제1돌출턱(300)의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로프고정구(600)에 의해 고정되는 식생로프(700)는 상기 제1돌출턱(300)의 외측 면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다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생로프(700)는 상기 제1돌출턱(300)과 다리(200)의 사이에 위치되어 식생로프(700)에 정착되는 해조류 등이 제1돌출턱(300)의 돌출구조에 따른 모서리각을 이용하여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프고정구(600)와 식생로프(700)의 위치는 상술한 예 이외에도 사용환경과 목적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접한 어초블록을 서로 연결하는 식생로프(700) 간에는 그물망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낙상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식생로프(700)는 면, 마, 합성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가닥이 서로 꼬아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로프(700)는 해조류 등의 포자번식이 쉬워 바다 속 또는 수면에서 해조류 등의 식생 및 번식을 용이하게 한다.
본원발명의 식생로프(7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메인로프(710) 및 상기 메인로프(7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메인로프(710)보다 큰 투수성을 갖도록 형성된 식생커버(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커버(720)는 다공성 물질로서 발포된 플라스틱, 섬유, 합성섬유 등으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의 선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격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식생커버(720)의 투수성은 상기 메인로프(710)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로프(710)의 외주면을 감싸 식생로프(700)의 표면적을 넓힌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성 어초블록의 구조해석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상기 구조해석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도 17에서는 일반적인 테트라포드의 형상을 모형화한 것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초블록을 모형화한 것을 비교한 것이고, 도 18에서는 상기 모형화된 일반적인 테트라포드의 하중분포와 본 발명에 따른 어초블록의 하중분포를 비교한 것이다.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어초블록의 응력분포는 다리(200)의 이음부를 제1돌출턱(300)이 보강하는 동시에 제2돌출턱(400)도 일정 하중을 분산하여 다리(200)의 이음부에서 최대 인장하중이 비교대상인 도 18의 (a)보다 2MPa 이상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성 어초블록은 수중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연안에서 파랑에너지의 저감 및 모래의 유실방지 기능을 수행하며, 제1돌출턱(300)과 제2돌출턱(400)의 조합을 통해 다리(200)의 길이방향과 둘레방향의 파도 비산 효과와 하중 분산 효과, 파괴거동에 따른 취약부인 다리(200)의 이음부를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나 기타 영양물질을 부착 또는 삽입시키기 쉬우며 표면적 증대와 모서리각 및 단차의 형성을 통해 해조류 등의 정착 및 생장이 용이하다. 또한, 다수의 어초블록을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생태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100 : 몸체 110 : 제2식생홈
120 : 보강부
200 : 다리 210 : 중공부
300 : 제1돌출턱 310 : 제1내측턱
320 : 제1외측턱 330 : 제1식생홈
340 : 보강리브
400 : 제2돌출턱 410 : 제2내측턱
420 : 제2외측턱
500 : 머리부
600 : 로프고정구 610 : 연결구
700 : 식생로프 710 : 메인로
720 : 식생커버

Claims (11)

  1. 몸체;
    상기 몸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4개의 다리;
    상기 다리를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돌출턱; 및
    상기 다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돌출턱 사이에 구비된 제2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턱 또는 제2돌출턱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침강된 제1식생홈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침강된 제2식생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식생홈은,
    상기 몸체의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다리의 표면과 둔각을 이루며,
    상기 제1돌출턱은,
    상기 다리의 표면과 연결되는 제1내측턱; 및
    상기 제1내측턱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외측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내측턱과 제1외측턱의 단면적 또는 단면 형상과 소재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제1내측턱은 상기 제1외측턱보다 단면적이 넓거나 좁게 형성되어 상기 제1내측턱과 제1외측턱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에 해양식물의 정착지가 조성되고, 식생줄이 결합되거나 제올라이트가 추가로 삽입되며,
    상기 제1돌출턱에는 상기 다리의 둘레방향을 따라 내측을 가로지르면서 침강된 상태로 형성되는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식생홈 또는 제2식생홈에는 어류의 유인제, 영양 물질 및 식생줄이 삽입되고, 제올라이트나 제올라이트 함유물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 다리, 제1돌출턱 또는 제2돌출턱에는 로프고정구가 연결 또는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로프고정구에는 식생로프가 연결되고,
    상기 로프고정구는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 다리, 제1돌출턱 또는 제2돌출턱과 일체화시키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식생로프를 고정시키고, 전부 또는 일부에는 연결 가능한 연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는 링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상기 식생로프나 별도의 와이어가 연결 가능하고,
    상기 식생로프 간에는 그물망이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식생로프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메인로프; 및
    상기 메인로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메인로프보다 큰 투수성을 갖도록 형성된 식생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어초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200)는,
    육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표면에 모서리각을 갖고, 상기 몸체(100)에서 단부의 방향으로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어초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20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다리(200)의 둘레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각머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어초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머리부는 상기 다리의 표면과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어초블록.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다리가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를 보강하는 보강부(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어초블록.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턱(300)에는 상기 다리(200)가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를 보강하는 보강리브(3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어초블록.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턱(300)과 상기 제2돌출턱(400)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어초블록.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턱(400)은 서로 이격 구비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돌출턱(400)은 각각 상기 제1돌출턱(3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어초블록.
KR1020180117514A 2018-02-14 2018-10-02 다기능성 어초블록 KR10219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514A KR102190799B1 (ko) 2018-10-02 2018-10-02 다기능성 어초블록
PCT/KR2018/012244 WO2019160217A1 (ko) 2018-02-14 2018-10-17 다기능성 어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514A KR102190799B1 (ko) 2018-10-02 2018-10-02 다기능성 어초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94A KR20200037994A (ko) 2020-04-10
KR102190799B1 true KR102190799B1 (ko) 2020-12-15

Family

ID=7029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514A KR102190799B1 (ko) 2018-02-14 2018-10-02 다기능성 어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352B1 (ko) * 2021-04-22 2021-08-24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336008B1 (ko) * 2021-04-22 2021-12-07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336812B1 (ko) * 2021-05-03 2021-12-07 김병인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해양구조물
KR102519176B1 (ko) * 2021-12-24 2023-04-10 김하은 헥사콘형 소파블록
KR102408911B1 (ko) * 2022-01-20 2022-06-15 미중건설 주식회사 안전형 친환경 테트라포드
KR102659548B1 (ko) * 2022-01-24 2024-04-29 김한얼 구조적 강도 개선을 위한 딤플형 소파블록
KR102549227B1 (ko) * 2022-09-23 2023-07-03 아이엠위드유 주식회사 단위 블록
KR102549226B1 (ko) * 2022-09-23 2023-07-03 아이엠위드유 주식회사 단위 블록
KR102572017B1 (ko) * 2023-03-13 2023-08-30 아이엠위드유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을 위한 단위 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475A (ja) * 2003-05-12 2004-11-25 Tetra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98037Y1 (ko) * 2005-07-08 2005-10-11 김무성 테트라 포드
KR101612770B1 (ko) * 2015-02-13 2016-04-15 주식회사 새누리산업 다기능 테트라포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893A (ko) * 2009-01-06 2010-07-15 서선남 친환경 개량 테트라포드 제작 및 이를 이용한 해안이나 해중의 구조물로서 시공과 시공후 유지관리 방법
KR20140143252A (ko) 2013-06-05 2014-12-16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테트라포드형 해조류 종묘 이식 구조물
KR20140146364A (ko) * 2013-06-17 2014-12-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 블록
KR20160036538A (ko) 2016-03-15 2016-04-04 한승호 전복양식판이 설치되는 테트라포드
KR101674383B1 (ko) 2016-08-11 2016-11-09 현경민 테트라포드
KR101786811B1 (ko) 2017-07-28 2017-10-19 주식회사 세정건설 인공어초겸용 테트라포드 거푸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475A (ja) * 2003-05-12 2004-11-25 Tetra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98037Y1 (ko) * 2005-07-08 2005-10-11 김무성 테트라 포드
KR101612770B1 (ko) * 2015-02-13 2016-04-15 주식회사 새누리산업 다기능 테트라포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94A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799B1 (ko) 다기능성 어초블록
KR101907620B1 (ko) 다기능 테트라포드
JP5582552B2 (ja) 複合の浮遊湿地施設
KR101723269B1 (ko) 방사상의 어초판과 연결다리를 가지는 인공어초
KR101213463B1 (ko) 포자 보호가 강화된 바다숲 조성장치
KR200473631Y1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KR101836995B1 (ko) 서식공간이 구비된 어초블록
KR200471501Y1 (ko)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인공어초
KR100541281B1 (ko)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US6042300A (en) Concrete and tire artificial reef
KR101213624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WO2019160217A1 (ko) 다기능성 어초블록
KR101129705B1 (ko) 다목적 방사형 인공어초
JP2006288381A (ja) 蛸の産卵用漁礁
KR102155298B1 (ko) 테트라포드 제조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테트라포드
KR102500637B1 (ko) 수중저연승 시설물
KR101565602B1 (ko) 어초블럭
KR101470827B1 (ko) 해중림 조성용 2단 원호터널타입 어초
KR101025104B1 (ko) 어류의 서식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 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KR101252235B1 (ko) 돌기형 인공 어초
KR102144907B1 (ko) 복수의 날개를 갖는 다목적 생태블록
JP2002000113A (ja) 海中藻場造成用構造物
KR200393238Y1 (ko) 조장형성 및 해수정화용 인공 어초블록
KR200418963Y1 (ko) 습지생물용 식생대 구조물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